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목회방향을 위한 서번트리더십 탐색

        석창훈 ( Changhoon Seo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21세기, 변화하는 사회와 맞물려 목회리더십의 새로운 방향으로 서번트리더십을 주목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번트리더십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목회리더십이 갖고 있는 기독교적 영성과 성경적 가치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21세기 목회방향을 위하여 서번트리더십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번트리더십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종설하여 서번트리더십의 정의, 속성 등을 살펴보았으며, 성경의 가르침과 인물을 통해 서번트리더십이 목회신학적 토대를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서번트리더십 목회방향을 구성하는 3가지 요소로 배경(맥락), 크리스천 서번트리더십 특성, 성과를 도출하였다. 배경(맥락)요소에는 성경적 리더십, 21세기 시대정신, 한국 기독교 상황을 살펴보았으며, 크리스천 서번트리더십 특성요소로는 속성 15가지와 행동 5가지를 분석하였으며, 성과요소에는 성도의 성장, 교회의 발전, 사회적 영향을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를 위해 서번트리더십과 관련된 종교성 측정연구, 서번트리더십의 교회내 사례연구, 종교다원의 한국상황에서 타 종교 서번트리더십 연구를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servant leadership as a new direction of pastoral leadership has attention with a changing society in the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ervant leadership’s theoretical considerations about Christian spirituality and biblical values, to investigate a pastoral direction for servant leadership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in Korea For this purpose, First, I reviewed about servant leadership’s definitions and attributes, Second, I analyzed that servant leadership provided a theological basis for the principles of the pastoral direction. As a result, I produced the three components-background (context), Christian servant leadership attributes, performance-for constructing the servant leadership for pastoral direction. The background consists of biblical leadership, Zeitgeist, the Christian situation in Korea. The Christian servant leadership is composed of two elements-15 attributes, 5 behaviors-. The performance includes follower’s growth, church development, social influence. For further study, I suggested that measurement study of pastoral servant leadership, case studies in a church servant leadership program, and study about non-Christian servant leadership in Korea.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과 건설적 일탈 - 조직기반 자긍심과 조직정치 지각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조윤형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9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건설적 일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조직기반 자긍심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서번트 리더십을 통해 조직기반 자긍심이 높아지며, 높은 조직기반 자긍심이 건설적 일탈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한편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기반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조직정치 지각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서번트 리더십 발휘의 상황적 맥락도 파악하였다. 건설적 일탈은 혁신지향, 조직도전 그리고 대인관계로 구분하였으며 전체 건설적 일탈로 묶어서도 분석하였다. 조직정치 지각은 전반적인 조직정치 지각을 살펴보기 위해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기와 임금/승진 정책을 묶어서 전체 조직정치 지각으로 분석하였다. 광주지역 제조업과 서비스업종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들을 표본으로 하였으며 동일방법편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응답의 원천을 상사응답과 자기응답으로 설문지를 수거하여 분석하였다. 348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은 건설적 일탈을 높이고 있었다. 둘째, 조직기반 자긍심은 건설적 일탈을 높이고 있었다. 셋째, 조직기반 자긍심은 서번트 리더십과 건설적 일탈과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넷째,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기반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직정치 지각이 조절하고 있었다. 다섯째,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모두 고려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조건부 간접효과에 있어서 건설적 일탈 중 혁신지향과 전체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고 있어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조직도전과 대인관계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건설적 일탈에 있어서 서번트 리더십이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기반 자긍심을 높이고 높아진 조직기반 자긍심이 건설적 일탈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조직정치 지각이 낮은 경우에 그 영향력이 더욱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서번트 리더십이 건설적 일탈의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기반 자긍심은 서번트 리더십이 긍정적 결과로 이어지는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하더라도 조직에서 비공식적 영향력인 조직정치가 서번트 리더십의 긍정적 영향력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점을 통해서 조직정치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조직의 규정, 규범을 넘어서 이를 바로잡으려는 건설적 일탈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정치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Recently, It has become necessary for employees to be more creative and innovative in how they perform their work. It is possible that by doing so, employees will deviate from the norms and procedures of their organizations. Deviance refers to intentional behaviors that depart from organizational norms that threaten the well-being of an organization, its members, or both. But some researchers argue that labeled constructive deviance can also be beneficial for the organization and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rvant leadership on constructive deviance. Also verifying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OBSE) and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POP). Constructive deviance were divided into innovative, organizational challenge and interpersonal based on Chung & Moon(2011). I proposed direct effects hypothesis and mediating,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hypothesis, total of 34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by Process Macro(Hayes, 2018) model 7, Lisrel and soble test, collected multi source(supervisor report and employee’s self-report) to avoid common method bia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rvant leadership have positive impact on all of constructive deviance(e.g., innovative, organizational challenge, interpersonal and total). Second, OBSE also increase all of constructive deviance. Third, OBSE mediat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constructive deviance. Fourth, POP moderat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OBSE. Finally, to test moderated mediation, conditionally indirect effect was show that innovative constructive deviance and total constructive deviance.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provide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to help understanding of servant leadership, constructive deviance, OBSE and POP.

      • KCI등재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이 직원들의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지식공유와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정우현,김문중 한국상업교육학회 2022 상업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서번트 리더십과 직원들의 과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지식공유와 심리적 임파워 먼트의 매개역할을 평가함으로써 서번트 리더들이 직원들의 과업성과에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에 따른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원들의 지식공유 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직원들 간 지식공유도 심리적 임파워먼 트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원들의 과업성 과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직원들의 지식공유와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과 업성과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관계가 실증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직원들의 과업성과 향상에 서번트리더십, 지식공유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 활성화가 선행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넷째, 직원들의 지식공유와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서번트 리더십과 과업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서번트 리더십과 과업성과 간의 긍정적인(+) 관계에서 직원들의 지식공유와 심 리적 임파워먼트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구성원들의 과업성과의 개선에 서번트 리더십이 선행요 인으로 작용하여 성공적인 조직운영에 그 필요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그리고 지식공유행동과 심리 적 임파워먼트의 결정요인으로 서번트 리더십을 파악함으로써 과업성과를 위한 직원들의 개별적인 행동과 동기부여를 이끌어내는 데 있어 서번트 리더십이 미치는 영향과정에 대한 연구에 크게 기여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employee’s task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on of knowledge sharing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This study obtained 455 valid samples through a survey of employees in manufacturing, service, and public institutions.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by Process Macro model 6 were used to analyze thes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servant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knowledge sharing,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ask performance. In addition, the bootstrapping analysis showed that knowledge sharing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mediated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task performance individually and sequentially.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for successful organizational operation as servant leadership acted as a leading factor in improving the task performance of members,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s important so that servant leadership can be represented as task performance of members. These results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research on the impact process of servant leadership in eliciting individual behaviors and motivations of employees for task performance by identifying servant leadership as determinants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 효과와 진정성 리더십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김유진,김병직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혁신 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심리적 안전감 수준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과 심리적 안전감 사이에서의 진정성 리더십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어떤 작동 기제 를 통하여 구성원의 혁신 행동을 이끌어 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347부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을 설정하고 그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혁신 행동을 향상시켰으며, 구성 원의 심리적 안전감은 혁신 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은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혁신 행동 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했다. 한편 리더의 진정성 리더십은 서번트 리더십과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즉, 진정성이 높은 서번트 리더는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을 증폭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서번트 리더 와 함께 일하는 구성원들은 조직 내에서 자신이 안전하다고 인식함으로써 더욱 새롭고 혁신적인 행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더해, 구성원들이 자신 의 리더가 진정성을 지녔다고 느낀다면, 보다 더 큰 심리적 안전감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서번트 리더십과 혁신 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토대로 그 작동 기제에 대해서 보다 정교하게 논의하였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과 심리적 안전감의 관계에서 진정성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조직의 리더들은 서번트 리더십과 리더의 진정성의 중요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위의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ervant leadership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and moderating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Ithis paper, we tried to reveal how the servant leadership leads to their innovative behaviors. The analysis of this paper utilized the results of 347 individual level data through online surveys.We established a hypotheses that servant leadership may increas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via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as well as moderating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servant lead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their innovative behavior, and that the psychological safety of the member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safety of the members partially mediated the impact of the leader's servant leadership on the innovative behavior. The leader's authentic leadership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that strengthens the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on the psychological safety. In other words, highly authentic servant leaders have been shown to facilitate the positiv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psychological safe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round the above results.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이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직업소명의식의 매개효과, 조직정치 지각의 조절효과

        송용욱,문명,조윤형 리더십학회 2019 리더십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the work engagement of the employees in the local government employees. Also, the process and situation of servant leadership's effect on through job calling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hich go along to get ahead and pay/promotion policies. We set the hypothesis was based on direct effect, mediation effect and moderation effect hypothesis and 30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in local governments at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s which reflects the meaning of servant leadership and job call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Second, job calling had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Third,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impact on job calling. Also, job call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Fourth,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especially go along to get ahead are moderated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calling. Finally, we considered moderated mediate effects which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work engagement are low on go along to get ahead’s conditionally indirect effect of job calling.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local government public sectors’s servant leader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is necessary to nurture the servant leader and strengthen the sense of job calling in order to increase the work engagement. Key words: Servant leadership, Job calling,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Go along to get ahead, pay/promotion policies), Work Engagement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직업소명의식과 조직정치 지각을 통해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과정과 상황을 고려하였다. 조직정치 지각은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기와 임금/승진 정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매개효과, 조절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광주, 전남지역 기초자치단체 5곳과 광역자치단체2곳에서 총 308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초자치단체는 정치⋅행정⋅경제 전반에걸쳐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구성원들의 근속연수 역시 리더십의 영향력을 살피기에 충분히 장기적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을 반영하기에 적합하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력이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직업소명의식은 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업소명의식에 긍정적 영향력이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직업소명의식은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와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넷째, 조직정치 지각 중 가만히 있기는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고 있었다. 추가적으로 연구가설로 설정하지 않았지만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고려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조직정치 지각 중 가만히 있기로 조절된 직업소명의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공직에서도 직무열의의 선행변수로 서번트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은 직업소명의식을 높이고 높아진 직업소명의식을 통해 직무열의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조직정치가 낮은 경우 서번트 리더십이 직업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확대되므로 조직정치를 줄여야 한다는 점 또한 알 수 있었다. 자치단체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공무원들의 직무열의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번트 리더를 육성하여 직업소명의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키워드: 서번트 리더십, 직업소명의식, 직무열의, 조직정치 지각(가만히 있기, 임금/승진 정책)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및 조직정체성 강도의 조절 효과

        김희경,신호철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3

        비영리조직은 경제적 결과물보다는 공급자와 수혜자 간 상호작용의 질을 성과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비영리조직 구성원들로부터 업무에 대한 열정과 헌신으로 일에 몰입하는 직무열의와 같은 직무태도가요구된다. 그러나 비영리조직의 근로조건은 열악하여 구성원들의 직무열의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본연구는 비영리조직의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으로 인해 저하될 수 있는 구성원들의 직무열의를 개선시키기위한 방안으로 서번트 리더십에 주목하고 그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에대한 하위요인의 개념적 관계성 고찰과 사회교환이론을 기반으로, 서번트 리더십이 비영리조직 구성원들의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영향을미칠 때 구성원들의 긍정심리자본이 매개변수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 지를 세 변수 간 개념적 관련성과 직무요구-자원 모델을 이론적 도구로 활용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 관계성에서 조직정체성 강도의 조절효과를 사회정체성 이론과 사회매력 이론을 기반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데이터는 11개의 사회복지시설에서 종사하는 380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자들이 의도하였던 것처럼,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 사이에 정(+)적관계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 간에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가 정(+)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구성원이 인식하는 높은 조직정체성 강도는 서번트 리더십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 수준을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의 관계성을 밝혀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직원의 직무열의를 향상시키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밝힌데 연구의의의가 있다. 직원이 지각하는 사회정체성 강도가 서번트 리더십과 상호작용하여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규명하여 서번트 리더십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제안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Nonprofit organizations are more likely to assess the quality of interactions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beneficiaries rather than economic outcomes as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this reason, members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are required to have a job attitude such as job engagement that involves passion and enthusiasm for the job. However, the working conditions of nonprofit organizations are relatively poor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job engagement of the members. This study focuses on servant leadership as a way to improve the job engagement of the members who may be undermined by the poor conditions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First, the present study examines empirically whether servant leadership positively affects job engagement based on the conceptual relationship among sub-factors of the two variables and social exchange theory. Second,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wheth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lays a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by using conceptual relations between these three variables and job demand-resource model as a theoretical support. Third, this study also examines whether organizational identity strength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based on social identity theory and social attraction theory. The data of the stud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380 members of 11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results reveale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loyees’ job engagement. In addition,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loyees’ job engagement. The high level of organizational identity strength perceived by employees enhanced the employees’ job engagement through interaction with servant leade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at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loyees’ job engagement. Thus,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at servant leadership plays a major role in enhancing employees’ job engagement. In addition, results show that servant leadership significantly mediated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employees in affecting their job engagement. Results also show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loyees’ job engagement become stronger when the scor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employees were hig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two variables by explaining how the servant leadership affects employees’ job engagement through this proces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review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도산 안창호의 서번트 리더십 연구

        박의수(Park, Eui-S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3

        이 연구의 목적은 서번트 리더십의 관점에서 안창호의 리더십을 새롭게 조명해 보고, 이를 기초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교육적 리더십 정립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번트 리더십의 기본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고, 서번트 리더십의 관점에서 도산의 지도자로서의 실천 사례를 조명해 보고, 도산의 서번트 리더십의 특징을 차례로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평등한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정직과 신뢰에 기초한 참된 권위를 바탕으로 공동체를 위하여 봉사하는 서번트 리더십이야말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참된 리더십의 새로운 모델임을 확인하였다. 서번트 리더십은 섬김과 봉사, 인간중심, 높은 수준의 인격, 도덕적 권위와 양심, 일관된 원칙, 명확한 목표와 비전, 강한 책임감, 사랑, 그리고 공동체의식 등의 특성으로 설명된다. 이어서 서번트 리더십의 틀로 도산 안창호의 지도자로서의 실천 사례를 조명해 본 결과 그의 리더십은 서번트 리더십의 특성을 두루 갖추고 있어 서번트 리더십의 전형이라고 하기에 손색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서번트 리더십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학교교육이 공동체적 삶을 위하여 헌신할 수 있는 참된 지도자를 기르는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하며, 안창호의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통하여 교육적 리더십 정립을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rvant leadership of Dosan Chang-ho Ahn in the perspective of servant leadership theory of Robert K. Greenleaf and to check the possibilities of the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leadership that constitutes a character of democratic citizen. For the purpose of these aims, it will be investigated the basic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servant leadership and examined the cases of servant leadership activities of Dosan Chang-ho Ahn in the perspective of servant leadership. And then it could be found out some characteristics of his servant leadership. As a result, the servant leadership that serves community with servant spirit for the common good on the bases of authorities rooted on honesty and belief is the new model of sincere leadership in the future society. The servant leadership constitutes some characteristics of services and sacrifice, humanism, good character, moral authority and conscience, consistent principles, obvious goals and visions, senses of responsibility, true love, and community spirit. And the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hang-ho Ahn's leadership is same 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servant leadership. So it could be concluded that Ahn's servant leadership is the typical example of original servant leadership. In conclusion it will be needed to study the servant leadership theory and program continuously in order that education may serve teaching students to be true leader who can serve and devote community living. And more deep investigations of Chang-ho Ahn's leadership will give many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leadership in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서번트 리더십에 관한 연구

        인성희 ( Seong Hee Ihn ),방은령 ( Eun Ryoung Ba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3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서번트 리더십 인식과 수준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양적조사와 질적조사를 병행하였다. 양적조사에서는 연령, 성, 학업성취, 가정경제, 교육이수 과정유형에 따른 청소년리더십 수준을 검증하였고, 질적 조사에서는 서번트 리더십의 필요성과 서번트 리더의 자질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지역 중고등학생 80명을 눈덩이 표집하여, 서번트 리더십 인식에 대한 자기보고서를 수집하고, 서울과 충남지역의 인문일반계 및 산업정보계 고등학생 900명을 유의 표집하여, 최남례(2005)의 ‘서번트 리더십 척도’를 바탕으로 인성희(2006)가 청소년에 맞게 수정 보완한 ‘청소년 서번트 리더십 질문지’를 사용하여 서번트 리더십 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ANOVA, ANOVA 및 내용분석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서번트 리더십이 리더에게 필요하고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였고, 서번트 리더의 자질에 대해서도 올바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들의 전반적인 서번트 리더십 수준은 보통 이상이었으며, 산업정보계 고등학생들이 인문일반계 고등학생들보다 평균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전반적 서번트 리더십은 교육과정이수유형과 가정경제 및 학업성취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연령과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서번트 리더십 하위영역별로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서도 일부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에게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과 필요성을 알리고,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서번트 리더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 기초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dolescents` servant leadership level and their perceptions in regards to servant leadership. For this purpos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were applied. In the quantitative phase of the research, 900 stude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from general academic high schools and polytechnic high schools in Seoul and Chungcheongnam-do and surveyed using the ‘Youth Servant Leadership Questionnair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material from Ihn(2006) based on the ‘Servant Leadership Scale’ developed by Choi(2005). In addition, 80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phase, using the snowballing sampling method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san and their self-reports were collected. For the purposes of data analysis, t-test, content-analysis, MANOVA, ANOVA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research phase, mos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an accurat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servant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 Most of them think that a servant leadership is a necessary characteristic for class leaders. 2. The overall servant leadership level of adolescents, was mostly high. Additionally, the mean of polytechnic high school students` servant leadership was higher than the general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3. No difference of adolescents` servant leadership according to their sex, age, and home economic status was found in general,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academic achievement, and type of high school curriculum. 4. There are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the type of high school curriculum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also between the type of high school and home economic statu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erves as a useful collection of preliminary data, helping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servant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by contributing to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levels and perceptions of servant leadership.

      • KCI등재

        예비 특수(체육)교사의 창의적 서번트 리더십 프로그램 적용 효과 분석

        한동기 ( Dong-ki Ha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예비 특수(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창의적 서번트 리더십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예비교사교육을 받고 있는 B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재학생(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창의적 서번트 리더십 프로그램을 2개 학기 동안 실시하고 통제집단(B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및 특수교육과 재학생)과 서번트 리더십의 변화를 비교하여 적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실험집단 136명과 통제집단 131명이었다. 창의적 서번트 리더십 프로그램의 적용 전과 후 집단 간 서번트 리더십의 차이는 SPSS(Ver. 21.0) 통계 프로그램의 공변량분석(ANC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 변인인 비전 제시, 사람에 대한 존중, 성장하도록 지원하기, 공동체 형성, 그리고 전체 서번트 리더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창의적 서번트 리더십 프로그램이 특수체육교육과 재학생들의 서번트 리더십을 함양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예비 특수(체육)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에서는 미래의 특수(체육)교사에게 중요하게 요구되는 서번트 리더십을 함양하기 위해 창의적 서번트 리더십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pplication effect of the creative servant leadership program for preliminary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achieve this goal, the creative servant leadership program was applied for two semesters for enrolled students (experimental group) in the special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of B University who are receiving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he subjects were 13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31 in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in servant leadership between group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reative servant leadership program was analyzed using the covariate analysis (ANCOVA) of the SPSS (Ver. 21.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sub-variables of servant leadership, namely, vision presentation, respect for people, support for growth, community formation, and overall servant leadership. This result means that the creative servant leadership program is effective in fostering the servant leadership of students enrolled in the special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apply a creative servant leadership program in an institution that fosters pre-service teachers to cultivate servant leadership, which is important for future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