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규모별 도요타 생산시스템의 기업문화에 따른 생산관리 목표 및 경영성과의 차이분석

        심상범(Shim, Sang Beom),유인선(Yoo, In-Seon) 한국상품학회 2009 商品學硏究 Vol.27 No.4

        심상범,유인선 (2009)에서는 도요타 생산시스템의 기업문화가 도요타 생산시스템(ToyotaProductionSystem:TPS)적용에 대한생산관리 목표 및 경영성과에 상당한 연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TPS를 도입하고 있는 제조업들은 구축된 기업문화 환경에서 TPS실행요인을 도입하여 생산관리 목표를 향상시키고 경영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특히 TPS기업문화에서 대하여는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어지는 본 연구에서는 기업규모(대기업,중소기업)별 TPS적용시 기업문화 도입여부가 생산관리 목표 및 경영성과에 연관관계를 살펴보고,기업규모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이를 통해 TPS도입 및 추진의 성공요인과 전략를 도출하고자 한다.연구결과 기업규모별 차이를 살펴보면 중소기업의 결과에서 TPS실행요인들이 기업문화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TPS실행요인도 생산관리 목표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도요타 생산시스템의 기업문화는 생산관리 목표에 영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대기업의 결과를 보면 도요타 생산시스템의 기업문화가 생산관리 목표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research(Shim and Yoo 2009) found corporate culture in a Toyota Production System(here after referred to as TPS)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oduction goals and management performance.I t has was also known that manufacturing firms introducing TPS highly increased their production goals and performance. Their research also foun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SMEs(small and medium enterprises)and large firm sespecially by corporate culture. Extending this previous work,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1) how TPS implementation element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 production goals (quality, cost, due date,a nd flexibi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cluding financial and non-financial, (2) whether any difference between SMEs and large firms exists among the sevariables, and(3)to finally help managers establish appropriate strategies for successfully implementing a TP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large and small & medium sized firms. Specifically, in the case of small & medium firms, TPS implementation elements significantly affected production goals, which in turn influenced management performance, and were highly correlated with corporate culture. However, no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culture and production goals was found.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TPS implementation elements for large firms significantly affected both corporate culture and production goals, which in turn significantly affected management performance. These findings imply that firms with TPS implementation improved their production goals as well as performance.

      • KCI등재

        목표관리제의 운영실태 및 효과성 평가연구

        김경한 한국정책학회 2004 韓國政策學會報 Vol.13 No.1

        우리나라 공공부문 목표관리제는 1999년에 도입된 이래 지난 4년여간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목표관리제 시행에 막대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되고 있는데 반하여, 이에 대한 평가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목표관리제의 도입을 통해 정부가 달성하고자 하는 정책목표가 달성되고 있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목표관리제의 도입목적은 행정조직의 생산성 향상과 조직내 경쟁의 강화이므로, 이러한 정책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94개 지방자치단체 소속 1,528명의 목표관리제 적용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평가대상은 1999. 1월~2002. 6월 사이에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된 목표관리제이고, 조사방법은 설문조사에 의해서 조사대상자들의 목표관리제의 효과성 및 운영실태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는 자기보고 방식을 사용했다. 평가결과, 목표관리제의 생산성 향상 효과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조직내 경쟁강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관리제의 운영실태는 목표의 구체성, 난이도, 목표설정시의 참여도 등 목표설정과 관련된 요인들은 긍정적인 평가가 우세한데 반하여, 성과 평가 및 보상과 관련된 요인들은 중립적이거나 부정적인 평가가 우세했다.

      • KCI등재

        도요타 생산시스템의 기업문화가 생산관리 목표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상범(Shim, Sang Beom),유인선(Yoo, In-Seon) 한국상품학회 2009 商品學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도요타 생산시스템의 기업문화가 도요타 생산시스템 적용에 대한 생산관리 목표 및 경영성과에 상당한 연관관계가 있다고 보고, 이것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실증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많은 기업들에게 기업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올바른 도요타 생산시스템의 추진방법 및 성공요인의 제시를 해주기 위해서 시도된 논문으로서 기업의 성공적인 도요타생산시스템을 도입 및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요타 생산시스템을 도요타 생산시스템의 실행요인과 도요타 생산시스템의 기업문화를 각각 독립변수로 보고 이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요타 생산시스템의 실행요인들이 도요타 생산시스템의 기업문화(학습리더십, 부서단위학습, 지속적인 학습, 자율적 역량증대, 조직문화, 지식공유 및 활동시스템)에 따라 생산관리 목표(품질, 원가, 납기, 유연성) 및 경영성과(비재무, 재무)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대해서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제조기업 및 응답자에 대한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그리고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통계분석은 한글 SPSS 14.0와 AMOS7.0를 활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The Toyota production system (TPS) combines management philosophy and practices to form an integrated socio-technical system. This thesis focuses on the idea that the corporate culture has significant impact on production and management in TPS. Theoretical and positive studies are perform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culture and production/management results(production goals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detailed analysis of TPS, this research provides companies with strategies for proper and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PS. TPS system is modeled using two independent groups of parameters, process tools and corporate culture. The TPS process tools group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eight parameters; 5S, continuous improvement(Kaizen), visual management, TPM, Kanban, multi-skilled workers, production smoothing(Heijunka), autonomation(Jidoka). And the parameters constituting the corporate culture group are leadership training, departmental training, continuous training, autonomous ability organization, knowledge sharing and operation system.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responses and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a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exploratory analysis. Statistical analyses are performed using SPSS 14.0 and AMOS 7.0.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