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공계 대학 글쓰기 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 서강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소연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4

        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increased and related fields have expanded, the importance of writing subjects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has been increasing. In some universities,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for academic writing i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students is proceeding rapidly. Sogang University has established a liberal arts curriculum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in the first semester of 2019 under the title of University Writing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and began to use the newly developed textbook.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science and engineering writing education centered on Sogang University teaching materials and textbook, and looks for direc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writing education in liberal education. In this article, I seek to combine writing, reading, science and engineering knowledge and thought systems, which were traditionally recognized as areas of the humanities, into a single curriculum. And In order to successfully operate liberal arts classes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here is a need for multifaceted interdisciplinary fusion activities. In order to do this, the necessity for the basic writing courses in liberal arts to be linked closely with the major has been constantly raised through active cooperation between the departments. In this article, I points out in detail the errors and contradictions of University Writing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he writing textbook of Sogang University, which was first us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19. By presenting errors and improvement plans of currently developed textbooks and actively submitting them to academia, I would like to suggest directions for science and engineering writing to meet the demands of the new era. In addition to the problems listed in this article, science and engineering writing classes are still challenging and questionable in the field. However, given the increasingly strong demand for convergent thinking in college education and research, research on the effectiv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writing as an interdisciplinary fusion project needs to be further expanded. 최근 과학기술 분야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관련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이공계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화된 글쓰기 교과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몇몇 학교에서 이공계 학생들을 위한 교양 글쓰기 교재 개발도 신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서강대학교는 2019년 1학기부터 ‘자연과학 글쓰기’라는 명칭으로 이공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양교과를 신설하고 이를 위해 새롭게 개발한 교재인 『자연계 글쓰기』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서강대학교 ‘자연계 글쓰기’ 수업과 교재를 중심으로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현황을 검토해보고 앞으로 교양 글쓰기 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강조하는 것은 전통적으로 인문계에 속한 영역이라고 인식되었던 글쓰기/읽기와 이공계 지식, 사고체계를 어떻게 단일한 커리큘럼으로 조화시킬 것인가를 선결 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공계 대상 교양 글쓰기 수업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학제간 융합 활동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선 학과 간의 적극적인 협력 관계를 통해 기초 교양 글쓰기 과목들이 전공과 밀접하게 연결되어야 할 필요성도 꾸준히 제기된다. 본고에서 특히 2019년 1학기에 처음으로 현장에 활용된 서강대학교 『자연계 글쓰기』 교재가 갖고 있는 오류와 모순점을 세밀하게 지적한다. 현재 개발된 교재의 오류과 개선방안을 찾아내 적극적으로 학계에 제출함으로써, 새로운 시대적 요청에 부합하기 위해 이공계 글쓰기가 나야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인문사회계가 대다수의 교양 글쓰기 교강사와 필자들을 차지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전공 연계적 수업을 지향해야 한다는 과제가 얼마나 큰 난제로 다가오는지 보여주는 증좌이기도 하다. 본고에서 열거한 문제 외에도 이공계 글쓰기 수업은 아직 현장에서 많은 어려움과 의문을 야기하고 있는 분야다. 그러나 대학 교육과 연구 현장에서 융합적 사고를 점점 더 강력하게 요청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해볼 때 학제간 융합 프로젝트로서 이공계 글쓰기의 효과적인 구성과 운영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이광린 선생(1925~2006)의 삶과 학문

        최기영(Choi Ki Young)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6

        이 글은 이광린 선생(1925~2006)의 생애와 학문을 살펴본 것이다. 선생의 생애는 수학기(1925~1954), 연희 · 연세대학교 재직기(1954~1964), 서강대학교 재직기(1964~1989), 정년 이후(1989~2006)로 나눌 수 있다. 이광린 선생은 스승인 이인영 선생의 영향으로 조선사 연구로 학문적 출발을 하였으나, 4 · 19 혁명 이후 개화사에 관심을 가지고 평생을 천착하였다. 개화사상과 개화운동, 그리고 인물이 10여 권의 저서와 100편이 넘는 논문의 주제였다. 선생은 개화기를 개화사상이 나타나는 1860년대부터 일제에 국권을 빼앗기는 1910년까지의 시기로 규정하고, 1896년 독립협회의 창립을 기준으로 전기와 후기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개화전기에는 정부 주도로, 개화 후기에는 민간 주도의 개화운동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광린 선생은 연구에서나 생활에서나 항상 부지런하고 꼼꼼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자료와 사실을 찾는데 노력하였다. 선생의 인품과 격조는 제자들의 존경을 받았으며, 자신과 관련된 일에 매우 엄격하였다. 선생의 학문은 자신 뿐 아니라 남을 위한 것이었다. This paper analyzed life and academic activities of Professor Lee Kwang-rin(1925-2006). Life of Professor Lee could be divided by several periods: apprentice period(1925-1954), tenure in Yonhi·Yonsei University (1954-1964), tenure in Sogang University(1964-1989), and after retirement (1989-2006). Professor Lee Kwang-rin had started his academic career with Chosŏn Dynasty History Inquiry under influence of Professor Lee In-young, but after April 19 Revolution, he focused on the Enlightenment History for entire life. His inquiry on the Enlightenment Thought, the Enlightenment Movement and their peoples covered subjects in about 10 books and 100 articles. Professor Lee defined the Enlightenment Period as ages from 1860s, apparence of the Enlightenment Thought, to 1910s, ages to deprived of national sovereignty by Japanese Empire. Also, he classified the Enlightenment Period as the early and the latter period based on foundation of Independence Club in 1896. Therefore, Professor Lee understood that the Enlightenment movement was led by the Government in the early period and by private organization in the latter period. Professor Lee Kwang-rin was always diligent and precise both in studying and personnel life. Also, he was dedicated in finding new references and facts. His students admired Professor Lee’s personality and nobility, and Professor Lee was very strict with his work. His inquiry was not just for himself, but for the others as well.

      • KCI등재

        인문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과 중등학교에서 인문학 프로그램 모델 제안 -서강대 CORE 사업단과 숭문고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상훈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서강인문논총 Vol.0 No.56

        Creative talents who will lead the future are built on the humanistic imagination. Therefore, we need more humanities education for students who are tired of the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we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humanities, not just knowledge transfer. And humanities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explore the nature of human beings. This paper introduces the humanities program operated by Sogang University CORE Project and Soongmoon High School for two years.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75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analyzed. The survey found that students also needed humanities, and they hoped to open a humanities class at school. Above all, students thought that they could understand human beings, think creatively and convergently, and enrich their lives through humanities.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specialists in the secondary school field to provide humanities education. There is also no accumulated experience in humanities education. That is why there is a need for a concrete humanities program model that can be run immediately in secondary schools. In this paper, a humanities program model was crea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operating a humanities program in collaboration with universities and high schools. Based on this, it is hoped that universities and secondary schools will form a local education community to actively implement humanities education for secondary students. 미래를 이끌어갈 창의적 인재는 인문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입시 경쟁에 내몰려 지친 학생들에게 인문학 교육이 더욱 절실히 필요하다. 대학 입학전 초・중등학교에서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니라 인문학의 본질을 이해하고, 인간의 본질에 대해 탐구할 수 있는 인문학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에서는 서강대학교CORE 사업단과 숭문고등학교가 2년간 함께 운영한 인문학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이프로그램에 참가했던 학생 중 755명의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보면 학생들도 인문학이 필요한 학문이라고 여기고 있고, 학교에서 인문학 수업이 개설되기를 희망했다. 무엇보다 학생들도 인문학을 통해 인간을 이해하고, 창의적・융합적 사고를 할 수 있으며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중등학교 현장에는 인문학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인문학 교육을 운영한 경험도 축적되어 않다. 그래서 중등학교 현장에서는 곧바로 운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인문학 프로그램 모델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대학교와 고등학교가 협력하여인문학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운영한 경험을 바탕으로 인문학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교와 중등학교가 지역교육공동체를 형성하여 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문학 교육이 확산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새 자료 서강대 소장, 최부(崔溥)의 『금남표해록』 한글본 연구

        유춘동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3 No.-

        이 글은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서강대학교 로욜라도서관 소장, 최부(崔溥, 1404 -1504)의 『금남표해록(錦南漂海錄)』 한글본을 검토하고, 이 자료의 특성과 가치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그동안 최부의 『금남표해록』은 국내외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았고, 그 결과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국내에서는 역사학자들의 연구와 문학연구자들의 연구가 있었고, 동아시아 학자들 또한 이 자료에 관심을 갖고 많은 연구를 진행했다. 그러나 이 책을 한글로 번역한 한글본 『금남표해록』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논의가 없는 상황이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진 한글본은 19세기에 필사된 국립중앙도서관본 한 종뿐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최부의 『금남표해록』은 한문(漢文)을 자유자재로 읽을 수 있었던 양반사대부 계층을 제외하고, 국내에서 널리 읽히지 못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정설(定說)처럼 되어 있다. 그러나 이번에 새로 발굴한 서강대본 『금남표해록』을 보면 이러한 기존의 주장을 재고(再考)할 수 있다. 서강대본은 기존에 알려진 19세기 한글 번역본보다 한 세기 앞선 18세기에 무렵에 필사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서강대본은 원전인 한문본 『금남표해록』과 대조해보면 축약번역본임이 확인된다. 중요한 점은 이때 필사자가 직접 번역했던 것이 아니라 선행했던 한글본을 가져다가 재필사한 본이란 사실이다. 이는 『금남표해록』은 한글본이 다양한 형태로 일찍부터 존재했었고, 여러 사람들에게 필사되어 읽혔던 정황을 보여준다. 새로 발굴한 서강대본의 특색은 원전 대부분의 내용을 생략하고 특정 부분만 번역했다는 점이다. 자세히 번역한 것은 아버지의 부음을 듣고 제주도를 떠난 뒤, 풍랑을 만나 표류하고 해적을 만나는 등의 모진 고생에 대한 이야기와 태주부(台州府) 임해현(臨海縣) 우두(牛頭) 앞 바다에 도착하기까지이다. 그밖에 강남과 강북에 대한 세밀한 풍광의 묘사, 경유한 지역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지리와 문화정보, 중국 각 지역에서 만났던 관원(官員)과 문사(文士)들의 대화 등은 모두 생략했다. 이러한 면들을 보면 한글본으로 최부의 『금남표해록』을 읽었던 사람들의 관심은 최부의 극적인 구조와 무사히 조선으로 귀국하는데 있었고, 그 밖의 중국의 역사, 지리, 문화에 대한 것들에는 관심을 덜 가졌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는 한문으로 원문을 읽을 수 있었던 독자와 그렇지 않은 독자들을 구분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으며, 당대 한글로 번역해서 읽었던 독자들의 관심과 수준을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서강대본의 특성, 내용들을 다루고 서술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Korean version of ‘Geumnampyoaerok’ of Choi-Bu, which has not been introduced to academia and is kept in Loyola Library of Sogang University, and find out its characteristics and value. ‘Geumnampyohaerok’ of Choi-Bu has been received lots of attention from domestic and overseas scholars and it led to various studies. In Korea, there have been studies of historians and of literature researchers, and East Asian scholars have also been interested in this material and have studied it. However, there have been no discussions on the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Geumnampyohaerok’. The reason is that there has been only one version that was known to academia, the transcribed version of the 19th century, kept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is led to the widespread belief that ‘Geumnampyohaerok’ of Choi-Bu was read only by the nobility that could read Chinese letters, not by the general public. By reviewing ‘Geumnampyohaerok’ of Sogang University, however, we can reconsider the existing belief. First of all, the Sogang University version was transcribed in the 18th century, a century earlier than the existing Korean version of the 19th century. Also, when compared to the original Chinese version of ‘Geumnampyohaerok’, it can be found that the Sogang University version is an abbreviated translation. It can also be found that the person who transcribed it did not translate it himself, but used an already-translated version and re-transcirbed it. Based on this fact, it can be seen that, contrary to existing belief, there were various types of Korean versions which were read by many people. The unique feature of the Sogang University version is that it left many parts out and translated only specific parts. What was translated in detail was about the hardship that the character went through when leaving Jeju Island, being caught in storm, and meeting pirates, and the part leading to his arrival to the Wudu Sea. Other than that, it skipped other parts such as the description of the landscape of Gangnam and Gangbuk, specific geographic and cultural information about the travel stops, and conversations with the officials and literary men whom he met in China. Based on this, it can be inferred that those who read the Korean version of ‘Geumnampyohaerok’ by Choi-Bu were interested in the dramatic structure of his travel and his safe return to Joseon, not so much in the history, geography, and culture of China. This can be the basis that will distinguish the readers of original Chinese version from other readers, and it serves as an important indication that shows the interest and level of the readers who read translated Korean version. Those are what were discussed and described in this pape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960년대 퀴어리의 뮤지컬 「성춘향」(CHUN HYANG SONG) 연구 -무대형상화 기법과 연극시적 의의를 중심으로

        유인경 ( Yoo In-gyeo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21 No.-

        The Ch'unbyang ebon(舂香傳)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of Korean classics. It is a work which has been continuously recreated in p’insori(판소리), Chinese poetry(漢詩), prose fiction(小說), film, drama, grand operas, and even western style musicals. This musical version of Chun-Hyaag story was first written by Mr. William H. Quiery when he was teaching English literature at Sogang College in 1965. “Chun- Hyang Song” is a musical adaptation of Korea's classic story of Chun-Hyung. Chun- Hyang, in English, means 'Fragrance of Spring’, and Song is the heroine's family name, which provides us with a convenient pun in the title. Its performance aroused wide acclaim on and off campus. The present version, adapted and composed with lyrics by Quiery. is conceived primarily for foreign audiences, .since it is written m a language foreign to Korea. The play, originally performed by students of Sogang College to initial acclaim in 1965, is a tasteful marriage of East and West, past and present. And the form of the play, musical comedy, is decidedly western, but fundamentally the people in the play are Korean. While all the music has the favour of the west, there are attempts made throughout to introduce something like the rhythm und mode of Korean music. Chun-Hyang Song is a classic love story and a rollicking musical comedy rolled into one delightful evening of theatre. More of an exciting theatre than a show with a complex plot, the play utilizes of singer-dancers through some 15 charming musical numbers ranging from lyrical and lovely ballads to witty and satiric numbers. Fun, music and laughter punctuate this timeless t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