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면적비에 따른 2색배색의 색채조화와 심리메트릭량의 관계

        이윤진(YounJin Lee)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1

        본 연구는 면적비에 따른 2색배색의 색채조화의 변화를 검증하고 배색의 심리메트릭량 별 면적비와 조화도의 관계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 1에서는 63명의 피험자가 1 : 1 면적비 구성의 2색배색을 조화도가 증가되도록 면적비를 조절하였고 실험 2에서는 40명의 피험자가 실험 1에서 조절된 면적비로 구성된 배색의 조화도를 평가하였다. 두 실험에서 사용된 배색샘플은 선행연구에 서 평가된 조화도를 기준으로 조화도가 높은 고평가군과 낮은 저평가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 결과, 대부분의 샘플이 면적비가 조절되었을 때 조화도가 증가되었고 증가의 폭은 저평가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고평가군의 배색은 면적비를 변화시켜도 조화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색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저평가군의 배색은 면적비에 따라 조화도가 변할 수 있는 색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즉, 면적비는 배색의 색채조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지만 배색 구성색의 심리메트릭량이 조화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고평가군 배색의 심리메트릭량의 특징은 평균명도가 높고 명도차가 크며 색상차가 작다. 저평가군의 특징은 이와 반대인데 면적의 비율에서 소면적을 극소화시킨 엑센트배색의 경우 조화도가 증가되었다. 이때 소면적에 저명도색을 적용시켜 두 색의 명도차를 강조하고 고명도의 면적을 크게 하여 전체적으로 평균 명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 조화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색상차가 크다는 것을 강조하지 않기 위해 2색 중 한쪽을 소면적으로 적용하면 조화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what change color harmony of two-color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area ratio, an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he area ratio and harmony for the psychological metric quantities respectively. In Experiment 1 for 63 subjects, area ratio of two-color combination composed of 1 : 1 area ratio was modulated to increase the harmony. In Experiment 2, 40 subjects evaluated the harmony of two-color combination composed of the modulated area ratio from Experiment 1. Two-color combination samples used for both experiments were comprised of the high evaluated group and low evaluated group based on the harmony assessed from previous study. As a result, harmony increased when modulating the area ratio in most samples of high and low evaluated groups. However the increase was higher in the low evaluated group. It suggests that samples of the high evaluated group are formed by colors rarely influencing the harmony even when area ratio is changed but that of the low evaluated group are formed by colors influencing the harmony according to the area ratio. In other words, it showed that area ratio has an effect on the color harmony of two-color combination but psychological metric quantity is an important factor deciding the harmony. In the high evaluated group, harmony increase when they have high mean lightness, large lightness difference, and small hue difference. On the contrary, harmony may increase if accent combination is applied for the more minimized small area, in the low evaluated group. Here, as for the small area, harmony may be enhanced through applying low lightness colors, emphasizing lightness difference of both colors and enlarging the area of high lightness so elevating the mean lightness. Besides, in order not to emphasize a large hue difference, it is possible for increasing the harmony in case small area is applied to one of two colors.

      • KCI등재

        저층 건축물의 지붕색과 몸통색의 적정 명도차에 관한 연구

        윤희철(Yoon Heecheol)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1

        지붕과 몸통으로 이루어진 층 이하의 소규모 건축물들에 4 있어서 지붕색과 몸통색이 일정한 명도차이를 유지하면 색상을 달리 하더라도 비교적 일정한 조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건축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Brown(5R 4/2), Gray(N4) 2가지의 지붕색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붕과 몸통으로 구성된 입면도를 2층, 3층, 4층으로 작성하였다. 몸통색은 한국표준색표집에서 R, Y, G, B의 색상 중 각 색상의 순색에 가까운 5R, 5Y, 5G, 5B에 있는 색상 챠트에서 4가지 계열 모두 3에서 9까지의 7단계의 명도 단계를 공통적으로 가질 수 있는 채도로 각 색상마다 ‘2’의 채도를 가지는 색상을 선택하였다. 설문은 학생들에게 7개의 입면을 빔프로젝트를 통하여 한 화면에 비춘 뒤 선호하는 입면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응답된 설문은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가지 지붕색에 따른 지붕색과 몸통색간의 명도차는 몸통색이 3∼4정도 더 높은 명도차를 가지면 양자간의 비교적 조화로운 배색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지붕색에 따른 몸통색의 색상 선호도 차이는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Brown과 Gray계열의 지붕색에서는 어떠한 지붕색을 선정하던지 3∼4정도의 명도차가 있는 몸통색을 선정하면 일정한 조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지붕색을 고정하고 몸통색을 변화해도 일정한 명도차(3∼4)의 명도를 지닌 배색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령 지붕색의 명도가 ‘4’라면 몸통색의 명도가 7∼8정도이면 어떠한 색이건 지붕과 몸통은 일정한 조화를 이룰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넷째, 성별에 따른 선호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몸통색의 명도가 약간 더 낮은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자의 경우 여자들보다 지붕색과 몸통색의 명도차가 낮은 배색을 하는 것이 더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다섯째,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근소한 차이이기는 하나 지붕색과 몸통색의 명도차가 작은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여자보다 남자가, 저학년보다 고학년이 지붕색과 몸통색의 명도차를 더 낮게 배색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I supposed, in those buildings that lower than 4th floor which consisted of Roof and Body, if you keep a little bit Value differences between Roof and Body Colors, even though their different colors, anyone can get reasonable Color Harmony. To verify this, I made some elevations that consisted of Roof and Body with 2nd, 3rd, 4th floor. I chose two colors of Roof which made of shingles, Brown(5R 4/2) and Gray(N4) colors. And I took the colors of Body that have Chroma "2", which have Value 3 9 in 5R, 5Y, 5G, 5B. I selected ~ every Body Colors in the color chart "Korean Standard Color(1991)". And then I took some questionnaires to 121 students who study architecture in the university by using beam projector in the dark room. After that, I analyzed those datum with SPSS package. Analysis methods are Frequency and Cross-tabulations. In conclusion, 1st, in case of two Roof Colors(Brown(5R 4/2) and Gray(N4)), if Body"s color is 3~4 higher Value than Roof, there will be reasonable Color Harmony between Roof and Body Colors. 2nd,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s of Body Color in according to Roof Color. Therefore, there will be somewhat reasonable Color Harmony between Roof and Body Colors even if you select any Roof Color that has 3~4 differences of Value in those cases of Brown and Gray Roof Color. 3rd, many students prefer 3~4 higher Value color arrangements in every Body Colors with fixing Roof Color by one. 4th, in the preference of sex, men prefer lower Value of Body color than women. Therefore, to make higher preferences of Color Harmony for men, you"d better to make arrangement lower differences of Value between Roof Color and Body Color. 5th, higher grades prefer little differences of Value of Body and Roof Color arrangements. Therefore, you"d better to make arrangement lower differences of Value between Roof Color and Body Color for men and higher grades.

      • KCI등재

        색채조화의 예측식에 관한 연구

        이윤진(Younjin Lee)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1

        본 연구는 간략하게 실시 가능한 심리실험을 제안하고 객관적이면서 의미해석이 용이한 설명변수를 채택한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2색배색의 조화에 대한 주관평가치와 구성 메트릭지각량과의 정량적 관계로부터 응용 가능한 색채조화의 예측식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인 20명과 외국인 20명을 대상으로 102종의 2색배색의 조화에 대해 주관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주관평가치와 구성색의 메트릭지각량의 관계로부터 색채조화 예측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목적변수로서 조화에 대한 주관평가치를 채택하였고 설명변수로서 2색배색을 결정하는 필요충분한 메트릭지각량인 CIELAB 균등색공간에서의 2색의 평균명도 L<SUP>*</SUP> , 평균크로마 C<SUP>*</SUP>, 평균색상각 h 및 2색의 명도차 Δ L<SUP>*</SUP>, 크로마차ΔC*, 색상차ΔH*의 총 6변량을 채택하였다. 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설명변수의 유용성을 기준으로 변수의 수를 감소시켰다. 최종적으로 평균명도 L<SUP>*</SUP>, 명도차의 절대치|ΔL<SUP>*</SUP> |, 색상차의 절대치|ΔH<SUP>*</SUP> |, 크로마차의 절대치|Δ C <SUP>*</SUP>|로 이루어진 4변 량, 혹은 크로마차의 절대치|Δ C<SUP> *</SUP> |를 배제한 3변량에 의한 간결한 중회귀식이 도출되었다. 이 식의 해석에 의하면 2색배색을 볼 때 2색의 평균명도 및 명도차의 절대치가가 크고, 색상차의 절대치 및 크로마차의 절대치가 작을수록 조화에 대한 평가가 높아진다고 예측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복잡한 심리실험 및 분석이 수반된 선행연구의 결과와도 양호하게 대응되었다. This study proposes prediction equation for color harmony of two-color combination derived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suggests a psychological experiment that researcher can easily carry out, perform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nterpretative predictor variables, and develops estimate equations effectively applicative. Forty observers, including 20 Korean and 20 foreigner subjectively evaluated color harmony of one hundred two color pairs on a <harmonious-disharmonious> scale.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ed values and the metric quantities of the two-color combinations.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quantities to determine the two-color combinations were chosen as predictor variables for the analysis. There were six quantities. The mean values were L<SUP>*</SUP>, C<SUP>*</SUP>, h and the color differences were Δ L<SUP>*</SUP> , Δ C<SUP>*</SUP>, Δ H<SUP>*</SUP> on the CIELAB.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was determined to be four quantities, L<SUP>*</SUP> and absolute values of Δ L<SUP>*</SUP> , Δ C<SUP>*</SUP> , Δ H<SUP>*</SUP>, or three quantities excluding the absolute value of Δ C<SUP>*</SUP> . It can be presumed that when we see a two-color combination, with large mean lightness and large lightness difference, and also with small hue difference (and small chroma difference), the combination tends to be evaluated as color harmony. The result shows that this study agree well with previous studies with complex psychological experiments and analysis.

      • KCI등재

        색의 순서 변경을 이용한 색의 조화 개선 방법

        유민준(Min-Joon Yoo),이인권(In-Kwon Lee)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12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18 No.4

        색의 조화로움(harmony)은 조화로운 색들의 선택 뿐 아니라 각 색들의 배치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색상의 배치 순서에 따라서 사람이 느끼는 조화로움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보인다. 특히 색의 배색 및 선택에서 자주 사용되는 색 테마(Color Theme)의 구성 색들에 대한 예제를 보인다. 이를 위해서, 먼저 Ou [1][2]가 제안한 방법을 이용한 색상 배치 방법을 소개하고, 색 간의 차이를 최소로 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제안을 한다. 이를 통하여 다수의 색이 구성되어있을 때는, 각 색들 간의 조화로움을 계산하여 순서를 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전체 색들 간의 차이가 적을 때 더욱 조화롭게 느껴진다는 것을 보인다. 사용자 평가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색 테마의 전체적인 조화로움을 더욱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Color harmony is affected by order of colors or orderly arrangement as well as harmonious colors themselves. In this paper, we show people perceive the degree of harmon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rderly arrangement of colors. Especially, we use the order of colors in color themes, or color schemes which have been largely used for color selection. We first present the method for harmony calculation of Ou’s researches[1][2] and then suggest a method considering minimum color distance of component colors. For a design consisting of multiple colors, we show overall harmony of colors is more important than each harmony of adjacent component colors. By user study, we conclude that the suggested method can enhance the harmony of color theme.

      • KCI등재

        색채조화도 및 선호도에 대한 평가구조의 비교연구

        이윤진(YounJin Lee)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2

        본 연구는 색채조화도 및 선호도에 대하여 배색의 특징을 중심으로 피험자의 평가구조를 비교분석하여 색채디자인에 유용한 기준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98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70종의 배색샘플에 대한 조화도 및 선호도 각각에 대하여 7단계 평정척도에 의해 주관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화도 및 선호도에 대한 평가 간에 0.8의 높은 상관관계가 확인되어 전체적인 평가의 경향은 유사한 반면, 피험자가 선택한 평정척도의 단계점 분포에 의해 조화도와 선호도 간에 상이한 평가기준의 내재가 추측되었다. 이에 조화도 및 선호도에 대한 평가구조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화도는 주된 평가기준이 제1주성분으로, 부차적인 평가기준은 제2주성분으로 양분되었으며, 선호도는 제1주성분으로 주된 평가기준이 집약되었다. 구체적으로 조화도는 배색을 구성하는 색 간의 관계에 의한 평가기준이 지배적이어서 색상이나 톤이 동일 · 유사 · 대조관계인 것이 우선적으로 평가되었으며, 선호도는 배색구성색의 색속성에 의한 평가기준이 지배적이어서 색상이나 톤이 어떤 계열인지가 우선적으로 평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조화로운 색채사용을 위해서는 배색구성색 간의 관계를 중요시하고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색 자체의 속성을 중요시해야 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subjective evaluation experiment about color harmony and preference on 70 color combination samples for 98 subjects by 7-step rating scale with a view to suggesting a useful criterion for color design through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n subjects" evaluative structure for color harmony and preference centered on characteristics of color combination. Experimental findings are as follows. While there was high correlation of 0.8 between evaluations of harmony and preference so showed a similar tendency in the entire evaluations, it was identified that different evaluative criteria were inherent between harmony and preference by a phase point distribution of the rating scale selected by a subject. Therefore,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if there was a difference of the evaluative structures for harmony and preference. As a result, harmony was bisected showing a main evaluative criterion as the 1st principal component and the secondary as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Also, as for the preference, main evaluative criterion was converged into the 1st principal component. In detail, evaluative criterion by combination colors is dominant for the harmony so the same · similar · contrast relations of color or tone were prioritized for evaluation. Evaluative criterion by attribute of combination colors is dominant for the preference so series of color or ton was prioritized for evaluation. Accordingly, relation among combination colors shall be put emphasis for harmonious colors and attribute of a color used shall be attached weight to increase preference.

      • KCI등재

        주관적 색채감성에 의한 형태색과 배경색의 배색평가 및 배색관계 분석 -각도계산을 이용한 색상관계 표현법의 제안-

        이미용 ( Lee Mi Y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PC, 타블렛 PC, 스마트 폰 등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색, 문자, 사진, 동영상과 같이 다양한 시각 요소에 의해 콘텐츠가 표시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매체의 사용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고, 그 중에서도 색상에 대한 중요도는 점차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화면의 시각 요소에 대한 색채 관계를 밝혀내는 것은 디지털 콘텐츠 제작을 위한 색채 계획에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색채감성을 “어떤 색채 자극으로부터 받는 개인의 주관적인 인상과 그에 대한 반응”으로 정의하고, 형태색과 배경색의 배색평가를 실시하여 색채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색상환상의 각도계산을 이용한 새로운 색상관계 표현법을 제안한다. 실험에서는 형태색과 배경색의 배색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 화면상에서 쉽고 자유롭게 색채 표현이 가능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주관평가를 위하여 「돋보이는」과 「차분한」의 2가지 평가기준을 설정하였고, 단수배색과 복수배색의 두 가지 유형으로 총 32항목에 대해 실험을 구성하였다. 실험참가자는 평균 23세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 50명이다. 실험참가자는 화면 중앙에 제시된 형태의 색상에 대해 평가기준에 따라 색상, 명도, 채도를 조절하여 배경색을 선택한다. 실험결과, 형태를 눈에 띄고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형태색과 반대되는 보색을 배경색으로 선택했고, 형태와 배경의 대비를 통해 양쪽 모두 눈에 띄도록 하려는 경향이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으로 형태색에 관계없이 그린계열의 배경색은 형태를 차분하게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가지 색을 조합해서 만든 복수배색 실험에서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색의 배치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형태색과 바탕색의 배색관계에서는 색의 배치 위치보다 색 자체의 특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형태색과 배경색의 관계를 색상환상에 각도 계산을 이용하여 위치를 나타냄으로서, 색상 관계를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표현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사용한 형과 배경을 실제 디자인 요소로 변환하여 실험을 실시하고 이번 연구 결과와 비교한다면 시각 디자인과 기초조형 분야의 색채 연구로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color Kansei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object`s hue and the background color focused on individuals` color sensitivity to display screens. We utilized a subjective evaluation method for two evaluation items: “choice of a background color that stands out from the object” and “choice of a background color that complements the object.” Thirty subjects had free choice of a background color for an object that wa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by operating the color controllers for hue, saturation, and value. The results indicated that an object stood out when the background was an opposite color and when both the object and background colors were bold. It also found that a greenish background color gave a calming impression, regardless of the object`s color. In addition, we obtained quantitative results for the user category by showing the hue and relationship of the background color on the hue circle.

      • KCI등재

        일러스트레이션 얼굴 이미지의 메이크업 색채 효과

        한혜진(HyeJin Han)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1

        최근 다양한 미디어 매체의 이용 증대로 다양한 분야에서 피부색의 컬러 어피어런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퍼스널 컬러는, 피부색의 컬러 어피어런스를 고려하여 배색 조화를 생각한 피부색 분류법이 가장 널리 응용되고 있어 최근 한국의 패션 뷰티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분야이다. 패션 뷰티 분야에서 메이크업 효과를 보여주기 위해 일러스트레이션 얼굴 이미지를 활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색채학적으로 그 효과가 분석된 예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은 퍼스널 컬러의 피부색 분류법을 기초로 일러스트레이션 얼굴 이미지를 이용한 메이크업 효과를 색채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을 통하여, (1) 일러스트레이션에 쓰인 피부색의 베이스 컬러에 따라 민낯과 메이크업 피부색의 구별이 가능한지, (2) 시감 등색 평가를 통하여 색조 메이크업의 종류에 따라 일러스트레이션 얼굴 이미지의 피부색을 다르게 인지하는지, (3) 모자이크 패턴과 일러스트레이션 얼굴 이미지의 비교하여 피부색의 지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러스트레이션 얼굴 이미지를 통한 베이스 메이크업은 퍼스널 컬러의 블루 베이스 개념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색조 메이크업의 종류에 따라 피부색의 컬러 어피어런스가 변화하여 포인트 메이크업의 효과가 가능하였다. 이러한 메이크업 효과는 얼굴 이미지에서 일어나는 독특한 효과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심리 물리적 실험을 통하여 퍼스널 컬러의 개념을 기초로 일러스트레이션 얼굴 이미지를 활용한 메이크업 표현이 색채 과학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이 증명되어 어플리케이션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 Makeup expressions using illustration have been consumed frequently. Therefore, the skin color appearance has been studied in a variety of fields, because of increasing various media. Among those fields, the personal color, which made use of color harmony based on human skin color, has become popular in Korean beauty fashion industries. Although illustration facial images have been used in the beauty fashion industries for showing effects of makeup, examples of analysis in terms of color science were hard to find. In this study, the purpose is analysis of makeup expressions on illustration face image in terms of color science, based on skin color classification in the personal color analysis. In three experiments, (1) the distinction between no-makeup skin color and makeup skin color on illustration images, (2) the skin color appearance of illustration facial images with point makeup through color matching test, (3) effects of face perception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illustration facial images and mosaic patterns including skin color,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base-makeup images on illustration face were similar to the concept of blue-base in the personal color. And strong effects of memory colors could be considered, because light skin colors were preferred as makeup images. Effects of point-makeup were clarified on illustration facial images, because the skin color appearance was changed through a variety of makeup styles. Moreover, point-makeup was effective on only facial images. Through psychophysical experiments based on the personal color, possibilities of makeup expression on illustration could be verified. Applications, applied to effects of makeup expression on illustration, would be made a proposal.

      • KCI등재

        자연경관을 고려한 농어촌마을 환경색채계획

        김현선(Kim hyun-sun),주정희(Joo Jung-hee),윤혜진(Yun hye-jin),김나라(Kim na-ra),김미숙(Kim mee-sook)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4

        농어촌경관은 인공경관과 자연경관의 복합으로 나타나며 자연경관과 건축물이 동시에 인지되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70년대 이후 개발 위주의 계획으로 무분별한 건축물이 세워 졌고 원색적인 색이 주를 이루는 도료의 발달로 우리나라의 농촌은 지역의 특성과는 조화롭지 못한 무질서한 색채로 도색되어왔다. 최근 들어 경관계획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지역의 총체적인 경관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색채는 가이드라인을 세우는 정도에서 언급되고 있다. 변화가 많고 빠르게 변하며 외장재의 종류도 다양하고 복잡하여 구체적인 색채계획이 불가능한 도시에 비해 농촌은 느리게 변하며 사용외장재도 일정한 패턴을 보이는 풍경으로 인식되므로 구체적인 색채계획을 수립하는 게 아름다운 농촌을 만드는데 더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최대의 휴양지이며 농촌경관의 특징을 모두 가진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대표성 있는 대상지 세 곳(바다, 산, 항구)을 선정하여 자연경관과 조화로운 색채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사례로는 제주특별자치도와 유사한 섬들을 대상으로 자연경관과 조화로운 색채계획의 사례, 오랜 역사자원의 소재 색이 이어져 온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통일감 있는 지붕의 색, 자연경관, 특히 해변의 색과 조화가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각각의 대상지에 대해 자연환경과 인공환경으로 나누어 색채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대부분 자연환경의 색보다 높은 채도와 무질서한 색의 사용이 경관의 질을 훼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상지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자연요소에서 색을 추출하여 색채 팔레트를 구성하는 근간으로 삼았으며 지정학적 특성상 섬거주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고 마을공동체 운영이 활발하며 단독가구가 주를 이루는 주택의 특징, 개개인의 아이덴티티를 중요시하는 주민의 특성을 고려하여 옆집과 다른 자신만의 아름다운 집의 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농촌의 색채계획은 자연경관과의 조화를 우선시하며 일방적인 계획이 아닌 거주자의 선택이 가능해야 하며 시간의 변화에 따라 혹은 거주자의 변화에 따라 전체적인 조화 안에서 건축물의 색채도 변해야 색채계획이 지속될 수 있음을 알리고자 한다. The landscape of a rural village is a complex of artificial and natural sceneries and contains a characteristic that buildings and natural sceneries are perceived at the same time. Besides, it has more low-story buildings than a cityspace and is often viewed from a high place because mountains take a large por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1970s, however, most artificial structures had been built without planning 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rural villages had been painted to disorderly colors, igno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Even though the landscape planning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coloring still remains merely as a guideline in a process of planning the overall landscape in a region. Compared to a city where a detailed color planning is impossible due to rapid changes in a city and a variety and complexity of exterior materials, a rural village changes slowly and exterior materials can be viewed as a scenery of a constant pattern. Therefore creating a concrete color plan can effectively lead a rural village into a beautiful place. This study selected three representative sites (sea, mountain, and harbor for each) from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ich is the best vacation spot in Korea and contains all characteristics of rural landscapes, and conducted research 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color plans harmonious with the natural landscapes of the site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examples of harmonious color plans with natural landscapes on similar islands of Jeju and examples in which material colors of historic resources are kept alive. Through this process, those examples draw a conclusion that an unified color of the roofs and the harmony with natural landscapes, especially with the color of seashores are crucial.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coloring by seperating the natural landscape and the artificial landscape for each site, and the result was that using a higher saturation than natural colors and chaotic colors destroys the quality of the landscape.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chose colors extracted from the natural elements as the identity of the corresponding site to become the basis of the color palette, and let people to freely choose their own colors of their beautiful hous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sland village people that they have a strong pride in living in the island, have an active local community, live in single houses, and think individual identities important. This study points out that color planning will last only if color plannings in rural villages importantly consider the harmony with natural landscapes and give freedom of choice to the residents, and if the colors of buildings must harmoniously change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ime and residents.

      • KCI등재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조연캐릭터의 색채사용에 관한 연구

        김설리(SeolRi Kim),김남훈(NamHoon Kim)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3

        애니메이션의 일반적인 스토리는 주연과 악당과의 대립이 전통적인 내러티브이며 관객을 몰입시키는 중심에 있었다. 최근에는 ‘신 스틸러’라는 말이 널리 알려지며 조연도 주연 못지않은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등장인물을 구성하는 조연, 악당, 엑스트라는 스토리의 필수요소로 존재해왔지만 이들이 관객의 이목을 더욱 끌게 된 것은 오늘날 조연캐릭터가 갖게 된 캐릭터성과도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블라디미르 프롭의 <민담형태론>을 적용해 조연을 조력자 역할의 캐릭터로 정의하고 캐릭터를 구성하는 시각적 요소 중 하나인 색채체계를 분석했다. 스킨/털, 헤어, 눈, 의상으로 색상을 분류하여 주연과 적절히 조화를 이루면서도 조연캐릭터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색채 사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색채조화와 색사용빈도를 분석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조연과 주연캐릭터에 모두 먼셀코드 YR, R, Y의 순서로 색이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YR, R, Y의 공통점인 난색의 활동적인 성격과도 일치한다. YR의 색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점은 색에 관한 연상이 상반적으로 일어나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 R은 열정, 강렬함과 동시에 위험, 피, 분노를 연상하고 Y 역시 즐거움, 활력과 주의가 함께 연상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YR은 따뜻함, 명랑함, 생동감과 같은 특질만을 갖고 있다. 캐릭터가 많이 등장하는 팀 캐릭터인 경우 색채조화가 동색 또는 인접색으로 구성되었지만 조연과 주연과의 털색 또는 조연의 의상색이 보색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더 많았다. When it comes to general animation stories, confrontation between hero and villain has lead the whole narrative and it allowed audiences to get immersed into the story. Since people commonly used the word ‘scene-stealer’, sub character began to come into the spotlight as much as main character. Though the types of characters such as sub, villain, or extra have been existed, the reason of great attraction for audiences to those characters is related to a trait of the character. This study defines sub character as in a role of a helper using <Morphology of the Folk Tale> by Vladimir Propp and analyses color system which is one of important visual elements in character design. Each color for analysing color use frequency is categorized according to skin/fur, hair, eye, and costume in order to present a method to use color properly harmonized with main character and express sub character itself. In conclusion, the most highly used color was Munsell code YR, R, and Y in both main and helper characters. It matches to dynamic and warm features of YR, R, and Y. The reason of highest use frequency in YR is related to conflicting associations. Red is associated with both passion, intensity, at the same time, danger, blood, and anger. Y is associated with joy, vitality and warning. On the other hand, YR is associated only positive features such as warm, cheerful, and lively. In case of a team character use monochromatic or analogous color scheme, on the other hand, fur color with helper character and main character, or costume color of helper character use complimentary color schem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