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재가 생애말기 돌봄요구도와 사전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태도

        김숙남,김소영,조명주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2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4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생애말기 돌봄요구도와 사전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여초고령화시대 지역사회 기반의 재가 생애말기 돌봄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자료수집은 수도권(서울인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310명을 대상으로 연구보조원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6.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노인의 재가 생애말기돌봄요구도는 평균 4.09점(5점 만점)이었고, 안위증진을 위한 지지요구가 가장 높았다. 사전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태도는 평균 2.98점(4점 만점)으로 긍정적 태도를 보였고, 두 변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바탕으로 향후 재가 노인을 위한 생애말기돌봄체계는 신체·심리·사회·영적요구를 통합적으로 반영한 돌봄체계가필요하고, 사전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노인의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교육과 상담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것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다양한 연구설계를 활용하여 재가 생애말기돌봄체계구축을 위한 연구성과를축적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죽음을 앞둔 말기암환자는 무슨 말을 남겼는가?: 호스피스병동 프로그램 참여자의 구술 편지 문건에 대한 주제분석

        고주미 ( Koh Jumi ),이채원 ( Rhee Chaie-wo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2 사회복지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말기암 환자들이 죽음을 앞둔 과정에서 하고 싶은 말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는 기회가 주어졌을 때, 가족에게 남기는 편지에서 어떠한 말을 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소재 상급종합병원 호스피스 병동에서 진행하는 편지쓰기 프로그램에 의뢰된 말기암 환자들이 가족에게 남긴 구술 편지 문건 20개에 대해 질적 주제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편지에서 발견된 주제는 (1) 피할 수 없는 상황, 다가오는 죽음, (2) 삶에 대한 성찰, (3) 나의 마지막을 위한 바람, (4) 남겨질 이들을 위해 전하고 싶은 말 의 4가지로 나타났다. 편지작성이라는 자기 표현의 기회가 주어졌을 때 환자들은 자신의 상황에 대한 성찰과 가족에게 사랑의 메시지를 전하였으며, 임박한 죽음에 대한 바람을 표현하였고, 돌봄제공자에게 자신을 의탁하며 구체적인 욕구를 전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말기암 환자의 돌봄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said in their farewell letters to families when given the opportunity to free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on 20 letters dictated by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a hospice program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Four themes emerged from the results: (1) Facing the unavoidable: the coming of death (2) Reflections on life (3) What I wish for my ending, and (4) What I want to say for those left behind. The results show that when given the opportunity to express themselves through letters, patients reflected on themselves, sent a message of love to their families, and expressed their wishes about their dying as well as their need of reliance when entrusting themselves for terminal care.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 생애말기케어 정책에 관한 탐색적 고찰

        황숙연(Sook Yeon Hwang)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사회과학연구 Vol.33 No.4

        This study identified the end-of-life care (EOLC) policies and services available in the community for older adults. It further explored whether these policies and services are adequate to meet the medical and social care needs of end-of-life of older adults. Government official data, government institution reports, and existing research were reviewed and analyzed. Home care hospice and hospital-based home nursing services were found to be adequate for the EOLC needs of older adults but had problems with sufficiency due to the lack of service benefit, provider hospitals, and nursing personnel. The other current services were adequate for older adults having mild rather than severe conditions. In particular, the lack of services to meet health and medical needs were the most serious limitation for older adults to lead a quality end-of life in the community. Based on the study results, some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quality EOLC for older ad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자의 삶과 죽음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신양준,김진희,김희년,신영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保健社會硏究 Vol.43 No.3

        이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자의 삶과 죽음의 질 관련 연구 동향, 측정 방법과 도구,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최근 10년간 국내외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자의 삶과 죽음의 질 측정 논문 중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36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삶과 죽음의 질 모두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주제어가 삶의 질인 논문(26편)의 주 설문 응답자는 모두 환자 본인, 주제어가 죽음의 질(10편)인 논문은 모두 환자 사망 후 제3자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삶의 질 측정을 위해 총 22개 도구, 죽음의 질 측정을 위해 총 4개 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24편에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 여부, 기간, 의뢰 시기 등 돌봄 체계 관련 요인이 삶과 죽음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인구사회학적 특성, 임종 장소가 죽음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신체・심리적 증상, 경제적 부담, 예후 인식, 영적 믿음 등의 요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죽음의 질 측정 도구와 연구의 비중이 삶의 질 연구에 비해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죽음의 질을 높이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이 연구의 ‘협의, 광의, 최광의의 죽음’ 개념 정의와 같은 시도가 필요하다. 향후 생애말기 환자의 삶의 질 및 죽음의 질 개념 간 관계 정립, 죽음의 질 측정도구의 추가 개발, 확인된 관련 영향 요인의 개선, 환자 경험 측면에서의 죽음의 질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와 활용이 이루어진다면 생애말기 환자의 삶과 죽음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users to analyze research trends, measurement methods, and influencing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and ‘quality of death’. We analyzed 36 articles meeting our selection criteria, published domestically and abroad within the last decade (2013-2022). These articles spanned 18 countries, with ‘quality of life’ discussed in 26 (72.2%) and ‘quality of death’ in 10 (27.8%). All 36 studies used surveys to measure quality of life and quality of death. In quality of life studies, the patients themselves were the primary respondents, but in quality of death studies, third parties (caregivers or medical staff) were surveyed after the patient's death. A total of 22 scales were used across 26 studies to measure quality of life, and 4 scales were used in the 10 studies that focused on quality of death. Additionally, 23 studies used a total of 32 scales to measure other aspects, such as anxiety, depression, and pain. Among the 36 studies, 24 revealed that care system-related factors, including access to hospice and palliative care, duration, and timing of referral, influenced quality of life and quality of death among hospice and palliative care users. Furthermo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place of death were reported as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death, whil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financial burden, prognostic awareness, and spiritual beliefs were noted as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underscores the insufficiency of attention given to measurement tools and research related to the quality of death compared to that devoted to the quality of life and suggests a conceptual classification of death. Future efforts should involve a deeper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s of quality of life and quality of death,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ways to make improvements in the areas identified as influencing factors, and the implementation of research to enhance the quality of death, thereby contributing to overall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life and death experiences of patients nearing the end of life.

      • KCI등재

        자기결정권 존중을 위해 선행해야 하는 것들: 의사조력자살과 연명의료 유보나 중단과 관련하여

        최경석 한국의료윤리학회 2022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5 No.4

        이 글은 최근 의사조력자살 법제화 논의에 대한 고윤석의 논문을 검토하고, 고윤석의 주장과 이유를 검토하고 평가한다. 아울러 필자가 동의하는 고윤석의 주장에 대해서도 보완하여 제시될 근거가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밝히고 있다. 그런데 고윤석은 의사조력자살의 법제화 반대 외에 현행법의 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연명의료 유보나 중단의 이행시기는 적어도 환자의 자기결정권 존중에 부합하는 경우에는 임종기가 아니라 말기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고윤석은 주장한다. 필자는 고윤석이 의사조력자살에 대해 제시했던 우려의 논리와 논거가 이행시기의 확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고 주장한다. 또한 연명의료 유보 또는 중단의 이행시기 확대는 새로운 사회적 합의를 전제한다. 왜냐하면 현재의 보수적인 이행시기 설정은 당시의 사회적 합의에 기초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자기결정권 존중이란 원칙이 우리 사회에 실현되기 위해서는 앞서 갖추어져야 할 것들이 존재한다고 필자는 주장한다. 예를 들어, ‘자기결정권 존중’이란 미명하에 강요된 선택이 발생하지 않도록 생애말기 돌봄 서비스가 확충되어야 하고, 자기결정권 행사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또한 논의되고 추진되어야 한다.

      • KCI등재

        [‘우리 사회의 의사조력자살 법제화’에 대한 논평] 생애말기 인간의 존엄성이 구현되는 돌봄의 방향

        안경진 한국의료윤리학회 2022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5 No.4

        Public debates and discussions concerning physician-assisted suicide have recently arisen in South Korea in response to proposals made in the National Assembly for new legislation governing this and other aspects of end-of-life medical care. Two contrasting positions can be discerned in these debates: one position views physician-assisted suicide as respecting patients’ autonomy and guaran-teeing their right to a “death with dignity”; the other argues that physician-assisted suicide might be transformed into a “duty to die,” especially since dying care has not yet been well established in Korea. On this latter view, the expansion of hospice for end-of-life care should precede the intro-duction of physician-assisted suicide.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these two views in detail and explores the state of end-of-life medical care in Korea.

      • KCI등재

        [‘우리 사회의 의사조력자살 법제화’에 대한 논평] 무엇으로부터의 EXODUS인가?

        박중철 한국의료윤리학회 2022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5 No.4

        South Korea has low scores on both the Happy Planet Index (HPI) and Quality of Death Index (QDI) in comparison to other countries with similar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As the number of hospital deaths increases, so too does the number of people experiencing miserable deaths due to the availability and perhaps misus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However, given the current individualized social structure,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will spend the end of their lives in elderly care facilities and hospitals, experiencing miserable deaths. Although many people fear misery at the end of life, a realistic solution to this problem has not yet been found in South Korea. For this reason, a recent proposal to legalize physician-assisted suicide in South Korea has received strong public support. This article argues that past opportunities for meaningful public discussions concerning dignified dying have been squandered and that what is needed at this point is not further legislation that enables us to avoid thinking about these issues but rather mature dis-cussions concerning how we want to die.

      • KCI등재

        함께하는 의사결정의 구성요소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최지연 한국의료윤리학회 2022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5 No.1

        온정적 간섭주의와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의사결정 등, 의료환경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의사결정의 방식이 존재하였다. 이중 의학적 의사결정의 최근 지견으로 손꼽히는 것이 함께하는 의사결정(Shared decision making, SDM)이다. 함께하는 의사결정은 그간 일방향적이고 전문가 주도적이었던 의학적 의사결정 방식에서 벗어나, 환자와 의사가 논의를 통해 수렴적인 결정을 이루어가는 방식이다. 본 연구는 함께하는 의사결정과 관련된 연구에 대하여 통합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여 생애 말기 함께하는 의사결정의 구성요소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Whittemore & Knafl의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총 13편의 국내외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생애 말기 함께하는 의사결정은 파트너십의 형성(Formation of partnership), 정보의 교류(Exchange of information), 충분한 숙고(Deliberation), 합의된 의사결정(Mutual decision-making), 주기적인 재검토와 확인(Periodic review and confirmation)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파트너십의 형성은 환자와 의사가 동등한 관계를 가지고 환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독려하는 것이었으며, 정보의 교류는 환자와 의사가 정보를 순환적으로 제공하여 이해를 돕도록 하는 것이다. 충분한 숙고는 충분한 시간과 반복적인 수렴과정을 거치는 것이며, 합의된 의사결정은 결정된 내용을 상호 존중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함께 치료계획을 세워가는 것이다. 주기적인 재검토는 결정 이후에도 환자의 의사 변동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함께하는 의사결정을 이루기 위하여서는 환자의 참여와 정보의 교류를 확장할 수 있는 의료진의 인식과 태도의 변화, 충분한 숙고와 재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전돌봄계획의 수립, 참여구성원이 모두 합의된 결정을 위한 환자중심의 사회문화개선이 필요하다.

      • SSCI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