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큰징거미새우(Macrobrachium rosenbergii)의 성장, 체색 및 간췌장 구조에 미치는 개나리(Forsythia koreana) 잎의 영향

        김동우,윤정희,하지은,민정희,박보령,권준영 (사)한국해양생명과학회 2023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Vol.8 No.2

        큰징거미새우(Macrobrachium rosenbergii)는 양식 시설 내에서 체색 불량 및 갑각 약화와 같은 문제로 경제적 손실을 겪고 있다. 이 종은 동물성 원료 기반의 사료로 양식되지만, 야생에서는 식물체 비중이 높은 detritus를 주로 섭취한다. 새우가 야생에서 섭취한 식물체는 기본 영양소 뿐만 아니라 체색의 재료인 카로티노이드의 공급원이기도 하다. 개나리(Forsythia koreana)는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는 꽃나무로 잎에는 황색 당근에 버금가는 양의 카로티노이드가 함유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큰징거미새우에게 개나리 잎을 공급하여 체색 및 건강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사료는 「배합사료 100%(대조구), CON」, 「배합사료 80%+개나리 잎 분말 20%, FP」, 「배합사료 80%+가공하지 않은 개나리 잎 20%, FL」의 세 가지였으며, 각 조건의 사료를 평균 체중 1.1 ± 0.2 g의 어린 새우들에게 10주간 공급하였다. 실험 결과, 체색의 경우, CON의 새우들은 일관적으로 투명한 상아색을 띠었으나, FP와 FL 새우의 경우 사육일의 경과에 따라 푸른색을 거쳐 암갈색으로 변화하였다. 생존과 성장은 CON과 FP 또는 FL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췌장을 조직학적으로 비교한 결과, hepatopancreatic tubule의 구성 세포 중 B cell의 vacuole 크기가 CON에 비해 FP과 FL에서 훨씬 컸다. B cell의 vacuole은 영 양소의 흡수 및 소화의 역할을 하며, 개나리 잎의 공급이 큰징거미새우의 건강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는 큰징거미새우의 양식에 개나리 잎을 활용하면 성장 저해 없이 체색의 개선 및 건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suffers economic losses in aquaculture facilities due to problems such as poor body color and carapace weakness. While this species is farmed on an animal-based diet, in the wild it consumes a detritus diet with a high proportion of plant matter. The plant matter they consume in the wild is not only a source of basic nutrients, but also carotenoids, which are responsible for body color. Korean goldenbell (Forsythia koreana) is a flowering tree widely distributed in Korea, and its leaves contain carotenoids comparable to yellow carro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eding Forsythia leaves to M. rosenbergii on their body color and health. The experimental diets were 100% commercial feed (control), CON, 80% commercial feed plus 20% Forsythia leaf powder, FP, and 80% commercial feed plus 20% unprocessed Forsythia leaves, FL, and each diet was fed to juvenile prawn with an average weight of 1.1 ± 0.2 g for 10 weeks. In terms of body color, the CON prawn were consistently clear ivory in color, while the FP and FL prawn changed from blue to dark brown as the days of rearing progressed. Survival and growt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N and FP or FL. Histological comparison of the hepatopancreas revealed that the vacuole size of B cells, the constituent cells of the hepatopancreatic tubule, was significantly larger in FP and FL compared to CON. The vacuoles of B cells are responsible for the absorption and digestion of nutrients, suggesting that the supply of Forsythia leaves may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health of the M. rosenbergii.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Forsythia leaves in the aquaculture of M. rosenbergii can be expected to improve body color and health without inhibiting growth.

      • KCI등재

        관광과 음식축제, 지역정체성: ‘강화새우젓’을 중심으로

        윤형숙,선영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4 No.-

        Local foods and indigenous food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have been long rooted in the local culinary tradition with authentic taste. In reality, many of them are either recent-rediscovery of the local food tradition or a new invention.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es in which Ganghwa salted transparent shrimp emerges as the special local food i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when the transparent shrimp fishery declines in Yoepo Village, Naega District, Ganghwa County. We give a special attention to the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of leisure, tourism, festivals as well as the geo-environmental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Yoepo village. Development of tourism and festival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local tradition and identity. Traditionally both farming and fishing had been important economic activities in Yoepo village. Transparent shrimp fishery had been especially important in the 1970s through the mid-1980s. It had declined betwee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Instead tourism has become important in Yoepo village. It has sea port terminal for passenger ships operating between Yoepo village and nea-by islands. Growth of the tourism promotes economic activities for the tourists. Selling the sea-products including the salted transparent shrimp that the local people produce become important part of the local tourist economy. Fishery Market - having been named as the Salted transparent shrimp Fishery market - becomes the major place that tourists experience and consume Yoepo village as the authentic place with fishing tradition. ‘Ganghwa salted transparent shrimp festival’ is annually held to promote the tourism in Yoepo village. It utilized the place image as the fishing village. The festival reinforces the village as the transparent shrimp fishing village while tourism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local economy. By naming the locally produced salted transparent shrimp as ‘Ganghwa salted transparent shrimp’, the festival distinguishes it from those produced in other places. Ganghwa salted transparent shrimps are represented as the special local products with unique and authentic taste. Image-making and reconstruction of the Yoepo village as the Ganghwa salted transparent shrimp production village results in the marginalization of diverse village traditions and economic activities such as farming which in the past had been consider as more prestigious and important economic activity. 흔히 향토음식이나 토속음식은 지역에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고유한’ 음식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이들 중에는 근래에 지역에서 재발굴되거나 발명된 것들이 적지 않다. 본 연구는 강화도 내가면 외포리에서 젓새우잡이 어업과 새우젓 생산이 쇠퇴하는 시기에 ‘강화새우젓’이 지역의 특산품으로 등장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필자들은 특히 1990년대 초 이후 한국사회의 경제성장으로 인해 가능해진 여가와 관광, 축제문화의 발달이라는 거시적 맥락과 외포리 지역의 특수한 지리환경 및 사회문화적 요인 등에 주목한다. 관광과 축제는 지역의 특정 전통과 이미지를 강조하거나 활용하기 때문에 지역정체성의 재구성을 동반한다. 전통적으로 반농・반어를 하던 외포리를 비롯한 강화도 어촌지역에서 전문적인 젓새우잡이 어업이 중요해진 것은 1970년대-80년대이다. 1990년대에 이르러 젓새우잡이 어업이 쇠퇴한다. 대신 도시의 일상을 벗어나 섬과 바다를 찾아오는 주말 관광객들을 상대로 하는 관광이 중요해진다. 석모도를 비롯한 인근 도서지역을 운항하는 여객선 터미널이 있는 외포리의 관광객이 크게 증가한다. 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상업활동이 중요하게 된다. 새우젓을 비롯한 지역어민들의 어업생산물이 관광객에게 판매된다. 어민들이 어획한 수산물을 판매하는 새우젓 어시장은 관광객들로 하여금 외포리의 고유한 어촌포구 이미지를 체험할 수 있는 장소가 된다. 관광객의 시선에 의해 어촌과 포구로서의 외포리 이미지가 강화되는 것이다. 지역 활성화를 위해 정포항을 중심으로 개최되는 ‘강화새우젓’ 축제는 외포리에서 판매되는 새우젓이 ‘강화’ 지역의 특산품이라는 이미지를 갖게 한다. 관광지화되고 있는 외포리가 ‘강화새우젓’을 생산하는 전통적인 어촌마을로 재정체화되는 것이다. 어촌마을의 이미지는 지역민들의 관광객 유치 전략과 고유한 포구 이미지를 소비하고자 하는 관광객의 시선이 상호작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관광과 축제를 통해 만들어지는 젓새우잡이 어업과 새우젓 생산을 하는 어촌이라는 지역정체성은 지역 내의 다양한 전통과 집단들의 이해관계를 주변화한다. 축제를 통해 ‘강화새우젓 생산지’ 이미지를 전유하는 외포리와 젓새우잡이 어업을 계속하는 강화지역 내 다른 지역과의 갈등의 소지도 남아 있다.

      • KCI등재

        AIDS 모형을 이용한 국내산 및 수입산 새우 수요체계 분석

        강한애,박철형 한국수산경영학회 2023 수산경영론집 Vol.54 No.2

        This study examines the demand system of shrimp imported from top four countries and domestically produced by using AIDS (Almost Ideal Demand System) model. Top four import countries are Vietnam, Ecuador, China, and Malaysia based on the value of imports in 2021. As results of the analysis, the demand system of shrimp turn out to be below. First, the relationship of domestic shrimp and imported shrimp (Ecuadorian and Vietnamese) is identified as complements or substitutes depending on whether the income effect is considered. This result implies that imported shrimp supplements domestic supply against excess demand while homogeneous shrimp products competes with domestic shrimp in fish market. Second, the relationship among imported shrimps turned out to be both substitutes and complements. Especially, the Vietnamese shrimp is complementary with Chinese and Malaysian shrimp, but substitutes of Ecuadorian. It is assumed that adjoining Asian countries shares similar shrimp species and processing system which differentiates from Ecuadorian. Finally, the study included quarter as dummy variable and GDP as instrumental variable of expenditure in the model. The result confirmed that domestic shrimp is highly on demand during the main production season while imported shrimp is mainly demanded during the rest of the season. 본 연구는 AIDS 모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새우의 수요체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국내산과 수입산 사이의 수요체계와 더불어 수입산 간의 수요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국내산 새우와 2021년 기준 수입 상위 4개국인 베트남, 에콰도르, 중국, 말레이시아 새우를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국내산과 수입산(베트남산·에콰도르산) 새우는 소득효과의 고려 여부에 따라 수요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국내산이 대부분 활·신선·냉장품이고 수입산은 냉동품으로 소비처에 차이가 있으므로 상호 보완적인 관계가 나타나는 반면, 어종이나 제품형태가 유사한 새우 상품에 대해서는 국내산과 수입산이 경합 관계가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수입산 새우 간에는 대체재와 보완재 관계가 모두 나타났다. 특히 베트남산 새우의 경우 중국산·말레이시아산과는 대체재 관계, 에콰도르산과는 보완재 관계로 나타났는데, 이는 베트남과 인접국인 중국산, 말레이시아산 새우는 유사한 어종·상품형태인데 에콰도르산은 이질적인 상품이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AIDS 모형에 지출에 대한 도구변수로 GDP, 더미변수로 분기를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추정결과, 국내산 새우는 주 생산시기에 소비가 확대되었으며, 반대로 수입산(베트남산·에콰도르산)은 국내산 새우의 주 생산시기가 아닐 때 소비가 더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강화도 젓새우잡이 어업의 발달과 변화

        윤형숙(Yoon Hyungsook)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9 島嶼文化 Vol.0 No.34

        강화도를 비롯한 경기 북부 지역은 일찍이 젓새우 어장과 어업이 발달한 곳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젓새우잡이 어업에 대한 연구는 임자도를 비롯한 서남 해안 지역에 치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의 어민들이 젓새우잡이 어업에 참여하게 되는 배경과 과정, 젓새우잡이 어업 형태의 변화, 새우젓 유통체계의 변화 등을 살펴본다. 특이한 것은 어장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인근어장 어업에서 출가어업으로, 출가어업에서 다시 인근어장 어업으로 변화한 것이다. 또한 다양한 어류를 어획하던 어업방식에서 전업화된 젓새우잡이 어업으로, 전업화된 젓새우잡이 어업에서 다시 다양한 어류를 어획하는 방식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현재 외포리 경제 활동에서 젓새우잡이 어업보다는 새우젓의 판매가 더 중요하다. 새우젓의 판매에서 젓새우잡이 어업의 전통과 젓새우잡이 어업 장소로서의 어촌 이미지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In the northern coastal area of Gyeonggi Province including Gangwha island area transparent shrimp fishery has a long history. Nonetheless, little has been studied about the transparent shrimp fishing tradition in this area. This may partly be due to the fact that scholars interested in the topic are mostly from the southwestern area. In this study I examine the socio-historical processes in which fishermen from the Yoepo village participate and specialize in the transparent shrimp fishing. Fishermen from Yoepo area engage in the long-distant fishing until the 1980s. They operate in the southwestern fishing area in Jeonam province. The salted transparent shrimps are distributed through the wholesalers called Gaegju as well as the female peddlers. With the decline of the specialized transparent shrimp fishing, they come back to their local fishing ground. Their interest switches from the production to the distribution and marketing of the salted shrimp. In the market sales men play more important role than before. What is important in the marketing is their fishing tradition and fishery identity which give the authenticity to the commodity.

      • KCI등재후보

        젓새우잡이 어법의 변화

        박종오 ( Jong-o Park ) 남도민속학회 2009 남도민속연구 Vol.18 No.-

        김치문화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젓새우는 단순한 수산물의 의미를 넘어 우리민족의 식생활과 관련이 깊은 중요한 바다자원이다. 18세기 후반에 서울지역에서 새우젓을 이용해 김치를 담가 먹었고, 19세기에는 젓새우를 이용한 새우젓이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다. 이 글은 서해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젓새우잡이 어법의 변화 과정을 정리해 본 것이다. 젓새우잡이 어법은 조석간만의 차가 큰 해역에서 날개가 없는 긴 자루그물을 닻으로 고정 부설하여 조류를 따라 회유하던 젓새우가 자루그물 속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잡는 안강망어법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중에서도 조석간만의 차가 큰 해역 또는 협수로에서 날개가 없는 긴 자루그물 입구의 상부에 수해를, 하부에 암해를 부착하여 1개의 닻으로 고정시켜 대상 생물을 잡는 해선망어법이 대표적인 것이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과 어장 및 어업 환경의 변화에 의해 어구를 일정한 장소에 일정기간 부설해 두고 어획하는 고정망 어법이나, 동력선을 이용해 이동성구획어업을 하는 새우조망 등의 방법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젓새우잡이 어법의 변화는 젓새우의 생태를 이용해 잡던 초기의 어법에서 무동력선 감척을 시행한 정부의 정책, 어업 장소 및 인력 확보 문제, 어장 환경문제 등과 맞물려 다양한 어법으로 바뀌게 되었다. Opossum shrimps that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 of Kimchi culture is importantmarine resources that is closely connected with eating habits of our people beyond mere marine products.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century, people living in Seoul made Kimchi using tiny salted shrimps and in the 19th century, tiny salted shrimps using opossum shrimps were distributed in the entire nation. The current study examined changes in possum shrimps catching methods in the western sea. The main opossum shrimps catching method was stow net fishing methods(Angangmangeobeop) fixing a long net bag without wings with an anchor in the sea with big tidal difference and making shrimps go into the bag. Among them, boat net fishing (Haeseonmangeobeop) that catches fishes by attaching Suhae at the upper part of the entrance of a long net bag without wings and Amhae at the lower part in the sea with big tidal difference or a narrow waterway and fixing them with one anchor is most representative. However, accordingto government policies and fishing ground and fishing environment, the above methods are changing to fixed net methods establishing fishing gears at a certain place for a certain period or shrimp fishing movable section fishing using a power vessel. The methods using the nature of opossum shrimps have changed to various methods relating to government policies to reduce no-power vessels, securing fishing places and workers, environment problem of fishing grounds, etc.

      • KCI등재

        베트남 흰다리새우 양식에서 나타나는 지식과 경험의 상호작용과 지식 생성의 메카니즘

        이준원(Lee, Joonwon)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7 島嶼文化 Vol.0 No.49

        새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경제적 가치가 상승하면서 많은 국가들이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해 새우를 양식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도 새우양식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으며 많은 양식업자가 이를 통해 높은 수입을 올리고 있다. 새우양식에 있어서는 공장에서 만든 사료, 화학물질, 약품의 사용이 필수적이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이 양식업자가 가진 지식과 경험이다. 왜냐하면 양식도 결국 인간의 손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양식업자가 지식과 기술을 획득하는 방식과 그것이 실제 사용되는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양식과 같은 현대의 생산시스템에 있어 지식과 경험의 상호작용 과정과 지식의 속성에 대하여 명확히 할 것이다. 베트남 양식업자들은 “양식의 일반적 절차나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와 같이 외부로부터 유입된 지식”과 “자신들의 개별적인 경험”을 구분한다. 전자는 양식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이론 또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며, 후자는 양식과정에서 획득되는 것으로 각 양식업자가 가진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다르다. 양식업자들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양식을 진행하지만, 각 양식장이 가진 자연환경과 사회적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그것이 모든 양식장에서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아니다. 이로 인해 양식업자들은 상황에 맞추어 양식방법을 변경하며 이것이 축적되어 그들의 경험이 된다. 양식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지식은 탈맥락화되어 있고, 보편적이며 대부분의 양식장에 적용가능 하지만, 경험은 맥락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이 논쟁과 토론을 통해 형성되듯이, 양식과정에서 지식은 경험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며 그 과정에서 변형되고 새로운 지식이 형성되기도 한다. 따라서 경험뿐만 아니라 지식도 ‘맥락적’이고 생성과정에 있다. As the global demand for shrimp grows and its economic value rises, farmers in many countries are cultivating shrimp for its economic benefits. The Vietnamese government encourages shrimps farming, which has helped farmers to earn higher incomes. Although industrially produced feed, chemicals, and antibiotics are used in shrimp-farming,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farmers is essential because shrimps are cultivated by human hand.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s of knowledge and the interaction of knowledge and experience in modern production, such as shrimp-farming, by analyzing the way in which farmers acquire knowledge and apply it to the process of shrimp-farming. Farmers in Vietnam make a distinction between “external knowledge, such as technologies in shrimp culture and information about goods” and “their experience”. The former includes theories and skills that set a direction for the culture of shrimps. The latter is what farmers gain from the production activities and this differs for each situation and each farmer. Farmers grow shrimps based on the knowledge but, since each farm has a different natural environment, this doesn’t produce the same result everywhere. As a result, farmers modify the method of shrimp culture according to local conditions and, as such, they gain their experience. In general, it is stated that the knowledge is de-contextual, universal and applicable to every shrimp farm, while farmers’ experience is contextual. However, knowledge constantly interacts with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farming and transforms constantly, and also new knowledge is formed in the process as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 through dispute and discussion. Therefore, knowledge and experience are both part of the generative process and they are both contextual.

      • KCI등재후보

        젓새우잡이의 역사와 어로문화

        김준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08 島嶼文化 Vol.0 No.31

        우리 식생활에서 새우젓만큼 오래된 음식문화를 찾기 쉽지 않다. 하지만 우리나라 젓새우 잡이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명확히 알 수는 없다. 다만 송나라 사신 서긍의 『고려도경』 과서유구의 『난호어묵지』나 『임원경제지』 기록을 살펴볼 때 조선시대에는 중요한 어업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새우젓의 소비층은 왕을 비롯한 권력층은 물론 일반 민초들에게도 깊은 영향을 주었다. 새우잡이 어업을 해선망(醢船網)이라고 하는데, 해선이란 젓[醢]을 담그는 배[船]를 의미한다. 즉 작은 생선이나 새우를 잡아 즉시 염장하여 젓갈을 담는 배를 말한다. 해선망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동력을 갖추지 못해 ‘멍텅구리배’, ‘젓중선’이라고도 한다. 지역에 따라 ‘곳배’, ‘꽁댕이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중선’은 기선이 도입되기 전 땔감이나 수산물을 싣고 강화에서 한강 마포나루를 돛에 의존해 오가던 배에서 유래했다고 전한다. 중선은 동력선이 등장하면서 중선은 개조되어 조기잡이와 새우잡이 배로 이용되었다. 이후 수산자원 보호, 인력난, 선원안전 등을 이유로 1990년대 보상 후 폐선되었다. 당시 전남 신안 낙월도와 전장포에 경기도 강화, 충남 지역 등에 100여 척의 젓중선이 조업을 했다. 해선망의 그물을 펼칠 수 있는 수해와 암해가 있어 배의 좌우측에 각각 1개씩 자루그물을 달아 새우를 잡는다. 물이 살아나는 세물에 시작해 조금 전까지 하루에 네 번 양망이 가능하다. 해선망은 뭉퉁한 고물과 이물을 뭉툭한 상자모양의 무동력선이다. 특히 뱃머리인 이물은 강한 조류에 잘 견디고 암해를 잘 끌어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선미보다 뭉툭하고 높게 만들어져 있다. 해선망 선원은 선장(사공), 영재(영자), 수동무, 동무, 화장 등 총 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새우잡이 철이 되면 해선망도 다른 고기잡이배처럼 세물에 뱃고사를 지냈다. 세물은 선주들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다. 바닷물이 살아나는 물때이기 때문에 그물어업을 하는 선주들은 세물에 조업을 나가며 ‘출어고사’를 지낸다. 해선망은 스스로 움직일 수 없어 선원들은 태풍을 비롯한 안전사고는 물론 어획량 자체가 자연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의례와 금기가 매우 엄격했다. Opossum shrimps pickled with salt is aseasoning unique to Koreans. It is as old as any food enjoyed by Koreans. According to Xuanhe fengshi Gaoli tujing (宣和奉使高麗圖景) ("Illustrated Record of Travel Experiences in Gaegyeong, Koreo’s capital") written by Song’s (China’s)envoy, Xu Jing (1091~1153), catching opossum shrimp was an important source of income for fishing households during the Koreo Dynasty. Opossum shrimps pickled with salt was an important seasoning for all Koreans, including those belonging to the noble class. The fishermen used box-shaped boats specially designed (with blunt-edged bow and stern) to salt small fish or shrimps right on the spot, to be used for seasoning. In early days, these boats could not move at all by themselves, as they had neither oars nor sails. Later, sail boats came to be used for shrimp catching. Over 100 boats engaged in shrimping in the sea off Jeonnam and Chungnam Provinces and Ganghwa were scrapped in the 1990s for various reasons, including the safety of fishermen. Nets were hung on both sides of the boat and fishermen pulled them up four times a day between flood and neap tides. The boat’s bow was higher than the stern. It was built to withstand strong currents and in a way that made it easy for the crew to pull up the net. A boat’s crew was comprised of five members, including the master. Like others on fishing boats, they held a ceremony of offering a sacrifice to spirits, praying for their safety, at the time of flood. Being unable to move for themselves, the crew was exposed to natural disasters and their catch depended on sheer luck. Thus, they were, naturally, superstitious.

      • KCI등재

        베트남의 흰다리새우 양식을 통해서 본 현대 생산시스템의 불완전성

        이준원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uncertainty of human control that modern production has, by analyzing various phenomena appeared in the white-leg shrimp-farming and marketing. To do this, I conducted fieldwork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had an interview in Vietnam. The modern shrimp-farming is made to acquire high productivity, farmers use scientific technique to control nature. That is, they use industrially produced feed to increase productivity, chemicals to sterilize, and antibiotics to cure shrimp diseases. Even if farmers use an outstanding scientific technique, it is not that they completely control nature such as water and the growth of shrimp, and completely prevent and cure disease in the shrimp-farming. Because there are the realms that humans could not control in the shrimp-farming. Now, many factors such as natural environment and economic fluctuation influence on modern industrial shrimp-farming. Therefore, it is not that each farmer can control the whole process of farming, circulation and marketing. 본 논문에서는 흰다리새우 양식과 판매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대 생산시스템의 특징과 인간 통제의 불완전성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베트남에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현재의 공업적인 방식의 새우 양식은 높은 생산성을 획득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며 양식업자는 발전한 과학기술을 동원하여 자연을 관리한다. 그들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공장에서 만든 사료를 사용하고,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위생적인 환경을 만들며 병을 고치기 위해 항생물질을 사용한다. 뛰어난 과학기술을 동원하더라도 양식업자가 물과 같은 자연환경과 새우의 성장을 완벽하게 관리하고 통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병을 완전히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양식과정에는 인간의 통제가 미치지 못하는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현재 공업적인 방식의 새우 양식은 자연환경과 경제변동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받으며 개별적인 양식업자가 양식과 유통, 판매의 모든 과정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상품화된 젓갈의 명칭과 범주: 곰소 젓갈시장의 사례 연구

        조숙정 ( Sook Jeong Jo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0 韓國文化人類學 Vol.43 No.2

        이 글은 곰소 젓갈시장에 대한 사례 연구로서, 상품화된 젓갈의 명칭에 반영된 민속 분류체계를 인지인류학적으로 기술·분석하고 있다.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첫째, 수산 동물을 소금에 절여 삭힌 음식의 범주를 지시하는 명칭으로 `젓`과 `젓갈`이 교체적으로 사용되는데, 그 사용 영역에서 일정한 구분이 있었고, 토착 명칭인 `젓`이 `젓갈`로 대체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젓갈의 상품명으로 사용되는 어휘적 명칭은 49가지, 젓갈 품목은 55종류가 파악되었다. 55종류의 젓갈들은 민속분류법을 이루는 의미관계로 조직되었는데, 판매 형태에 따라 `일반젓갈`, `무침젓갈`, `새우젓`, `액젓`, 그리고 `게장` 등 5가지 범주의 구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1990년을 전후로 판매 젓갈의 범주가 2개(젓과 새우젓)에서 5개로 세분화된 것은, 젓갈의 전통적인 용도와 소비의 편리성이 상품화 과정에서 전략적으로 수용됨으로써 발생한 현상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젓갈의 원료와 절임원의 차원에서 일반젓갈이 젓갈 범주의 원형을 구성하였지만, 새우젓과 액젓, 무침젓갈의 판매량이 높기 때문에 젓갈업체에서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었다. 따라서 산업사회인 한국의 소매 중심 젓갈시장은 무침젓갈, 새우젓, 액젓 범주를 중심으로 구조화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반찬용 젓갈인 무침젓갈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folk classification of commercialized Gomso Jeotgal (Korean salted-fermented seafoods), and proposes an ethnosemantic model which reveals a system of cultural knowledge corresponding to the lexical terms. Terms Jeot and Jeotgal are used to refer to the food categories of Korean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The semantic domain includes the Korean foods categorized as seafoods such as fish, shrimp, shellfish, squid, crab, and so on when salted and fermented. The terms are exchangeable, but are used somewhat more regularly in some different areas, and Jeotgal is used with a higher frequency than Jeot, a traditional or native term. In this research 55 kinds and 49 terms of commercialized Jeotgal were collected. All 55 categories of Jeotgal are encompassed into 5 superordinate categories, Ilban-Jeotgal(normal salted seafood), Muchim-Jeotgal(salted and seasoned seafood), Saewoo-Jeot(salted shrimps), Aek-Jeot(liquid of salted seafood), and Ge-Jang(soy sauce seasoned raw crab), all of which refer to sold forms. In other words, the semantic organization of food types is characterized by a folk taxonomy. Korean salted seafoods were sold as two forms of Jeot and Saewoo-Jeot in the retail market, which were subdivided into five categories since around 1990. This subdivision resulted from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food functions, as well as the convenience of food consumption. Ilban-Jeotgal seems to be regarded as the most prototypic category of this food domain, but Muchim-Jeotgal, Saewoo-Jeot, and Aek-Jeot are the most frequently sold, so they are treated and recognized as more important for marketers. Hence, the retail markets of Korean salted seafoods are organized around these categories. Of all the categories, Muchim-Jeotgal as a side dish is currently becoming more important and salient.

      • KCI등재

        당제와 지역 축제를 통해서 본 마을 정체성의 변화 : 옹암리의 사례

        김창민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2 No.-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village identity and its change in Ongam-Ri. Ongam-Ri was prosperous port village, but now it is small commercial village which deals salted shrimps. The villagers wants to identify themselves as villagers of prosperous port village. Identity is not static but fluid. The identity of Ongam-Ri is fluid between prosperous port village and small commercial village. Villagers sometimes identify themselves as member of prosperous port village but sometimes as members of salted shrimp village. Village ritual and village festival is social arena which two identities are compete. The image of glorious past and the identity as prosperous port village is expressed in village ritual and new identity as salted shrimp village is constituted in village festival. However, village ritual and village festival is not only comparison of past and present but process to make village identity. Village ritual is understood to explain present compared to past and village festival is understood to recover glorious past. Village ritual and village festival is sometimes compete and in other case complement to make village identity. 이 연구는 충남의 옹암 마을을 사례로 하여 당제와 지역 축제를 통하여 표현되고 있는 마을 정체성의 역동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옹암 마을에서 마을 정체성은 과거의 번성했던 포구마을과 현재의 새우젓 생산과 유통을 하는 마을 사이에서 유동성을 가지고 있다. 주민들은 때로는 영광스러운 포구 마을 주민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지만 또 다른 맥락에서는 토굴 새우젓 마을 주민으로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있다. 두 가지 차원의 정체성이 공존하면서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것은 영광스러웠던 과거만 기억하기에는 현실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고 현실을 설명하기에는 주민들의 합의를 끌어낼 수 있는 정체성의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런 과정에서 당제와 지역 축제는 정체성 경쟁의 사회적 영역이 되고 있다. 당제에서는 영광스러웠던 과거가 기억되고 재생산된다. 그러나 그런 과거는 현재와 대비되어 현재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당제를 지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영광스러웠던 과거를 기억해야 한다는 것과 함께 만족스럽지 못한 현실을 부정하고 싶은 욕구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이다. 반면 지역 축제는 새로운 정체성 만들기의 기회로 활용되고 있다. 새우젓 축제는 지역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지만 이 과정에서 옹암리는 토굴 새우젓이라는 이미지를 자신들의 정체성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옹암리에서 당제와 지역축제는 단순히 과거의 정체성과 현재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표현하는 문화적 장치로 대비되는 것은 아니다. 당제는 과거에 비추어 현재를 설명하고 있으며 지역축제는 과거의 영화로운 모습을 회복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이해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당제와 지역축제는 정체성 만들기 과정에서 경쟁하기도 하고 보완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옹암리에서 당제와 지역 축제는 지역 정체성을 드러내는 과정인 동시에 자신들이 원하는 지역정체성을 만들어 가는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