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포소설(西浦小說) 성립(成立)의 배경(背景)

        김무조 ( Mu Jo Kim ) 택민국학연구원 2008 국학연구론총 Vol.0 No.2

        1992년에 西浦年譜1)가 발표되면서 마치 九雲夢은 宣川작으로 굳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우리가 다시 한 번 서포연보를 잘 분석해 보면 꼭 그렇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여기 서포연보에 나오는 그 항목을 예시하면 ‘丁卯年, 府君51歲라, 9月에 宣川謫所에 가다.’라고 쓰여 있다. 이 아래 서포가 쓴 글 가운데 어머니에게 시를 써 보내면서 소일꺼리로 글을 보냈는데 ‘그것이 부귀번화가 모두 夢幻이다.’라 했다고 해서 이것이 바로 <九雲夢>이라고 단정할 수 있겠는가? 문제는 <저서>라는 문제인데 이 <저서>라는 말이 오늘날의 개념으로 <책>이냐, 아니면 그저 <글>이냐 하는 것이다. 오늘날 저서로 본다면 <구운몽>같은 소설일 수도 있다. 그러나 어머니를 위로하기 위해서 심심풀이로 보냈다면 짧은 글일 수도 있다. 그리고 <夢幻>이라는 말이 바로 <九雲夢>의 주제와 같다고 하여 그렇게 단정하는 것도 南海현지의 지리적 조건에서 나오는 지명의 借用등은 어떻게 설명이 되어야 할 것인가. 그리고 서포연보에는 謝氏南征記에 관계됨직한 항목은 한 군데도 없다. 서포연보를 서포 후손들이 만든 것으로 가정했을때 그 문중으로 봐서는 구운몽보다 사씨남정기가 오히려 정치적, 아니면 家統에 있어서 더 중요한 위치에 있는데도 언급이 없는 것은 儒家家門에 荒誕한 글이라 하여 배척한 것이 아닌지, 그렇게 보면 구운몽도 여기에 속한 것으로 본 것이 아닌지 생각해 볼 일이다. 여하튼 舊稿를 정리하여 寄稿하면서 일생동안 필자가 가지고 있는 서포소설 성립의 배경은 ‘南海현지 사정을 도외시 하고는 언급될 수 없다.’는 것과 반드시 <사씨남정기>, <구운몽>은 대비연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자연적으로 그 시기와 동기는 南海작으로 귀납될 것이다. According to Sop’oyonbo(Biographical Details of KimManjung), revealed in 1992, Kuunmong(A Nine Cloud Dream)has been known be written while the writer KimManjung stayed at Sonch’on. A record from Sop’oyonbo writes “in the year of Chongmyo(丁卯), he(Kim Manjung), at the age of fifty one, arrived at the land of exile named Sunch’on in September.”Considering this record in details, however, it is not convincing to think of Sonch’on as the place of writing. In Kim’s letters to his mother, it is stated “this (writing) is about wealth and prosperity that exists only in fantasy”referring to a certain writing. The question is how we interpret the word “the writing”in his letter, which can be translated into a “book” or a “work of writing.”The word seems to indicate the work of Kuunmong. However, it could indicate other short stories purported to entertain his mother. Many scholars have engaged the understanding of the word of fantasy in the theme of Kuunmong. I assume a critical stance to ward this assumption and here question geographical description of Namhae(南海) frequently adopted in this fiction. Interestingly, no single record of Sassinamjongki(Madame Sa``s Journey to the South)is found in Sop’oyonbo. It is noted that Sassinamjongki contains more political and family-clan related issues than Kuunmong. Supposing that Sop’oyonbow as compiled by Kim’s descendents, the fact that Sassinamjongki is not even mentioned in Sop’oyonbo makes us question whether this work was intentionally eradicated. We can also think about a possibility that Kuunmong as well as Sassinamjongki were rejected during the compilation of Sop’oyonbo. Conclusively,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Kim Manjung’s fict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work’s familiarity with Namhae of geographical condition and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f Sassinamjongki and Kuunmong. Those approaches will enable us to identify Namhae as the place where in KimManjung wrote his fiction.

      • KCI등재

        西浦小說 성립의 배경 연구 - 蘇東坡 同一化樣相과 『서포만필』ᆞ『서포집』소재逸話ᆞ詩話를 중심으로 -

        박성재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6 남명학연구 Vol.52 No.-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work paper is to study So Dong-pa(蘇 東坡)'s an aspect of identification and focus on Kim Man-jung(金萬重)'s anecdotes in 『Seopomanpil (西浦漫筆)』. Kim Man-jung in his exile life at Nam-hae referred to literature as the power to touch the heart of the audience in popular novels coming from 『Samkukgiyeunyee(三 國志演義)』. In 『Dongpajirim(東坡志林)』, special mention was made of the reason for the popular novel. He tried to look like So Dong-pa(蘇 東坡). In terms of the aspect of identification, these anecdotes in 『Seopomanpil(西浦漫筆)』 should be required for having a certain continuity. Though this, I will look at all the details about how to constitute this novel. 『Seopomanpil(西浦漫筆)』 is a collection of essays written in Kim Man-jung's exile at Nam-hae. It is the most reliable primary material, which catch not only the context of his novels but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text and context. In this study, the quest for 『Seopomanpil(西浦漫筆)』 can be analyzed by giving a whole new perspective on his novels. On the one hand, the literatures in exile at Nma-hae of Kim Man-jung are associated with those at Haenamdo(海南島) of So Dong-pa. The other hand, the literary world of Kim Manjung has something unique. An Analysis on 『Seopomanpil(西浦漫筆)』 shows that Kim Man-jung has had So Dong-pa's an aspect of identification related to anecdo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Kim Man-jung escaped from a previous style that adhered to the only creation of the Chinese poem on the second volume of 『Seopomanpil(西浦漫筆)』. Kim Manjung asserted the usefulness of writing novels. In the end, such causes can lead to an inference based on writing novels in his exile life at Nam-hae. 본고는 金萬重이 南海 謫所에서 『三國志演義』를 비롯한 통속소설에서 독자에게 감동을 주는 힘이 문학이라고 하였고, 『東坡志林』에서는 통속소설을 짓는 까닭이라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배경이 그가 蘇 東坡를 同一化樣相이라는 점에서 모종의 연속성을 갖는다는 전제 하에『서포만필』 소재 일화를 통해 그의 소설 성립의 배경에 대한 전후사정을 살펴본 것이다. 『西浦漫筆』은 김만중이 남해적소에서 저술한 에세이 모음집이다. 『서포만필』은 서포소설의 컨텍스트를 파악하는 측면에서나, 텍스트와 컨텍스트 사이의 상호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신빙할 만한일차적인 자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서포만필』 탐구는 서포소설의해석 시각을 새롭게 마련하는 데에도 중요한 참조사항이 되리라 생각한다. 필자가 원전을 독파해본 결과, 서포가 남해적소에서 저술한 유배문학이 소동파가 海南島에서 남긴 유배문학과 깊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으며, 일정부분 차이점도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간파할 수 있었다. 이는『서포만필』 분석을 거쳐 김만중이 소동파를 동일화한 양상을 통하여서포소설 성립배경 과정을 일화 관련 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김만중은 『서포만필』 하권에서 소동파 관련 일화 기사를통하여 漢詩 창작만을 고집하던 종전의 양식에서 탈피하여, 소설 창작의 효용론을 주장하였다. 그러한 사유의 특징이 결국 남해적소에서 서포소설 창작의 모태가 되었음을 추론했다.

      •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구운몽도>연구

        이상국(Lee, Sang-kook) 한국민화학회 2021 한국민화 Vol.- No.15

        이 글은 가회민화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구운몽도>와 <구운몽혼합도>, <혼합고사도> 7점을 통해서 20세기 <구운몽도>의 양식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는 글이다. <구운몽도>의 원천이 되는 소설 『구운몽』은 서포 김만중이 자신이 선천에 귀양갔을 때 혼자 계실 어머님을 위해 저술한 한문소설로 조선후기에 가장 인기 있었던 조선 소설이다. 소설을 그림으로 그릴 때는 소설의 서사[이야기]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장면을 잘 연결하는 방식으로 묘사를 해야 하는데 <구운몽도>병풍은 소설의 이야기를 잘 설명하기 위해 대개 20여 장면이 그려졌던 것으로 보인다. <구운몽도>병풍은 20여 장면 중에 6-10폭을 결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구운몽도>의 대표적인 장면인 <석교장면>은 대부분의 <구운몽도> 병풍이나 <구운몽도>와 결합된 병풍들에서 빠짐없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18세기부터 <구운몽도>가 그려진 것으로 판단되는데 지금 남아있는 작품은 대개 20세기에 제작된 것이다. 남아 있는 작품들 중에서 19세기 작품들은 그림 자체만으로 소설을 묘사하는데 충실하게 보인다. 20세기 작품들은 소설을 묘사했지만 그 내용을 잘 이해할 수 없거나 화제와 다른 내용의 그림인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20세기 뿐만 아니라 남아 있는 대부분의 <구운몽도>병풍들이 소설의 이야기 전개 순서에 따라 장황[표구]된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현상은 가회민화박물관 소장의 작품들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연구된다. 이것은 20세기 이후 민화에서 보이는 장식성과 반복된 모사(模寫)에 따른 현상인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the stylistic features of <Guunmongdo> in the 20th century through the 7 pieces of <Guunmondo>, <Goounmonghonhabdo> and <Honhabgosado> in the collection of the Gahoe Museum. The novel Guunmongdo, the source of the novel Guunmong, was written in Chinese for Seopo Manjoong Kim’s mother, who was alone when he went to Seoncheon, and was the most popular Joseon novel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novel is described in a way that connects each scene that helps in understanding the story of the novel. The <Guunmongdo> screen consists of combining 6~10 widths out of 20 scenes. It is confirmed that the <Seokgyujanmuen>, a representative scene of <Gunnmongdo>, is included in most of the <Guunmongdo> screens or in screens combined with <Guunmongdo>. It is believed that <Guunmondo> was painted in the 18th century, but most of the works remaining today were made in the 20th century. Among the remaining works, the 19th century works seem faithful in depicting the novel with the picture itself. 20th century works depict novels, but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content is not well understood or there is a picture with content different from the topic. In addition, it seems that most of the remaining screens of <Guunmondo>, as well as the 20th century, are rarely shown in the order of the story development of the novel. This phenomenon is studied as a common occurrence in the works of the Gahoe Folk Painting Museum. This seems to be a phenomenon due to the decorativeness and repeated copying seen in folk paintings since the 20th century.

      • KCI등재

        개화기 서포의 소설 출판과 상품화 전략 - 신문 게재 소설 광고를 중심으로

        배정상 ( Bae Jeong Sa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2 No.-

        본 연구는 개화기 주요 신문 매체에 수록된 소설 광고의 목록을 정리하고, 각광고에 담긴 다양한 정보들을 통해 이 시기 서포상들의 소설 출판과 상품화 전략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개화기 소설 광고는 대체로 책제목, 저자이름, 표제, 발행 및 발매소, 가격, 분량표기 등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책의 내용 및 성격에 따라 각기 다른 광고 문안을 수록하고 있었다. 소설 광고가 포함하는 이러한 정보들은 소설이라는 문학적 글쓰기 양식을 화폐와 교환이 가능한 하나의 상품으로 변환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소설 광고 문안에는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 호출된 소설을 출판·유통시킨다는 공적인 사명과 이를 상품으로 제작·판매하여 이윤을 얻어야하는 상업적 입장이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개화기 소설 광고는 급박한 시대적 조류 속에서 새롭게 호출된 소설이라는 문학적 글쓰기 양식이 근대적 출판·인쇄 기술을 바탕으로 성립된 자본주의적 유통 질서 속에서 맥락화 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ut the list of novel advertisements collected in major daily newspapers in the opening period of Korea, and to explore bookstore managers`` novel publication and commodification strategies at the time through diverse information in various advertisements. Novel advertisements in the late 19th century consisted of elements such as book titles, author names, entitlements, publication and selling agents, prices, volume size, etc., and contained different advertisement copies according to book``s content and character. The information that novel advertisements include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a manner of literary writing, named novels into a product exchangeable for money. In the advertisement copies of novels, a publicly appointed task of publishing and distributing novels called out as a way of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a private situation in which profits should be obtained through publishing and selling them as products were intricately entangled. Novel advertisements at the time were efficiently shows the process of contextualization of literary writing newly called out as novels in the distribution order of capitalism established on the basis of modern publication and press technologies in the rapid current of the times.

      • 西浦小說成立의 背景

        김무조 택민국학연구원 2008 국학연구론총 Vol.0 No.2

        1992년에 西浦年譜1)가 발표되면서 마치 九雲夢은 宣川작으 로 굳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우리가 다시 한 번 서포연보를 잘 분석해 보면 꼭 그렇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여기 서포연 보에 나오는 그 항목을 예시하면 ‘丁卯年, 府君51歲라, 9月에 宣川謫所에 가다.’라고 쓰여 있다. 이 아래 서포가 쓴 글 가운데 어머니에게 시를 써 보내면서 소일꺼리로 글을 보냈는데 ‘그것이 부귀번화가 모두 夢幻이다.’ 라 했다고 해서 이것이 바로 <九雲夢>이라고 단정할 수 있겠 는가? 문제는 <저서>라는 문제인데 이 <저서>라는 말이 오늘 날의 개념으로 <책>이냐, 아니면 그저 <글>이냐 하는 것이다. 오늘날 저서로 본다면 <구운몽>같은 소설일 수도 있다. 그러나 어머니를 위로하기 위해서 심심풀이로 보냈다면 짧은 글일 수 도 있다. 그리고 <夢幻>이라는 말이 바로 <九雲夢>의 주제와 같다고 하여 그렇게 단정하는 것도 南海현지의 지리적 조건에 서 나오는 지명의 借用등은 어떻게 설명이 되어야 할 것인가. 그리고 서포연보에는 謝氏南征記에 관계됨직한 항목은 한 군 데도 없다. 서포연보를 서포 후손들이 만든 것으로 가정했을 때 그 문중으로 봐서는 구운몽보다 사씨남정기가 오히려 정치 적, 아니면 家統에 있어서 더 중요한 위치에 있는데도 언급이 없는 것은 儒家家門에 荒誕한 글이라 하여 배척한 것이 아닌지, 그렇게 보면 구운몽도 여기에 속한 것으로 본 것이 아닌지 생 각해 볼 일이다. 여하튼 舊稿를 정리하여 寄稿하면서 일생동안 필자가 가지고 있는 서포소설 성립의 배경은 ‘南海현지 사정을 도외시 하고는 언급될 수 없다.’는 것과 반드시 <사씨남정기>, <구운몽>은 대 비연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자연적으로 그 시기와 동 기는 南海작으로 귀납될 것이다.

      • 「구운몽」남해 창작설에 대하여

        설성경 ( Sung Gyung Sul ) 택민국학연구원 2010 국학연구론총 Vol.0 No.6

        17세기의 소설 작가 김만중은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를 창작하였다. 그런데, 이들 두 작품 중에서 「사씨남정기」는 남해에서 창작한 것이 분명하지만, 「구운몽」은 그 창작지에 대한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다. 그 결과, 김만중의 「구운몽」이 언제 어디에서 창작되었는가 하는 것은 고전소설 연구의 과제가 되어왔다. 이 문제에 대하여, 1960~70년대에는 김태준, 김무조, 설성경 등은 남해에서의 창작을 주장하였고, 이가원, 김병국 등은 선천에서의 창작을 주장하였다. 그런데, 1988년 『서포년보』가 발견된 이후, 김병국은 『서포년보』에 있는 “김만중이 선천 유배 시절에 ‘몽환’이라는 저서를 모친에게 보내어, 모친을 위로하였다‘는 기록을 근거로 구운몽은 선천 창작을 주장하게 되었다. 이 논문이 발표된 이후, 국문학계에서는 「구운몽」의 창작지는 선천이며, 그 시기는 숙종 13년에서 14년 사이로 보는 것이 통설이 되었다. 그런데, 현재 김무조와 남해의 일부 향토학자는 『서포년보』의 ‘몽환’을 「구운몽」으로 해석할 수 없고, 『서포년보』를 신뢰할 수 없는 기록으로 파악하여 선천 창작을 부정하고 있지만, 이것은 오류라고 판단된다. 그 이유는 『서포년보』는 18세의 기록물로는 신뢰도가 높으며, ‘몽환’은 「구운몽」의 주제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러함에도 김무조가 남해 창작설을 거듭 강조하는 것은 남해 지역의 관광문화 자원 개발을 계기로 이런 주장을 남해 지역의 일부 향토 역사연구가들이 활용하여 구운몽은 남해에서 창작되었다는 점을특별히 부각시키면서 왜곡된 애향심을 발휘하는 쪽으로 나아가게 되어, 남해설과 선천설이 대등하게 맞서는 것으로 군민들이 오해하게 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이제 필자는 남해 지역에서는 조선조의 대학자요 한국 최고 수준의 소설가인 서포 김만중이 유배라는 절망적 상황 속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시시비비를 가렸던 「사씨남정기」를 창작한 문학정신을 재현시키기 위해서도 더 이상의 불필요한 창작지 논란을 잠재우고, 정통학자들의 정설 내지 통설을 수용하는 겸허한 자세가 필요한 때라고 판단한다. 왜냐하면, 그 길은 곧 민족문학을 높인 서포의 업적으로, 한국 최초의 남해유배문학관을 세웠고, 다시 이어서 서포의 유배지인 남해군상주면 노도에 <문학의 섬>을 조성하는 거대한 관광문화 사업을 시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Kim Man Jung, a 17th-century author wrote novels ‘Guunmong’and ‘Sassinamjeonggi (Ms.Sa’s Conquest of the South). However, among the two, Sassinamjeonggi is almost sure written in Namhae, but for Guunmong’s place of writing there is debate among scholars. As a result, it has been a subject of classical novel research where Guunmong was written by Kim Man Jung. On this, in 1960s to 70s, Kim Tae Jun, Kim Mu Jo and Seol Sang Gyeong argued for writing in Namhae, and Lee Ga Won and Kim Byeong Guk supported writing in Seoncheon. However, in 1988, as ‘Seoponyeonbo (Log in Seopo)’ was found, Kim Byeong Guk started argue that Guunmong was written in Seoncheon, quoting “Kim Man Jung wrote Monghwan and sent the work to his mother to console her, while he was exiled in Seoncheon.” After the thesis was released, in the literature area, a theory that says Guunmong was written in Seoncheon and between 13thyear to 14thyear of King Sukjong’s rule became wide spread. However, currently, Kim Mu Jo and some local scholars in Namhae argue that the ‘Monghwan’ in ‘Seoponyeonbo’ cannot be interpreted as Guunmong, and Seoponyeonbo is not a credible, denying the Seoncheon theory, but this is deemed as error. The reason is that ‘Seopomanpil’ is a credible source in 18thcentury,and Monghwan is theme of Guunmong, for sure.

      • KCI등재

        대구 지역과 딱지본 출판의 전통

        박태일 ( Park Tae Il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6

        딱지본은 이제껏 가볍고 저급한 오락 독물, 잔존 문학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런데 구활자본 옛소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딱지본은 근대 초기 출판 인쇄의 새 방식으로 시작해 오래도록 많은 이들이 누려온 취향 문화였다. 이 글은 이러한 딱지본의 출판과 유통 첫 시기부터 마지막까지 대구 지역이 서울과 더불어 중심적인 몫을 맡아왔음을 알리고자 하는 목표로 이루어졌다. 첫째, 1907년에 출범한 대구 재전당서포는 서울 딱지본의 판매소 역할을 맡다 출판으로 나아가면서 지역 딱지본 유통을 이끌었다. 그 결실이 오늘날 실물 확인이 가능한 『옥단춘전』(1929)보다 훨씬 이른 시기부터 시작해 『박효랑전』(1934)에 이르는 딱지본 49종이다. 재전당서포는 이미 나온바 있는 그들을 개별·공동 발행 형식으로 지형이 남아 있는 서울에서 되찍었다. 둘째, 을유광복 뒤대구의 딱지본 출판은 전쟁과 피란 체험을 겪으면서 새 줄기를 마련한다. 전쟁으로 남하했던 세창서관·덕흥서림·문창사와 같은 곳에서 딱지본 출판의 개연성은 크다. 영화출판사는 전쟁기부터 대구에서 딱지본 출판을 시작하면서 전후에도 대구와 서울을 오가는 교차 출판 형식을 빌려 1950년대 출판을 이끌었다. 대조사는 전쟁기 대구 체류를 끝내고 서울로 되돌아간 뒤 서울에서 대구 인쇄를 병행하면서 지역 연고를 분명히 했다. 셋째, 1960년대 대구 딱지본 전통은 향민사 출판으로 모인다. 향민사는 1970년대 후반까지 40종을 넘는 딱지본을 펴냈다. 역내 딱지본 출판의 다양하고 역동적인 활동을 온축하고 꾸준했던 대구 지역 대중 취향 오락 독물 출판의 역량을 힘으로 삼아,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 딱지본 출판, 유통의 당대화를 이끈 셈이다. 근대 초기 재전 당서포에서 시작하여 1950년대 전쟁과 전후를 거쳐, 1960년대와 1970년대 향민사로 이어졌던 대구 딱지본 출판의 맥락이 보다 엄밀하게 밝혀지기를 바란다. Ddakjibon(딱지본) is the traditional methods of Korean modern publishing. It is considered as cheesy reading for pleasure. However, many people have enjoyed it as a taste culture. This writing axamines Daegu’s central role together with Seoul in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a Ddakjibon publication. Firstly, Jaejeondangseopo publisher(재전당서포), established in 1907, just sold Seoul Ddakjibon initially but expanded their business to publication later. Currently identified 49 works of Ddakjibon including 『Okdanchunjeon』 〔『옥단춘전』(1929)〕and 『Parkhyorangjeon』〔『박효랑전』(1934)〕are the results of their works. Jaejeondang-seopo publisher entrusted printing to Seoul in the form of individual publication or join publication. Secondly, publication of Ddakjibon after Gangbokje changed drastically due to war and refuge. Many publishing companies that moved south due to war are highly probable in publishing of Ddakjibon. Youinghwa publisher(영 화출판사) began to publish Ddakjibon at Daegu and led publication at Daegu and Seoul in the 1950s. After turning back to Seoul, publisher Youinghwa publisher and Daegosa publisher(대조사) clarified their regionality by entrusting print work to Daegu Thirdly, 1960s Ddakjibon’s tradition can be summarized as Hyangminsa publisher(향민사). Hyangminsa publisher published over 40 Ddakjibon until the late 1970’s. At the same time, they tried to succeed old novel. Hyangminsa publisher modernized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Ddakjibon after the 1960’s by concentrating on diverse activities in publication of Ddakjibon at Daegu. This study examines Deagu regional Ddakjibon from Jaejeondangseopo publisher to Hyangminsa publisher. Daegu’s individuality and generality in publication of Ddakjibon must be clarified further

      • KCI등재

        안성판과 경판의 거리

        최호석 열상고전연구회 2010 열상고전연구 Vol.31 No.-

        본고는 19세기 후반에서 1920년대까지 안성에서 간행한 방각본의 특성과 가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이를 위하여 안성판의 현황을 검토한 다음 안성판과 경판을 비교한 결과 새롭게 밝혀진 것은 다음과 같다. 박성칠은 1910년대에 북촌서포와 박성칠서점을 경영하면서 19세기 말에 동문리에서 간행한 방각본 고전소설 7종 가운데 3종의 판목만 인수, 간행하였다. 그리고 동문리에서 간행한 적이 있는 작품인데도 이를 활용하지 않고 새로운 판목을 조성한 것을 볼 때, 박성칠이 동문리 방각소를 운영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안성판 방각소설은 경판 방각소설의 자장(磁場) 안에 있었지만 경우에 따라 경판 방각소설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그리고 1920년대에 안성에서 간행된 실용서적과 아동용 학습서는 서울에서도 유통이 되었지만, 안성을 중심으로 하는 상당히 넓은 배후지에 유통되었다. 이처럼 안성판 방각본은 경판 방각본과 관계를 맺으면서 때로는 자체적인 필요에 의해 생산, 소비되었다. 그리고 안성판 방각본이 안성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 다양한 지식을 전파하였다는 점에서 당대의 지역 사회, 문화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is made for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Banggakbon which had been published in Anseong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1920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the status of Anseongpan and the comparison of Anseongpan with Gyeongpan, New findings are come out as follows. Park Seong Chil took over and published only 3 kinds of wood block among 7 kinds of classical Banggakbon novel published in Dongmun-ri in the late 19th century while he was running Bukchonseopo and Park Seong Chil Seojeom in 1910s. In addition, it seemed that he had not operated Dongmun-ro Banggakso as he formed new blocks not utilizing such works which had been ever published in Dongmun-ri. Besides, Anseongpan Banggak novel was belonged to an area of Gyeongpan Banggak novel, but situation gave it opportunities to rather have an influence on Gyeongpan Banggak novel. In addition, Practical books and learning materials for children published in Anseong in 1920s were distributed not only in Seoul but the wide range of hinterland centering around Anseong. As such, Anseongpan Banggakbon entered into a relation with Gyeongpan Banggakbon and sometimes became the subject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as necessary. It may be recognized that Anseongpan Banggakbon gave substantial contribution to the local society and culture of the age as it diffused various knowledge to the area centering around Anse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