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전 문화와 한국학-권력, 근대성, 학문생산의 얽힌 매듭 풀기-

        박현선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5 사이 Vol.18 No.-

        하나의 역사적 국면으로서, 이데올로기적 체제로서, 그리고 문화 정치적 기구로서 ‘냉전’이라는 담론에 개입된 다양한 입각점들은 ‘국가 권력,’ ‘근대성,’ ‘학문 생산’ 등의 경계 설정에 깊이 관여해 왔다. 이 글은 냉전이라는 프리즘을 통해서 주로 북미를 중심으로 형성된 한국학의 지식생산과 그 문화 정치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냉전과 한국학의 대위법적 관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학의 태동과 형성은 20세기 중후반 새롭게 재편된 세계 질서 속에서 부상한 지역학 연구의 신식민지적 정체성과 분리할 수 없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지역학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세계대전 이후 새로이 형성된 지역들과 국가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학문적 정보원로서 지역학이 미국의 헤게모니에 매우 유용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탈)냉전 시대 지역학 담론은 학제간 연구, 문화 연구, 생체 정치와 주권권력의 연구, 디아스포라와 여성 연구 등 비판적 지식 생산을 끌어안았던 비판적 지역 연구가들과 조우하면서 임마뉴엘 월러스틴이 “의도하지 않은 결과”라고 부른 것을 생산해오고 있다. 이 글은 한국학의 제3세대로 지칭되는 이들이 최근 북미에서 출간한 7권의 연구서들에 특별히 집중함으로써 해외 한국학에서 전개되어 온 냉전문화의 연구 성과와 의의를 살펴본다. 최근의 신진 한국학 연구자들은 지난 세대들이 한국을 외부에서 바라보며 연구할 수밖에 없었던 한계를 어느 정도 넘어서서, 보다 친숙한 언어 및 감각의 축적을 통해서 한국 문화의 경계 내부와 외부를 연결 지을 수 있는 위치에서 출발한다. 먼저, 테오도르 휴즈의 『냉전시대 한국의 문학과 영화』와 스티븐 정의 『분할된 스크린-신상옥과 전후 한국영화』는 분과 학문의 경계를 넘어서 역사와 문학, 대중문화, 이론을 절합함으로써 해방 이후 한국문화가 어떻게 냉전 세계체제의 보이지 않는 전투장으로 부상하며 감성의 분할에 참여했는가 드러내고 있다. 이들의 연구는 20세기 한국의 문화적 전개에 있어 해방 공간과 이후 냉전 시기의 이해가 얼마나 중요한가에 대한 뚜렷한 인식에서 출발하며, 냉전의 이분법적인 에토스와 발전주의 모델에 맞추어 근현대사를 서술하는 방식과 거리를 두고 있다. 또한 문승숙의 『군사주의에 갇힌 근대』와 존 디모이아의 『신체를 재구성하기-1945년 이후 남한에서의 생체의학, 건강, 국가 건설』은 한국의 근대성과 근대화론에 대해 이론적, 방법론적 질문들을 던지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 있는 성과들로서 이들의 사회과학적 접근들은 냉전 국민 국가의 신체적 구성과 파열이 벌어지는 일상의 미시 영역에 주의를 기울인다. 이들의 작업은 ‘보편으로서 서구 근대성’과 ‘특수로서의 토착 근대성’이라는 이분법적 개념틀을 비판하며 두 항 간의 상호 관계와 모순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 국내의 한국학과 해외의 한국학의 차이가 있다면 그것은 민족주의에 대한 차이이다. 글의 마지막 부분에서 다룬 켈리 정의 『한국의 문학과 영화 속 젠더와 민족의 위기-모더니티는 다시 도래한다』, 그레이스 조의 『한국의 디아스포라 유령-수치, 비밀, 그리고 잊혀진 전쟁』, 이진경의 『서비스 경제-남한의 군사주의와 성 노동, 이주 노동』은 민족과 남성 중심의 부르주아 역사 서술을 비판하고 탈식민주의 페미니즘과 젠더 정 ... The ‘Cold War,’ a multifaceted term referring simutaneouly to a historical stage, an ideological regime, and a cultural apparatus, engages the boundary of ‘state power’ ‘modernity’ and ‘knowledge production.’ Through the prism of the Cold War, this paper illuminates cultural and political siginifncances that lies in the knowledge production of Korean Studies in North America as well as examines the contreapunt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ld War culture and Korean studies. On one hand, the birth and formation of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is inseparable with the neocolonial origin of area studies that emerged in the reorganized world order since the mid-20th century. However, on the other hand, discourses of area studies in (post)Cold War era also produced what Immanuel Wallestein calls “unintended consquences” by encountering area studies scholars’ efforts to embrace other discourses includ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cultural studies, discussions on biopolitics and the sovereign power, and diasporic and women’s studies. In the comparative discussion of various researches that were recently published by the so-called third generation of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the paper examines the scholarly trajectory of Korean studies’ appropriation of the Cold War. The young scholars’ contribution to Korean studies lies in that they cope with the precedent generations’ limits of viewing Korea from the distant gaze and position themselves in the conjucture of the inside and the ouside of Korea through the acquisition of rather familiar sense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irst, Theodore Hughes’s book Literature and Film in Cold War South Korea and Steven Chung’s Split Screen Korea disclose how Korean culture emerged as a battle field for the Cold War world system and participated in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These works underscore how siginificant it is to undertand Liberation Space and the Cold War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film, and demonstrate the critical distance from the nationalist historiography of modern Korea based on the dichotomy of Cold War ethos and the state-driven developmentalism. Next, as a critique of West-oriented modernity studies, Moon Seungsook’s Militerized Modernity and Gendered Citizenship in South Korea and John DiMoia’s Reconstructing Bodies pose invaluable questions to the discourse of modernity and modernization in Korea. Their social science approach pays attention to the microscopic area of everyday life that shows the bodily construction and fracture of the modern nation-state. They are exemplary works that point out contractictions within terms such as ‘Western modernity as the universial’ and ‘indigineous modernity as the particular’ and presents the intertwinement of American impacts and vernacular practices in modern Korea.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Korean studies abroad and Korean studies within South Korea, it concerns the different approach to nationalism. Lastly, the paper introduces three books, Kelly Jeong’s Crisis of Gender and the Nation in Korean Literature and Cinema, Grace Cho’s Haunting the Korean Diaspora, and Lee Jin-kyung’s Service Economies. Problematizing the genderd notion of nation and the bourgeois historiography for the male subjectivity, these works focusing on figures of New Women and modern girls, military sex laborers, service workers, and diasporic women in light of gender politics and postcolonial feminism. To locate these books in the large framework of the Cold War and Korean studies and seee them as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area studies, the paper argues that they have overcome the power structure of the Cold War discourse and knowledge and that they show a cricial distance from the ‘nation’ that had been considered essential to Korean studies. Further discussion will be needed in order that Korean studies grow not as a margin...

      • KCI등재
      • KCI등재

        Dialectics of Utopia and Dystopia and Bio-politics in Never Let Me Go

        Kim, Dae-Joo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6

        본 논문은 일본계 영국 소설가인 카즈오 이시구로의 『날 떠나지 못하게 해줘』(Never Let Me Go)를 분석하였다. 『날 떠나지 못하게 해줘』는 SF 소설로서 기존의 장르의 관습에서 탈피하는 내러티브를 지니고 있으며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영국의 모습을 배경 삼아 현대사회 인간성의 위기에 대한 철학적 해석을 담은소설이다. 논문은 이 소설이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의 변증법을 통해 자유와 진리의 의미를 탐색하고 있으며 ‘복제인간’을 일종의 철학적 은유로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러한 변증법적 시공간 (크로노토페)과 ‘복제인간’이라는 공상물의 현실 속의 투입의 의의를 조르지오 아감벤의 존재윤리학과 생명-정치논의를 통해 해석해 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 하에 논문은 주인공이자 나레이터인 캐시가 어떻게 ‘신뢰할 수 없는 나레이터’가 되었는지를 분석하고 이 점이 어떻게 소설 속 크로노토페와 비판적 연관을 맺을 수 있는지를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의 변증적 관계를 통해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어떻게 소설이 현실을 반영하여 현대 사회 담론의 중심에 있는 ‘인류학 기계’와 생명-정치를 비판해내는 지를 논하였다. 더불어 논문의 마지막에 캐시의 실존적 선택이 어떻게 이러한 담론들과 기제들에 저항할 수 있는지 역시 논하였다. In this paper, I critically analyze Kazuo Ishiguro’s Never Let Me Go, a non-conventional science fiction with a backdrop of past, contemporary and future England. Ishiguro’s Never Let Me Go deconstructs the genre conventions of science fiction and expands its horizon to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of humanity and the ontological meaning of truth and freedom by using the dialectics of utopia and dystopia. It also regards the clone as a metaphor of potential humanity and debates its historical meaning. To substantialize argument and analysis, I employ Giorgio Agamben’s ethico-ontology as well as his critique on contemporary bio-politics. Viewing through this lens, I first explore how the narrative in the novel contradicts readers’ logical assumptions by turning Kathy, the clone narrator and protagonist, into an unreliable narrator. Next, I relate this contradiction to the chronotope of the novel, which is critically detached from and simultaneously eclipses the actual space and time. The chronotope embeds dialectics of utopia and dystopia via fictional mediation to illuminate the actual world. In turn, I argue that the novel critiques a hidden apparatus, so-called anthropological machine and its bio-political function to exclude non-humanity that results in massive violence against minorities in the actual history. In the end, this paper explore the meaning of Kathy’s ultimately ethical, existential choice that unfolds a true meaning of testimo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