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속계 박물관 상장례 전시 비교 연구

        김희 한국박물관학회 2012 博物館學報 Vol.- No.22

        상장례는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행해지는 의례행위이자 축적 된 문화적인 관습이다. 한 민족의 상장례를 살펴보면 당대 사람들의 사생관과 영혼관 등 정신세계를 가늠할 수 있고 사회 문화생활도 알 수가 있다. 필자는 관혼상제 중에서도 상장례가 또 다른 삶의 전환과 새로운 시대의 시작이란 측면에서 박물 관 전시공간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사례 분석하고, 상장례 전시의 발전적인 변모 방안을 제 안하고자 한다. 민속계 박물관 상장례 전시 사례분석을 한 결과 첫째, 각각의 민속계 박물관은 상대적으로 수집하 기 쉬운 유형 자료 중심의 오브제를 선호하여 전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지역의 특수성과 전문 성을 살린 상장례 전시로의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상장례 무형자산의 전시가 미흡하여 이에 대한 전시 관련자들의 가치 제고가 필요하다. 넷째, 묘제 문화와 관련한 전시 자료 연구가 부족하므로 장 례 관련 장묘 문화에 대한 자료 수집과 전시 연출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다섯째, 상장례 스토 리 개발이 필요하다. 각 유물 안에 숨겨진 다양한 이야기를 채집하여 재구성하는 작업을 통해 이야기 콘텐츠가 살아있는 상장례 전시를 만들 필요가 있다. 아울러 사례 분석한 박물관의 상장례 전시 개선 방안으로 지역의 특수성을 살린 상장례 스토리텔 링 수집과 개발이 필요하다. 이는 정신문화 전승을 위한 하나의 실천방법이 될 수 있으며, 이야기가 살아있는 유물은 관람객들의 전시 이해에 대한 흡인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장례 교육프 로그램을 개설하여 전시와 인성 교육이 유기적으로 이어지게 함으로써 오늘날 상장례 문화의 의의를 재조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끝으로 본 연구가 민속계 박물관 현행 상장례 전시에 관심을 갖게 하고, 개선 방향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동기가 되기를 바라며, 오늘날 상장례 전통문화의 가치와 의의를 재고해보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현대 도시공간의 상장례 문화

        김시덕(Kim Shi-dug) 한국민속학회 2005 韓國民俗學 Vol.41 No.-

        이 글의 테마는 도시공간의 상장례문화(Funeral culture)를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죽음관 등 철학적 관점보다는 현대 도시공간에서 행해지는 상장례문화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분석하였다. 한국의 상장례문화는 매장(埋葬)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이는 조선시대(The Period of Chosun Kingdom)에 형성된 유교적 전통이다. 그러한 조선시대의 전통은 도시공간에서 행해지는 현대 상장례와는 외형상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전국 평균 화장률이 이미 46.3%에 이르렀고, 66%가 앞으로는 화장(Crematory)을 하겠다는 설문조사에서 보듯이 이제 화장은 혐오스러운 장법(葬法)이 아니라 선호하는 장법으로 변화하고 있다. 화장한 유골을 봉안하는 봉안당(奉安堂, Charnel house)이 등장하였고, 이에 따라 봉안당에서 행하는 새로운 성묘문화가 탄생하고 있다. 현대 상장례문화를 변화시키는 원인은 ‘가정의례준칙’과 장례식장의 등장이다. 우선 장례식장이 등장함으로서 장례의 공간이 집에서 공공적인 장소로 이동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전통 사회에서는 비정상적인 죽음으로 간주되었던 객사(客死, 집이아닌 장소에서 죽는 일을 금기시함)가 정상적인 죽음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상례의 절차, 진행방법, 상복의 양복화, 상장례 용어의 변화, 상례의 쇠퇴, 염습의 변화 등 외형적으로는 상당한 부분에서 변화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장례식장에서 의례를 행함에 따라 상장례 용품을 비롯한 제사음식, 접대음식 등을 대행해 주는 업체가 성업하는 등 새로운 문화적 현상이 등장하였다. 뿐만 아니라 장례 식장의 운영, 예식의 접수 및 관리 등을 위한 전문직종인 장례지도사(Funeral Director)가 등장하여 이들이 또 하나의 직종(職種)은 물론 소문화집단(Folk Group of culture)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상장례문화의 전통이 완전히 바뀐 것처럼 보이게 한다. 그러나 상여 대신 캐딜락으로 시신을 운반하고, 전통상복 대신 검은색 양복을 입는 것을 두고 전통의 단절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수단과 형식은 바뀌었다 하더라도 상복을 입는 일, 부조를 전하는 민속, 염습, 시신을 정중히 운반하는 전통 그 자체는 그대로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외형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내적인 문화적 전통은 형식의 변화라는 수단을 통해 지속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Senior Curator,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is would be an analytic study of funeral culture in contemporary Urban Area. Factual aspect of the funeral culture would be mainly discussed rather than philosophical aspect. The core concept of the present funeral culture in Korea was established in the Joseon kingdom according to its Confucian tradition. The presentations of funeral culture in contemporary Urban Areas a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e ones in the Joseon kingdom. As a funerary method, crematory has been selected as much as 46.3% in average. A survey shows that 66% of the surveyed prefer crematory that used to be detested. The appearance of charnel houses result in establishing a new pattern in visit to worship of the deceased. The main influences on the changes in funeral culture are ‘The Simplified Family Ritual Standards(家庭儀禮準則)’ and the appearance of ‘funeral home(葬禮式場)’. As a result of the appearance of funeral home, the funerary rite came out to public spaces from private places. It also caused conceptual changes of an idea of death: Gaeksa(客死), dieing away from home, used to be a taboo in the traditional society and now it is accepted as normal. There also are substantial changes in many features of funeral culture with the declination of its rite: process of funerary rite, adoption of western clothes as funeral costumes, changing in shrouds, and the terminologies. Funerary rites in public funeral home developed a new funeral culture. Commercial service agents provide all ritual wares and foods and they serve visitors. Further more professional funeral directors manage the whole process of funerary rite in place of families. The funeral directors created a new category of profession and they make a subculture by themselves. These phenomena may seem show the drastic change of funeral culture. A Cadillac carries corpse instead of a bier and people wear black suites rather than traditional costumes.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 tradition is ceased. Although the appearances and means are changed, the essential tradition succeeds in wearing funerary costumes, condolence money(扶助), shrouding corpse, and carrying it with a solemn ritual. Therefore the spirit of cultural tradition is maintained transforming its way of presentation assimilating with contemporary urban atmosphere.

      • KCI등재후보

        진도 상장례 음악의 공연학적 구조와 음악적 상징에 관한 연구-무형문화재 지정종목을 중심으로-

        이용식 국립국악원 2012 국악원논문집 Vol.26 No.-

        The funeral rit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te of passage in the Korean life. It consists of the major religious ritual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Shamanism in Korea. It is, at the same time, the valuable performing arts comprising song, music, and dance. The Shamanic ritual, especially, is the most artistic ritual which is performed to lead the soul of the dead to the nirvana. The Jindo Island, located in the southwestern tip of the Korean peninsula, is famous for its preservation of traditional funeral ritual in Korea. The island's ritual is composed of the Shamanic ritual, called Ssitgim-gut(cleasing ritual), the drama, called dasi raegi, performed by special entertainers, and funeral songs. They such precious performing arts that they ar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the central and provincial governments. In this way, the funeral ritual of the Jindo Island exhibits the national traits as well as the local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funeral rites of the island in the view of the performing arts to discover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s culture. The funeral rites on Jindo Island are located in the liminal zone between this world and the other world. They are at the same time a chaotic space where the living and the dead coexist. The ritual can be distinguished in three parts. The first part is the rite of separation when the dead is confirmed and separated from this world. In this stage, the Confucian ritual is performed without any music and dance. The second part is the abnormal condition when the living and the dead coexist to console the soul of the dead. In this part, the Shamanic ritual and the drama is performed by professional artists. The third part is the rite of aggregation to send the soul of the dead to the nirvana. In this part, the holders of the coffin sings the song which functions as the ritual song as well as the labor song. In this way, the funeral rite of the Jindo Island is the most precious cultural heritage which shows the artistic beauty and identity of Korea. 상장례(喪葬禮)는 가장 중요한 통과의례(通過儀禮, rites of passage)로 꼽힌다. 상장례는 유교식 제의와 불교식 재(齋), 그리고 무교(巫敎)식 천도(遷度)굿이 어우러지는 우리나라 종교의례의 결정체이다. 이는 엄숙한 종교의식과 더불어 망자의 혼을 위무하는 악가무(樂歌舞)가 어우러지는 공연예술(performing arts)적 성격을 갖는 판이기도 하다. 특히 망자를 극락왕생으로 천도하기 위해 거행되는 무교 의례인 천도굿은 종교의례인 동시에 공연예술로서 전통적인 상장례의 백미(白眉)를 장식하는 중요한 통과의례 절차이다. 전라남도 진도는 아직도 전통적인 상장례를 충실히 보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도에서는 무교 의례인 씻김굿을 비롯하여 망자의 혼을 놀리는 다시래기와 관을 운구하고 하관하면서 부르는 만가(輓歌)가 중요무형문화재 및 지방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진도의 상장례는 우리나라 상장례의 전형적인 모습과 진도의 독특한 모습을 아울러 볼 수 있는 문화연행이다. 이글에서는 문화연행으로서의 진도 상장례를 고찰하여 진도의 문화구조를 파악하고 그 문화적 의미와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진도 상장례는 이승과 저승의 중간에 위치한 전이 지점(liminal zone)이자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혼돈과 무질서의 공간이기도 하다. 상장례는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단계는 망자의 죽음을 확인하고 알림으로써 이승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의식(rite of separation)이다. 이 단계는 유교식 의례이며 음악이 연행되지 않는다. 상장례의 정점은 씻김굿과 다시래기이다. 이 단계는 삶과 죽음이 공존하면서 갈등을 조장하고 죽음을 달래는 비일상상태(abnormal condition communitas)이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는 망자의 넋을 저승으로 보내는 통합의식(rite of aggregation)이다. 이 단계에서는 운상과 하관을 위해 만가를 부르는데, 만가는 내용적으로는 종교요이고 기능적으로는 노동요이다. 이렇게 진도의 상장례는 의례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음악적 상징성을 갖는 공연예술로서의 귀중한 가치를 갖는 것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왕세자 상장례의 재원 마련 방식과 지출구조: 墓所都監의 운영을 중심으로

        최주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규장각 Vol.55 No.-

        조선시대 왕세자 상장례는 총 7회 거행되었으며, 조선후기에는 소현세자와 효장세자, 사도세자, 문효세자, 효명세자의 상장례가 치러졌다. 양란 이후 처음 치러진 소현세자 상장례는 조선전기 의경세자 상장례를 전범으로 하면서도 도감의 명칭과 명정․신주 제도를 새롭게 정비함으로써 조선후기 왕세자 상장례의 새로운 준거가 되었다. 영조 34년(1758)에 증편된 『國朝喪禮補編』에는 이전 시기에 거행된 왕세자 상장례가 ‘小喪․小內喪’ 儀註로 포함되었다. 다만, 국왕의 복제에 있어서는 소현세자 상장례부터 행해지던 자최기년이 참최삼년으로 조정되었다. 순조 30년(1830)에 치러진 효명세자의 상장례는 이 『국조상례보편』의 의주를 충실히 따르면서도, 국장에 준하는 의식을 일부 첨가하고 도감의 명칭도 ‘예장도감’을 ‘장례도감’으로 칭하는 등 변례가 적용되었다. 이는 대리청정기에 사망한 세자를 예우하고 국왕의 擧哀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조정에서 논쟁을 일으킬 정도로 변형된 형태는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延慶墓墓所都監儀軌』에서 확인되는 효명세자의 상장례 비용은 이전 시기보다 증가한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효명세자의 상장례 비용이 증가한 것은 전에 없던 儀節을 만들거나 의물 조성에 비용을 많이 썼기 때문이 아니라 묘역 조성에 동원된 역군의 고립가를 현실화함에 따라 나타난 효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문효세자의 상장례에 참여한 자원군의 수를 고려할 경우 효명세자의 상장례 들어간 비용은 이전 시기보다 비용이 늘어났다고 단정짓기 어렵다. 그럼에도 18세기 중반 이후 동전의 재정보용 기능이 확대되고, 자원군의 참여를 제한하면서 모군을 활용한 고립가의 지출이 왕세자 상장례 비용을 전반적으로 증대시키는 효과를 낳았다. 효명세자가 훙서한 순조 30년(1830) 무렵은 중앙의 재정부족이 가시화되던 시기로, 중앙재정을 전반적으로 긴축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효명세자의 상장례는 영조대 마련된 『국조상례보편』에 준하여 의절이 마련되었으며, 진휼청을 비롯한 경외아문에서 재원을 마련하고 3도감에 재원을 배분하여 의례를 치르는 기존의 방식을 유지하였다. 다만 효명세자의 상장례 비용이 전시기보다 늘어난 것은, 19세기 왕실재정을 방만하게 운영한 결과라기보다 백성을 무상 동원하여 유지해오던 조선왕조의 국역체계가 대동법 시행 이후 給價 체계로 전환되면서 불가피하게 늘어난 役價가 왕실의례 비용에 반영된 결과라고 하겠다.

      •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의 상장례 속에 나타난 민간 신앙적 요소 연구

        김성환(Kim, Seong-Hwa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

        각 민족의 민속에는 그 민족의 원시 신앙과 조상들의 세계에 대한 일련의 관점들이 담겨져 있으며, 그들의 조상이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지침이나 규범으로 삼았던 신앙이나 풍습을 파악할 수 있는 근원이 된다. 상장례는 인간의 죽음과 영혼과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의례이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주술적이거나 종교적인 요소가 내포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장례는 그 민족의 세계관과 정신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구 유고 지역 슬라브인들의 상장례, 특히 세르비아인들의 상장례를 중점적으로 알아봄으로써 구 유고 지역 상장례 문화의 일연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먼저 구 유고 지역의 전통적인 상장례의 세부적 절차와 의식을 세르비아의 상장례 풍습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상장례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의식이나 의례 속에 나타나는 의식이나 주술적 행위, 또는 금기 등을 토대로 상장례에 나타나는 민간 신앙적 요소를 밝히고자 했다. 구 유고 지역의 전통 상장례는 죽음을 앞둔 사람이 편안하게 임종을 맞이하게 하는 의식과 죽은 이의 영혼이 이승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저승에서 새로운 생명으로 부활하기를 기원하는 의식이 기본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 상장례와 연관된 여러 의식이나 믿음은 죽음의 예정성과 불예측성, 죽은 이의 영혼이 이승과 저승의 사이에 머무르는 전이기적(轉移期的) 미정성(未定性)에서 비롯되는 부정성(不淨性) , 이 부정성에서 비롯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들을 예방하고자 하는 주술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Each nation has an outlook on the world in its folk beliefs in which a series of viewpoint can be seen. In their living life, it can be the base of understanding beliefs and customs as a guide and a cannon. As funeral rituals ha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human death and soul, it is indispensable that it contains incantational and regional elements. It can also help us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 world view and the mental worl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the aspects of the funeral rituals in the former Yugoslavia region by focusing on that of Serbia. Before anything else, I exam the elements of folk beliefs in funeral rituals of the former Yugoslavia region based on sorcery or taboo which can be found in the various ceremony and courtesy in the funeral rituals by surveying the detail process and formality of funeral rituals. To help the person who faces death to peacefully meet it and to pray for God for the resurrection of it in the heaven as a new life without a lingering desire for this world comprise the basic structure of the funeral rituals in the former Yugoslavia region. In addition, various ceremony and beliefs which are related with funeral rituals are closely related with incantation to prevent the undesirable phenomena such as uncleanness which is motivated by the unsettled transition of the soul while he/she stays between in this world and in that world

      • KCI등재

        朝鮮 世祖代 懿敬世子 喪葬禮 구성과 특징

        조용철(Cho yong cheol)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5

        조선은 의례를 국가통치수단으로 적극 활용한 국가였으며, 이는 『세종실록』 「오례」와 『국조오례의』로 대표된다. 그런데, 『세종실록』「오례」와 『국조오례의』에서 국왕 상장례 절차는 모두 수록하고 있는 반면 세자의 상장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때문에, 조선의 세자 상장례는 조선 최초의 세자 상장례인 의경세자 상장례를 참고하여 진행되었다. 의경세자 상장례의 기본 절차는 국왕 상장례를 따르고 있었으나, 같은 국상이라 하더라도 세자는 왕위계승자의 신분이었기 때문에 국왕과 차별을 두어야 했다. 따라서 세자 상장례는 국왕 상장례에서 한 등급 낮추어 진행되었다. 의경세자의 상장례는 비록 국상 차원에서 이루어졌지만 그 절차 속에 일반 종친 혹은 대부 상장례의 요소들이 확인된다. 이것은 세자의 지위가 사망을 통해 변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국왕과 세자의 차별을 부각시켜왔던 세조대의 고민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조선시대 유교적 상장례 정착으로 보는 ‘유교화’ 과정-연산군・중종대 상기(喪期)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정일영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50

        Funeral custom is conservative, so it cannot change easily. Changing funeral custom, however, was very important issue for ‘Confucianization’ in Chosun Dynasty. Hence many kings and bureaucrats made an effort for the change, especially ‘mourning for three years’. The ‘mourning for three years’ was all kind of human’s duty in Chosun ideally, but it was the idea as the word itself. Because the ‘mourning for three years’ was related to practical problems as military problem, economic problem and social class problem. Therefore generalization of the ‘mourning’ was not an easy task. The matter of establishment of Confucian funeral custom flipped with King Yeonsan’s policy, ‘Reducing the term for mourning’. King Yeonsan wanted to reduce the term for mourning violently. On the other hand, the ‘Restoration party’ and King Jungjong who had expelled King Yeonsan from the throne had to make the reign of King Yeonsan as the anti-Confucian era because they wanted to justify their ‘Restoration’. So King Yeonsan’s retrogressive policy against the Confucianization confucianized Chosun society and custom paradoxically. On this wise, the Confucianization of funeral custom should be considered in political context. 상장례에 관련된 문화적 관습은 보수적인 성격을 띠기 때문에 그 변화의 속도는 매우 느리며 저항도 만만치가 않다. 하지만 유교적 상장례를 정착시키는 문제는 ‘조선의 유교화’라는 중요한 문제의 핵심이었다. 이런 이유로 조선 초기부터 국왕을 비롯한 조선 정부의 관료들은 유교적 상장례 정책에 지속적으로 힘을 기울여왔으며, 그 상장례 정책의 중심에는 삼년상이 있었다. 조선시대에 삼년상은 이상적으로는 신분과 관계없이 모든 이들이 마땅히 지켜야할 인간의 도리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삼년상을 ‘신분과 관계없이’ 지킬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군사 문제는 물론 경제 문제, 계급문제 등을 내포한 복잡한 현실 문제였다. 이런 상황에서 삼년상의 일반화 혹은 대중화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더디게 진행되던 유교적 상장례의 정착은 연산군의 단상법으로 말미암아 전환국면을 맞이했다. 연산군은 앞선 시대의 왕들과는 달리, 단상법을 제정하여 상기(喪期)를 오히려 단축시키려고 했다. 반면 반정을 정당화하려는 세력들은 연산군의 시대를 실제보다 더욱 비유교적인 시대로 만들어야 했다. 그리고 자신들은 정치적 정당성 확보를 위해 유교적 이상에 조금이라도 더 가깝게 다가서야만 했다. 역설적이게도 유교화의 흐름에 정면으로 역행했던 연산군의 ‘반작용’은 유교적 상장례에 ‘가속도’를 붙이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렇게 볼 때 연산군대는 조선시대에서 공백기가 아니라, 유교화의 진행을 순간적으로 대폭 진행시킨 원인을 제공한 시대라고 볼 수도 있다. 이처럼 조선시대 상장례의 유교화는 정치적 맥락 속에서 살펴야할 문제인 것이다.

      • KCI등재

        전통 상장례의 문화콘텐츠 활용 불교 상장례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한성열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0 애니메이션연구 Vol.16 No.3

        The storytelling and music contents such as a funeral song (a dirge) have mainly been the subjects of the cultural contents of tradition Funeral. In addition, the funeral is also used as a source material for various cultural contents such as plays, movies, dramas, plays, and animations. In this field of study, it shows that the funeral culture can carry out a certain amount of function. We need to suggest the meaning of death through humanities refl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erly understand the death and have a natural attitude to it. In order to pass down the cultural content in Buddhist Funeral, first, it should seek to new measures to activate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e. It is a matter that should be avoided to follow the phenomenon that the traditional entertainment events are inevitably staged by professional transmitters, but not transmitted in the living field. In addition, it is not advisable to research and study confined to the functions and entertainments regulated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Second, it requires a flexible learning process. Excessive emphasis on complex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hinders the variability of intangible heritage. It is necessary to keep the principle of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but to recognize the flexible learning process. Third, it needs to expand infrastructure that will promote social demands. There is no exclusive space for foreign tourists as well as Koreans, so we need a dedicated space to show our traditional performances. Fourth, it should strengthen the educational foundation for performing and passing down the funerals. In particular, it is an intangible heritage useful for fostering community awareness in youth personality education. Fifth, it should create representative tourism contents with intensive investment. It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sublime a place of sadness, a funeral, into a festival. 전통적인 상장례의 문화콘텐츠는 주로 스토리텔링과 상엿소리(만가) 등의 음악콘텐츠가 주 연구의 대상이되어 왔다. 그 밖에도 연극·영화·드라마·희곡·애니메이션 등 여러 문화콘텐츠에서도 상장례를 원천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이 분야 연구에서 상장례 문화가 일정 정도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우리는 죽음에 대한 의미를 인문학적 성찰을 통해 제시할 필요가 있다. 죽음을 제대로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대하는 태도를 갖자는 것이 본고가 지향한 목표이다. 불교 상장례 문화콘텐츠의 전승을 위해서는 연구결과, 첫째, 무형문화의 전승 활성화에 대한 새로운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오늘날 전통예능 종목들이 생활현장에서전승되는 것이 아니라 불가피하게 전문 전승자에 의해 무대 종목화 되어 전승되고 있는 현상을 답습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할 문제이다. 또 문화재보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능·예능에 국한시켜 조사·연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둘째, 융통성 있는 전수과정이 요청된다. 원형유지 원칙에 따른 사승관계를 지나치게 강조하면 무형유산의 가변성을 저해한다. 원형의 유지 원칙은 유지하되, 융통성 있는 전수과정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적 수요를 진작시킬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 내국인은 말할 것도 없고 외국관광객에게 보여줄 전용공간도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우리의 전통공연을 보여줄 전용공간이 필요하다. 넷째, 상장례를 공연 및 전승시키기 위한 교육 기반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청소년 인성교육에서 공동체 의식을 키우는 데에 무형유산만큼 유용한 자원도 없다. 다섯째, 집중적인 투자로 대표적 관광콘텐츠를 만들어야 한다. 상장례라고 하는 슬픔의 장을 축제의 장으로 승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이제는 상장례 문화에 대한 현대적 개념의 문화콘텐츠화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의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는 한국의 상장례 문화콘텐츠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인문학적 접근의 토대 마련에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唐의 喪葬令을 통해 본 고구려·백제 遺民의 喪葬禮

        정호섭(Jung, Hosub)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4

        지금까지 발견된 고구려와 백제 유민 墓誌銘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출자를 비롯한 정체성 문제, 그리고 당에서의 행적 등에 집중되어왔다. 그러나 묘지명의 내용이 단편적이라고 하더라도 묘지명을 당대인의 삶과 죽음을 이해하는 사료로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볼 필요성이 있다. 본고는 이러한 차원에서 고구려와 백제 유민들 묘지명을 통해 관인으로 살았던 그들의 상장례를 집중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喪葬令이나 喪葬禮와 관련하여 주로 賻物, 官給, 護喪, 解官, 勅葬, 服喪, 贈諡 등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이들 묘지명에 단편적인 내용들을 통해서라도 상장례의 실상을 이해하고 당나라 관인들과의 차별성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당나라 관인으로서의 주류 사회에 동화, 편입되기를 갈구했던 존재들로 관품에 따른 상장령이나 황제의 조칙에 의한 상장례를 하였기 때문에 큰 차별성을 발견하기 어렵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유민 연구가 정체성에 집중되고 있는 점은 민족주의적 입장에서의 접근이라 할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 당의 상장령과 상장례의 대강을 이해하고 고구려와 백제 유민 묘지명을 통해 상장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다각도로 묘지명 자료에 접근하는 길을 모색해본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라 생각한다. 전체적으로 보면 당에서는 상장령이 실제적으로는 조항대로 운영된 것은 아니었다. 황제의 詔勅, 別勅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비록 일면적이나마 율령을 통한 국가 지배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음미해 볼 사항이다. The literature on the epitaph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has paid attention to their identity, including their claim of origins and records in the Tang Dynasty. However, this paper suggests the need for extensive use of epitaphs, despite the incomplete information, as historical records to address the life and death of the time. In this regard, it sheds light on the funeral service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who were officials of the Tang Dynasty, by examining their epitaphs. In addition, it analyzed funeral gifts(賻物), government issue(官給), funeral director(護喪), dismissal from government post(解官), execution of burial(勅葬), wearing mourning(服喪), and posthumous title(贈諡) and their relations with funeral order and funeral service. From the incomplete information, it also sought to understand the state of funeral servi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refugees and officials of Tang. However, owing to the refugees’ intention towards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into the mainstream society of Tang by contributing, it is hard to find a substantial difference; such a result implies that the study on the identity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has assumed a nationalist approach. Still,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xamining the outline of the funeral order and service of Tang and seeking ways to approach the epitaphs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with concrete cases of funeral service. Overall, this paper finds that the funeral order was not executed as stipulated but subject to Royal edicts(詔勅) and special proclamations(別勅) from the Emperor; it opens a way to appreciate the funeral order and service in light of the state’s ruling.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상장례 문화 비교 ‒가톨릭 장례미사와 위령기도를 중심으로‒

        조정연 한국일본근대학회 2020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9

        This study compared and discussed the funeral rites of Korea and Japan, particularly, Catholic funeral culture and prayer for the dead harboring both countries’ tradition and emotions, by a diachronic approach. In Korea, the Psalms have been sung in the funeral rites that preserve the tradition of the Roman Catholic where people prayed mercy, forgiveness and eternal rest for the dead, consistently as a community. Afterwards, the Yeondo composed in the traditional melody has been used until now, and the Korea’s unique prayers for the dead continue until the end of mourning. On the other hand, in Japan, the prayer for the dead sung from the Rituale Romanum has been indigenized and transformed during the periods of persecution and Secret Christians. Currently in the Japanese Catholic funeral mass, it is mainly seen that the memory of the deceased is honored with“Amen”or silence upon the funeral prayer of the priest. Thus, this study confirmed that among the differences in Catholic funeral culture between Korea and Japan, particularly Confucian and Buddhist folklore of each country has great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ir own prayer for the dead.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가톨릭 상장례, 특히 양국의 전통적인 관습과 정서가 담긴 가톨릭 장례문화 위령기도의 양상을 통시적 접근으로 비교ㆍ고찰하였다. 한국은 로마 가톨릭의 정통성을 지닌 상장례의 시편을 노래하며, 사자를 위해 자비와 용서를 빌고, 영원한 안식에 들도록 일관성 있게 공동체의 기도를 드려왔다. 그 후, 전통적인 곡조로 이루어진 현재의 연도로서 한국 고유의 위령기도를 탈상까지 계속하게 되었다. 한편 일본에서는 로마 예식서의 노래로 하는 위령기도가 박해시대 잠복 기리시탄 시대에 일본화된 장례문화가 토착화되고 변용되어 간다. 현재 일본 가톨릭 장례미사에서는 사제의 상장례의 기도에 따라 ‘아멘’이나 침묵으로 고인을 추모하는 모습이 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일 양국의 가톨릭 상장례 문화의 차이 중 특히 고유의 위령기도가 형성되는 데에는 각국 고유의 유교민속과 불교민속의 영향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