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왕실 삼성(三姓)의 연원

        김기흥(Kim Ki-Heung)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4

        신라의 김씨는 진흥왕대에 대중국 외교 관계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北齊書』에 보이는 신라왕 ‘김진흥’은 ‘왕인 진흥’으로 ‘김’은 ‘왕’의 의미이다. 김씨 왕실의 바로 앞에 있었던 다른 부계 혈통의 ‘예전 왕’들은 ‘옛 왕’ 즉 ‘석김(昔金)’에서 왕을 나타내는 ‘김’을 피하고 석(昔)만을 남겨 구분한 듯하다. 석씨에 앞서 집권하였던 왕실 계통은 시조 혁거세의 이름에 보이는 ‘광명’의 의미를 취하여 ‘박’이란 성씨로 구별하였다. 三姓은 석씨계 집단의 도태 후에 칭해진 것으로서 씨족이나 족단들이 준별되는 상태에서 賜姓하여 준 것이 아니었다. 기존 왕계에 따라 성씨를 나누고, 왕실과 친연관계가 있는 귀족들에 대하여는 부계 혈연관계에 따라 구분하여 가다가 결국 상대적 친소정도에 의해 성씨를 구별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들 지배층은 누대의 정치적 연합과 통혼관계를 통하여 복합적인 혈연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에 중고기 성골왕실의 근친혼이 강화되며 권부의 핵심에서 도태되었던 박씨계에 대해 김씨계는 여전히 혈연적 유대감을 갖기도 하였다. 김씨 왕비가 대외적으로 박씨를 칭하기도 하고, 신라 말에는 김씨였을 가능성이 있는 신덕왕이 박씨를 칭하는 일도 나타났다. 신덕왕은 견훤이나 궁예 등이 신성한 자임을 선전하는 중에 신라 왕실의 권위를 다시 세우고자 퇴락한 김씨왕계 대신 신라 초기 왕계인 박씨의 원손임을 천명하는 복고적 행태를 보였다. 한편, 김씨의 경우 7세기에 이르러 김알지 이외에 중국의 신화적 제왕인 소호금천씨를 시조로 보는 인식이 나타났다. 국제화의 진전 속에 왕실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정체성의 확대 시도이며, 아울러 국가 중추세력으로 등장한 가야계 김씨까지를 포괄하기 위한 것이었다. 시조를 중국의 신화적 존재로 설정하게 되자 중국의 김씨 시조인 김일제도 먼 일족 정도로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대당고김씨부인묘명’에는 소호금천씨를 세조로 김일제를 원조라고 하고 그의 후손들이 요동에 피난한 양 말하였다. 그런데 김씨부인이 중국내에 본관을 둔 ‘경조(京兆) 김씨’ 임을 분명히 하고 중국내 연원 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 묘명의 성씨 관련 내용은 재당 신라계 귀화인들의 경계인적 사고방식에서 적극 윤색된 것으로 신라 김씨 왕실의 연원을 그대로 말한 것으로 볼 수 없다. Kim, one of the three House names(Kim, Seok, Park) that were used by members of the Shilla royal family, seems to have been used for the first time in 565, by King Jin’heung-wang in his diplomatic dealings with China. At the time, the full and formal name that was used to refer to the Shilla king in diplomatic occasions was ‘Kim Jinheung.’ From the fact that such title literally meant ‘King Jin-heung,’ we can see that the term ‘Kim’ actually had the meaning of ‘King.’ It seems that the houses which provided former kings(which would make them ‘former royal families’), yet now stripped of power and shut out by the Kim House members, were not allowed to use the name ‘Kim,’ as such last name would falsely indicate that they were the present house in power making kings. They may have only been allowed to use the name ‘Seok-Kim(昔金),’ which would have meant ’Past king’ with the prefix ‘Seok(昔),’ while ‘Kim’ alone would be the equivalent of ‘(Present) King.’ Meanwhile, the descendants of kings and Houses which predated the ‘Seok’ kings and its house were also present at the time, and have been part of the Shilla dynasty’s central nobility class for quite some time. They were not to be referred to as ‘Seok.’ So they distinguished themselves with the last name ‘Park,’ which reflected the meaning of the term ‘Gwang’myeong(“light”)’ that can be found inside the Founder Hyeok’-geo‘se’s name. (‘Hyeok’geo‘se’ is usually referred to as “Park Hyeok‘geo’se”). Then in the 7th century, a new perspective to view the name Kim started to emerge. Unlike the previous thinking which believed that Kim Al-ji, the origin of the last name Kim, was the beginning of the house, the new idea came to argue that the mythical emperor of China, ‘Soho Geumcheon,’ was the true beginning and origin of the Kim house family members. This seems to have been a result of the Shilla government’s overall efforts to lift the status of the king and also enhance its importance in the process, as it became necessary for the Shilla dynasty to boost its image and establish its prowess throughout the East Asian region. Once the founder of the House name Kim was established as an ancient and also mythical being from China’s past, another historical figure named Kim Il-je(金日?), the origin of the Chinese last name Kim and whose origin can also be traced to the Huns(‘匈奴’), came to be considered as a distant relative of the Shilla royal family as well, and even be recorded in Shilla epitaphs. This caused a debate concerning the matter of whether or not the Shilla royal Kim family was related to the Hun tribes, yet the possibility of the Shilla Kim house descending from the Huns is nearly nonexistent.

      • KCI등재
      • KCI등재

        新羅와 前期 加耶의 關係史

        金泰植(Kim Tae-Sik)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7

        3세기 전반의 사로국(신라)에서는 석씨가 소국 왕의 지위에 있었으며, 석씨 족단과 사로국의 중심은 경주 동남 방면의 외동읍과 울산시 중산동 일대에 있었다. 당시에는 사로국과 구야국(가야)이 진한과 변한의 통합 주체로서의 면모를 보이지 못하였다. 3세기 후반에 진한의 울산 중산리 고분군 축조 집단(신라)과 변한의 김해 대성동 고분군 축조 집단(가야)이 주변 소국들을 통솔하며 정치 세력화하였다. 4세기 전반에는 울산의 우시산국이 신라에 복속되나, 부산의 거칠산국은 가야계통의 독립적인 문화를 유지하였다. 4세기 중엽에 가야가 신라에 대한 반격에 나서자, 부산의 복천동 고분군 축조 집단은 가야에 복속되고, 신라에서는 왕통이 경주 중심 지구의 김씨 족단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신라가 400년에 고구려군을 끌어와서 가야권을 강타하자, 복천동 세력은 신라에 투항하여 한동안 그 지원 아래 번영하였다. In the first half of the 3th century, Seok's family was the royal family of the little state Saro-guk(Shilla). The center place of Seok's family and Saro-guk was at Gyeongju Oedong-eup and Ulsan Jungsan-dong, the south-east area of Gyeongju. At that time, Saro-guk and Guya-guk(Gaya) were still not the main body of unity in Jinhan and Byeonhan. In the latter half of the 3th century, the building group of Ulsan Jungsan-ri tombs(i.e. Shilla) and that of Gimhae Daeseong-dong(i.e. Gaya) tombs began to unite the surrounding little states and beame political forces of Jinhan and Byeonhan. In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Usisan-guk at Ulsan came to obey to Shilla, but Geochilsan-guk at Busan maintained the independent culture of Gaya line. In the mid-4th century, Gaya beginning to counterattack to Shilla, the building group of Busan Bokcheon-dong tombs came to obey to Gaya, and the lineage of the Shilla's throne was changed to Kim's family. But at 400 A.D. Shilla strongly attaching Gaya range by bring in the army of Goguryeo, the influence of Bokcheon-dong surrendered to Shilla and prospered under its support for a whil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대 천문역법 기록을 통해 본 ‘先天⋅後天’ 의미 고찰 — 易과 曆의 가름과 조합에 대한 비근의 이해를 모색하며 —

        서정화 동양고전학회 2021 東洋古典硏究 Vol.- No.84

        북송대 소옹에 의해 제시된 ‘선천역⋅후천역’이라는 철학적 세계관은 주자학의 범주 안에 수용 발전되었다. 이것은 『주역』의 「건괘 문언전」에 그 전거를 두는데, 天의 시간적⋅질적 편차를 전제한다. 소옹과 동시대 인물인 정이의 철학 속에서는 그와 같은 세계관을 찾을 수 없다. 당대의 공영달 역시 ‘선천(先天)’ ‘후천(後天)’을 단순히 ‘자연 절기의 일을 앞서 함’ ‘자연 절기의 일을 뒤에 함’으로 이해하여 그 문구 자체에 특별한 의미를 두지 않았다. 한나라 특히 후한대에는 책력 상에서의 날 수에 비해 실제 태양의 운행이 틀어져 있었던 상황을 토로하면서 「문언전」의 바로 그 선천 후천 문장이 인용된다. 이 경우 ‘천(天)’자는 ‘천시(天時: 자연 절기)에 따른 날짜’이고 ‘선천’과 ‘후천’ 구절은 ‘천시의 날짜보다 앞서다’ ‘천시의 날짜보다 뒤늦다’의 뜻이다. 역상(曆象)에서 선천 현상은 사실상 문제 될 일이 전혀 없는 명목상의 성어(成語)일 뿐이다. 반면 세차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후천 현상은 극미하게 진행되고 부지불식간에 심화되며, 또 당시로서는 그 원인을 분명하게 알 수 없었다는 점에서 최고 통치자의 근심이 컸다. 전한 후한의 사서와 그 시대의 전적을 통틀어 한나라의 시간을 알려주는 동지 성수(星宿) 경도가 모두 여섯 건이 있다. 그중 황·적경 두 가지 시간으로 갈리는 것까지 포함하면 모두 아홉 건으로 늘어난다. 이것들 모두 후한의 역사를 말하는 『후한서』에 수록된 것이지만, 정작 그것 대부분은 전한의 시간이고 멀게는 진 제국의 시간 한 건도 포함한다. The philosophical view of the world called ‘xiāntiān yì(先天易) and hòutiān yì(後天易)’ suggested by Shào Yōng(邵雍) in Song Dynasty was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category of the Zhu Xi school of Neo-Confucianism. The reference of the letter is Chapter Wényán Zhuàn(「文言傳」) in the Zhōu Yì( 『周易』), and in the Zhu Xi school, the time-based and qualitative deviations of tiān(天) were presumed. It’s difficult to find the same view of the world in the philosophy of Chéng Yí(程頤), a contemporary figure with Shào Yōng(邵雍). Kǒng Yǐng Dá(孔穎達) in Tang Dynasty also understood ‘xiāntiān(先天)’ and ‘hòutiān(後天)’ simply as ‘doing what one does at each solar terms in advance’ and ‘doing what one does at each solar terms later’, and didn’t attach any special meanings to the letters themselves. In Han Dynasty, particularly in the Later Han Dynasty, the emperor explained about ‘the situation when the time of the actual movements of the sun was different from the dates of the solar terms in the book calendar, quoting the very sentence of the Wényán Zhuàn(「文言傳」) mentioning xiāntiān(先天) and hòutiān(後天). In this case, the letter, ‘tiān(天)’, means ‘the date following the actual solar terms’ while xiāntiān(先天) and hòutiān(後天) refer to ‘doing ahead of the solar terms’ and ‘doing after the solar terms’. In lìxiàng(曆象: diverse astronomical phenomena of the sun, the moon, stars and other celestial bodies), the phenomenon of xiāntiān(先天) was, in fact, just a nominal phrase without making any problems. On the other hand, the hòutiān(後天) phenomenon occurring because of precession progressed subtly, became intense unknowingly, and its reason was not clear at that time, so it caused the sovereign ruler to worry about it a lot. Among history books and all the other books of the Former Han and the Later Han, ‘the longitude degree of the twenty-eight solar stages along the zodiac(the twenty-eight lunar mansions, 28宿) on the winter solstice’ showing the time of Han Dynasty is mentioned six times in total. When those dividing into the two kinds of time, the celestial longitude and the right ascension, are included, it’s mentioned nine times in total. All of these are recorded in the Hòu Hàn Shū( 『後漢書』), a history book of the Later Han Dynasty, but when the precession values are calculated, most of the time directed by them is the time of the Former Han, and one case of the time as far as during Emperor Qín Shǐ Huáng(秦始皇)'s time is inclu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