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융합 계열간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과 자아존중감간 상관연구

        박소연,박경영 한국융합학회 2015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특성과 자존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 간에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의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을 포함한 대학생 651명으로 생명윤리의식과 자존감에 대해 2015년 5월 2주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존감은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존감이 높은 대학생이 생명의료윤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의 생명의료윤리 인식을 비교한 결과 생명공학을 제외한 안락사, 뇌사 등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of correlation of characteristcs of bio-medical ethics and self-esteem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to compare bio-medical ethics perception between health science and non-health science undergraduate students. We investigated bio-medical ethics and self-esteem of 651 undergraduate students including health science students and non-health science students for two weeks in May,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bio-medical ethics. The higher self-esteem, the more important bio-medical ethics. But i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bio-medical ethics about brain death, euthanasia except biotechnology.

      • KCI등재

        생명의료윤리에서 철학이 필요한가?

        김준혁 한국생명윤리학회 2023 생명윤리 Vol.24 No.1

        Is philosophy necessary for biomedical ethics? Traditionally, ethics has been considered a field within philosophy, but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applied ethics, as a subset, also falls under the umbrella of philosophy. At least in terms of the current state of biomedical ethics, it's challenging to suggest that it should be practiced exclusively as a philosophical endeavor. One paper summarizes three reasons why philosophy remains important to bioethics. First, bioethics is still pervaded with philosophical concepts. Second, new developments in biomedical science demand philosophical consideration. Third, novel theories emerging from philosophy continually renew bioethics. While these arguments demonstrate the contributions philosophy can make to biomedical ethics, they do not prove its essentiality or secure its place within the field. In this context, philosophy is but one of many components that comprise bioethics. We propose that the task of philosophy should be to critique biomedical ethics, particularly its conceptions of biology and medicine. We illustrate this with an argument from philosophical posthumanism. This task is unique to philosophy and cannot be substituted by any other discipline, thereby establishing its indispensable role in bioethics and empowering it to address questions that we currently face. 오늘날 생명의료윤리에서 철학이 필요한가? 전통적으로 윤리학은 철학에 속하는 분야로 여겨져 왔으나, 응용윤리 분야 또한 철학에 속하는지는 점검이 필요하다. 적어도 생명의료윤리 분야의 현재 상황을 볼 때, 해당 분야는 반드시 철학으로만 수행되어야 한다고 보기 어렵다. 한 논문은 이런 상황에 있어 여전히 철학이 생명의료윤리에서 중요한 이유를 세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 생명의료윤리는 여전히 철학적 개념으로 편만하다. 둘째, 의과학의 새로운 발전은 철학적 고찰을 요구한다. 셋째, 철학에서 등장하는 새로운 이론들이 생명의료윤리를 쇄신한다. 본 논문은 이 세 가지 주장이 비록 여전히 생명의료윤리에 철학이 할 수 있는 기여를 보여준다 해도, 철학의 필수성 또는 자리의 확실성을 증명하지는 못한다고 주장한다. 이때, 철학은 생명의료윤리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하나가 될 뿐이다. 오히려, 철학은 생명의료윤리, 특히 그 생명과 의료 개념을 비판하는 작업이 되어야 한다고 이 논문은 주장하며, 그 예로서 철학적 포스트휴머니즘을 경유한 비판을 제시하였다. 이 과업은 다른 학문이 대체할 수 없는 철학 고유의 것으로서 생명의료윤리에서 철학의 위치를 불가결하게 만듦과 동시에 현재 우리가 겪고 있으면서도 아직 분야가 제대로 답하지 못하는 문제를 다룰 수 있는 힘을 부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상돈(Kim Sang Don) 한국생명윤리학회 2006 생명윤리 Vol.7 No.2

        황우석 사건은 우리 사회에 많은 교훈을 남겼다. 생명 공학자와 의학자의 연구 윤리도 중요하지만 일반 시민들의 생명의료윤리가 그에 못지않게 심각하게 검토되어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 주었다. 왜냐하면 논문조작과 연구 과정에서 있었던 지속적이고 거대한 기만의 배후에는 일반시민들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무관심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사건의 재발을 막는 데 일반시민들의 성숙된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태도가 절실히 요구된다. 일반시민들의 생명의료윤리 관련 가치와 덕목의 신장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예비 시민들인 중,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철저하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행 7차 교육과정과 시안이 개발된 8차 교육과정에서의 생명의료윤리교육은 교육과정 내용체계와 교과서 서술에서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교육과정 내용체계에서 다루는 생명의료윤리교육이 양적, 질적으로 아직 미흡한 수준이며, 교과서 수술에 있어서 생명의료윤리를 직접 가르치기보다 우회적으로 관련 주제를 다루고 있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This paper is on moral education of bio-medical ethics, specially for middle and high school. Whang's scandal gave us a lot of lessons. Above all we learned that a rigid ethical standard should govern bio-medical researches. But Research Ethics may be not the essence of Whang's scandal, for many people of us still wait for junior Whang who willingly observes the rule about an egg donation procedure etc.. Therefore they do not think Whang's research itself has moral problems. Except Research Ethics, their bio-medical ethical consciousness has not changed. At this point something is wrong. We must rethink our moral beliefs about bio-medical situations such as life, death, pain and happiness. Our history of moral debates on bio-medical issues is not long, moreover it's density and extent too is not enough. From now we need to reorganize festina lente the program for our bio-medical consciousness' maturity. In this paper, the importance of a moral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about modern bio-medical issues is proposed. Our present level of it is not high. Particularly the bio-medical ethics education of a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does not get out of traditional moral principle about bio-medical issues, and then does not touch the core of modern bio-medical ethical issues. Some problem in curriculum and text books are needed to resolve.

      • KCI등재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동아대학교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김진경,이상목 대동철학회 2014 大同哲學 Vol.69 No.-

        이 글은 동아대학교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사례를 통해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을 논의하고 있다. 철학이 모든 학문의 근원적인 학문이라는 것에 이견이 없고, 또한 철학 교육이 대학에서 필요한 분야라는 것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철학의 학문적 성격으로 인해 학생들이 졸업 후 당장 취업에 어려움을 겪게 됨으로써 철학과에 지망하는 것을 꺼려하는 것이 철학과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아대학교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에서는 생명의료윤리 전공 특성화를 통해 학과가 처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생명의료윤리학은 철학과 윤리학적 관점에서 생명과학과 보건 영역 내의 인간 행위에 대한 모든 문제를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그것의 학문적 잠재력은 엄청나게 크다. 또한 생명의료윤리학은 이와 같은 이론적인 논의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의료현장과 보건정책당국 그리고 입법부와 사법부 등의 법률 기관, 생명의과학 연구자들의 임상시험 등에서 필요로 하는 생명윤리 원칙과 법, 규정 등을 연구한다. 아울러 사회의 많은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생명의료윤리 전문가들을 양성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이에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는 생명의료윤리 전공 특성화를 통해 철학․윤리적 지식 및 사고 능력을 함양하고 생명의료윤리 이론과 실무를 배양함으로써 철학․윤리적 지식 및 사고 능력을 갖춘 생명의료윤리 실무에 능통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학과에 입학한 학생들은 1학년에서 철학과 생명의료윤리의 기초과정을 이수하고 2학년부터 생명의료윤리 핵심 과정을 이수하며 동시에 일반 철학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한다. 생명의료윤리 전공 특성화 교과 과정은 기초 학문교육과 생명의료윤리 전문 및 실무 교육으로 구분되는데, 기초 학문교육은 주로 철학, 윤리학, 생명의료윤리학과 같은 이론적인 내용으로 구성되며, 생명의료윤리 전문 및 실무교육은 IRB 기관과 임상시험을 필요로 하는 제약 회사, CRO와 같은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현재 생명의료윤리 연구 분야의 확대 및 바이오산업의 활성화로 인하여 생명의료윤리 관련 기관과 생명의료윤리 전문가에 대한 사회적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학생들의 졸업 후 진출 분야도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This paper will discuss the prospect and education of biomedical ethics by case studying the department of philosophy-biomedical ethics at Dong-a University. Many people agree how important it is to have philosophy in the college curriculum and the fact that philosophy is the root of many fields of studies. Currently the biggest challenge the philosophy department faces is the decrease in number of student applications throughout the years. The reason behind this is difficulty in finding jobs after graduation due to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philosophy as a major. Therefore the Dong-a University's philosophy-biomedical ethics department came up with a solution of specialized program of biomedical ethics to overcome the crisis the department has encountered. Biomedical ethics in perspective of philosophy and ethic is a field that studies on all matters appertaining to human behaviors within the area of health and life science hence carries an enormous academic potential. Biomedical ethics does not stop on theoretical discussions but also studies the principle, regulation, and law of bioethics which are required by the researchers in clinical trials, legal institutions such as judiciary and legislature, medical field, and health policy authority. Hence the philosophy-biomedical ethics department through the specialized program of biomedical ethics is focused on cultivating multifunctional talents who foster knowledge and thinking ability philosophically and ethically by teaching biomedical ethics in theory added with hands-on experi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educational goal,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complete primary subjects of philosophy and biomedical ethics in freshman year and by sophomore year the core subject of biomedical ethics in conjunction with an elective subject in philosophy should be completed. The curriculum of specialized program of biomedical ethics consists of basic theory courses and practical training and specialization courses. The basic theory courses include philosophy, ethics, biomedical ethics, etc. The practical training and specialization courses focus on giving students hands-on experience which is necessary in the field such as CRO or even pharmaceutical companies who are in need of IRB and clinical trials. The social demand for a biomedical ethics related institutions and experts is in rise caused by an increase in biomedical ethics studies and vitalization of biotechnology industry. Therefore we have a bright prospect in expansion of fields which the philosophy- biomedical ethics graduates can enter.

      • KCI등재

        생명윤리교육에서 내러티브 활용

        김대군 ( Dae G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윤리교육연구 Vol.0 No.27

        본 논문은 생명윤리교육에서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방안을 해석학적 관점에서 찾아보았다. ``의료해석학``과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원용해서 생명의료윤리교육에서 내러티브 탐구가 필요한 이유와 그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생명의료영역에 해석학적 접근이 요청되는 이유는 우선 생명현상을 자연과학적 접근으로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인간의 탄생과 성장, 죽음에 대한 생명에 대한 과학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명은 설명의 대상이라기보다는 이해와 해석의 대상이라는 관점의 전환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생명의 과학적 의미, 철학적 의미, 해석학적 이해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의료해석학의 관점에서 인간이 내러티브 텍스트로서 간주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다음 장에서는 생명의료영역에서 바른 진단은 과학적 자료 못지않게 환자와 의사의 소통에 있다는 점에서 내러티브 텍스트가 갖는 비중을 고찰하였다. 생명의료영역은 순수과학으로서가 아니라 해석학적 기획으로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 레더(Drew Leder)의 주장을 논거로 삼고, 내러티브 텍스트가 의사와 환자의 지평융합의 중심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내러티브 해석은 의사와 환자를 주종관계로 서열지우는 것이 아니라 상호주관성을 토대로 자기이해와 행동으로 이전된다는 점에서 윤리학적 관점을 동반한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다음 장에서는 생명윤리 교육 모델로서 내러티브 탐구가 어떤 의의를 갖는지를 탐색하였다. 내러티브 해석을 하는 생명의 료윤리교육의 목적은 모든 인간은 흠이 있다는 점을 수용하고 타자의 고통에 공감하는 것이라는 것을 제시하고, 의료현장과 교육현장에서 내러티브 탐구와 해석을 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생명의료윤리교육은 생명의료현장에서 의사가 환자의 내러티브를 탐구하는 과정과 유비될 수 있다. 생명의료윤리교육에서 직접 환자들의 내러티브를 탐구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의사가 환자의 내러티브를 탐구하듯이 생명의료윤리 주제들의 교수학습에 있어서 기존의 내러티브를 활용해서 탐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This paper investigates narrative inquiry in biomedical ethics education on the view of hermeneutics. I tried to explore the advantage of the narrative inquiry in biomedical ethics education. Hermeneutical approach to the biomedical area is helpful to understand human life phenomenon. We can``t understand fully the human birth, growth and death for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has its limits. Life and disease is not only the scientific object but also human life`s experience. Hermeneutics is an instrumental argument for the exact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From the perspective of clinical hermeneutics and narrative inquir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of human life, the possibility of human life text, The role of narrative text, The relationship between hermeneutics and ethics in narrative inquiry, Narrative analysis in medical practice and education courses. There is an ontological and ethical meeting point in narratives. Comprehension is both an epistemological as well as an ontological phenomenon. Physician and the patien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intersubjectivity in narratives. Teachers and students can meet the patient and the physician`s experience and the truth in their narratives. In this paper, I consider the clinical field and the educational field as the similar narrative space, physicians are require to understand patients.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clinical field and the patient to make ethical judgm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따른 공감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간의 상관관계 연구

        박미마,송은경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6

        미래의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의 환자의 존엄성을 지키고 환자에게 최상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갈등상황에게 바른 결정을 내리기 위해 생명의료윤리의식, 공감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공감능력, 비판적 사고성향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생명의료윤리의식의 긍정적인 확립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G시에 간호학과 2, 3학년에 재학 중인 185명이다. 생명의료윤리의식과 공감능력 및 비판적 사고성향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9월 27일부터 10월 8일(12일간)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6.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로 구하였다.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 공감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생명의료윤리의식, 공감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확인하였다.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 공감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의 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은 2.86(4점 척도)로 하위영역으로 신생아 생명권이 가장 높고, 태아의 생명권, 안락사가 낮았다. 공감능력은 3.74(7점 척도), 비판적 사고성향 3.54(5점 척도)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연령(t=3.71, p= .01), 공감능력은 연령(t=2.93, p= .04), 간호학과 지원동기(F=2.89, p= .02), 전공만족도(F=4.08, p= .01)이었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전공만족도(F=3.40, p= .01)이었다. 생명의료윤리의식과 공감능력(r= .16, p= .03),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비판적 사고성향(r= .15, p= .05), 공감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r= .51, p< .01)간의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대학생은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긍정적인 확립을 위한 간호교육 전략으로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및 경청을 통한 공감능력 증진교육과 다양한 영역에서의 윤리적 딜레마 같은 사례를 토대로 비판적 사고성향을 다루는 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학점은행제 간호학과 학습자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양선희,이규영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6 No.1

        Purpose: This was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gnizance or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mong of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with varying degrees of nurse's clinical experience. Methods: A total of 101 nurses were selected from an institute of industrial studies in Seoul, Korea,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12 to May 2013. A total of 66 questions using a 4-point Likert Scale were administered.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with which the frequency, means, ANOVA and correlations. Results: The mean score of participants’ cognizance or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was 2.98. While scores were highest in the categories regarding “the right to life of fetuses” and “artificial abortion” (3.33 and 3.09, respectively), they were lowest on “brain death” and “euthanasia” (2.63 and 2.72, respectively). In addition, data analyses revealed that the nurse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clinical experience in two areas: the right to life of and euthanasia.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ifferences in nurse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ccording to their clinical experience were influenced by their personal experiences of treating patients. There is a need, therefore, to develop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nurses’ knowledge of biomedical ethics, particularly with regard to euthanasia. 이 연구는 서울시 A대학교에서 운영하는 산업교육원 학점은행제 간호학과 101명의 학습자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의식정도를 알아보고, 생명의료윤리의식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을 포함하여, 태아의 생명권, 인공임신중절, 인공수정, 태아진단, 신생아 생명권, 안락사, 장기이식, 뇌사, 인간생명공학 등 생명윤리의식에 등 총 66문항을 측정하였고, 분석방법은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ANOVA, Scheffe-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학점은행제 학습자인 간호사들의 임상경력에 따른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F=.458, p=.634),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하위영역인 신생아의 생명권(F=6.114, p=.003), 안락사(F=3.236, p=.044)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태아의 생명권은 임상경력 5년 이상 된 간호사가 3.5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임상경력이 전혀 없는 간호사가 3.35점, 1년에서 4년 경력을 가진 간호사가 3.06점 순이었다. 또한 안락사에서는 임상경력이 전혀 없는 간호사가 2.74점, 1년에서 4년 된 간호사가 2.79점, 5년 이상의 임상간호사는 2.52점으로 점수가 가장 낮아 임상경력이 5년 이상 된 간호사가 안락사를 반대하는 입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하위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인간생명공학과 태아의 생명권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332, p<.01), 태아진단과 태아의 생명권(r=.362, p<.01), 태아진단과 인공임신중절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412, p<.01). 또한 신생아의 생명권과 태아의 생명권 간에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391, p<.01). 이상과 같이 학점은행제 간호학과에 수강중인 학습자들의 간호사 임상경력에 따라 태아의 생명권과 안락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므로 이는 향후 질적연구를 병행한 심도 있는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태아의 생명권과 안락사에 대한 생각은 옳고 그름의 답이 없으므로 지속적인 경향성을 보는 것도 필요하며, 본 연구는 향후 간호윤리 및 생명의료윤리 교과목 개설 혹은 간호사 대상 윤리관련 직무연수 설계 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서울시 소재 일 개 학점은행제 간호학과 학습자를 대상으로 임의 표집 하였으므로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 KCI등재

        국내 생명의료윤리 전공자의 보건의료분야 진출 현황

        구영모 대동철학회 2014 大同哲學 Vol.69 No.-

        이 글의 목적은 국내 생명의료윤리 전공자들의 보건의료분야 진출 현황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http://www.riss.kr/ 검색을 통해 국내에서 출판된 생명의료윤리 학위논문 177편을 추출하였다. 57% 논문의 저자들의 직업이 종교인, 교사, 의/치/한의사, 간호사, 법조인, 기자, 사회단체종사자로, 7인은 대학교수 및 연구기관의 간부로 파악되었다. 구직자 46% 저자들의 전공은 철학, 윤리학, 법학, 여성학, 과학기술학 등이었다. 5개 대학교 7개 대학원 학위과정의 재학생 및 졸업생의 보건의료분야 취업 현황을 조사하였다. (재)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동아대학교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대학원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대학원 법학전공의 석‧박사 재학생 및 졸업생의 보건의료분야 진출 현황을 표로 제시하였다. 대학원 과정별 특징을 분석하였고, 종합병원 IRB를 중심으로 인력수요가 당분간 계속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and the future outlook of those studying biomedical ethics in graduate programs in S.Korea. 177 graduate theses and dissertations were processed, by using a search engine available on the web http://www.riss.kr/. 84 authors’ professions are conjectured, ranging from priests, teachers, medical doctors, nurses to lawyers, a TV reporter, and an NGO activist. Other 7 authors are identified to be university professors or a manager at a research institute. 82 authors, presumably on the job market, study philosophy, ethics, law, women’s studies, or STS. This article surveys 7 graduate programs in the 5 universities, to figure out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of both those who completed their graduate studies and those currently enrolled in the program. Tables show the job titles and the working places of those graduates/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and Biomedical Ethics at Dong-A University, and the 3 independent graduate programs at Ewha Womans University. After an analysis of the features of some graduate programs, this article concludes with a prediction that the job market is more likely to be favorable for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given that the hospital IRBs continue to offer job opportunities for people with graduate degrees in biomedical ethics.

      • KCI등재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 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목광수(Kwangsu Mok) 한국생명윤리학회 2015 생명윤리 Vol.16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이하 PBE)의 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생명의료윤리학 영역의 대표적인 저서인 PBE의 30여 년의 개정 역사를 ‘실천적 부분’으로부터 ‘이론적 부분’으로의 체계화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생명의료윤리학이 체계화되기 위해서는 실천적 부분과 이론적 부분이 정교하게 정립되어야 하는데, 현실적 이유 때문에 전자로부터 시작한 PBE가 후자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교화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논문은, PBE 개정을 전체 골격을 유지하면서 수정하고 보강하는 측면과 철학적 체계화를 위해 질적 변화를 추구하는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전자는 시대적 흐름과 함께 제기된 생명의료윤리 영역의 새로운 주제들에 대응하는 동시에 다양한 독자들을 포함하려는 저자들의 소망을 충족하기 위한 수정과 보강 과정이다(2장). 후자는 생명의료윤리 영역에서 제기된 PBE에 대한 학문적 비판에 대응하고 PBE 자체의 체계화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3장). 본 논문은 PBE 개정의 역사를 실천적 부분을 중시하는 단계(1판~3판), 실천적 부분에서 이론적 부분으로 체계화하는 과도기(4판), 이론적 부분의 강화를 통한 체계화의 단계(5판~7판)로 구분한다. 연역주의였던 PBE 1판~3판은, PBE를 원칙주의로 규정하고 제기된 비판에 대응하기 위해 4판부터 광의의 반성적 평형을 도입하여 정합론으로 전환되고, 구체화와 결합한 비중주기의 행위지침 논의와 공통도덕 논의를 통해 이론적 정교화를 도모하며, 6판부터는 도덕적 지위 논의를 도입하여 존재론적인 논의를 강화한다. 이러한 체계화 방향성으로 볼 때, PBE는 미완된 이론적 체계화를 강화하기 위해 공통도덕 논의, 광의의 반성적 평형 논의, 도덕적 지위, 덕성 논의를 중심으로 개정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본질적으로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y research)인 생명의료윤리학이 제대로 정립되기 위해서는 실천적 부분과 이론적 부분의 체계화가 필수적임을 역설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perspective on the revision history of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hereafter PBE) written by Tom Beauchamp and James Childress (hereafter BC). I argue that BC have revised their work to systemize PBE from practical to theoretical factors. In the 1st~3rd editions, PBE focused on practicalities such as principles expected to resolve pressing biomedical issues. For this reason, at that time BC only sketched rough theoretical explanations, such as an account of justification, in PBE. As PBE editions evolved, many scholars criticized the work as being theoretically weak, and many readers requested that BC should strengthen the theoretical explanations in PBE and discuss methodology and justification accounts in greater depth. In the 4th edition of PBE, BC introduced their theories of wide reflective equilibrium, specification and balancing (and weighing), and common morality to respond these critics and readers’ requests. Thereafter (in the 5th~7th editions) BC have strived to justify their PBE epistemologically. They attempt this using their accounts of wide reflective equilibrium and common morality to propose an action-guiding method with specification and balancing (and weighing) and to systemize PBE feasibly and theoretically. In the 6th edition, BC included a new chapter discussing moral status in PBE, which relates to ontology. This analysis supports my claim that BC have revised PBE to systemize PBE’s practical factors to theoretical factors. Despite these introductions and complexifications, PBE is still theoretically insufficient and it will need further revision for theoretical systemization focusing on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factors.

      • KCI등재

        기독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백성희 기독교학문연구회 2014 신앙과 학문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establish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based on desirable Christian worldview by identify and analyze the degree of their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for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be in charge of health care field. The subjects were 280 students (health care major) from 2 christian universities in C city. To assess student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biomedical ethics measurement survey implicated via 9 categories and 49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 analyzed by real number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degree of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nalyzed b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degree of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 analyzed by t-test, ANOVA, and Scheffe test. The mean of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was 2.93. In each category, the highest score was ethics consciousness for the right to life of fetus was 3.31, and the right to life of newborn baby was 3.29, transplant was 3.05, fetal diagnosis was 3.01, artificial insemination was 2.98, human biotechnology was 2.82, euthanasia was 2.75, artificial abortion was 2.45, and ethics consciousness of brain death was 2.35 which was the lowes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tudents’ major and religious activity showed the differences which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 ethics consciousness than department of EMT, and students who participate religious activities very hard had significantly high ethics consciousness than other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ant religious activity. Morality or ethics consciousness is educated and trained, not innate ability. In a Christian university, medical ethics consciousness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is required. 본 연구는 보건의료 분야에서 주역을 담당하게 될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를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기독교대학에서 학생들의 바람직한 기독교세계관에 입각한 생명의료윤리관 확립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C지역 소재 2개의 기독교대학에서 보건의료를 전공하는 대학생 280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총 9개의 범주, 49문항으로 구성된 생명의료윤리의식 측정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의식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고, 사후검증은 Scheffe test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평균은 2.93점이었다. 범주별로는 태아의 생명권에 대한 윤리의식이 3.3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신생아의 생명권 3.29점, 장기이식 3.05점, 태아진단 3.01점, 인공수정 2.98점, 인간생명공학 2.82점, 안락사 2.75점, 인공임신중절 2.46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뇌사에 대한 윤리의식이 2.35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나타낸 특성으로는 학생들의 전공분야와 종교생활에 참여하는 정도로,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이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윤리의식을 가졌으며, 종교생활을 아주 열심히 하는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윤리의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이나 윤리성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교육되고 훈련되어지기 때문에 기독교 대학에서는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생명의료윤리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