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동종골과 이종골을 층별로 이식한 상악동골이식술

        김경원, 이은영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3 忠北醫大學術誌 Vol.23 No.2

        치조골의 흡수와 상악동의 함기화로 인하여 상악 구치부에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상악동골이식술은 이미 보편화된 술식이며, 그 예후도 아주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조직은행 등을 통하여 다양 한 동종골 이식재들이 공급되고 있으며 또한 그 이식재의 특성도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동종골 이식재는 비교적 흡수가 빨리 일어나는 단점이 있어서 이에 대한 보완으로 이종골이나 합성골을 섞어서 사용하여 이식재의 빠른 흡수를 줄이려는 노력이 있어 왔다. 저자는 상악동골이식술 시 동종골과 이종골을 섞어서 이식하는 것이 아니라 상악동저의 환자의 자기 골조직과 접촉되는 부분은 동종골을 이식하고, 상부의 상악동점막에 접촉하는 부분은 이종골을 이식하 여 흡수에 보다 저항할 수 있도록 동종골과 이종골을 층상으로 골이식술을 시행하여 비교적 양호한 결 과를 얻었다.

      • KCI등재후보

        상악동 편평세포암종에서의 방사선치료

        김태현(Tae-Hyun Kim),윤원섭(Won-Sub Yoon),양대식(Dae-Sik Yang),김철용(Chul-Yong Kim),최명선(Myung-Sun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1

        Purpose : Maxillary sinus cancers usually locally advanced, and involve the structures around sinus, but the regional lymphatic spread is uncommon. Therfore, the local control of these cancers is important for their cure. We reviewed our experience of 55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maxillary sinus,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nd looked for the role of radiation in maxillary sinus cancers. Methods and Materials : Between November 1982 and October 1999, 55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maxillary sinus underwent either radiation therapy only, or combined with surgery or with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All patients were restaged to the 1997 AJCC staging systems. The T classifications of the tumors of the patients were as follows : 1.8% (1/55) for T2, 81.8% (45/55) for T3 and 16.4 (9/55) for T4. Thirteen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lymph node involvement. With the surgical procedures, 12 patients were managed by biopsy only, 21 were resected by FESS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and 22 by partial/medial/total maxillectomies. The details of the treatments were as follows : 8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only, 17 with a combination of FESS and radiation therapy, 22 with a combination of a maxillectomy and radiation therapy, 4 with combination of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and surgery, and 4 with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The mean follow-up for all patients was 25 months, ranging from 2.8 to 125 months. Results : The 4-year local control and survival rates for all patients were 45.5 and 33.3%, respectively. The 4-year local control and survival rates, due to the extent of surgery, were as follows:32.1, and 21.4% for biopsy; 41.9, and 31.7% for FESS; and 56.8, and 52.7% for maxillectomy, respectively. Twenty-nine(52.7%) patients were not cured, and of these 29 patients, 23 (79.3%) patients had a local recurrence following treatment. Conclusion :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major failure sites following treatment to be the local regions, and that the completeness of surgery was important for improving the local control and survival of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maxillary sinus. 목적 : 상악동 편평세포암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성적을 분석하여, 예후인자와 방사선치료의 역할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82년 1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상악동암 중 조직학적으로 편평세포암종으로 진단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병기별로 보면, Ⅲ기가 44명, Ⅳ기가 11명이었다. 원발종양병기분류를 보면, T2가 1명, T3가 45명, T4가 9명이었으며, 림프절 전이는 13명에서 있었다. 수술은 12명은 조직검사만, 21명에서는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수술을, 22명에서는 전상악동 절제술 또는 아상악동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 단독으로 시행한 경우가 8명,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군이 17명, 근치적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22명, 수술 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4명, 동시항암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4명이었다. 전체환자의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25개월(2.8~125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환자의 2년과 4년 국소제어율은 각각 49.0%, 45.5%였고, 2년과 4년 생존율은 각각 42.1%, 33.3%였다. 방사선치료 전의 수술적 절제 정도에 따라 보면 조직검사 군은 4년 국소제어율과 생존율이 각각 32.1%, 21.4%였고,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을 시행한 군은 각각 41.9%, 31.7%였고,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군은 각각 56.8%, 38.5%로 차이를 보였다.(ρ<0.05). 전체환자 중 26명의 환자는 추적관찰 기간 중 무병상태를 보였고, 19명은 국소재발만을, 2명은 림프절 전이와 국소재발을 함께 보였고, 1명은 림프절전이를, 2명은 전신전이와 국소재발을 동시에, 5명은 전신전이를 보였다. 결론 : 상악동 편평세포암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시 국소제어율과 생존율의 향상을 위해서는 수술시 절제정도가 중요한 예후인자임을 확인하였고, 치료 실패의 부위가 국소인 경우가 높아 효과적인 국소치료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을 보인다.

      • KCI등재후보

        상악동 골 이식술을 동반하여 식립된 임플란트의 변연골변화와 생존률에 관한 후향적 연구

        유화숙,김선종,박은진,김명래,Ryu, Hwa-Suk,Kim, Sun-Jong,Park, Eun-Jin,Kim, Myung-Rae 대한치과보철학회 200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7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측방접근법을 통해 상악동 골이식을 시행한 후 임플란트를 식립하였을 때, 누적 생존률 및 성별, 연령별, 이식재, 자가골의 공여부, 술전 잔존골 양, 무치악 형태, 식립 시기, 임플란트 종류, 직경과 길이에 따른 임플란트의 생존률 및 변연골의 방사선학적 결과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상악 구치에 측방접근법을 통해 상악동 골이식술 후 임플란트 보철치료를 시행한 7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면 처리된 나사모양의 임플란트를 사용하였다. Osseotite(BIOMET 3i, Warsaw, USA), Neoplant(Neobiotec, Seoul, Korea), $Br\ddot{a}nemark$(Nobel Biocare, Goteberg, Sweden)과 SSII(Osstem, Busan, Korea)를 사용하였다. 최소 6개월 이상의 기간 관찰 누적 생존률은 Kaplan-Meier 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다른 요소에 따른 임플란트의 생존률의 유의성은 Chi-square test로 검정하였다. 결과: 상악동골 이식술이 시행된 모든 증례에서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한 골 양이 얻어졌으며 92%의 생존률을 보였다. 결론: 상악동 골이식술을 시행한 후 임플란트 보철 수복은 자가골 단독 사용시에 자가골과 골대체 물질이 혼합된 것보다 우수한 생존률을 보였다. 지연 식립하는 경우가 임플란트와 동시에 식립하는 경우보다 생존률이 높았다. Statement of problem: Insertion of endosseous implants in the atrophic maxilla is often complicated because of lack of supporting bone. Augmentation of the floor of the maxillary sinus with autogenous bone & bone substitute graft has been proven to be a reliable treatment modality, at least in the short ter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actors of implant survival rate associated with maxillary sinus lift with grafts. Material and methods: The sinus floor was augmented with bone grafts derived from modified Caldwell-luctechnique(71 subject, 93 sinus, 180 implants), the autogenous bone or autogenous+Bio-oss. Before implant installation the width and height of the alveolar crest were increased in the first stage procedure in 10 patients while in the other 61 patients augmentation and implant installation could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dth and height of the alveolar crest > 4 mm) or delayed installation. Results: In all case bone volume was sufficients for implant insertion. 14 of 180 inserted implants were lost during follow up and the healing period Patient received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5 patients) or fixed bridge(62 patients). Conclusion: Within the limit of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nclude that bone grafting of the floor of the maxillary sinus floor with bone for the insertion of implants might be a reliable treatment modality and the autogenous bone graft and delayed installation method might be the factors for good results.

      • KCI등재

        유ㆍ소아 부비강 Water"s 영상의 이상적 구현을 위한 촬영기준각도 변화에 관한 연구

        손상혁(Sang-Hyuk Son),송영근(Young-Geun Song),홍상우(Sung-Kyu Kim),김성규(Sang-Woo Hong),김제봉(Je-Bong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7 방사선기술과학 Vol.30 No.2

          상악동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변화하고. 추체부와의 해부학적 상관관계도 변화된다. 유소아의 연령대별 상악동과 추체부의 상관관계 변화에 따른 촬영 기준 각도(OML과 IP가 이루는 각도)를 산출함으로서 PNS Water"s 영상의 이상적 구현을 위한 촬영 기준 각도를 제시하고자 한다.<BR>  본원 내원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두개부에 납볼을 붙이고, PNS Water"s 촬영 자세에서 X-선 발생장치와 디지털카메라를 동시에 이용하여 PNS Water"s 및 Skull trans-Lat.의 X-선 촬영을 실시하고 PNS Water"s 촬영자세에서 일반사진 측면상을 촬영한 후, 방사선 영상을 이용 중심선속의 입사 경로와 OML과 상악동 하연에서 추체부를 연결하는 선의 각도(Angle A)를 산출하여 90°-Angle A의 그래프를 얻고, 일반사진 측면상에서는 이상적인 Water"s 영상으로 평가된 환자의 OML과 Image Plate(IP)가 이루는 각도(Angle B)를 산출하여 연령에 따른 그래프를 작성한 후, 두 개의 그래프를 비교 분석하였다.<BR>  분석 결과 OML과 Image Plate(IP)가 이루는 각도(Angle B)는 4세 소아에서는 평균 43°로 마호니가 제시한 기준각도인 37° 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각도가 감소하여, 만 30세 부터는 37°에 근접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BR>  PNS Water"s 검사에서 상악동의 성장을 고려하여 연령별 OML과 Image Plate(IP)가 이루는 각도에 변화를 주어 촬영한다면, 유 소아 발생하기 쉬운 상악동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보다 정확한 검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proper angle for the optimal image of PNS Water"s view on children,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NS Water"s projection angle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at every age.<BR>  This study randomly selected 50 patients who visited the Medical Center from January to May in 2005, and examined the incidence path of central ray, taking a PNS Water"s and skull trans-Lat. view in Water"s filming position while attaching a lead ball mark on the Orbit, EAM, and acanthion of the patients"s skull. And then, we calculated the incidence angles(Angle A) of the line connected from OML and the petrous ridge to the inferior margin of maxilla on general(random) patients"s skull image, following the incidence path of central ray.<BR>  Finally, we analyzed two pieces of the graphs at ages, developing out the patients" ideal images at PNS Water"s filming position taken by a digital camera, and calculating the angle(Angle B) between OML and IP(Image Plate).<BR>  The angle between OML and IP is about 43° in 4-years-old children, which is higher than 37°, as age increases the angle decreases, it goes to 37° around 30 years of age. That is similar result to maxillary growth period.<BR>  We can get better quality of Water"s image for children when taking the PNS Water"s view if we change the projection angles, considering maxillary growth for patients in every age stag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상악동으로 이소맹출한 견치

        김현옥,최병재,이종갑 대한소아치과학회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4

        구강 내에서 치아가 이소맹출되는 것은 흔히 있는 반면에 구강외 다른 부위로의 이소맹출은 드물다. 예를 들어 비강, 턱, 하악과두, 관상돌기, 안와 또는 상악동으로 이소맹출할 수 있으며 그 원인은 불명확한데 구개열과 같은 발육장애, 외상이나 낭종에 의한 치아변위, 상악감염, 유전, 총생 또는 치밀골 등의 원인 요소가 논의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증례에서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는 않았다. 치아가 상악동으로 이소맹출한 경우 무증상일 수 있지만 심각한 병적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증례는 6세 1개월 남환아로 어금니가 아프다는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의과병력과 치과병력조사에서 특이한 사항은 없었고 통상적인 보존치료후 주기적인 임상 및 방사선 사진 검사에서 상악 좌, 우 견치의 맹출경로의 이상소견을 보였다. 13세 7개월에 촬영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상악 좌, 우측 견치가 상악동으로 이소맹출되었으며 Caldwell Luc 수술법으로 제거하였다. 환자는 동통이나 불편감 등을 호소하지 않았으며 종창이나 지각과민 등의 구강내 이상소견은 없었다. 이소맹출되는 치아는 영구치, 유치 및 과잉치일 수 있으며 대부분의 과잉치는 무증상으로 주로 주기적인 방사선 검사시 발견될 수 있다. 정확한 진단 및 치료계획을 세우기 위하여 주기적인 구강 및 방사선 사진 검사가 필요하다. Ectopic eruption of a tooth into the oral environment occurs commonly whereas ectopic eruption of a tooth into other sites is rare. Those that have been reported include the nasal cavity, chin mandibular condyles, coronoid processes, orbits and maxillary sinus. The etiologic factors of ectopic eruption are developmental disturbances such as cleft palate and teeth displaced by trauma or cysts, maxillary infection, genetic factors, crowding and exceptionally dense bone. In many cases, however, the etiology cannot be identified. Eruption of the teeth into the maxillary sinus is uncommon, however, the identification of such teeth can be important since they have potential to cause considerable morbidity. The definitive treatment is surgical removal of the teeth. A 7 year-old-boy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for treatment of dental caries. The abnormal erupting paths of the left and right maxillary canines were found during routine panoramic radiographic investigations. A panoramic radiograph taken at 13 years old revealed that two maxillary canines were located into the sinus. The teeth were extracted the Caldwell-Luc approach.

      • Carcinoma ex Pleomorphic Adenoma of the Maxillary Sinus

        박혜상,정성민,김한수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2010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3 No.1

        다형선종유래암종(Carcinoma ex pleomorphic adenoma)은 타액선 종양 중 드문 종양으로 대부분 이하선에 발생하며 비강 또는 부비동 내에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저자들은 좌측 상악동 내 종물이 있는 81세 여자환자에서 악성 종양 의심 하에 좌측 상악전적출술 및 견갑설골상부 경부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시행한 병리조직 검사 상 다형선종의 양성 병변이 악성종양으로 변화된 양상을 보여 다형선종유래암종으로 확진하였다. 수술 후 방사선 치료는 시행하지 않았으며 12개월간 재발 소견 없이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 상악동 내에 발생하는 다형선종유래암종은 매우 드문 경우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상악동에 발생한 국균증 2례

        조용석,김경원,박현진,강지연,이건국,신향미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1 忠北醫大學術誌 Vol.11 No.1

        국균증은 토양, 유기체 그리고 모든 형태의 유기물 잔사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국균 (Aspergillus) 속에 의하여 발병한다.이 균의 포자는 공기 중에서 전염될 수 있으므로 가장 흔한 감염 진균 중 하나이다.부비동에 발생한 국균증은 초기 임상 증상이 만성 부비동염과 유사하며, 방사선 사진 등을 이용한 검사상도 일반 세균성 감염과 구별하기가 매우 어렵다.대개는 병리조직학적 검사로 국균을 확인해서 확진을 내리게된다.국균증의 치료는 외과적으로 상악동내의 병소를 완전히 제거하고 비강에로 충분한 공기를 통기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보조적으로 전신적인 항진균제를 사용해야한다. 증례는 40세와 24세인 여자 환자들로서 전신적으로는 건강했으며 임상적 방사선적으로 만성 상악동 증세를 보였다.상악동 근치술을 시행하면서 국균종으로 여겨지는 암갈색 덩어리들이 관찰되었고 술 후 병리조직검사상 국균증으로 진단되었다.국균증으로 진단 후 보조적으로 전신적 항진균제를 투약하였으며 재발없이 치유되었다. Aspergillus is a fungus of the Acetomyces class that is most commonly encountered in the human environment.Aspergillosis of the maxillary sinus is not common and it requires special consideration to diagnose and eradicate. The disease is characterized by a wide range of initial symptom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a possible diagnosis in sinusitis refractory to antibiotics and antral lavage. Generally the diagnosis of sinus aspergillosis can be confirmed by histologic examination, however, characteristic radiographic appearance such as coherene of radiodense sinus concretions can be found by careful examination of the radiograms. The choice of treatment of maxillary sinus aspergillosis is radical surgery with adjunctive systemic antifungal therapy. We experienced two cases of maxillary sinus aspergillosis, which initially diagnosed as chronic maxillary sinusitis and showed a necrotic mass intraoperatively and histologically diagnosed as aspergillosis.We reports theses cases with review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