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교적 교회론의 과제에 관한 통합적 고찰

        신경규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39 No.-

        근 들어 한국 선교학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주제중 하나가 선교적 교회론과 그것을 적용한 선교적 교회에 관한 것으로서이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물들이 쏟아져 나온 상황이다. 현재의 상황에서는 이들 연구물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신학적인 선교적 교회론과 실천적 선교적 교회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전체적인 문제점들과 이에서파생되는 과제들을 정리해 봄으로써 앞으로 선교적 교회론의 논의가나아가야 할 방향을 바로 잡는 것이 시급한 일인 것으로 사료된다. 선교적 교회론과 선교지향적 교회에 관한 논의에서는 크게 신학적인 과제와 실천적인 과제로 대별하여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신학적과제에서는 선교적 교회론에 관한 연구가 주로 에큐메니컬 진영에서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파생되는 과제들이다. 여기에는 세 가지핵심적인 문제점이 존재하는데 첫째, 교회 내적 과제로서 선교적 교회론 논의가 광범위하게는 교회론(신학 혹은 이론)에 관한 논의인지, 아니면 선교가 교회의 기능(실천) 중 중심적 위치를 차지해야 한다는 것인지에 관한 문제가 핵심논점 중 하나다. 교회의 실천적 방향의 문제일 경우에는 기존의 교회론을 수정할 필요가 없으나, 교회론에관한 문제일 경우 교회론 전반을 고쳐야 하는 지극히 난해한 과제가 남게 된다. 둘째, 일단 선교적 교회론이 성경적이고도 바른 교회론이라 고 한다면 선교적 교회론에서 신학적 방향성에서 파생되는 합의성의도출에 관한 문제가 대두될 것이다. 신학적으로 자유주의적 성향을 지닌 에큐메니컬 선교신학을 한국교회의 주종을 형성하고 있는 보수주의적 교회현장에 적용가능한지에 대한 과제이다. 세 번째로는 에큐메니컬 선교신학에서 지향하는 ‘세계내적 존재’로서의 교회에 대한 관점이‘교회내적 존재’로 자신을 규정하고 있는 교회 내의 보수주의적 성향을 어떻게 극복가능한지에 관한 과제이다. 이와 연관된 것으로서 세계내에서의 하나님의 직접적인 활동을 강조하는 에큐메니컬 신학이 과연 하나님께서 교회를 통해 세상에 일하신다는 신념을 지닌 현실의 한국교회에게 얼마만큼 호소력을 지닐 수 있는지에 관한 과제이다. 실천적 과제로서는 의식변화의 과제로서 여기에는 먼저 신학교육 을 통한 목회자의 의식변화가 우선적인 과제로 떠오른다. 교회구성원들 의 의식변화는 이미 길들여진 타성으로 인해 변화되기 매우 힘든 문제이다. 그러나 리더로서의 목회자의 의식이 변화되면 교회구성원들의의식변화는 보다 용이하게 변화될 가능성을 지닐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선교적 교회가 되기 위해서는 구조적, 실천적 과제가 따른다.기존의 구조와 교회의 선교적 실천의 방향성을 바꾸는 과제로서 교회의정체성인 거룩성과 세속성의 균형을 이루어야하고 선교와 예배, 교제의균형을 지닐 수 있어야 한다. Recently, one of the most popular and frequent subjects in missiological society is ‘missional eccelesiology’ and, its following theme, missional church. Therefore,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summarize those studies and suggesting its following tasks for establishing missionary church in practice. There are two main tasks in the study of missional church: one is theological task, and another is practical one. First subject of theological task is whether it is a task of defining and constructing a new ecclessiology or a task of establishing mission-oriented church. Up to now, the task of missional ecclesiology might seem to be theological issue. If it is ecclessiological task, it has a long way to found its theological basis. If it is directing and changing church on its missionary nature, the essence of the church, it might be relatively easy one. Second, since the researchers on the study of missional church are mostly ecumenical theologians, it is doubtful for Korean conservative Christians to accept results of their studies. Scholars have to have their results to satisfy Bible-loving conservative Korean Christians. Though ecumenical theologians and missiologians are seeking world-oriented theology, evangelical ones are persuing church- oriented theology and missi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wo kind of researchers to work together and have results on their consensus. There are also practical tasks of the subject on missional church, because theology has to be applied in present church situation. First one of the practical tasks is conceptual one, so to speak, changing the theology of church members and their minds into those of missional ecclesiology and missional church. In achieving this goal, changing mentality of church leader is the most important task. Changing structure and orientation of tradition church into missional church is another difficult task to be overcome.

      • KCI등재

        선교적 교회론과 교회 갱신 방안

        이승진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4 복음과 실천신학 Vol.30 No.-

        선교적 교회론의 기본적인 관심은 교회의 존재론적인 본질을 삼위일체 하나님으로부터 세상 속으로 파송받은 “교회로서의 선교”로 이해한다. 하지만 선교적 교회론이 선교를 교회의 존재론적인 본질로 강조하는 장점에 도 불구하고 교회의 존재론적인 근거와 기능론적인 양태를 하나로 통합하지 못하고 이분법적으로 구분한 다 음에 다분히 존재론적인 본질을 더욱 강조하면서 기능론적인 양태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약점이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의 기본적인 목표는 최근 한국교회에 소개되고 있는 선교적 교회론을 비평적으로 고찰하면서 한국교회의 목회사역의 갱신 방안에 관하여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북미권 교회 에서 중요한 쟁점으로 부상한 선교적 교회론의 배경과 정의, 그리고 그 지향점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어서 논 문의 중반부에서는 선교적 교회론에서 염두에 두고 있는 복음과 교회, 그리고 문화 사이의 역동적인 상관관계 를 교회의 목회 사역 갱신에 접목하기 위한 이론적인 패러다임의 일환으로 생태계 내의 유기체로서의 교회론 에 관하여 다룬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선교적 교회론이 세상을 향한 교회의 존재론적이고 통전적인 변혁을 추구하는 선교적인 교회론과 그 지향점에 근거하여 실제 지역 교회의 목회 사역과 구조를 갱신할 수 있는 전 략적인 방안에 관하여 모색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지역 교회 목회자들이 해당 지역 교회의 목회 사 역과 구조를 선교적인 교회론에 기초하여 갱신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A basic interest of the missional ecclesiology is to understand the ontological essence of the church in terms of "mission as the church" to be sent from the trinity God to the world. However, the missional ecclesiology could not combine the ontological essence and the functional form of the church, separate these two side of the church, and tends to ignore importance of the functional form of the church. This article criticizes the negative side of the missional ecclesiology recently introduced into the Korean church, and seeks to combine the ontological essence and the functional form of the church so as to suggest the more balanced pastoral ministry renewal strategy.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examines firstly the academic background, definition, and directing point of the missional ecclesiology discussed within the North American churches after 1980's. The middle part of the pager deals with the ecclesiology as the organic living thing in the ecclesiological ecosystem, within which the dynamic triangular relations between the Gospel, the church, and culture can be applied into the pastoral ministry renewal strategy. The latter part of the article suggests the more practical and strategic methods how to investigate the contextual situation and transformation process how to set up the normative directing point of the local church. With these examination, this paper seeks the practical strategy with which the local church pastors could renew their church ministry structures and forms with the more balanced missional ecclesiology.

      • KCI등재

        하워드 스나이더(Howard A. Snyder)의 선교적 교회론

        권오훈(Ohoon Kwon) 한국선교신학회 2014 선교신학 Vol.36 No.-

        하워드 스나이더(Howard A. Snyder)는 교회갱신학자로 세계적으로 알려졌지만 뉴비긴(L. Newbigin), 구더(D. L. Guder), 밴 겔더(C. Van Gelder)와 더불어 선교적 교회론의 주창자 중의 한 사람이기도 하다. 스나이더는 뉴비긴이 신학적으로 가장 깊고 가장 포괄적이라고 간주한다. 이런 면에서 그는 구더와 밴 겔더를 파생적이긴 하지만 유용하다고 본다. 스나이더는 전반적으로 자신의 연구가 그들의 연구보다 더 포괄적이라 생각하며, 그런 면에서 뉴비긴에 더 가깝다고 생각한다.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은 인터뷰와 문헌연구를 통해서 스나이더의 선교적 교회론을 정리하는 것이다. "교수님의 교회론의 뼈대를 어떻게 세우면 좋을까요? 교회론의 큰 그림을 제게 제시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라는 질문에 스나이더는 다음과 같이 답했다. "교회론의 뼈대는 근본적으로 성경적으로 세워야 합니다. 즉 '교회'에 관한 성경적 이미지들과 은유들―특별히 하나님의 백성, 그리스도의 몸, 성령의 공동체―에 기초해 세워야 합니다. 이 모든 것들은 생명의 이미지들로부터 나왔기에 관계적이고 유기체적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것들은 전체 성경의 계시와 하나님의 삼위일체의 특성을 반영하고 연결되기에 생태적입니다. 생태학은 더 큰 하나님의 경륜(oikonomia)과 결코 분리되어서는 안 됩니다. 만약 그렇다면 그 생태학은 성경적 의미에서 통전적이지 않으며, 고로 충분히 선교적이지 않습니다. 매우 분명하게 신약성경에서 교회는 근본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에게 연합한 사람들의 공동체(바울이 '한 몸이 된'[membered together]이라고 표현한)이며, 그러므로 교회는 오늘날 세계에서 지속적인 하나님의 일을 하는 성령에 의한 주요 기관입니다. 비록 성령은 교회를 넘어서 또는 앞서서 역사하시고, 때로는 교회를 심판하시지만 말입니다." "교수님의 교회갱신론과 하나님 나라론과 생태적 교회론이 어떻게 선교적 교회와 연결됩니까?"라는 질문에 스나이더는 다음과 같이 답했다. "내 아이디어들은 '선교적'이라는 용어가 유행하기 전에 발달되었습니다. 하지만 물론 그 아이디어들은 생득적(生得的)으로 '선교적'입니다. 나는 세 가지 아이디어 모두를 오늘날 '선교적'이라고 명명된 범위 안에 넣고자 합니다. 성경적으로 '선교적'을 말하려면 완전한 하나님 나라와 모든 피조물의 회복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땅'이라는 주제의 중요성―을 포함한 하나님의 선교 전체를 포함해야만 합니다. 나는 현재 진행되는 '선교적 교회' 논의에서 [내가 1975년에 출간한]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에 이미 최소한 씨눈 상태로 나타나지 않은 것을 별로 많이 발견하지 못합니다." 스나이더는 삼위일체 하나님과 교회의 선교적 본질 사이에는 중요한 유전적 연결고리가 있다고 믿는다. 교회의 근본적인 DNA는 교회를 하나님의 통치의 표적과 미리 맛봄, 그리고 초기 구현이 되도록 하고, 삼위일체를 반영 또는 반향 짓게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스나이더는 교회를 선교적, 대안적, 언약적, 삼위일체적 공동체로 묘사한다. Howard A. Snyder is world-renowned for his church renewal studies. He, however, is one of the front runners of missional church theorists along with L. Newbigin, D. L. Guder, and C. Van Gelder. Snyder considers Newbigin as the deepest theologically and most comprehensive. In this sense he sees Guder and Van Gelder as derivative, but helpful. Snyder thinks his work overall is more comprehensive than theirs, and in that sense closer to Newbigin. The major goal of this article is to articulate Snyder's missional ecclesiology, his missional church view, based on interviews with him and investigation of his various writings. On questions "How do I frame your ecclesiology? Can you give me a big picture of your ecclesiology?" Snyder answers as follows: "Fundamentally biblically, which means an ecclesiology grounded in the biblical images and metaphors of 'church'-particularly people of God, body of Christ, and fellowship of the Holy Spirit. All these are relational and organic; images from life. So in that sense they are ecological, reflecting and tying in with the whole biblical revelation and the Triune character of God. Ecclesiology must never be divorced from the larger oikonomia of God. If it is, it is not wholistic (thus not fully missional) in the biblical sense. Quite clearly in the New Testament, the church is primarily the community of people joined to Jesus Christ ('membered together', as Paul puts it), and so the primary agency by the Holy Spirit for continuing God's work in the world today - though the Spirit works beyond and ahead of the church, and at times in judgment on the church." On question "How is your church renewal theory, Kingdom theory, and ecological ecclesiology related to the missional church?" Snyder replies as follows: "My ideas were developed before the term 'missional' became popular. But of course they are inherently 'missional.' I would put all these within the circle of what today is labeled 'missional.' Biblically speaking, 'missional' should include the whole missio Dei, including the kingdom of God in fullness and God's plan for the restoration of all creation-the importance of the 'land' theme. I don't find a lot in the current 'missional church' discussion that was not already present in The Problem of Wineskins, at least in seminal form. Snyder believes that there are important genetic links between God as Trinity and the missional nature of the church. The church's fundamental DNA makes the church the sign, foretaste, and intial embodiment of the reign of God and a reflection or echo of the Trinity. In this sense, he describes the church as a community that is missional, alternative, covenantal, and Trinitarian.

      • KCI등재

        공적 제자도를 이루는 생태학적-선교적 교회론:

        조해룡(Hae Lyong Cho)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3 No.-

        This paper covers research centered on Howard Snyder’s “Ecological-missional ecclesiology achieving the public discipleship.” According to Snyder, because Church is the community of Jesus Christ who is God’s greatest missionary, it is historically and technically a mission based community. Church is the community which has begun to exist due to God’s mission. Also, it is the body of Christ and where all Ecclesiology has started. To sum up, he has asserted that church is the most essential mission community; and that although at times mission has aroused from various areas, mission still and essentially originates from the Church which is the body of Christ belongs to the Church’s DNA. Therefore, he believes that the Church leading its members to live as true disciples of Christ is the best and most effective way to implement God’s mission. Likewise, his Ecclesiology is centered on mission and the church’s real essence is on the mission. Considering this position, this paper explores his Ecclesiology in three different ways. First, his Ecclesiology supports that the Church should be responsible for God’s creation. H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hurch’s responsibility to bring back God’s Shalom and His order of creation. He focuses on the fact that God is the owner and the ruler of this world. And, His spectacular mission plan is to serve this world and this plan spectrum continues through the history. God’s creation and His rule apply not only to His people, but also to all His creations. All his creations will find the true peace through God’s Shalom, and his Shalom will eventually bring back absolute healing. The ecological purpose of existence of Church is to bring back God’s Shalom. Second, Church’s true mission focuses on servant life. This world currently suffers from a huge gap between rich and poor. Due to rich, poor people continue to suffer from endless poverty and labor. According to Snyder, the Church should liberate poor people from such condition. Church should act on equality and justice. Church should protect exploited ones from wicked. Church must not exclude the foreigners and widows. Instead, Church should be the community where foreigners and widows are protected and welcomed. Church’s calling is to satisfy the needs of poor. If rich Christians are not willing to serve and humble themselves for the poor, they cannot be the citizens of God’s kingdom. Such volunteer and action are the way to live like Jesus Christ. Third, Church’s mission calling should reflect on lives of disciples. He focuses on lives of believers as disciples. Christians should not only be “Sunday” Christians, but also reflect their identity as Christians outside of Church. God has called and established the Church in this world so that believers can live as disciples of Christ. Jesus Christ’ love should be reflected from believers’ words and actions. The place where we can confirm the true identity and the role of Church is not inside of the church, but outside of the church. How Church lives and interacts with this world shows how they accomplish the Shalom. If the mission only focuses on words, Church cannot live the life of Gospel. Along with words, Church must act in order to create true community of mission. 본 논문은 하워드 스나이더의 교회론을 중심으로 “공적 제자도를 이루는 생태학적-선교적 교회론”을 연구한 논문이다. 스나이더는 “교회는 하나님의 위대하신 선교사인 예수 그리스도의 공동체이기 때문에 유전학적으로 선교적이다. 교회는 하나님의 선교로 현존하게 된 공동체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모든 교회론의 출발점”이라고 일관되게 주장한다. 또한 그는 ‟교회는 가장 본질적인 차원에서 선교적 공동체다. 비록 때때로 선교가 실제로 주변화된 때가 있었지만 선교는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DNA 안에 있다.”라고 말한다. 따라서 그는 교회는 세상을 향해 전진하는 하나님의 선교 공동체로 공적인 영역에서 올바른 제자로 삶을 살아가는 것만이 하나님의 선교를 실천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방법이라고 강조한다. 이처럼 스나이더의 교회론적 방향은 선교에 맞춰져 있으며 교회의 진정한 본질은 선교에 있음을 시사한다. 이런 입장을 고려하면서 본 논고에서 그의 교회론을 세 가지 차원에서 탐구했다. 첫째 그의 교회론은 하나님의 창조의 영이 깃든 창조 세계를 보존하고 책임져야 하는 교회 공동체의 선교적 사명을 지향하고 있다. 그는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이 세계의 회복과 그 세계 안에 하나님의 샬롬이 이루어지기 위한 교회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스나이더는 온 땅의 주인은 하나님이심을 주목하면서 하나님의 원대한 선교적 계획은 이 세계를 섬기는 것이며 그 범위는 역사를 초월하여 나아간다고 말한다. 그리고 교회는 이 세계를 섬기는 하나님의 선교적 행위의 도구로서 창조세계를 보존하고 책임을 져야하는 사명을 지녔음을 강조한다. 하나님의 선교적 통치는 인간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 피조 세계로 향한다. 전 피조 세계가 하나님의 샬롬을 통해 평화를 되찾고 파괴되고 상처 난 영역들이 온전한 회복을 가져오는데 있다. 교회가 이 땅에 존재하는 생태학적 목적은 바로 하나님의 샬롬을 실현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둘째는 교회의 진정한 삶은 섬김, 즉 종으로 살아가는 데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 세상은 ‘빈익빈 부익부’의 불균형 상태에 놓여 있다. 부의 축척을 위해 가난한 자들은 끝없이 가난의 굴레와 노동의 시간을 보낸다. 스나이더는 이런 상황 속에서 교회는 가난한 자를 해방하는 종의 공동체로 존재해야 함을 강조한다. 교회는 공평과 정의를 행하며 탈취당하는 자를 압박하는 자의 손에서 건지고 이방인과 과부를 압제하거나 학대하지 않는 해방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교회의 부르심은 가난한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것이다. 부유한 그리스도인들이 가난한 자들을 위한 자발적 가난과 섬김이 없다면 그들은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 될 수 없으며 이런 실천이 바로 예수의 선교적 삶을 실천하는 길임을 강조한다. 셋째는 교회의 선교적 부르심의 행동은 공적인 제자도로 나타나야 함을 보여 준다. 스나이더는 공적 제자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리스도인들은 교회 안에서만 그리스도인으로서 정체성을 지는 것이 아니라 공적인 광장에서도 동일하게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야 한다. 하나님께서 교회를 이 세상 가운데 부르시고 파송하신 근본 목적은 제자의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말과 행실로 그리스도가 우리 가운데 보여준 사랑과 은혜를 세상 가운데 보여주고 실천해야 할 당위성을 지녔다. 교회가 교회됨을 확인할 수 있는 장소는 교회안이 아니라 세상이다. 세상에서 어떠한 삶을 살아가고 살아내느냐에 따라 교회는 자신의 생태학적 삶을 구현할 수 있다. 선교의 실천이 단지 말에만 국한 된다면 교회는 공적 광장에서 복음으로 살아낼 수 없다. 말과 함께 실천적인 삶을 보여줄 때 공적 제자도를 이루는 공동체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선교적 교회론과 선교적 해석학

        강아람(Ah ram Kang) 한국선교신학회 2014 선교신학 Vol.36 No.-

        성경에 나타난 선교에 대한 연구는 성경을 문자적으로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서 선교의 당위성이나 특정 선교단체의 목적을 위해 성경의 일부를 차용하던 방식에서부터, 성경 전체를 역사비평적으로 연구해 하나님의 선교를 증명해내는 방식에로,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서서히 변화해 왔다. 영미권에서 볼 때 1980년대 이전에는 대개 전문적인 성서학자보다는 선교학자들이 성경을 선교적 관점으로 보는 방식이 주류였다. 이러한 방식은 자의적 안목으로 성경의 특정 부분을 강조하는 한계가 있었으며, 특히 구약성경은 십 수 년 전까지도 선교와 많은 관련성을 갖지 못한 책으로 치부되었다. 이와 달리 성서학자들은 하나님의 선교가 성경에 분명히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역사비평에 의존하여 성경전체를 선교적으로 읽지 못하였고 선교현장을 고려한 해석학도 발전시키지 못하였다. 서구교회가 반세기 동안 형성해온 선교의 중심주제가 '선교적 교회론'으로 집결되어 나타났다. 이는 교회의 상황을 선교적 관점에서 반성하면서 바람직한 교회운동이 선교 회복운동과 맞물려 일어난 것이다. 선교적 교회 운동이 교회와 선교의 본질에 대한 성경적 근거를 제시해야 하겠기에, 최근 호주와 북미의 GOCN은 선교적 해석학(Missional Hermeneutic) 방면으로 이 운동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선교적 교회론은 학문적 논의의 장이 점차 형성되면서 다양한 선교적 교회들이 부상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교회 갱신을 위해서도 도전하는 선교적 교회론은 제도화 속에 경직화된 한국교회에 도사리고 있는 세속적 가치관을 제거하기 위해, 하나님 나라 가치관을 드러내는 성경적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 이 시점에서 필자는 선교적 교회론의 뿌리가 되는 교회와 선교의 본질에 대한 성경연구를 최근 부상하고 있는 선교적 해석학 분야에서 성찰하되, 본 소고는 그러한 성경연구를 위한 표지(標識)가 되는 초점들을 제시한다. 논문의 구성은 선교(학)에서 성경이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를 간략히 살피고 나서, 선교적 교회론에서 선교적 해석학의 중요성을 논한다. 다음으로 선교적 해석학을 헌스버거(George Hunsberger)를 따라 4유형으로 분류하여 라이트(Christopher Wright), 구더(Darrell Guder) 및 고힌(Michael Goheen), 바람(Michael Barram), 그리고 브론슨(James Brownson)의 입장을 소개한다. 헌스버거는 위의 각 유형들을 서로 배타적이거나 경쟁적으로 보기보다는, 각기 다른 강조점들이 서로를 필요로 하는 상호의존적인 유형들로 보기를 권한다. 그럴 때 모종의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들은 앞으로 계속해서 발전해 나갈 선교적 해석학에 '토대'를 놓아준다. 즉 '선교적 해석학'을 위한 구조틀(framework-하나님의 선교의 내러티브), 목적(aim-증거를 위한 교회 형성), 접근방법(approach-독특한 사회적 자리에서 나온 질문들), 그리고 해석적 모체(matrix-해석적 열쇠로서의 복음)를 제공해준다. The research on mission in the Bible has gradually shifted for last decades. The focus has been changed from searching literal meanings to provide legitimacy of mission itself or objectives for certain mission enterprises to prove the mission of God through reading the bible with historical criticism. Before 1980s, especially in British-America, the subject had dealt mainly by missiologists with missionary perspective more than Biblical theologians, which limited the biblical understanding arbitrary and narrow. For example, the old testament was considered as not related to mission until recent years. Also, for leaning on the existing historical criticism, the Biblical theologians both failed to read the Bible in missionary perspective and developing a hermeneutics for mission fields. For last five decades, Western Church has made "Missional Church" a major subject in mission. The result has caused by a correlation between introspection of current situation of the church through missionary perspective and mission recovery movement. To set the biblical ground of Missional Church Movement, GOCN in North America and Australia utilizing the Missional Hermeneutics. In Korea, Missional Church are debated academically and various missional churches are rising. Missional Church must build a standard based on the Bible that emits the values of the kingdom of God to eliminate the worldly values in institutional and ossified church Korea for its revival. At this point, myself will examine the biblical research on the basics of church and mission which is the core of Missional Church through missional hermeneutic. The study will briefly show various missionary understandings of the Bible and the importance of missional hermeneutics in Missional Church. Then the paper will classify the hermeneutics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Hunsberger and introduce the ideas of Christopher Wright, Darrell Guder and Michael Goheen, Michael Barram, and James Brownson. Hunsberger sees each types of hermeneutics not exclusive nor competitive but mutual dependant that creates a synergy. The ideas offer the bas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hermeneutics such as the framework (narrative of the Mission of God), aim (church formation for witnessing), approach (questions from each social locatedness), and matrix (Gospel as the key of hermeneutics).

      • KCI등재

        선교적교회론 교육과 기독교교육적 함의: 현대사회의 변화와 위기 상황 대응을 위한 선교적교회론

        김도일(Doil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1 선교와 신학 Vol.54 No.-

        인류는 현재 급변하는 격동기 속에 서 있다. 이 시대를 격동기로 부를 수 있는 근거는 세 가지의 커다란 변화인데, 문화적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 산업 기술적으로는 제4차 산업혁명, 자연 생태적으로는 코로나-19사태가 그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세 가지 변화가 낳은 전지구적 위기 즉, 빗장을 걸어 잠금 세계와 환경의 악화라는 위기, 사회적 약자에게 더 가혹하게 느껴질 수 있는 전지구적 위기의 시대에 각자도생하는 기독교인들에 대한 담론과 종교개혁 시대 교회의 흑사병 팬데믹 대처의 교훈도 더불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위기의 상황 가운데서 극복의 대안으로써 선교적교회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선교적교회론이 태동하게 된 한국적 상황을 다루었고, 선교적교회론을 세상 속에서 펼쳐나갈 때는 필연적으로 이론과 실천의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수행해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학문과 실천이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이루어지는 실제 사역 현장의 분석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선교적교회론 교육의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다루었다. 첫째, 선교적 교회론은 성인뿐만 아니라 전 연령의 교우들에게 교육해야 하며, 이때 선교적 이중언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함을 주장하였다. 둘째, 한국사회 속 개신교 청년세대들의 현실 인식을 바로 읽어야 함을 논하였다. 셋째, 민주적 공공성을 담보하는 기독교교육을 수행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넷째, 마을 속에서 함께 경쟁하지 않고 살아가기에 대하여 다루었다. 비록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한국개신교가 테오리아와 프락시스의 균형을 다시 찾고 선교적교회론을 삶의 현장 속에서 실천하여 이 세상에 하나님의 나라를 세워나가는 일에 실망하지 않고 매진한다면 역사와 민족 앞에 자랑스러운 유산을 남기게 될 것임을 소망하는 가운데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The world we are living indeed is in a turbulent period of rapid change. Modern mankind is standing in the midst of tremendous social change. Culturally, postmodernism, industrial and technologicall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natural ecologically, the Covid-19 Outbreak. This paper shares thoughts on the global crisis created by these three changes, that is, the crisis of deteriorating the world and the environment by locking it up, and the Christians who are closing their eyes in a pandemic that is more severe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We have also looked at the lessons of dealing with the Black Death pandemic. In the midst of such a crisis situation, while presenting the Missional Ecclesiology as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the crisis, this Missional Ecclesiology will help fulfill the will of God if Christians live and act in society with a missional spirit(미션얼). With hope and confidence, the study was conducted. To this end, we dealt with the Korean situation in which the missional ecclesiology was born, and when the missional ecclesiology is unfolded in the world, it was dealt with inevitably that it must be carried out in harmon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 analysis of the actual ministry field was also added. Then, the implications of Christian education in missional ecclesiology education were dealt with. First, it insisted that the missional ecclesiology should educate not only adults but also members of all ages, and at this time, it should be taught so that they can be bilingual as Walter Bruegemann asserted. Second, it was discuss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reality of young Protestant generation in Korean society should be read immediately and deeply. Third, it insisted that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to ensure democratic publicity. Fourth, it dealt with living without competing each other in the village. Although it is not easy, if Korean Protestants regain the balance between Theoria and Praxis and practice missional ecclesiology in the field of life, without being disappointed in building the kingdom of God on this earth, they will be proud in front of history and people.

      • KCI등재

        미국교회 선교적 교회론의 신학적 기초와 적용양태

        김성익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38 No.-

        북미 교회에서 현대의 교회론에 관한 담론 중에 ‘선교적 교회’가 일종의 구호가 되어버렸는데, 한국 교회에도 점진적으로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선교적 교회의 신학담론은 많이 제시되고 있지 만, 그 실천 양상에 대해서는 논의가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선교적 교회론의 신학적 기초와 미국교회에서 선교적 교회가 실천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양태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것은 미국에서 선교적 교회론은 과거의 선교적/ 교회론적 담론을 계승할 뿐 아니라 심화시켰다는 점이다. 또한 그 실천은 여전히 진행형이지만 다양하게 적용되는 양태를 보이고 있다. 실천양태를 통해 이원론적 접근방식의 극복과 균형진 문화적 적절성, 인식학적 겸손의 강조, 예수의 삶과 예수의 가르침에 대한 균형 잡힌 숙고, 성육신적 실천과 기하급수적 성장 사이의 균형이 필요함을 제시 했다. 선교적인 함의로는 한국교회에 대한 분석에 앞서 한국 사회에 대한 선교사회학적 분석이 필요하며 네트워크화한 집단논의를 통하여 선교적 교회 지표에 대한 합의가 필요함을 제시했다. 이런 지표들이 설정된다면 선교적 교회론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이론과 실천이 한 방향이 아니라 양방향으로 작용하여야 한다. 이는 이론을 실천하는 과정과 결과를 모니터링하여 보완된 신학 적 이론이 새로운 실천되도록 하는 순환구조를 의미한다. 그런 순환구 조와 다양한 적용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은 실천가들이 전통적인 교회론적 가치들을 선교적 교회 신학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창조적으 로 새로운 적용을 하도록 만들 것이다. 선교적 교회론은 여전히 종말론 적인 목표를 지향하고 있는 순례과정이기 때문이다. In contemporary discussions on ecclesiology, the word ‘missional church’ has become a slogan and code word especially in the North American and it has influenced Korean protestant churches. Although there are theories and some indicators for what the genuine Missional Church is, its typology is lacking. Thus, this paper analyzes the theological foundations of the Missional Church and the patterns of its application in the USA.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theological theories of Missional Church are still in progress and their applications show diverse tendencies in the USA. In the process of its praxis, overcoming dichotomy, balanced, interactive approach to culture, seeking epistemological humility, emphasis on Jesus’ teachings as well as His life, and balance between the incarnational praxis and exponential growth are introduced. As its missiological implications, first, it is suggested that the social-missiological interpretation on Korean society needs to be surveyed before the analyses on the problems of Korean churches. It also is suggested that some indicators on the identity of Korean Missional Church need to be developed by networking discussions. These indicators will function as guiding posts for the churches which will engage in the Missional Church movement. In this process, theory and practice should interact with each other. This means establishing a cycle which newly framed theological theories would be newly practiced, with ongoing monitoring the process and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such theories. This process will motivate the practitioners to reinterpret, deepen, and practice creatively the theology of Missional Church. This is because the Missional Church theory is still a pilgrimage to the eschatological achievement.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선교적 교회론’ 고찰

        강아람 한국선교신학회 2020 선교신학 Vol.60 No.-

        이 글은 건전한 교회론 정립이 불가피해진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선교적 교회론(missional ecclesiology)의 적합성을 논의한다. 특히 교회 중심적이고 목회 의존적인 신앙과 교회의 친교 집단적인 게토화 성향, 그리고 의식(儀式, ritual) 중심적인 신앙생활을 영위해온 한국교 회에게 ‘선교적 교회론’이 하나의 시대적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선교적 교회론은 여러 측면에서 패러다임 전이-목회자 중심에서 평신 도 중심으로, 오는 구조에서 가는 구조로, 교회 예배 중심에서 일상의 삶 중심으로, 지역사회를 전도의 대상으로가 아니라 파트너로서 지역사 회와 함께하며 필요를 채워주는 교회로서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선교적 교회론’이 성경적 에클레시아에 적합한 교회로서, 곧 역사 속의 다양한 교회의 모습 가운데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변할 수 있는 변수와 또 본질적인 상수가 되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한 교회됨의 기준을 담지하고 있다고 강조할 것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relevance of missional ecclesiology in the post-COVID 19 era that demands a reestablishment of what it means to be a good church. To the Korean church characterized by centrality of the local church, dependence on ministry programs/leadership, propensity to become ghettoized into fraternal groups, and its ritual-dependent spirituality, missional ecclesiology can present a suitable alternative to help meet today’s challenges. It has brought paradigm shifts to the laity, go-structure, daily life, and the local community to partners in solidarity & meeting societal needs. It conforms to the biblical concept of ecclesia. It presents different historical churches’ variables that may change according to situations, as well as the essential constants that comprise the criteria of a true church.

      • 21세기 복음주의 대안적 교회론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송인설 서울장신대학교 2019 서울長神論壇 Vol.27 No.-

        이 글은 20세기 후반 전통적 복음주의 교회의 침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복음주의 교회의 대안적 교회론을 연구한 글이다. 필자는 미래 교회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1990년 이후 발전한 교회건강운동과 셀교회-가정교회운동과 선교적교회운동을 연구했다. 연구 결과 필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교회건강운동은 예배와 공동체 형성(양육과 교제)와 복음 증거(전도와 봉사)라는 교회의 사역을 모두 균형 있게 강조하여, 건강한 대형 교회를 많이 만들었다. 둘째, 셀교회-가정교회운동은 소그룹 공동체를 교회 자체로 보고 소그룹 공동체를 통한 복음 전도에 성공하여, 소그룹이 연합된 공동체 교회를 탄생시켰다. 신학적으로도 교회의 본성과 사역과 구조라는 교회의 3가지 측면을 갖춘 탄탄한 교회론을 정립했다. 셋째, 선교적교회운동은 하나님 나라와 세상이라는 큰 맥락 안에서 교회론을 전개하며, 복음과 교회와 문화의 삼자관계 안에서 교회의 본성과 사역과 구조를 논의했다. 이에 따라 이 논문은 21세기 복음주의 교회가 발전시킨 건강한 교회론, 셀교회-가정교회론, 선교적 교회론이 신약 성경의 교회를 회복하려는 이상을 품고 교회 개척과 증식에 성공한 점에 기초하여 교회의 본성과 사역과 조직 면에서 미래 목회를 위한 대안적 교회론이 될 만하다고 제안하려 한다. 교회론과 관련하여 이들은 교회의 본성을 그리스도인 공동체로 보고, 예배와 양육과 선교라는 건강한 교회 사역 체계를 개발하고, 회중 전체와 소그룹이라는 이중 구조 속에서 만인제사장 교리에 근거하여 목사와 성도가 함께 사역하는 기능적인 조직을 만들고 있다는 점에서 신약 성경의 교회를 재현했다고 평가된다.

      • KCI등재

        장 칼뱅의 선교적 교회론 - 참 교회에 관한 이해와 본질 연구를 중심으로*

        조남준,배춘섭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3 복음과 선교 Vol.64 No.4

        본 논문은 장 칼뱅(Jean Calvin)의 선교적 교회론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부 신학자들은 칼뱅의 사역과 교회론에 선교 신학이 없다고 오해한다. 그러나 칼뱅의 사역과 교회론에는 주목할만한 선교적 사상이 녹아 있고, 그 사상은 선교적 교회론을 전제로 한다. 칼뱅의 선교적 사상은 개혁주의 선교역사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는데, 그의 사상은 제네바에서 시작해 유럽지역으로 전해짐으로써 청교도에게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이후 칼뱅의 선교적 사상에 입각한 영국 청교도는 네덜란드 청교도에 영향을 주었고, 네덜란드 청교도는 미국 초기 청교도에 결정적 영향력을 미쳤다. 그뿐만 아니라, 칼뱅의 선교 사상은 벨직 신앙고백(Belgic Confession),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Heidelberg Catechism), 도르트 신조(Canon s of Dort)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과 같은 개혁주의 신조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칼뱅의 대표적인 저서는 『기독교강요(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이다. 이런 이유로, 칼뱅의 선교적 교회론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독교강요』를 주의 깊게 읽고 이해해야 한다. 『기독교강요』는 총 80장으로 구성되었는데, 교회론의 내용은 제4권(1-19장)에 나타난다. 특히 제4권 2장에서 칼뱅은 교회를 ‘참 교회(The True Church)’와 ‘거짓 교회(The False Church)’로 구별한다. 그러므로 저자는 본 논문에서 『기독교강요』에 나타난 참 교회와 거짓 교회의 이해와 본질을 비교함으로써, 개혁주의 관점에서의 칼뱅의 선교적 교회론을 고찰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missional ecclesiology of Jean Calvin. While certain theologians misconceive Calvin’s ministry as lacking a sense of mission, Calvin’s ministry and ecclesiological framework rather contain remarkable missional thoughts, premising the missional ecclesiology. Calvin’s missional though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istory of reformed missionary work. Originating from Geneva, Calvin’s thoughts on missions expanded throughout Europe, significantly impacting the Puritans, among them the British Puritans, Dutch Puritans, and the early American Puritans. Calvin’s thoughts on missions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formed beliefs, including the Belgic Confession, Heidelberg Catechism, Canons of Dort, and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In order to examine Calvin’s missional ecclesiology, it is essential to study his most prominent book,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consisting of a total of 80 chapters. Together with the context of ecclesiology in Volume 4(Chapters 1-19), Chapter 2 of Volume 4 offers Calvin’s distinction of the church into ‘The True Church’ and ‘The False Church’. The paper will thus focus on the Calvin’s missional ecclesiology from a reformed perspective by comparing the understanding and essence of Calvin’s ‘the True Church’ and ‘the False Church’thoughts portrayed in his work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