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인식 차이에 대한 상호 지향성 모델 적용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정수(Kim, Jung Soo),이영면(Lee, Young-Myo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5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발주자와 수행자는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모든 단계에 걸쳐 면밀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인식 차이를 좁혀야 하는 관계에 있다. 이는 두 역할자간에 프로젝트의 수행목표에서부터 세세한 업무 인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상에 대한 인식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프로젝트 성과는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자주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의 연구도 다수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결정짓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프로젝트 발주자와 수행자 간 인식 차이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분석 방법을 도입한 예는 아직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상호 지향성 모델 (co-orientation model) 은 많은 연구를 통해 두 집단 간의 상호 인식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 되어 왔다. 즉 상호 지향성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두 집단의 상호 이해와 커뮤니케이션이 효과적으로 수행된다는 설명이다. 상호 지향성 모델에서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측정하기 위해 조직 구성윈 개인의 인식, 상대방의 인식, 그리고 상대방에 대한 자신의 인식과 자신에 대한 상대방의 인식을 파악하여 이들 간의 일치도를 활용한다. 그러므로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적인 관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척도로 상호 지향성 모델의 활용을 검토해 팔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방법론적 측면에서의 기술적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연구 경향 및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의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 프로젝트 발주자와 수행자의 인식 차이에서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 오류의 극복 수준 측정에 초점 을 맞추었다. 또한 이에 대해 상호 지향성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국내에서 이루어진 상호 지향성 연구들의 분석 유형 및 인식 주체의 경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발주자와 수행지라는 이원적 구성의 프로젝트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 문제에 대하여 인식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상호 지향성 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위한 연구 모델을 수립하였다. in general, project owners and project implementers should be bridged together through close dialogues in all stages of project implementation process.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the various issues between the two groups playing different roles ranging from job details to project objectives.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on project communication, it is often reported that the project outcome is mainly determined by how effectively project communication is performed. For this reas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roject communication. However, no studies have adopted the analytical method of properly measuring the cognitive differences between project owners and project implementers. As a useful tool to understand mutual cognition between the two parties, the co-orientation model has been used in many studies. This model argues that the effectiveness of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creases as the level of co-orientation increases.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the model uses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by examining the level of cognition of an individual vs. the others and the others vs. the individual in an organization. Accordingly, it is worthwhile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co-orientation model as a standar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in the management of project communication. The authors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the project communic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th.is review, they sought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and general trends in research through technical analyses on the concepts of project communication and the relevant methodologies. Also, they focused on measuring the level of overcoming communication errors resulting from the cognitive differences between the project owners and the project implementers in order to evaluate the level of achievement in project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y examined the type of analy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subjects of previous studies on co-orientation in Korea in order to measure the applicability of the co-orientation model. Following their study, the authors have established relevant study models based on their conclusion that it is appropriate to apply the co-orientation model in order to analyze the cognitive differences and to resolve communication problems occurring in project managements by two different project groups: the project owner group and the project implementer group.

      • KCI등재

        카지노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조직구성원과 지역주민 간의 상호 인식차이 연구 - 상호지향성모델의 적용을 중심으로 -

        신동재,이연택 한국관광학회 2016 관광학연구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ual differences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f a casino corpor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employees and local resident groups utilizing the co-orientation model. The literature review covered the concep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casino corporation and a local communit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a co-orientation model. The analysis model was designed based on Lee and Shin (2013)’s model. The activitie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ere grouped into five factors: economic, legal, ethical, philanthropic, and local community contribution responsibility. For this study, 243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employees of a casino corporation and the local resid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degree of co-orientation towar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etween the organizational employee and each local resident was of a very low level, and that the formation for co-orientation revealed 'imbalanced dis-census' between those groups, and that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was mixed. Thus, it is emphasized that the two groups need to have shared perception to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casino corporation. The study suggested that a casino corporation should make strategic approaches for establishing desirable social relations to achieve shared perception between the casino corporation and the stakeholders through balanced communication. 본 연구는 균형적 커뮤니케이션이론인 상호지향성모델을 적용하여 카지노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카지노기업의 조직구성원과 지역주민 간 상호 인식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관광분야에서 있어 상호지향성 연구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확장하고, 실무적으로 카지노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참여집단 간의 의미공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카지노기업과 지역사회와의 관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상호지향성 모델 등에 관한 문헌을 검토하였으며, 카지노기업의 사회적 책임 영역으로 경제적․법적․윤리적․자선적․지역사회기여 책임 등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조사대상으로 내국인 출입 카지노인 강원랜드의 임직원과 정선과 태백의 지역주민을 선정하였고, 총 243부의 유효표본을 수집하여 도출된 사회적 책임 요인에 대한 상호지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호지향성 형태가 모든 요인에서 ‘불균형적 불일치’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이해와 오해가 혼재된 상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론적 기여로는 카지노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측정변수를 도출하였고, 분석기준의 적용에 있어서 논리적 설명력을 확인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카지노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있어서 상호 인식공유 방안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카지노기업의 바람직한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상호지향성 연구를 통한 균형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안에 대한 모색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원자력발전소와 지역주민 간 조직- 공중 관계성에 대한 상호지향성 분석 : 한빛원자력을 중심으로

        김봉철,이민창,안주아 한국광고PR실학회 2017 광고PR실학연구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PR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조직ᐨ공중 관계성의 6개 구성요인을 중심으로 한빛원전 직원과 지역주민 간의 인식 차이를 상호지향성 모델로 분석했다 . 연구결과 , 조직ᐨ공중 관계 성에 대한 객관적 일치도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 특히 신뢰와 상호통제는 지역주민 스스 로의 인식보다 한빛직원의 인식이 훨씬 높았고 , 공공관계와 교환관계 요인에서는 반대로 지역주 민이 한빛직원들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 신뢰와 상호통제는 객관적 일치도뿐 아니라 주관적 일치도와 정확도까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지역주민보다 한빛원전이 더 높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헌신의 경우 지역주민 자신의 인식과 한빛직원이 생각할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주민의 인식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 만족의 경우 정확도에서 지역주민과 한빛원전 사이에 인식의 차이를 보였는데 , 한빛직원은 지역주민 스스로보다 더 지역주민이 만족할 것이라고 인식하는 반면 , 지역주민은 한빛직원 스스로의 인식보다 한빛직원이 지역주민의 만족을 더 낮게 인식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 결론적으로 , 한빛원전은 지역주민과 특히 큰 차이를 보이는 조직 -공중 관계성의 핵심적인 요인인 신뢰와 상호통제 인식을 높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것이다 . 한빛원전과 지역이 상생 ·발전한다는 지역 내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 지역주민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관계정립 , 상호작용 , 가치공유 등의 PR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 마지막으로 , 지역주민들에게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이며 지역주민과 상호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대등한 관계의 교환적인 존재라는 인식을 한빛원전 직원들에게 심어줄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 trial to find some implications in public relation studies through the analysis on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between members of Hanbit nuclear power plant and local residents. This study uses co-orientation model which is composed of objective agreement, subjective congruence, accuracy of public relationship to measure the communication effect. The result shows as below: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consist of 6 composing variables. All agreement on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bout 6 composing variables. ‘Trust’, ‘Mutual Control’ show low rate of objective agreement, subjective congruence, and accuracy between members of Hanbit nuclear power plant and local residents. The members of Hanbit nuclear power plant were high aware than Local residents about ‘Trust’, ‘Mutual Control’. Local residents were high aware than members of Hanbit nuclear power plant about ‘Public Relationships’, ‘Exchange Relationships’. ‘Commitment’ and ‘Satisfaction’ shows high rate of agreement and accuracy. The implication drawn from the result is that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of Hanbit nuclear power plant and local residents are vivid in a good manner at the level of ‘Trust’, ‘Mutual Control’, ‘Commitment’ and ‘Satisfaction’. But it is necessary efforts to reduce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on ‘Public Relationships’, ‘Exchange Relationships’ for Hanbit nuclear power plant.

      • 원자력발전소와 지역주민간 조직-공중 관계성에 대한 상호지향성 분석 : 한빛원자력을 중심으로

        김봉철,안주아 한국광고PR실학회 2017 한국광고PR실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6

        본 연구에서는 PR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조직-공중 관계성의 6개의 구성요인을 중심으로 한빛원전 직원과 지역주민 간의 인식의 차이를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조직-공중 관계성에 대한 객관적 일치도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뢰와 상호통제는 지역주민 스스로의 인식보다 한빛직원의 인식이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공공관계와 교환관계 요인에서는 반대로 지역주민이 한빛직 원들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즉, 한빛원전이 공공적인 관계이며 상호 영향을 미치며 교환을 하는 관계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신뢰와 상호통제는 객관적 일치도 뿐 아니라 주관적 일치도와 정확도까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지역주민보다 한빛원전이 훨씬 더 높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헌신의 경우 지역주민 자신의 인식과 한빛직원이 생 각할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주민의 인식에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의 경우 정확도에서 모두 지역주민과 한빛원전 사이에 인식의 차이를 보였는데, 한빛직원은 지역주 민 스스로보다 더 지역주민이 만족할 것이라고 인식하는 반면, 지역주민은 한빛직원 스스로 의 인식보다 더 한빛직원이 지역주민의 만족을 더 낮게 인식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빛원전 차원에서는 지역주민과 특히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조직-공중 관계성의 핵심적인 요인인 신뢰와 상호통제 인식을 높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한 빛원전과 지역이 상생, 발전한다는 지역 내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 주민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관계정립, 상호작용, 가치공유 등의 PR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지역주민들에게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이며 지역주민과 상호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대등한 관계의 교환적인 존재라는 인식을 한빛원전 직원들에게 심 어줄 필요가 있다. 이는 내부의 여러 가지 프로그램과 교육을 통해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전시회 구성주체 간 가치 인식에 대한 상호지향성 연구

        이세준,류예빈,김이태 한국무역전시학회 2021 무역전시연구 Vol.16 No.4

        전시회의 참가기업은 공급자로서, 바이어를 포함한 참관객은 수요자로서의 기능을 담 당하며, 주최자는 이런 시장을 조성하는 시장 메이커로서의 기능을 하며 이 세 주체가 전시회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 세 주체가 전시회를 기획하고 참가, 참관 하는 주요 기준은 각자가 평가하는 전시회의 가치로서, 전시회를 통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면 높은 가치를 할당하여 행동으로 이어가게 된다. 본 연구는 전시회의 가치를 선행연구와 더불어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정립하고, 상호지향성 모델을 통해 세 주체 간의 인식 차이를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분석한다. 상호지향성의 주요 측정 요소는 객관적 일치도,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 메타동의를 포 함하며, 전시회 가치 평가영역은 경제적 가치, 상징적 가치, 인지적 가치, 사회관계적 가치, 교육적 가치, 내재적 가치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참가기업과 참관객의 상호지향성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주최자 와 참가기업, 주최자와 참관객 간의 상호지향성은 낮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주체간 상 호지향성은 낮은 것으로 여겨지며, 전시회와 전시회의 가치에 대해 상호 커뮤니케이션 의 원활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nderstanding of participation value of the exhibition among the constituent entities, and to draw implications from the unique concomitance that an exhibition can construct. For the three major constituent entities of the exhibition, agreement, congruence, accuracy, and meta-agreement, which are the measuring elements of co-orientation model, are analyzed, and the economic value, symbolic value, cognitive value, social relational value, educational value, and inherent value of the exhibition are analyzed. A total of 444 people, including 129 organizers, 142 exhibitors, and 173 visitors, responded effectively to the surve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o-orientation among the three entities cannot be said to be very high.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mainly to find out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eaning of the exhibition and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co-orientation model among the entities of the exhibition.

      • KCI등재후보

        실용음악 지망생-프로 뮤지션 간의 내적-외적 직업 만족도에 대한 비교 연구: 상호 지향성 모델을 중심으로

        박관익(Park, Kwan Ik) 한국대중음악학회 2018 대중음악 Vol.- No.21

        본 연구는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실용음악’에서 음악 산업계의 주체인 실용음악 지망생과 프로 뮤지션 간의 직업 만족도 차이에 관한 비교연구이다. 이를 위해 직업 만족도라는 개념을 상호지향성 모델(co-orientation model)에 적용하여 실용음악 주체들 간의 직업 만족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지 논의하고자 하였다. 직업 만족이란 직업 활동에서 오는 단순한 감정적 상태일 뿐만 아니라 직업 활동과 관련된 모든 요소들의 인과관계 일치 혹은 불일치에 따른 결과물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호지향성 모델은 서로 다른 두 집단이 동일한 하나의 대상을 지향할 때 지향하는 대상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볼 수 있는 사회과학 모델이다. 이러한 연구 방법 론을 통해 실용음악 생산주체인 프로 뮤지션 100명과 실용음악 지망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을 바탕으로 독립표본 t검정, 대응 표본 t검정을 통해 각 대상 간의 직업 만족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두 집단 간의 내적 만족도에 대한 편차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데 비해 외적 만족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두 집단이 ‘뮤지션’이라는 직업에 대해 가지고 있는 관점을 비교해 보면, 두 집단 모두 동일한 음악적 소양을 갖고 동일한 목표를 지향하고 있는 데 반해, 실용음악 지망생은 실제 프로 뮤지션이 느끼는 직업적 환경과 뮤지 션이 받는 처우에 대한 인식이 충분치 않은 것에서 비롯되는 차이라고 볼 수있다. 게다가 이러한 인식의 차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충분한 준비가 부족한 상태에서 직업 시장에 뛰어들게 되는 일반적인 현실도 뮤지션의 직업 만족 도를 떨어뜨리는 중요한 이유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뮤지션의 외적 처우에 관련된 문제는 음악인 또는 음악시장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우리 사회 전반의 인식과 뮤지션을 바라보는 관점에 상당 부분 연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해결 방안을 찾아가야 할 문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실용음악 지망생과 프로 뮤지션 간의 직업 만족도의 차이를 결정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정의하고, 그 격차를 줄이거나 해소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찾는 노력은 음악인 스스로 선결 가능한 영역에 속한다 할 수 있으 므로 우선하여 고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망생과 프로 뮤지션 간의 인식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구체화하여 좀 더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해결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업계의 현실과 그에 대한 개인적 인식의 차이를 줄여 뮤지션 지망생 스스로가 업계 환경에 대한 현실적 이해를 바탕으로 충분한 준비를 갖출 수 있게 하고, 업계 진출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외적 충격을 완화하여 직업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 고자 하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음악 산업의 양적, 질적 측면을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This study is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etween an applied music applicants and a professional musicians who are the subjects of the music industrial world in “Applied Music.” To this end, this study is intending to discuss which factors caused the perception gap of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subjects of applied music by applying the concept of job satisfaction to co-orientation model. Job satisfaction can be defined as output consequent on not only a simple emotional state caused by job activities but also causal relationship agreement, or disagreement in all elements related to job activities. The co-orientation model is a social science model which makes it possible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an aimed object when two different group aim for one and the same object. Through such a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00 professional musicians and another 100 applied music applicants who are the subjects of applied music. On the basis of the survey, this study looked into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job satisfaction between individual objects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atch-ing sample t-tes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intrinsic satisfaction deviation between the two groups hardly ever appeared, whereas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extrinsic satisfaction occurred significantly. This perception gap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two groups’ standpoint of a job as a ‘musician’; in other words, both two groups have musical knowledge, and move toward the same goal, whereas the applied music applicants have inadequate perception of the vocational environment felt by an actual professional musician and the treatment received by a musician; therefore, the perception gap between the two groups can be considered as being derived from an aspirant’s inadequate perception of the above two matters. Moreover, it can be said that even the general reality where an applied music applicants plunges into the job market in an insufficient state of accurate understanding of, and inadequate preparation for such a difference in perception works as a main reason for lowering a musician’s job satisfaction. However, it might be safe to say that the problem related to external treatment of a musician is the one, whose solution has to be found in a long-term point of view rather than a problem of a musician, or the music market itself because it has a considerable association with the general perception of a musician in society, and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a musician. In relation to this, it might be desirable for a musician to preferentially give deep thought to this problem because defining various determinants in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etween an applied music applicants and a professional musician, and endeavoring after the substantial plan, which can reduce, or resolve the disparity naturally belong to the area where a musician him/herself can make a prior decision. This paper was intending to arrange a momentum for inquiring into a more objective, quantified solution by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ac-tualizing the reasons for the perception gap between an applied music applicants and a professional musician. Through this, this study, from various perspectives, tried to help build their adaptability to the job by getting aspirants for a musician to get fully prepared for a job by themselves on the basis of realistic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music world environment by decrea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ity of business circles, and personal perception of it, and by alleviating an external shock that could happen in time of the entry into the related business circles. This study is convinced that the above process will be resultantly a driving force which makes the qualitative, quantitative aspects of the music industry in Korea grow.

      • KCI등재

        성취목표지향성과 성취결과의 상호 인과적 관계

        정준욱(Jun Wook Jeong),이은주(Eun 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통제-가치 이론을 바탕으로 성취목표지향성(숙달접근목표, 수행접근목표)과 성취결과(수업이해도, 학업성취도)의 상호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델을 적용하여 성취목표지향성과 성취결과의 종단적인 관계를 탐색해 보았다.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2~4차년도 데이터(중2~고1)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성취목표지향성 및 성취결과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이었다. 성취목표지향성과 성취결과 간의 교차지연효과를 확인한 결과, 숙달접근목표와 성취결과 간의 상호 인과적 관계가 검증되었다. 특히 성취결과가 숙달접근목표에 미치는 영향력이 숙달접근목표가 성취결과에 미치는 영향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수행접근목표와 성취결과 간의 교차지연효과의 경우, 성취결과에서 수행접근목표에 이르는 경로에서만 유의하였으며 수행접근목표가 성취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성취결과에 수업이해도를 적용한 모델과 학업성취도를 적용한 모델 간에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based on control-value theory.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4 Year data was analyzed, applying autoregressive cross - lagged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bidirectional interactions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Results confirmed the significant cross-lagged effect between mastery-approach goals and educational outcomes; the effect of educational outcomes on mastery-approach goals was higher than vice versa. Educational outcomes had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approach goals whereas performance-approach goals had no effect on educational outcome. These findings were consistent across the two models in which educational outcomes were represented either by perceived understanding of classes or by standardized academic achievements.

      • KCI등재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박진영(Park, Jinyoung),최양호(Choi, Yang Ho),김봉철(Kim, Bongchul) 한국광고홍보학회 2015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7 No.1

        이 연구에서는 의사-환자 관계성에 대해 의사 자신과 환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또한 상대의 인식을 어떻게 추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객관적 일치도,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의사와 환자 각각 307명, 303명을 대상으로 신뢰성, 충실성, 상호교환성, 소통성, 공정성 등 5가지 의사-환자 관계성 구성요소에 총 19개의 측정문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의사들은 의사-환자 관계를 비교적 좋게 평가하는 반면, 환자는 보통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성과 상호교환성, 소통성, 공정성에서 그 차이가 특히 두드러졌다(객관적 일치도). 상대의 인식에 대한 추정에서는 의사쪽이 환자의 인식을 모든 영역에서 과대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의 환자인식에 대한 과대평가는 특히 상호교환성에서 두드러지고, 소통성과 신뢰성에서도 그 정도가 매우 컸다(주관적 일치도). 정확도의 측면에서도 전반적으로 환자들은 의사-환자 관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을 과소추정하고, 의사들은 환자의 인식을 과대추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ysician-patient ralationships(PPR) through surveys of both physicians and patients. Using the co-orientation Model,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of cognitions on PPR between 307 physicians and 303 patients, and the degree of their mutual understanding. The study analyzes agreement, congruency, accuracy between physicains and patients. The coorientation measures indicate that as a whole physicians estimate physician-patient ralationships as "good" while patients estimate physician-patient ralationships "average", and the differences are especially manifest in exchange relationships, communication, and trust(Agreement). Overall physicians overestimate patients" cognitions of PPR, and patients underestimate physicians" cognitions of PPR. The differences are especially manifest in exchange relationships, communication, and trust(Congruency). In accuracy, as a whole patients underestimate physicians" cognitions of PPR, physicians overestimate patients" cognitions of PPR.

      • KCI등재

        상호지향성 모델에 근거한 소비자와 상담사의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평가 비교

        강두선 ( Kang Doo Syen ),최종원 ( Choi Jong Won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6

        소비자와 고객센터 상담사의 커뮤니케이션은 관계 개선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들이 처한 위치와 서로에 대한 인식이 달라 오히려 관계 악화라는 모순적 상황을 발생시킨다. 특히 고객 불만응대 커뮤니케이션은 기업을 대표하여 정해진 매뉴얼에 따라 메시지를 전달하는 공공 커뮤니케이션의 측면과 불만족한 고객을 일대일로 응대하면서 예상치못한 감정개입을 피할 수 없는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측면을 모두 갖고 있어 상황을 더욱 어렵게 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소비자와 상담사의 정확한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현 상황을 이해하고 그 결과에 따라 효율적인 개선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설득을 위해 서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상호지향성 모델을 기반으로 소비자와 고객센터 상담사의 인식을 비교연구하고자 한다. 커뮤니케이션 기술관련 변수를 고객센터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적용하여 각자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또한 상대방은 어떻게 평가할 것으로 예측하는지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소비자와 상담사의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평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소비자는 상담사보다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더욱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소비자와 상담사는 서로의 평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었다. 소비자는 상담사가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고 상담사는 소비자가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질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셋째, 상담사는 소비자의 평가를 정확하게 추측한 반면 소비자는 상담사의 인식을 정확히 예상하지 못했다. 소비자의 예상보다도 상담사는 스스로를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소비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아존중감, 사회적 규범, 나르시시즘 순이었다. 스스로를 존중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는 소비자일수록 상담사의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다섯째, 소비자가 인식하는 자신과 상담사와의 차이 또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규범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들 변수는 소비자의 긍정적 평가에 영향을 주는 만큼 잘못되고 있다고 생각되는 항목에 대한 평가도 객관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불평행동에 대한 사전지식이 소비자의 평가와 소비자가 인식하는 자신과 상담사와의 차이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터넷보다 주변사람이나 TV 또는 직접 경험을 통해 얻게 되는 정보가 소비자의 인식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상호지향성 모델을 소비자와 상담사라는 문맥에서 검증하여 일반화 분야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소비자나 상담사 연구에 있어 한 집단의 일방적인 시각만을 고려해온 기존 연구의 간극을 메꾸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의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소비자와 상담사의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무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Consumers and call center employees share the goal of improving relationship through communication. Ironically, however, the more they communicate, the worse their relationship is, due to the imbalanced power in communication. In particular, the dual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responding to the customer complaints make this situation worse. It is defined as public communication when call center workers deliver the messages based on the manual as a representative of a company. Yet, it can be claimed to be personal communication because call center employees experience unexpexted emotional intervention when communicating with customers. In this complex situation, it seems to be most important for improving relationship to accurately identify how call center communication is perceived from both perspectiv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the perception towards call cen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based on the co-orientation model which puts priority on the mutual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for persuasion. By applying the variables of communication technique into call center communication, it will determine three aspects: 1)how they evaluate call center communication, 2)how much they perceive they will be different in evaluation, and 3)how well they predict each other`s percept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valuating call center communication betwen the two groups. Consumers show comparatively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s call center communication. Seond, the two groups preceive their difference in evaluation. Consumers believe that call center workers will come up with higher scores in evaluation than theirs, while call center employees predict low scores from consumers. Third, call center workers predict consumers` perception well, while consumers do not accurately forecase the response from call center employees. Call center workers evalute themselves more positively than consumers perceive. Fourth,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 esteem, social norm and narcicism, affect consumers` evaluation of call center communication. People who have more confidence in themselves and put more emphasis on other`s evaluation indicate more positive evaluation of call center communication. Fifth, perceived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y consumers is influenced by those personal variables too. It means that more confident and norm-oriented consumers objectively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Last, prior knowledge of consumers complaining behavior explains more negative evaluation and bigger perceived gap between the two groups. Channels to earn information play a role in enhancing the differences. Offline word-of-mouth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difference in evaluation. Academically, this study expands the generalizablity of co-orientation model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call center workers. Practically, it bridges the gap of the extant literature that focuses on one-sided perspective when dealing with consumers or call center employees. The results will enable consumers, call center workers,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to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and establish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relationship.

      • KCI등재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한 프로스포츠 구단의 사회적 책임 차원 분석

        김일광 ( Il Gwang Kim ),이지현 ( Ji Hyun Lee ),김주영 ( Joo Young Kim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6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는 프로스포츠 4개 종목(야구, 축구, 농구, 배구)의 각 구단들이 시행하고 있는 사회적 책임(CSR) 차원에 대한 구단 관계자와 스포츠 팬 간 인식의 차이를 McLeod와 Chaffee(1973)의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스포츠(야구, 축구, 농구, 배구) 구단 관계자 240명, 팬 232명을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설문지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FA, Cronbach``s a, 빈도분석, 평균 및 표준편차,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책임차원에 대한 인식수준의 경우, 구단은 윤리적 책임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팬은 경제적 책임이 가장 높았다. 구단과 팬 모두 자선적 책임과 환경적 책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지향상태 분석 결과, 경제적 책임과 법적 책임은 ``불일치-불일치-불일치-불일치-불일치``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은 ``불일치-불일치-불일치-불일치-일치``, 환경적 책임은 ``일치-불일치-불일치-불일치-불일치``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odel by applying Co-orientation model(McLeod & Chaffee, 1973) of the differences of CSR awareness of professional sports team between team officials and sports fan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total of 472 people(team 240, fans 232) were selected as study using the cluster sampling and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was a questionnaire, and frequence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FA, Cronbach` a,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were conducted on the data using SPSS 20.0 and Amos 20.0.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in the case of awareness of the social responsibility, while the team is most importantly aware of the ethical responsibilities and the fans have the highest economic responsibility. Both the club and the fans showed that charitable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wareness is low. Second, the results of Co-orientation, economic responsibility and legal responsibility was to ``inconsistency - inconsistency - inconsistency - inconsistency - inconsistency``, ethical responsibility and charitable responsibility was to ``inconsistency - inconsistency - inconsistency - inconsistency - matching``,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was to ``match - inconsistency - inconsistency - inconsistency - inconsist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