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및 조직정체성 강도의 조절 효과

        김희경,신호철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3

        비영리조직은 경제적 결과물보다는 공급자와 수혜자 간 상호작용의 질을 성과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비영리조직 구성원들로부터 업무에 대한 열정과 헌신으로 일에 몰입하는 직무열의와 같은 직무태도가요구된다. 그러나 비영리조직의 근로조건은 열악하여 구성원들의 직무열의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본연구는 비영리조직의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으로 인해 저하될 수 있는 구성원들의 직무열의를 개선시키기위한 방안으로 서번트 리더십에 주목하고 그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에대한 하위요인의 개념적 관계성 고찰과 사회교환이론을 기반으로, 서번트 리더십이 비영리조직 구성원들의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영향을미칠 때 구성원들의 긍정심리자본이 매개변수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 지를 세 변수 간 개념적 관련성과 직무요구-자원 모델을 이론적 도구로 활용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 관계성에서 조직정체성 강도의 조절효과를 사회정체성 이론과 사회매력 이론을 기반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데이터는 11개의 사회복지시설에서 종사하는 380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자들이 의도하였던 것처럼,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 사이에 정(+)적관계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 간에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가 정(+)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구성원이 인식하는 높은 조직정체성 강도는 서번트 리더십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 수준을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의 관계성을 밝혀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직원의 직무열의를 향상시키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밝힌데 연구의의의가 있다. 직원이 지각하는 사회정체성 강도가 서번트 리더십과 상호작용하여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규명하여 서번트 리더십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제안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Nonprofit organizations are more likely to assess the quality of interactions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beneficiaries rather than economic outcomes as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this reason, members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are required to have a job attitude such as job engagement that involves passion and enthusiasm for the job. However, the working conditions of nonprofit organizations are relatively poor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job engagement of the members. This study focuses on servant leadership as a way to improve the job engagement of the members who may be undermined by the poor conditions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First, the present study examines empirically whether servant leadership positively affects job engagement based on the conceptual relationship among sub-factors of the two variables and social exchange theory. Second,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wheth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lays a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by using conceptual relations between these three variables and job demand-resource model as a theoretical support. Third, this study also examines whether organizational identity strength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based on social identity theory and social attraction theory. The data of the stud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380 members of 11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results reveale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loyees’ job engagement. In addition,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loyees’ job engagement. The high level of organizational identity strength perceived by employees enhanced the employees’ job engagement through interaction with servant leade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at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loyees’ job engagement. Thus,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at servant leadership plays a major role in enhancing employees’ job engagement. In addition, results show that servant leadership significantly mediated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employees in affecting their job engagement. Results also show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loyees’ job engagement become stronger when the scor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employees were hig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two variables by explaining how the servant leadership affects employees’ job engagement through this proces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review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과 건설적 일탈 - 조직기반 자긍심과 조직정치 지각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조윤형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9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건설적 일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조직기반 자긍심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서번트 리더십을 통해 조직기반 자긍심이 높아지며, 높은 조직기반 자긍심이 건설적 일탈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한편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기반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조직정치 지각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서번트 리더십 발휘의 상황적 맥락도 파악하였다. 건설적 일탈은 혁신지향, 조직도전 그리고 대인관계로 구분하였으며 전체 건설적 일탈로 묶어서도 분석하였다. 조직정치 지각은 전반적인 조직정치 지각을 살펴보기 위해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기와 임금/승진 정책을 묶어서 전체 조직정치 지각으로 분석하였다. 광주지역 제조업과 서비스업종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들을 표본으로 하였으며 동일방법편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응답의 원천을 상사응답과 자기응답으로 설문지를 수거하여 분석하였다. 348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은 건설적 일탈을 높이고 있었다. 둘째, 조직기반 자긍심은 건설적 일탈을 높이고 있었다. 셋째, 조직기반 자긍심은 서번트 리더십과 건설적 일탈과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넷째,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기반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직정치 지각이 조절하고 있었다. 다섯째,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모두 고려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조건부 간접효과에 있어서 건설적 일탈 중 혁신지향과 전체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고 있어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조직도전과 대인관계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건설적 일탈에 있어서 서번트 리더십이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기반 자긍심을 높이고 높아진 조직기반 자긍심이 건설적 일탈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조직정치 지각이 낮은 경우에 그 영향력이 더욱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서번트 리더십이 건설적 일탈의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기반 자긍심은 서번트 리더십이 긍정적 결과로 이어지는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하더라도 조직에서 비공식적 영향력인 조직정치가 서번트 리더십의 긍정적 영향력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점을 통해서 조직정치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조직의 규정, 규범을 넘어서 이를 바로잡으려는 건설적 일탈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정치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Recently, It has become necessary for employees to be more creative and innovative in how they perform their work. It is possible that by doing so, employees will deviate from the norms and procedures of their organizations. Deviance refers to intentional behaviors that depart from organizational norms that threaten the well-being of an organization, its members, or both. But some researchers argue that labeled constructive deviance can also be beneficial for the organization and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rvant leadership on constructive deviance. Also verifying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OBSE) and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POP). Constructive deviance were divided into innovative, organizational challenge and interpersonal based on Chung & Moon(2011). I proposed direct effects hypothesis and mediating,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hypothesis, total of 34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by Process Macro(Hayes, 2018) model 7, Lisrel and soble test, collected multi source(supervisor report and employee’s self-report) to avoid common method bia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rvant leadership have positive impact on all of constructive deviance(e.g., innovative, organizational challenge, interpersonal and total). Second, OBSE also increase all of constructive deviance. Third, OBSE mediat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constructive deviance. Fourth, POP moderat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OBSE. Finally, to test moderated mediation, conditionally indirect effect was show that innovative constructive deviance and total constructive deviance.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provide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to help understanding of servant leadership, constructive deviance, OBSE and POP.

      • KCI등재

        도산 안창호의 서번트 리더십 연구

        박의수(Park, Eui-S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3

        이 연구의 목적은 서번트 리더십의 관점에서 안창호의 리더십을 새롭게 조명해 보고, 이를 기초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교육적 리더십 정립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번트 리더십의 기본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고, 서번트 리더십의 관점에서 도산의 지도자로서의 실천 사례를 조명해 보고, 도산의 서번트 리더십의 특징을 차례로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평등한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정직과 신뢰에 기초한 참된 권위를 바탕으로 공동체를 위하여 봉사하는 서번트 리더십이야말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참된 리더십의 새로운 모델임을 확인하였다. 서번트 리더십은 섬김과 봉사, 인간중심, 높은 수준의 인격, 도덕적 권위와 양심, 일관된 원칙, 명확한 목표와 비전, 강한 책임감, 사랑, 그리고 공동체의식 등의 특성으로 설명된다. 이어서 서번트 리더십의 틀로 도산 안창호의 지도자로서의 실천 사례를 조명해 본 결과 그의 리더십은 서번트 리더십의 특성을 두루 갖추고 있어 서번트 리더십의 전형이라고 하기에 손색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서번트 리더십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학교교육이 공동체적 삶을 위하여 헌신할 수 있는 참된 지도자를 기르는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하며, 안창호의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통하여 교육적 리더십 정립을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rvant leadership of Dosan Chang-ho Ahn in the perspective of servant leadership theory of Robert K. Greenleaf and to check the possibilities of the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leadership that constitutes a character of democratic citizen. For the purpose of these aims, it will be investigated the basic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servant leadership and examined the cases of servant leadership activities of Dosan Chang-ho Ahn in the perspective of servant leadership. And then it could be found out some characteristics of his servant leadership. As a result, the servant leadership that serves community with servant spirit for the common good on the bases of authorities rooted on honesty and belief is the new model of sincere leadership in the future society. The servant leadership constitutes some characteristics of services and sacrifice, humanism, good character, moral authority and conscience, consistent principles, obvious goals and visions, senses of responsibility, true love, and community spirit. And the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hang-ho Ahn's leadership is same 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servant leadership. So it could be concluded that Ahn's servant leadership is the typical example of original servant leadership. In conclusion it will be needed to study the servant leadership theory and program continuously in order that education may serve teaching students to be true leader who can serve and devote community living. And more deep investigations of Chang-ho Ahn's leadership will give many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leadership in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이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직업소명의식의 매개효과, 조직정치 지각의 조절효과

        송용욱,문명,조윤형 리더십학회 2019 리더십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the work engagement of the employees in the local government employees. Also, the process and situation of servant leadership's effect on through job calling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hich go along to get ahead and pay/promotion policies. We set the hypothesis was based on direct effect, mediation effect and moderation effect hypothesis and 30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in local governments at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s which reflects the meaning of servant leadership and job call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Second, job calling had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Third,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impact on job calling. Also, job call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Fourth,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especially go along to get ahead are moderated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calling. Finally, we considered moderated mediate effects which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work engagement are low on go along to get ahead’s conditionally indirect effect of job calling.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local government public sectors’s servant leader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is necessary to nurture the servant leader and strengthen the sense of job calling in order to increase the work engagement. Key words: Servant leadership, Job calling,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Go along to get ahead, pay/promotion policies), Work Engagement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직업소명의식과 조직정치 지각을 통해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과정과 상황을 고려하였다. 조직정치 지각은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기와 임금/승진 정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매개효과, 조절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광주, 전남지역 기초자치단체 5곳과 광역자치단체2곳에서 총 308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초자치단체는 정치⋅행정⋅경제 전반에걸쳐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구성원들의 근속연수 역시 리더십의 영향력을 살피기에 충분히 장기적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을 반영하기에 적합하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력이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직업소명의식은 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업소명의식에 긍정적 영향력이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직업소명의식은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와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넷째, 조직정치 지각 중 가만히 있기는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고 있었다. 추가적으로 연구가설로 설정하지 않았지만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고려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조직정치 지각 중 가만히 있기로 조절된 직업소명의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공직에서도 직무열의의 선행변수로 서번트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은 직업소명의식을 높이고 높아진 직업소명의식을 통해 직무열의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조직정치가 낮은 경우 서번트 리더십이 직업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확대되므로 조직정치를 줄여야 한다는 점 또한 알 수 있었다. 자치단체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공무원들의 직무열의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번트 리더를 육성하여 직업소명의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키워드: 서번트 리더십, 직업소명의식, 직무열의, 조직정치 지각(가만히 있기, 임금/승진 정책)

      • KCI등재

        예비 특수(체육)교사의 창의적 서번트 리더십 프로그램 적용 효과 분석

        한동기 ( Dong-ki Ha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예비 특수(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창의적 서번트 리더십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예비교사교육을 받고 있는 B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재학생(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창의적 서번트 리더십 프로그램을 2개 학기 동안 실시하고 통제집단(B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및 특수교육과 재학생)과 서번트 리더십의 변화를 비교하여 적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실험집단 136명과 통제집단 131명이었다. 창의적 서번트 리더십 프로그램의 적용 전과 후 집단 간 서번트 리더십의 차이는 SPSS(Ver. 21.0) 통계 프로그램의 공변량분석(ANC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 변인인 비전 제시, 사람에 대한 존중, 성장하도록 지원하기, 공동체 형성, 그리고 전체 서번트 리더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창의적 서번트 리더십 프로그램이 특수체육교육과 재학생들의 서번트 리더십을 함양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예비 특수(체육)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에서는 미래의 특수(체육)교사에게 중요하게 요구되는 서번트 리더십을 함양하기 위해 창의적 서번트 리더십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pplication effect of the creative servant leadership program for preliminary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achieve this goal, the creative servant leadership program was applied for two semesters for enrolled students (experimental group) in the special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of B University who are receiving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he subjects were 13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31 in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in servant leadership between group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reative servant leadership program was analyzed using the covariate analysis (ANCOVA) of the SPSS (Ver. 21.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sub-variables of servant leadership, namely, vision presentation, respect for people, support for growth, community formation, and overall servant leadership. This result means that the creative servant leadership program is effective in fostering the servant leadership of students enrolled in the special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apply a creative servant leadership program in an institution that fosters pre-service teachers to cultivate servant leadership, which is important for future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이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의 매개효과와 가정 일 향상의 조절효과

        최위진,손승연 리더십학회 2023 리더십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helping behavior of subordinates, and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helping behavior of subordinates through the energy. In this process, the moderating effect of subordinate‘s family-work enrichment is identified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subordinate’s energy together. For this purpose, hypothesis and research model were set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on servant leadership, energy, helping behavior and family-work enrichment. To verify this,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ROK Army (A total of 255 dyadic data was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by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of supervisors, helping behavior, energy, and family-work enrichment of subordinates.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servant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lping behavior. In addition,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helping behavior was confirmed through the energy of the subordinates. Also, the effect of family-work enri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nergy of subordinates was verified. through this, new moderating variable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servant leadership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by verifying that family-work enrichment can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supervisor and the energy of the subordinat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organizations are presented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presented. 현대의 많은 조직들은 VUCA로 대변되는 변화무쌍한 환경과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기류 속에서 조직의 지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학자들이 조직의 번영과 구성원의 헌신에 기여하는 리더십의 가치에 지목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리더십은 주요 관심영역이며, 서번트 리더십이 구성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많은 연구를 통해 실증되었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은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과 구성원의 도움행동 간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 특히 둘의 관계를 설명하는 매커니즘에 대한 연구의 양적한계에 직면하며, 서번트 리더십의 영향력 과정상 작용하는 조절변수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다. 특히 조직인이자 가정의 멤버인 구성원의 가정 영역과 연계된 조절변수에 관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다음 연구목적을 갖는다. 첫째,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과 구성원 도움행동 간의 관계에 내재한 영향력 과정을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자원보존이론에 근거하여 서번트 리더십의 영향력이 구성원의 에너지를 경유함을 가정하고 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구성원의 에너지를 경유하여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과정에서 구성원의 가정-일 향상이 나타내는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육군 간부 상사-부하 255쌍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구성원의 에너지를 경유하여 도움행동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구성원의 가정-일 향상이 낮을수록 서번트 리더십과 에너지 간의 정적관계는 강화되었으며, 마찬가지로 조절된 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과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이 조직학습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임태종(Leem Tae-jo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16 국제회계연구 Vol.0 No.70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경쟁우위를 획득, 유지하기 위해서는 개방적이고 윤리적인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하며, 유기적이고 상호작용적인 MCS(Management Control Systems)의 이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행동, 관리회계, 경영전략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각각 연구되어 온 서번트 리더십, MCS의 이용, 조직학습과 혁신을 하나의 연구모형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새로운 리더십으로 부각되고 있는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학습과 혁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서번트 리더십이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을 통하여 조직학습과 혁신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종업원 100명 이상, 매출액 1,500억원 이상인 400개의 코스피(KOSPI)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회수된 101개의 설문지를 SMART PLS(Partial Least Squar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학습과 혁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수준에서 경쟁력 향상에 기여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서번트 리더십의 특성에 맞게 MCS를 상호작용적으로 이용할 경우 MCS를 통하여 경쟁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의 역할을 관리회계 관점에서 재조명하였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과 관련된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비영리조직을 대상으로 진행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영리조직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이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을 통하여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For Obtaining and maintaining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open and ethical new leadership is needed, and an organic and interactive use of MCS(Management Control Systems) is required.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servant leadership, use of MCS, organizational learning and innovation which had been researched in various fields such as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accounting and business strategy in one research model.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verify if servant leadership emerging as a new leadership has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innovation, and if servant leadership has a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innovation through the interactive use of MCS. To verify thi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argeting 400 KOSPI companies which have more than 100 employees and sales more than 150 billion won. Returned 10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MART PLS (Partial Least Squares). The results showed that servant leadership not only effects directly 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innovation, but also effects indirectly through interactive use of MCS. This shows that servant leadership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it implies that the interactive use of MC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servant leadership can further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through MCS.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servant leadership was illuminated in a aspect of management accounting. Second,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profit organizations, unlik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with servant leadership were conducted targeting non-profit organizations. Third, it can provide the implication for the servant leadership that can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through the interactive use of the MCS.

      • KCI등재후보

        軍영관급 장교의 서번트 리더십에 관한 연구

        최영종,김용훈 대한리더십학회 2016 리더십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미국군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군의 서번트 리더십 수준을 파악하고 서번트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서번트 리더십인지 여부에 따른 서번트 리더십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한국군 영관급 장교들의 서번트 리더십을 미국군과 비교한 결과, 미국군의 서번트 리더십이 높게 나타났다. 군 영관급 장교들의 이력특성에 따른 서번트 리더십의 차이를 보면, 임관경로, 병과, 군별 구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력특성과 군별 구분에 따른 상호작용 측면을 검증한 결과, 임관경로에 따라 군과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비추 어 볼 때 한국군의 전반적인 서번트 리더십을 고양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군 영관급 장교들의 이력 특성별 차별화된 서번트 리더십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리더십 측정의 정량적 평가 지표 설정 및 적용 가능성 : Social media 활용 행태를 중심으로

        염재선,김민균,오용경,이가희,이윤구,정윤혁 한국경영정보학회 2015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1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리더의 자질로 언 급되는 ‘소통과 공감’의 리더십인 서번트 리더십의 정량적 측정 지표를 제시한다. 대표적인 소셜 미디 어인 트위터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인물의 리더십 을 측정한 실증 연구이다. 본 연구의 측정 모델은 선행연구에서 한계점으로 언급되었던 전통적인 리더 십 측정의 어려움을 보완하고, 개선된 형태의 측정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모델의 리더십 점수와 설 문조사 점수의 일치도 검증을 통해 측정모델의 신뢰 성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본 연구의 측정 모델은 서번트 리더십의 정량적 측정지표로의 가능성을 충분히 증명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