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nanoleakage patterns of experimental hydrophobic adhesives after load cycling

        Sohn, Suh-Jin,Chang, Ju-Hae,Kang, Suk-Ho,Yoo, Hyun-Mi,Cho, Byeong-Hoon,Son, Ho-Hyun 大韓齒科保存學會 200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실험용 소수성 상아질 접착제와 전통적인 3-step 상아질 접착제의 nanoleakage양상을 load cycling 전, 후에 비교하여 상아질 접착제의 내구성을 예측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두 가지 실험용 소수성 상아질 접착제 즉, 에탄올 포함 상아질 접착제, 메탄올 포함 상아질 접착제를 만들었다. 대구치 30개의 치관부 3분의 1을 절단하고 임의로 3군으로 나누어 각각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 St. Paul, MN, USA), 에탄올 포항 상아질 접착제 및 메탄올 포함 상아질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아질 접착 후, 복합레진으로 치관부를 수복하였다. 각각의 접착 시스템을 Load cycling 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치아를 접착 계면에 수직으로, 약 2.0 mm의 두께가 되도록 절단하여 치아 마다 2개의 시편을 얻어 각 군 당 10개의 시편을 얻었다. 시편을 50 % ammoniacal silver nitrate를 이용하여 염색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혼성층의 nanoleakage를 관찰하였다. 은 침착의 분포는 image analysis software (Scion Image Beta 4.03, Scion Corp., Frederick, MD, USA)를 이용하여 gray value로 계산하였고 이원분산분석법으로 통계처리하였다. 3종의 상아질 접착제에서 모두 nanoleakage가 관찰되었으나. 에탄올 포함 상아질 접착제와 메탄올 포함 상아질 접착제에서 Scotchbond Multi-Purpose보다 적은 양의 nanoleakage가 관찰되었다 (p < .0001). 각각의 상아질 접착제에서 load cycling에 따른 nanoleakage 양상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친수성기를 줄이고 소수성기를 극대화한 실험용 상아질 접착제가 접착 계면의 내구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 (1) to compare nanoleakage patterns of a conventional 3-step etch and rinse adhesive system and two experimental hydrophobic adhesive systems and (2)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nanoleakage patterns after load cycling. Two kinds of hydrophobic experimental adhesives, ethanol containing adhesive (EA) and methanol containing adhesive (MA), were prepared. Thirty extracted human molars were embedded in resin blocks and occlusal thirds of the crowns were removed. The polished dentin surfaces were etched with a 35 % phosphoric acid etching gel and rinsed with water. Scotchbond Multi-Purpose (MP), EA and MA were used for bonding procedure. Z-250 composite resin was built-up on the adhesive-treated surfaces. Five teeth of each dentin adhesive group were subjected to mechanical load cycling. The teeth were sectioned into 2 mm thick slabs and then stained with 50 % ammoniacal silver nitrate. Ten specimens for each group were examin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backscattering electron mode. All photographs were analyzed using image analysis software. Three regions of each specimen were used for evaluation of the silver uptake within the hybrid layer. The area of silver deposition was calculated and expressed in gray valu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wo-way ANOVA and post-hoc testing of multiple comparisons was done with the Scheffe's test. Silver particles were observed in all the groups. However, silver particles were more sparsely distributed in the EA group and the MA group than in the MP group (p < .0001). There were no changes in nanoleakage patterns after load cycling.

      • KCI등재

        상아질의 봉쇄 시기와 표면처리 방법이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강동호,한종현,박정원,김선재,Kang, Dong-Ho,Han, Chong-Hyun,Park, Jung-Won,Kim, Sun-Jai 대한치과보철학회 201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8 No.1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자가부식 접착제를 이용한 즉시 상아질 봉쇄 (immediate dentin sealing; IDS)와 지연 상아질 봉쇄 (delayed dentin sealing; DDS)에서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강도를 비교하고 즉시 상아질 봉쇄에서 접착제 표면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air abrasion이 상아질에 대한 미세 인장 결합강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평가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1개월 이내에 발거된 사람의 건전한 대구치 30개를 6개의 군으로 분리하였고 상아질 접착제로는 자가부식 접착제 Clearfil SE bond (Kuraray, Okayama, Japan)를 사용하였다. 군분류는 치관부를 삭제하여 상아질을 노출시킨 후 즉시 접착제를 도포하고 복합레진 Filtek Z250 (3M ESPE, St Paul, MN, USA)을 충전한 군을 대조군 (Control), 노출된 상아질에 즉시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하고 2주 후 재차 접착제를 도포해 복합레진과 같이 광중합하는 즉시 상아질 봉쇄군 (IDS), 상아질 노출 후 상아질 접착을 즉시 시행하지 않고 2주 후 상아질 접착과 복합레진의 충전을 시행하는 지연 상아질 봉쇄군 (DDS)으로 분류하였다. 그후Control군에 air abrasion을 시행한 군을 C-A, IDS군에 air abrasion을 시행한 군을 IDS-A군, DDS군에 air abrasion을 시행한 군을DDS-A군으로 세분화하였다. Control군과 C-A을 제외한 모든 군은 2주간 Fermit을 이용한 임시수복기간을 두었으며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미세인장 결합강도 실험 전 24시간동안 증류수에 보관 후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미세인장 결합강도는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유의차가 있는 경우 Scheffe test를 이용한 사후검증을 시행하였다. 결과: 1. 자가부식 상아질 접착제인 Clearfil SE bond를 치아 삭제 직후 상아질 접착을 시행하고 2주간 임시수복 기간을 거친 후 접착제를 재도포하고 복합레진을 수복한 군과 치아삭제 후 2주간의 임시수복기간을 거친 후 상아질 접착을 시행하고 복합레진을 수복한 군 사이에 상아질-레진 간 미세인장 결합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5). 2. 자가부식 상아질 접착제인 Clearfil SE bond를 상아질 접착 시행 전 $50{\mu}m$ 크기의 aluminum oxide particle로 air abrasion 처리하는 것은 상아질-레진 간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P>.05).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methods of dentin bonding agent application and air abrasion pretreatment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between dentin and resin, using a self-etching adhesive system. Material and methods: Thirty freshly extracted human molars were obtained and divided into 6 groups of 5 teeth. A 2-step self etching adhesive system (Clearfil SE Bond) was used for all groups. The control specimens were prepared using a direct immediate bonding technique. The delayed dentin sealing specimens were prepared using an indirect approach without dentin prebonding. The immediate dentin sealing specimens were prepared using dentin prebonding immediately following preparation. Immediate dentin sealing teeth and delayed dentin sealing teeth had provisional restorations using Fermit for two weeks. Then all specimens of each group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three, depending on air abrasion pretreatment. Composite "crowns" were incrementally built on and specimens were stored in water for 24 hours. All teeth were prepared for a microtensile bond strength test. Bond strength data were analyzed with a one-way ANOVA test, and post hoc comparison was done using the Scheffe's test. Results: The mean microtensile bond strengths of all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Conclusion: When preparing teeth for indirect restorations, IDS and DDS with Clearfil SE bond, have no difference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between dentin and resin. Air abrasion pretreatment did not affect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when using IDS and DDS with Clearfil SE bond.

      • KCI등재

        수종의 상아질 접착시스템이 즉시 및 지연 상아질 봉쇄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하진희,김현철,허복,박정길 大韓齒科保存學會 200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3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수종의 상아질 접착시스템이 즉시 및 지연 상아질 봉쇄에서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18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사용하여 지연 상아질 봉쇄그룹은 노출된 상아질면을 임시수복하였으며, 1주간 보관 후, 접착제에 따라 3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도포하였다; SB 그룹 (3단계 산 부식 접착제), SE그룹 (2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 XE그룹 (1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 즉시 상아질 봉쇄그룹은 3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접착제를 도포하고 임시수복 후 1주간 보관하였다. 모든 시편은 간접 복합레진과 레진 시멘트로 합착하고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즉시 상아질 봉쇄그룹은 지연 상아질 봉쇄그룹에 비해 3단계 산 부식과 2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에서 높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보였다 (p<0.05). 2. 즉시 및 지연 상아질 봉쇄그룹 모두 미세인장결합강도는 3단계 산 부식, 2단계 자가 부식, 1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순으로 감소하였고, 즉시 상아질 봉쇄그룹에서는 1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와 다른 소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0.05), 지연 상아질 봉쇄 그룹에서는 모든 소그룹간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p<0.05). 3. 파절 양상은 대부분 혼합성 파절을 보였으며, 1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에서만 접착성 파절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various dentin bonding systems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immediate dentin sealing (IDS) and delayed dentin sealing (DDS). Eighteen extracted permanent molar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teeth for DDS group were restored with a provisional restorations, and immersed in saline solution for 1 week, and divided into 3 subgroups according to various dentin bonding adhesives; SB subgroup (3 step total-etch adhesive), SE subgroup (2 step self-etch adhe-give), XE subgroup (1 step self-etch adhesive), In IDS group, the teeth were divided into 3 subgroups, and applied with bonding adhesives as in DDS group. The teeth were restored with provisional restorations, and immersed in saline solution for 1 week. Indirect composite disc was cemented with resin cement, and all specimens were subjected to microtensile bond strength.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one-way ANOVA and Student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D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BS than DDS group in 3 step total-etch and 2 step Self-etch adhesive (p<0.05). 2. In IDS and DDS group, 3 step total-etch adhesive showed the highest ?TBS value, followed by 2 step self-etch, and 1 step self-etch adhesive, In IDS group, the ?TBS value for 1 step self-etch adhesiv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other subgroups (p<0.05), and in DDS group,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all subgroup (p<0.05). 3. Failure modes of tested dentin bonding adhesives were mostly mixed failure and only 1 step self-etch adhesive showed adhesive failure.

      • KCI등재

        Bonding efficacy of cured or uncured dentin adhesives in indirect resin

        Ji-Hyun Jang,Bin-Na Lee,Hoon-Sang Chang,Yun-Chan Hwang,Won-Mann Oh,In-Nam Hwang 大韓齒科保存學會 201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6 No.6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uncured dentin adhesives on the bond interface between the resin inlay and dentin. Materials and Methods: Dentin surface was exposed in 24 extracted human molars and the teeth were assigned to indirect and direct resin restoration group. For indirect resin groups, exposed dentin surfaces were temporized with provisional resin. The provisional restoration was removed after 1 wk and the teeth were divided further into 4 groups which used dentin adhesives (OptiBond FL, Kerr; One-Step, Bisco) with or without light-curing, respectively (Group OB-C, OB-NC, OS-C and OS-NC). Pre-fabricated resin blocks were cemented on the entire surfaces with resin cement. For the direct resin restoration groups, the dentin surfaces were treated with dentin adhesives (Group OB-D and OS-D), followed by restoring composite resin. After 24 hr, the teeth were assigned to microtensile bond strength (μTBS)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 respectively. Results: The indirect resin restoration groups showed a lower μTBS than the direct resin restoration groups. The μTBS values of the light cured dentin adhesive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ncured dentin adhesive groups (p < 0.05). CLSM analysis of the light cured dentin adhesive groups revealed definite and homogenous hybrid layers. However, the uncured dentin adhesive groups showed uncertain or even no hybrid layer. Conclusions: Light-curing of the dentin adhesive prior to the application of the cementing material in luting a resin inlay to dentin resulted in definite, homogenous hybrid layer formation, which may improve the bond strength. [J Kor Acad Cons Dent 2011;36(6):490-497.]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접 레진수복시 상아질 접착제의 중합 여부가 레진인레이와 상아질간의 미세인장결합강도와 결합계면 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공초점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4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절단하여 교합면 상아질을 노출시켰다. 수복 방법에 따라 크게 간접 레진수복과 직접 레진수복의 두 군으로 나누었다. 간접 레진수복군은 임시 수복하여 1주일 후, 상아질 접착 과정에 따라 4군(OB-C와 OB-NC군, OS-C와 OS-NC군)으로 나누었다. 간접 레진수복군은 산부식 처리된 상아질면에 OptiBond FL (Kerr) 또는 One-Step (Bisco) 상아질 접착제를 중합 여부에 따라 나누어 적용하였다. 처리된 상아질면에 제작된 3 mm 높이의 레진 인 레이(Tescera, Bisco)를 Variolink II (Ivoclar Vivadent)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합착하였다. 직접 레진수복군은 산부식 처리된 상아질면에 상아질 접착 후, 복합레진 (EsteliteΣ, Tokuyama)으로 즉시 수복하였다(OB-D군, OS-D군). 수 복을 마친 모든 치아는 24시간 후, 미세인장 결합 강도 평가와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관찰(CLSM)을 시행하였다. 결과: 간접 레진수복군은 직접 레진수복군에 비하여 낮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상아질 접착제를 광중합한 군 (OB-C군, OS-C군)이 광중합을 시행하지 않은 군(OB-NC군, OS-NC군)에 비하여 높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접착 계면에 대한 CLSM 관찰에서 상아질 접착제를 광중합한 군에서 더 분명하고 균일한 혼성층이 관찰되었다. 상아질 접착 제를 광중합하지 않은 군에서는 혼성층이 불분명하거나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간접 레진수복물의 합착시 레진시멘트의 적용 전에 상아질 접착제의 광중합은 분명하고 균일한 혼성층의 형성하며, 이 는 결합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 KCI등재

        열순환이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

        문영훈,김종률,최경규,박상진 대한치과보존학회 2007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2 No.3

        이 논문의 목적은 열순환이 4종 상아질 접착 시스템의 결합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것이다. 제3대구치의 상아질층을 노출시킨 후, 무작위로 8개군으로 나눈다: 3단계 산부식 시스템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SM, All Bond-2; AB), 2 단계 산부식 시스템 (Single Bond; SB, One Step plus; OS), 2단계 자가부식 시스템 (Clearfil SE Bond; SE, AdheSE; AD), 1 단계 자가부식 시스템 (Promp L-Pop; PL, Xeno III; XE). 8개 군에 각 상아질 접착제를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도포하고 복합레진 (Z250)을 적층한 후, 광조사한다. 37℃ 증류수에서 24시간 보관한 후 각 군마다 정해친 프로그램으로 0, 1000, 2000회 열순환한 후, 저속 diamond saw로 1 × 1 ㎜막대형 시편을 제작한다. Universal testing machine (EZ-test; Shimadau, Japan)으로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유의수준 0.05 level에서 ANOVA / Duncan's test로 통계분석 하였다. 상아질측 파단면과 접착계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단계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강도는 열순환 전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2단계 산부식형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강도는 열순환 처리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2. 2단계 자가부식형 접착제 (SE)의 결합강도가 가장 높았고,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 (PL, XE)는 실험군 중 가장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다. 3. 모든 접착제는 주로 접착성 파괴가 발생하였고, 열순환에 의하여 산부식형 접착제는 접착성 파괴가, 1단계 자가부식형 접착제에서는 혼합형 파괴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상아질 접착제의 접착단계/과정이 결합내구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접착과정의 단순화가 반드시 접착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없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rmocycling on the μTBS (microtensile bond strength) to dentin with four different adhesive systems to examine the bonding durability. Freshly extracted 3^(rd) molar teeth were exposed occlusal dentin surfaces, and randomly distributed into 8 adhesive groups: 3-steps total-etching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SM, All Bond-2; AB), 2-steps total-etching (Single Bond; SB, One Step plus; OS), 2-steps self-etching (Clearfil SE Bond; SE, AdheSE; AD) and single-step self-etching systems (Promp L-Pop; PL, Xeno III; XE). Each adhesive system in 8 adhesives groups was applied on prepared dentin surface as an instruction and resin composite (Z250) was placed incrementally and light-cured. The bonded specimens were sectioned with low-speed diamond saw to obtain 1×1 ㎜ sticks after 24 hours of storage at 37℃ distilled water and proceeded thermocycling at the pre-determined cycles of 0, 1,000 and 2,000. The μTBS test was carried out with EZ-tester at 1 ㎜/min. The results of bond strength test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Duncan's test at the α<0.05 confidence level. Also, the fracture mode of debonded surface and the interface were examined under 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3-step total etching adhesives showed stable, but bond strength of 2-step adhesives were decreased as thermocycling stress. 2. SE showed the highest bond strength, but single step adhesives (PL, XE) had the lowest value both before and after thermocycling. 3. Most of adhesives showed adhesive failure. The total-etching systems were prone to adhesive failure and the single-step systems were mixed failure after thermocycling. Within limited results of this study, the bond strength of adhesive system was material specific and the bonding durability was affected by the bonding step/ procedure of adhesive. Simplified bonding procedures do not necessarily imply improved bonding performance. [J Kor Acad Cons Dent 32(3):222-235, 2007]

      • KCI등재

        THE EFFECT OF THE REMOVAL OF CHONDROITIN SULFATE ON BOND STRENGTH OF DENTIN ADHESIVES AND COLLAGEN ARCHITECTURE

        Kim, Jong-Ryul,Park, Sang-Jin,Choi, Gi-Woon,Choi, Kyoung-Kyu 大韓齒科保存學會 2010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5 No.3

        Proteoglycan is highly hydrophilic and negatively charged which enable them attract the water. The objectiv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teoglycan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dentin adhesives and on architecture of dentin collagen matrix of acid etched dentin by removing the chondroitin sulphate attached on Proteoglycan. A flat dentin surface in mid-coronal portion of tooth was prepared. After acid etching, half of the specimens were immersed in 0.1 U/mL chondroitinase ABC (C-ABC) for 48h at 37℃, while the other half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Specimens were bonded with the dentin adhesive using three different bonding techniques (wet, dry and re-wet) followed by microtensile bond strength test. SEM examination was done with debonded specimen, resin-dentin interface and acid-etched dentin surface with/without C-ABC treatment. For the subgroups using wet-bonding or dry-bonding technique, microtensile bond strengt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C-ABC treatment (p > 0.05). Nevertheless, the subgroup using rewetting technique after air dry in the Single Bond 2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 decrease of microtensile bond strength after C-ABC treatment. Collagen architecture is loosely packed and some fibrils are aggregated together and relatively collapsed compared with normal acid-etched wet dentin after C-ABC treatment.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for the contribution to the collagen architecture of noncollagenous protein under the various clinical situations and several dentin conditioners and are also needed about long-term effect on bond strength of dentin adhesive. 본 연구는 상아질의 비교원성 단백질을 chondroitinase ABC (C-ABC)를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비교원성 단백질의 제거가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인장결합강도와 교원질망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상아질의 다양한 습윤상태에 따라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비교원성 단백질의 상아질접착제의 미세인장강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제 3대구치의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두 군으로 나누고 한 군은 C-ABC, 다른 군은 증류수를 37℃에서 48시간 동안 적용한 후, 상아질의 습윤상태(wet, dry 및 re-wet)와 상아질 접착제(Single Bond 2, One Step Plus)를 다르게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수복하였다. 24시간 후 가로 1 mm, 세로 1mm의 시편을 제작하고 미세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상아질 교원질의 형태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상아질 시편에 산부식을 시행하고 C-ABC 적용 후, 시편을 제작하였고 미세인 장강도 측정후 파괴된 접착면의 파괴양상과 각 접착제의 접착계면 관찰을 위하여 FE-SEM 관찰하였다. C-ABC 처리여부와 관계없이 습윤한 상아질면에 접착한 군은 모든 접착제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C-ABC를 적용하였을 경우, Single Bond 2에서는 재수화한 상아질면에 접착한 군이 습윤한 상아질면에 접착한 군에 비해 미세인장결합강도가 감소하였다(p < 0.05). FE-SEM 관찰결과, C-ABC를 적용후에는 접착성 파괴가 주로 일어났으며, 교원질 섬유간 거리가 증가하였으며 부분적으로 교원질 섬유들간에 응집된 양상이 관찰되었다.

      • KCI등재

        Bonding efficacy of cured or uncured dentin adhesives in indirect resin

        장지현,이빈나,장훈상,황윤찬,오원만,황인남,Jang, Ji-Hyun,Lee, Bin-Na,Chang, Hoon-Sang,Hwang, Yun-Chan,Oh, Won-Mann,Hwang, In-Nam The Korean Academy of Conservative Dentistry 201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6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접 레진수복시 상아질 접착제의 중합 여부가 레진인레이와 상아질간의 미세인장결합강도와 결합계면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공초점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4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절단하여 교합면 상아질을 노출시켰다. 수복 방법에 따라 크게 간접 레진수복과 직접 레진수복의 두 군으로 나누었다. 간접 레진수복군은 임시 수복하여 1주일 후, 상아질 접착 과정에 따라 4군(OB-C와 OB-NC군, OS-C와 OS-NC군)으로 나누었다. 간접 레진수복군은 산부식 처리된 상아질면에 OptiBond FL (Kerr) 또는 One-Step (Bisco) 상아질 접착제를 중합 여부에 따라 나누어 적용하였다. 처리된 상아질면에 제작된 3 mm 높이의 레진 인레이(Tescera, Bisco)를 Variolink II (Ivoclar Vivadent)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합착하였다. 직접 레진수복군은 산부식 처리된 상아질면에 상아질 접착 후, 복합레진 (Estelite${\Sigma}$, Tokuyama)으로 즉시 수복하였다(OB-D군, OS-D군). 수복을 마친 모든 치아는 24시간 후, 미세인장 결합 강도 평가와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관찰(CLSM)을 시행하였다. 결과: 간접 레진수복군은 직접 레진수복군에 비하여 낮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상아질 접착제를 광중합한 군(OB-C군, OS-C군)이 광중합을 시행하지 않은 군(OB-NC군, OS-NC군)에 비하여 높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접착 계면에 대한 CLSM 관찰에서 상아질 접착제를 광중합한 군에서 더 분명하고 균일한 혼성층이 관찰되었다. 상아질 접착제를 광중합하지 않은 군에서는 혼성층이 불분명하거나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간접 레진수복물의 합착시 레진시멘트의 적용 전에 상아질 접착제의 광중합은 분명하고 균일한 혼성층의 형성하며, 이는 결합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uncured dentin adhesives on the bond interface between the resin inlay and dentin. Materials and Methods: Dentin surface was exposed in 24 extracted human molars and the teeth were assigned to indirect and direct resin restoration group. For indirect resin groups, exposed dentin surfaces were temporized with provisional resin. The provisional restoration was removed after 1 wk and the teeth were divided further into 4 groups which used dentin adhesives (OptiBond FL, Kerr; One-Step, Bisco) with or without light-curing, respectively (Group OB-C, OB-NC, OS-C and OS-NC). Pre-fabricated resin blocks were cemented on the entire surfaces with resin cement. For the direct resin restoration groups, the dentin surfaces were treated with dentin adhesives (Group OB-D and OS-D), followed by restoring composite resin. After 24 hr, the teeth were assigned to microtensile bond strength (${\mu}TBS$)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 respectively. Results: The indirect resin restoration groups showed a lower ${\mu}TBS$ than the direct resin restoration groups. The ${\mu}TBS$ values of the light cured dentin adhesive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ncured dentin adhesive groups (p < 0.05). CLSM analysis of the light cured dentin adhesive groups revealed definite and homogenous hybrid layers. However, the uncured dentin adhesive groups showed uncertain or even no hybrid layer. Conclusions: Light-curing of the dentin adhesive prior to the application of the cementing material in luting a resin inlay to dentin resulted in definite, homogenous hybrid layer formation, which may improve the bond strength.

      • KCI등재

        인공타액오염이 유치 상아질에서 3종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

        배영은,김신,정태성,김지연,Bae, Youngeun,Kim, Shin,Jeong, Teasung,Kim, Jiyeon 대한소아치과학회 201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 상아질의 복합레진 술식에서 각 단계별로 치면에 인공타액이 오염되었을 때와 이것을 제거하는 방법이 한 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와 두 단계 산 부식 접착제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건전한 유구치 42개를 선정하여 세 종류의 상아질 접착제인 Scotchbond Universal Adhesive(SBU), All-Bond Universal(ABU)과 Prime & Bond NT(PNT)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다시 각 접착제에서 7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인 1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은 인공타액으로 오염시킨 군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2, 3군 - 접착제 도포 전; 4, 5군 - 접착제 중합 전; 6, 7군 - 접착제 중합 후. 인공타액은 수세, 건조(2, 4, 6군)와 건조(3, 5, 7군)로 제거하였다. 처치된 치면에 복합레진(Filtek, Z-350)으로 수복하고 시편을 제작한 후 미세인장 결합강도(Microtensile bond strength, MTBS)를 측정하였다. One-way ANOVA와 Tukey HSD test를 이용해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p < 0.05). 대조군에서 MTBS의 평균값은 PNT가 ABU와 SBU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 < 0.001). 세 가지 접착제의 각 오염단계에서 수세와 건조를 시행했을 때(2, 4, 6군)가 건조만 시행했을 때(3, 5, 7군)보다 높은 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접착제 중합 전 단계에서 인공타액의 오염이 발생했을 때(4, 5군)는 대조군에 비해 낮은 MTBS를 보였다(p < 0.001). 전반적으로 두 단계 산 부식 접착제가 한 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에 비해 높은 MTBS를 보였다. 접착제를 중합하기 전 단계에서 인공타액에 오염되었을 경우에는 접착 강도가 현저히 감소하였고, 수세와 건조 과정으로 접착강도를 회복할 수 없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rtificial saliva contamination and decontamination procedures at different stages of a bonding procedure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MTBS) of two one-step self-etch adhesives and a two-step total-etch adhesive to dentin of primary teeth. Forty-two extracted sound primary mola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ree adhesives, Scotchbond Universal Adhesive (SBU), All-Bond Universal (ABU) and Prime & Bond NT (PNT). For each adhesive, the teeth were allocated into seven groups. Except for control group, group 1, the groups were contaminated with artificial saliva at three different stages: the groups 2 and 3 - before adhesive application; the groups 4 and 5 - before adhesive polymerization; the groups 6 and 7 - after adhesive polymerization. Decontaminating procedures were rinsing, air-drying (group 2, 4, 6) and air-drying (group 3, 5, 7). The specimens were restored with composite resin (Filtek, Z350) and microtensile bond strength was measured. The data was analyzed with one-way ANOVA and Tukey HSD test (p < 0.05). In the control group, using PNT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 than when ABU and SBU were used (p < 0.001). For three adhesives, the groups 2, 4 and 6 had greater bond strength than the groups 3, 5 and 7. Also, when the artificial saliva was contaminated before adhesive polymerization (group 4, 5), it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bond strength. Generally the two-step total-etch adhesive generated a higher bond strength than the one-step self-etch adhesive. Artificial saliva contamination before adhesive polymerization led to a drastic decrease in bond strength, and rinsing with water followed by air-drying could not recover the bond strength.

      • KCI등재후보

        Regional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systems to pulp chamber dentin

        Lee, Sang-Hyuk,Choi, Gi-Woon,Choi, Kyoung-Kyu 大韓齒科保存學會 2004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9 No.1

        본 연구는 치수강 상아질 부위 및 상아질 접착제 종류에 따른 결합 강도를 측정하고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시행되었다. 45개의 대구치를 포매 후, 대조군에서는 교합면 법랑질 제거 후 #600 SiC paper까지 순차연마하여 상아질을 노출시켰고, 실험군에서는 치수강 개방 후 1시간동안 NaOCl 에 보관 후 axial wall과 pupal floor를 노출시켰다. 노출된 상아질 면에 상아질 접착제를 적용한 후 Z-100을 충전한 다음 40초간 광중합하였다. 사용된 상아질 접착제는 Scotbond Multi-Purpose와 Single Bond. Clearfil SE Bond였다. 37℃ 증류수에 24시간 보관후. 저속 dia-mond saw를 이용하여 0.7㎜ 두께로 수직절단하고 고속 diamond point(#104)로 단면적 1㎟가 되도록 시편을 제작하고, Universal testing machine에서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1. 모든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인장강도는 대조군, axial wall군, pulpal floor군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대조군에서 SM과 SB는 SE에 비해 유의성있게 높은 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p<0.05) 3. SM과 SB는 대조군에 비해 axial wall군과 pulpal floor군에서 유의성있게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나, SE에서는 pulpal floor군만이 유의성있게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다(p<0.05) 4. Axial wall군과 pulpal floor군에서는 상아질 접착제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5. 전자현미경 소견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axial wall군과 pulpal floor군이 더 부드러운 접착 계면을 나타내었다. 혼성층의 두께는 결합강도의 감소와는 관련이 없었다.

      • KCI등재

        상아질의 깊이에 따른 단일 단계 접착제의 결합강도 비교

        조영곤,진철희,민정범 大韓齒科保存學會 2005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0 No.4

        본 연구는 단일 단계 접착제의 표충과 심층 상아질에 대한 미세인장 결합강도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발거된 상·하악 대구치의 교합떤측에 있는 표층 상아질과 심층 상아질을 각각 15개씩 노출시킨 후, 사용된 접착제에따라 AQ 군, L-Pop 군, Xeno 군으로 분류하여 복합레진을 축조하였다. 각 시편은 상아질과 복합레진 계면의 단면적이 1.0 ㎣이 되도록 절단하였고, 각 군 당 20개의 시편을 사용하였다. 각 군의 미세인장 결합강도의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층과 심층 상아질 모두에서 Xeno Ⅲ는 다른 접착제보다 가장 높은 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p<0.05). 또한 모든 접착제는 심층 상아질에서 보다 표층 상아질에서 더높은 결합강도를 나타내었으나 이들 간에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This study compared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μTBS) of single step adhesives to different dentin depths. Superficial or deep dentin was exposed in 30 molar teeth by sectioning immediately under the DEJ or 1.5 mm area from central pit, respectively. After polishing with 600-grit SiC paper, the dentin surfaces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AQ group-AQ Bond, L-Pop group-Adper Prompt L-Pop, Xeno group-Xeno Ⅲ. The bonded specimens were sectioned into sticks and subjected to μTBS testing with a crosshead speed of 1 mm/minut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μTBS to superficial dentin was higher than that to deep dentin in all group. The μTBS of Xeno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Pop group and AQ group in both superficial and deep dentin (p<0.05).[J Kor Acad Cons Dent 30(4):319-326,2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