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해 상경성의 신성한 공간 -苑과 苑池-

        윤재운(Yun, Jaewoon) 고구려발해학회 2021 고구려발해연구 Vol.71 No.-

        본고는 발해 상경성의 苑과 苑池의 성격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현재 한국 · 일본 · 중국에서는 庭苑 · 庭園 · 園林 등의 개념이 혼재되어 쓰이고 있다. 여러 사례를 참고하여 본고에서는 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園林이나 庭園이라는 용어는 현재 중국과 일본에서 주로 사용하는 일반명사이지만, 발해 시기의 사료에는 苑이라는 용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경성의 苑을 소재지에 따라 크게 도성 밖에 있는 것과 도성 안에 있는 것으로 나누어 보았다. 도성 밖에 있는 것은 北苑과 西苑, 도성 안에 있는 것은 北內苑, 東內苑, 西內苑이다. 상경성 밖 북부의 北苑은 ‘和干苑’이라 불리는데, 상경성 가까운 교외에서 가장 큰 苑池였다. 상경성 안의 苑 가운데 유구가 명확한 것은 東內苑 뿐인데, 御花苑이라고도 불렸다. 상경성 苑의 특징은 東內苑 유구를 통해 그 실상을 어느 정도 알 수가 있었다. 상경성 苑의 구조적 특징으로는 假山의 축조와 自然石의 배치 그리고 연못 조성의 세 가지 모두 발해의 고구려 계승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경성 苑의 기능으로는 軍事攻防의 거점, 王權儀禮의 무대, 狩獵 · 娛樂, 宴會, 그리고 音樂 · 文學의 場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가운데 軍事攻防과 狩獵 · 娛樂의 기능은 五胡十六國시기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궁성과 직접 연결된 지점에 대규모의 苑인 ‘後苑’을 두는 것이 특징이었으며, 상경성 和干苑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王權儀禮, 宴會, 音樂 · 文學의 기능은 상경성 안의 東內苑을 비롯한 도성 안의 苑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파악하였다. 결국 상경성 苑의 구조적인 특징은 五胡十六國 · 北朝 시기부터 유행한 城苑통합체계를 따르면서도, 그 내부에 假山의 축조와 自然石의 배치 그리고 연못 조성을 통해 보았을 때 고구려 계승도 엿볼 수 있다는 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was organized to the characteristics of Won and the Pond of Palace in Balhae’s Sanggyeongseong(上京城). In Korea, Japan, and China, the three different concepts of garden is used interchangeably. However, with reference to various cases, the term Won (苑) was the most commonly used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Balhae period whereas the term Wonlim(園林) or Jeongwon(庭園) is a general noun mainly used in China and Japan. In addition, the Won(苑)s of Sanggyeongseong was largely divided into those outside the city castle and those inside the city castle, depending on their location. The ones outside the city are Bukwon(北苑, Northern Garden) and Seowon(西苑, West Garden) while the ones inside the city are Buknaewon(北內苑, Garden in the north), Dongnaewon(東內苑, Garden in the east) and Seonaewon(西內苑, Garden in the west). The Bukwon outside of Sanggyeonseong, which is called Hwaganwon(和干苑), was the largest in the suburbs near Sanggyeongseong. Among the Wons in Sanggyeongseong, the only Won with distinct remains is Dongnaewon, which was also called Eohwawon(御花苑). The characteristics of Sanggyeongseong’s Won were known to some extent through the remains of Dongnaew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anggyeongseong’ Won are significant in ways that it can give a glimpse into the succession of Koguryeo in Balhae through all three of the constructions of Gasan(假山), the arrangement of the Natural stone, and the creation of the p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unctions of Sanggyeongseong’s Won were the base of military affairs, the stage of royal ceremonies, a place for hunting and entertainment, and a space of Banquet, music, and literature. Among them, it was inferred that the functions of military affairs and hunting and entertainment originated from the period of the Wu-Hu-Shi-Liu-Guo(五胡十六國), was characterized by a large-scale Back Garden(後苑) at the point directly connected to the palace, and that it was done in Sanggyeongseong. It was understood that the functions of royal rites, associations, and literature were performed in the eastern part of the city, including Dongnaewon. In the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Sanggyeongseong’s Won is the succession of Koguryeo that can be seen from the construction of Gasan, the layout of Natural stone, and the creation of ponds, while following the Combination system of castle and Won that prevailed since the period of since Wu-Hu-Shi-Liu-Guo.

      • KCI등재

        요 금 동하 원의 도성을 통해 본 발해 상경의 제문제

        정석배(Jung Sukbae) 백산학회 2015 白山學報 Vol.- No.103

        발해의역사에서上京은가장중요한정치적 문화적중심지였다. 그런데상경은발해에뿐만 아니라遼와金그리고東夏에도있었다. 元에는상경은아니나그와뜻이비슷한上都가있었다. 唐에서도 마지막 순간에는 수도를 상도라 불렀다. 이 글에서는 요, 금, 동하, 원의 상경 혹은 상도를 각 京혹은 都들과 함께 살펴보고 그리고 당 상도도 참고하여 발해 상경과 관련된 몇가지 문제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해 보았다. 각 나라 도성들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분석은 요와 금의 도성제가 발해의 도성제와 매우 긴밀한 구조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예를 들어, 발해, 요, 금의 5경 혹은 6경은 모두 十자 방위구도를 가지고 있고, 상경은 가장 북방에, 중경 혹은 중도는 교차지점에, 동경, 서경, 남경은 상응하는 각 방위 지점에 각각 위치한다. 하지만 당의 5경은 십자 방위구도를 가지는 것은 사실이나 십자 교차 지점에 상도가 위치하고 가장 북쪽에 북경이 배치되어 발해 및 요, 금과는 내용상에 있어 큰차이를 보여 주었다. 원은 카라코롬 이후 상도와 대도라는 양경제를 채택하였지만 상도가 북방에 배치된 점은 발해, 요, 금과 동일한 양상이라고 하겠다. 상경 혹은 상도의 평면 형태와 전체적인 구조는 발해 상경성과 당 상도 장안성이 서로 가장 가깝다. 평면형태는요상경성은日자모양, 금상경성은‘ ’자모양, 동하상경성은준삼각형인데 비해 발해 상경성과 당 상도 장안성은 북쪽 가운데 혹은 북동쪽 가운데가 튀어나온 장방형이다. 도성의구조는요와금상경성은내부가둘로나뉜점, 2중성인점, 궁성의위치가금상경성의 경우 남서쪽에 배치된 점 등이 발해 및 당의 것과는 차이를 보인다. 발해 상경성과 당 상도 장안성은 3중성인 점, 강조된 남북 중심축, 정연한 내부 구획 등이 서로 매우 유사하다. 성벽부속시설은 요와 금 그리고 동하의 상경성과 원 상도는 외성과 내성이 차이를 보이기는 하나대체로치와옹성시설을가지고있어, 이런시설들이없는발해상경성과는차이를보인다. 외곽성의규모는발해상경성이16,293m, 요상경성이6,398m, 금상경성이10,963m, 동하상경성이 약 7,000m, 원 상도가 약 8,800m로서 상경과 상도 중에서는, 당 상도 장안성을 제외하면, 발해 상경성이 가장 크다. 하지만 요에서는 중경성이 15,400m, 금에서는 중도가 18,690m 혹은 16,963m, 원에서는 대도가 28,600m로서 각국의 상경 혹은 상도보다 훨씬 더 큰 규모를 보이는점은 상경성이 가장 큰 규모를 보이는 발해와는 다른 점이다. 각 나라 상경 혹은 상도의 설치 순서에 대한 고찰은 발해에서 상경이 구국 다음으로는 가장 먼저 설치되었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예를 들어, 요와 금 그리고 동하에서는 상경이, 원에서는발해의구국에해당되는카라코롬을제외하면상도가각각가정먼저설치되었다. 발해에는 중경, 상경, 동경의 경우 설치시기가 아니라 천도시기에 대해서만이 알려져 있다. 때문에 천도를 한 시기는 중경이 비록 빠르나 설치시기는 상경이 먼저일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상경 및 상도의 위상과 관련해서는 발해와 요에서는 상경이 줄곧 가장 중요한 도성이었지만 금과 원에서는 처음에는 상경과 상도가, 나중에는 이와 다른중도와남경, 대도가 각각 제1수도역할을 하여 발해 및 요와는 약간 차이를 보인다. 상경이라는 용어는 후한서 조선전 에 한무제와 관련하여 처음 등장하지만 당시에는 실제상경이라는도성이존재하지않았다. 상경이실제도성의명칭으로사용된것은발해가처음이었다. 당이 장안성이 있는 수도 경조부를 762년부터 상도라 부르기는 하였으나 발해가 상경으로 천도한것은이보다이른755년혹은756년이었다. 어쩌면당이발해의예를따라수도경조부를 상도라고 부르기 시작하였을 수도 있을 것이다. 발해 당시 상경이 상경으로 불리고 있었음은 발해사신 왕효렴이 814년에 일본에서 지은 시에 보이는 ‘상경에서처럼 심히 취하였네’라는 한구절을 통해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상경 혹은 상도라는 명칭의 도성을 가진 요, 금, 원, 그리고 당은 모두 역사상 황제국의 나라였다. 이 사실은 발해 역시 황제국의 나라였음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증거라고 생각된다. Upper Capital was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and cultural center in the history of Balhae. However, Upper capitals existed not only in Balhae, but in Liao, Jin and Dongxia as well. Upper City was also in Yuan and it had almost the same value as Upper capital. Tang China in the later period of its existence called its capital the Upper city, too. This paper reviewed some problems related to the Upper capital of Balhae. For this purpose, first we consider Upper capitals and Upper cities in Liao Jin, Dongxia and Yuan and other their capitals or capital cities. Upper city of Tang China was also taken into account. Analysis of the relative location of capitals in each state shows that the capitals’ system of Liao and Jin are very similar to the capitals’ system of Balhae. For example, 5 or 6 capitals of Balhae, Liao and Jin have irregular cruciform structure oriented to the cardinal directions. The Upper capital is located in the far north, the Middle capital or Middle city- at intersections, and Eastern, Western and Southern capitals - in corresponding cardinal directions. However, 5 capitals of Tang China, though they have a cruciform structure that is oriented to the cardinal directions, very differ from the capitals of above mentioned countries because the Upper city i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and Northern city - in the far north. In Yuan, where after Karakorum there were two capital cities, the Upper city and the Big city, The overall shape and planigraphy of the Upper capital of Balhae and the Upper city of Tang China are very similar. The form of these capitals or cities is represented by a rectangle with projections on the north or north-east. In contrast, the Upper capital of Liao has 日-shape, the Upper capital of Jin - L-shape, and the Upper capital of Dongxia -sub-triangular shape. The planigraphy of Liao’s and Jin’s Upper capitals is different from the Upper capital of Balhae and the Upper city of Tang China. At first ones the city was divided into two parts, with two defensive walls, in the Upper capital of Jin the core of the fortress there wa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The second ones have three defensive walls, underlining of the central south-northern axis, accurate division of the city by roads. In general, in Upper capitals and in the Upper city of Liao, Jin and Yuan such defensive constructions as tower and ongseong(ricetto),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xterior and interior cities. But in the Upper capital of Balhae there are no such constructions, so it differs from Liao, Yuan and Jin. Dimensions of external walls in the Upper capitals of Balhae, Liao, Jin and Dongxia - 16,293m, 6,398m, 10,963m and about 7,000m, in the Upper city of Yuan is about 8,800m. So the Upper capital of Balhae is the largest, except the Upper city of Tang China. But the overall length of the Middle capital of Liao is 15,400 m, the Middle city of Jin is 18,690meters, or 16,936meters, the Big city of Yuan is 28,600 m, so the size is bigger than the size of the Upper capital or Upper city of these countries. In contrast, the Upper capital of Balhae has the largest size among its capitals. Investigation of establishment of the Upper capital or the Upper city in every state showed the possibility that in Balhae the Upper capital was established the first after the "Old state". So, in Liao, Jin and Dongxia were primarily established Upper capitals, in Yuan also Upper city was established first after Karakorum, which can be compared with the "Old state" of Balhae. In case of Balhae we know only the time of relocation of the Middle, Eastern and Upper capitals, but not the time of their establishment. The relocation to the Middle capital was earlier than to the Upper capital, but more likely in fact the Upper capital was established earlier than the Middle capital. Due to the prestigious position of Upper capitals and the Upper city we can say that in Balhae and Liao the Upper capitals have always

      • KCI등재

        고려 전기 ‘상경(上京)’을 통해 본 개경의 위상

        이익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5 서울학연구 Vol.- No.60

        고려시대에는 지방행정 제도와 본관제를 통해 지역 간의 위계질서를 구성하였으며, 그 위계의 가장 정점에 수도 개경이 위치하였다. 개경의 이러한 우월적 지위는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 어 떻게 나타났을까? 고려 전기에 지방 사람들이 서울에 올라가 사는 것, 즉 상경(上京)은 자유롭 게 이루어졌을까? 이 논문은 이러한 의문에 답함으로써 위계적 공간 질서 속에서 수도 개경의 위상을 밝히려는 것이다. 먼저, 고려 전기 상경의 사례를 찾아서 상경하는 사람들의 신분과 상 경 목적을 조사하였으며, 고려시대의 독특한 형벌제도인 귀향형(歸鄕刑)을 통해 상경의 의미를 재음미해보았다. 귀향형이란 말 그대로 향리(鄕里) 즉, 본관으로 돌려보내는 형벌이므로 그 대 상은 당연히 서울에 사는 사람이었고, 서울에서 추방하는 것이 형벌이라면 역으로 서울로 올라 가는 상경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고려 전기에 지방 사람들의 상경은 매우 제한적인 범위에서 이루어졌다. 사료에서 확인되기로 는 지방 향리의 상경종사(上京從仕)가 거의 대부분이었다. 여기에는 과거를 통한 상경 출사(出 仕) 이외에 기인(其人)을 거쳐 중앙 관청의 이속(吏屬)이 되는 경우, 선군(選軍)을 거쳐 경군(京 軍)이 되는 경우, 그리고 승려가 상경하는 경우 등이 있었다. 이렇게 상경한 사람들은 호적을 개경으로 옮기고 ‘왕경인(王京人)’이 되었으며, 이 지위는 자손에게 세습되었다. 향리 계층 아래의 일반민들이 자유롭게 상경할 수 있었는지는 자료의 부족으로 여전히 밝히지 못하였다. 다만, 일반민의 상경 문제는 고려시대의 독특한 형벌인 귀향형을 통해 추적해보았다 . 귀향형은 본관지로 유배하는 형벌이지만, 이것이 일반 유배형과 다른 의미를 갖는 이유는 왕 경인의 지위를 박탈하는 데 있었다. 그랬기 때문에 관리가 아닌 사람도 왕경인이라면 귀향형의 적용 대상이 되었다. 귀향형의 적용 대상은 범법자 본인에 그치지 않고, 왕경인의 지위를 공유 하고 있는 가족에까지 미침으로써 선대 또는 당대에 이룬 상경의 성과를 무효화했다는 점에서 중형에 속했다. 그렇다면 귀향의 대척점에 있는 상경은, 상경한 사람들이 왕경인으로서 특혜를 누릴 수 있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특정 계층에게만 허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고려시대의 개경은 계서적 지방제도 및 본관제에 의해 예외적이고 초월적인 위상을 보장 받았고, 신분제적 규제를 통해 지방민들의 상경을 제한함으로써 그 위상을 유지했다. 그러나 고려 후기에는 이러한 독점이 이완되고 개경의 인구가 증가하였다. 그 원인은 본관제가 제대로 유지되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지방민들의 상경 욕구를 억제하지 못 했기 때문이었다, 즉, ‘독점과 차별’을 특징으로 하는 전근대 한국의 수도성(首都性)은 지방으 로부터의 상경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나타났지만, 역설적으로 상경을 유인하는 결과를 초래함 으로써 수도 인구가 계속해서 증가하게 되었던 것이다. With a local administrative system, and the “Bon’gwan” practice, the Goryeo authorities formed a hierarchy structure that would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pital city and other local regions. Needless to say, Gae’gyeong, the capital city of Goryeo, was at the top of that chain. How would such superior position have been reflected in people’s lives? And were the [local] people free to visit and also establish a residence inside Gae’gyeong, in other words free to “Sang’gyeong(上京),” in the early half period of the dynasty? By answering these questions, we would be able to determine the status of Gae’gyeong, in terms of the administrative hierarchy that existed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at the time. To that end, in this article, all the examples of local people ‘visiting’ the capital in this period are surveyed in details. Their social background[social class] and the reasons behind their visits are all categorized. Also examined is the Goryeo period’s unique punishment called ‘sentence to return home[歸鄕刑],’ in order to define the meaning of ‘Sang’gyeong’ from an opposite angle. It was a punishment designed to send an individual literally ‘back home,’ to one’s home town, which was referred to as “Bon’ gwan.” People who were subject to such punishments were naturally the ones who were away from their hometowns, and living in the capital. The fact that deportation from the capital was considered as a punishment shed some light on how ‘joining’ the capital would have been ‘specially’ considered at the time. In the early half period of Goryeo, only a limited range of people seem to have been allowed to visit and join the capital.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mostly local clerks( “Hyang’ri, 鄕吏”) were the ones who came to the capital and served as governmental officials. They either applied to the competitive national examination system and successfully passed it, or enlisted themselves as Gi’in(其人), served the government and then officially became clerks(吏屬) inside governmental offices. In some cases they were mobilized as soldiers(選軍) and then officially drafted as members of the Central Army(京軍), or moved to the capital even as Buddhist priests. People who moved over to the capital also had their personal census information transferred to the capital region as well, and officially became ‘Capital residents(王京人).’ This status was even inherited to their offsprings. And as an exception, local clerks coming to the capital for ‘away studies’ would have left their census information where they were, and only resided in the capital temporarily. Whether or not people below the “Hyang’ri” level were able to freely move over and join the capital is hard to determine due to absence of relevant data. But we can seek an indirect answer to that question by examining the aforementioned ‘sentence to return home.’ It was a punishment to send someone back to its ‘Bon’gwan,’ but was unlike any other punishments, as it was a sentence that deprived someone of its prior status as a “Capital citizen.” People living inside the capital, governmental official or not, were subjectable to this punishment. And the punishment did not end with the offender itself. Family members who shared such status as capital citizens had to share the punishment as well. In other words, it was a punishment that nullified the achievement(earning the right to move over and join the capital) established either in the last or present generation. Considering all this, the opposite of this sentence, the privilege to join the capital, was to be enjoyed by only a limited group of people, people who belonged to a specific social class. The Gae’gyeong capital was granted an exceptional and superior status maintained by an administrative hierarchy that engulfed the entir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a unique “Bon’gwan” practice that linked individuals and houses to specific regions. And the local population was under social stratification which did not allow them to freely move over and join the capital, which also maintained the exclusively dignified status of the capital. But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Goryeo, such situation was weakened and the size of Gae’gyeong population continued to grow, partially because the Bon’gwan system was breaking down, but more substantially because the government was no longer able to regulate the local people’s desire to join the capital. We can say that the premodern capital cities’ monopolistic and discriminative nature tended to bar local residents from joining them, but ironically such nature itself continued to invite the very people they were pushing away.

      • KCI등재

        조선시대 ‘상경(上京)’을 통해 본 수도 한양의 성격

        이현진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5 서울학연구 Vol.- No.60

        전통시대 수도는 국왕이 거주하며 중앙의 핵심 관서들이 존재하는 곳으로서 다른 지역과 차별 적인 지위를 지녔다. 그러한 수도에 지방 사람들이 올라오는 것을 ‘상경’이라 한다. 조선이 건국된 후 지방에서 한양에 올라와 벼슬길에 나아가는 방법은 문·무과를 포함한 ‘科擧’ 가 가장 일반적인 통로였다. 과거를 통한 상경은 가장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인 만큼 조선 전시기 동안 이루어졌다. 조선 사회는 임진·병자 양란을 겪으면서 전란의 후유증을 극복하기 위해 의리와 명분을 중시하 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는 지방에서 학식과 덕망이 높은 사람을 정계로 불러들이는 계기가 되었고, 과거가 아닌 또 다른 上京從仕의 길이었다. 이러한 出仕는 17세기에 접어들면서 본격 적으로 전개되었고, 宋時烈·宋浚吉로 대표되는 山林세력이 대표적이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한 상경은 산림과 그 운명을 함께 하여 17세기 이후에도 지속되지만 18세기 탕평군주들이 등장하 면서 그 위세가 한풀 꺾였고, 19세기 세도정치기가 되면서 그 위세가 더욱 위축되었다. 18세기 숙종 후반부터 영조, 정조대는 인구가 증가하고 수도 한양이 상업도시로 변모하면서 벼 슬살이를 위해 상경하는 사람도 증가하지만 그 밖에 상인이나 평민도 수도로 모여드는 추세였다. 그렇다면 상경을 통해 보는 수도의 성격이란 무엇인가. 조선은 건국 초기부터 삼국과 고려 보 다는 수도와 지방 간의 차별적이고 계서적인 면이 완화된 국가였다. 그러한 측면은 ‘상경’, ‘居 京’이라는 면에서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와 벼슬하고, 그럼으로써 서울 에 거주하는 것에 대한 법적 제약이 없었던 것이다. 또 삼국과 고려 보다는 수도와 지방 간 차별성이 완화되었다고 하더라도 조선의 한양은 여전히 지방에 비해 首位에 위치하였다. 특히 18세기부터 서울[京]과 지방[鄕]의 分岐 현상이 두드러 지고 서울이 상업도시로 변모하면서 신분을 초월하여 지방 사람들의 상경이 늘어났다. 그 이전 시기에 비해 수도 한양의 집중화 현상이 현저해졌고 그 이후는 그러한 현상이 심화되었다. In the premodern days, the capital, where the king was living and central offices were located, was a place whose status was ‘different’ from others. People’s act of visiting the capital was also referred to as “mounting”[“Sang’gyeong”]. In the Joseon period, the competitive national examination was the most common and routine way for an individual to visit the capital and become a governmental official. It was the most reasonable reason for a person to come to the capital, and such visits continued for the duration of the dynasty. Going through two major wars, the Joseon society needed to heal itself, and chose to become a society which would uphold the values of righteousness and cause. Persons renowned for their moral integrity and academic achievements were invited to the capital, and such trend formed another pattern of ‘visiting the capital.’ This trend reached its peak in the 17th century, with Song Shi-yeol(宋時烈) and Song Jun-gil(宋浚吉) as prime examples, among others of the Sallim(山林) faction. But with the advent of kings in the 18th century who supported the “Tangpyeong” policy(“Equitable Appointments”), such ‘invitations’ decreased, and continued to do so in the 19th century, with the government overrun by a few powerful houses. In the 18th century, since the latter half of king Sukjong’s reign, the size of capital population continued to grow, and during the reigns of kings Yeongjo and Jeongjo, capital city Han’ yang developed itself as a city of profound commercial activities. Not only people who sought a career inside the government, but also people who were engaged in commercial activities, continued to enter the capital. How shall we define the nature of such capital city, after examining it through all these ‘visits?’ Since its early days, compared to the capital cities of the “Three Dynasties” period and the Goryeo dynasty as well, the Joseon capital was not the most superior city in a hierarchy structure. There was no legal restriction upon people’s decision to join the capital. It is true that Han’yang retained a certain level of seniority, and was indeed above other local cities. But in the 18th century, it became apparent that the capital and other cities were on a different path of development, and people, regardless of their social classes, continued to visit and stay at the capital. Increase in population became a norm.

      • KCI등재

        발해 상경성의 도시계획

        정석배(JUNG Suk-bae) 고구려발해학회 2013 고구려발해연구 Vol.45 No.-

        발해 상경성은 발해의 세 번째와 다섯 번째의 도성이었고, 약 162년 동안 발해문화의 중심지였다. 하지만 상경도성이 언제 계획, 시축, 완공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하지 못하다. 그 기원문제와 관련해서는 혹은 당 장안성과의 혹은 고구려 안학궁성과의 유사성을 강조하는 의견들이 있어왔다. 이 글에서는 상경도성의 구조와 축조 기간문제에 대한 검토, 주변국 도성과 당 지방성 및 고구려 안학궁성과의 비교를 통해 상경도성이 계획도시였음을, 도성의 핵심지역인 궁성은 고구려 안학궁의 예를, 도성의 전체적인 평면구조는 당 장안성의 예를 각각 따르고 있음을 밝혔다. 전자는 발해가 고구려의 계승자임을 과시하는 것이고, 후자는 발해가 황제의 나라임을 천하에 드러내고자 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그 외에도 상경도성에 보이는 백제의 건축요소들과 발해 고유의 문화요소들도 지적하였다. 발해 상경도성이 황제도성인 근거는 4가지로 집약된다. 첫째, 발해 상경성과 매우 흡사한 평면구조를 가지는 수당 장안성과 일본의 헤이죠쿄는 모두 황제 혹은 천황의 도성이었다. 황제도성 이외에는 그와 같은 구조의 도성을 그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둘째, 엄격한 등급제도에 따라 축조된 당의 지방성들 중에는 수당 장안성 혹은 발해 상경성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 성이 없다. 당의 지방 실력자들 중 그 누구도 감히 황제의 도성을 모방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는 발해 상경성이 당의 지방성이 아니라 황제의 도성이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셋째, 발해 상경도성에는 소위 수당 장안성의 ‘등급’ 혹은 ‘예제’를 벗어나는 시설들이 적지 않다. 예를 들어, 궁성 북문의 문길의 수, 외성 정문과 궁성 정문의 동서 길이, 황성 중구의 너비 등이 모두 발해 상경성이 당 장안성에 비해 높은 등급을 보인다. 그 외에도 상경성 궁성 제2궁전은 칸 수와 기단의 정면 동서 길이에서 수당 장안성의 그 어떤 궁전건물보다도 장대하다. 수당 장안성보다 더 웅대한 건축물들은 황제도성이 아니면 있을 수 없는 것이다. 넷째, 문헌 혹은 명문자료에 보이는 발해 고유의 연호, 황상, 황후, 천손 등과 같은 황제와 관련된 용어이다. Upper Capital (Sang-gyeong castle) of Balhae was the third and fifth capital city of Balhae and a center of Balhae culture. However, it is not clear yet when Upper capital city (Sanggyeong capital city) was planned and when its construction began and was completed. There were opinions on its origin, emphasizing its similarity to the Chang’an City of Tang dynasty or Anhakkung Palace of Koguryo. In this article we studied the structure of Upper capital city and period of its construction and carried out a comparative analysis with capital cities of surrounding countries and provincial towns of Tang China and Anhakkung Palace of Koguryo. Because of this, we concluded that Sang-gyeong capital city was a prearranged city, its Palace of nuclear area of the capital city followed Anhakkung Palace of Koguryo, its floor plan followed Chang’an City of Tang dynasty. The first fact evidences that Balhae demonstrates inheritance of Koguryo, the second one that Balhae makes itself known as an imperial state. In addition, in the article we marked architectural elements of Baekje and cultural elemesn tusual in Balhae. There are four facts proving that Sang-gyeong capital city ofa lBhae is Imperial capital City. First, Chang’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and Heijokyo capital city of Japan, that had similar layout to Sang-gyeong capital city of Balhae, are imperial cities. Except imperial cities, anywhere there is no such layout. Second, among provincial towns of Tang China, which were built according to strict rules of rank, there is no layout like Chang’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and Sang-gyeong capital city of Balhae’s ones. None of the local forces could not have copied the capital city of the emperor. This fact confirms that Sang-gyeong capital city of Balhae was not the provincial town of Tang China, and vice versa was an imperiaitl yc. Third, in Sang-gyeong capital city of Balhae there are many buildings that were built in violation of so-called grade or system of etiquette of Chang’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For example, the number of passages at the north gate of the palace city (North Gate of Palace), the length of the central gate of the outer city and of the palace city from east to west, and the width of the central sector of imperial city has higher rank than the Chang’ 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In addition, Second Hall of Palace of Sang-gyeong capital city by number of kans and the length of the basement from east to west from the front is superior to any palace building of Chang’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Buildings that are bigger than in Chang’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could not be anywhere but in imperial city. Fourth, in written sources and inscriptions of Balhae there are the terms associated with emperor, as “year of the reign”, Hwangsang (Majesty), Hwanghu (Empress), Cheonson (grandson of the sky), etc.

      • KCI등재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정진아 ( Jin A Chung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5 延世經濟硏究 Vol.22 No.3

        이 글에서는 해방 20년 한국 경제학계의 동향 속에서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을 살펴보았다. 해방후 연희전문학교 상과는 연희대학교상경대학의 경제학과, 상학과 체제로 전환되었다. 연희대학교 상경대학에서는 고전학파, 역사학파, 신고전파, 케인즈경제학과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이론적 탐색이 이루어졌고, 한국의 경제현실과 국제경제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6.25전쟁이 체제전의 성격을 띰으로써 많은 경제학자들이 월북, 납북 또는 사상적 이유로 대학을 떠났고, 교수진의 공백이 심각했다.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은 모교 출신 인재를 영입함으로써 교수진의 공백을 메꾸었고, 학생들은 상경연우회의 연구조사활동과 연구발표회를 통해 수업내용의 결손을 보완해나갔다.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은 1950년대 후반 상경대학 재편을 단행하면서 자기정체성을 분명히 정립하였다. 경제학과의 방향을 종래의 이론 중심에서 기업경영과 정책수립에 필요한 실천이론을 발전시키는 쪽으로 전환하고, 기업경영 실무를 집중적으로 연구할 상학과와 경영학과를 상경대학의 틀 속에서 함께 발전시키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후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은 워싱턴대학프로젝트를 통해 미국의 경영학 이론과 사례연구 중심의 커리큘럼, 토론식 교수법 등의 신사조를 전면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기업경영의 실무적 기반을 쌓고자 경영학과와 한국의 경제이론과 경제정책을 실증적,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적 실천경제학’을 추구한 경제학과의 양대 학풍으로 정립되었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trends of the circle of economics in Korea during the 20 years after the Liberation, focusing on Economics education in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of Yonsei University. After the Liberation, the Division of Commerce of Yonhee School was settled into the Department of Economics and Department of Commercial Science under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in 1950.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which was a collision between the two systems, many economists left the university as they went or were kidnapped to North Korea or for ideological reasons.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of Yonsei University filled the gap by inviting competent people among its alumni, and the students compensated the loss of class through research activities and seminars led by the Commerce and Economics Research Club Y.S.U.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of Yonsei University established its self identify clearly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college in the late 1950s. As the Washington University Project was promoted in the late 1950s,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of Yonsei University was finally settled to have th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at tried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by accepting new trends such as American business administration theories, case study oriented curriculums, and discussion based teaching methods. And the Department of Economics that pursued “Korean style economics” from a subjective position by analyzing economic issues in Korea positively and critically and suggesting alternatives.

      • KCI등재

        발해 도성의 구조와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김진광 국립문화재연구원 201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5 No.2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Balhae's capital system(都城制度) is a step-by-step marker of the completion of the state's governing system(支配體制). The most important subject in investigat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apital of Balhae is Shanggyeongsheng(上京城). That's because Shanggyeongsheng(上京城) with a threefold-castle structure(三重 城) of royal palace(宮城)-internal castle(內城)-external castle(外城) in the side-to-side checkerboard type symmetrical structure has the most paradigmatic castle structure not only in Balhae but also in East Asia. Despite the fact that such structure of Shanggyeongsheng(上京城) has a lot of similarities in the type with Sudangchangansheng(上京城) in Chungwon, scholars were skeptical that it had the same structure with Sudangchangansheng(上京城) at the time when transferring the capital. If we review the result of excavation of Shanggyeongsheng(上京城) and the findings of the senior scholars, it can be understood that Shanggyeongsheng(上京城) has not only the structure of Sudangchangansheng(上京城) but also accepted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projected in i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on the theory of step-by-step construction(段階別築造??) which was claimed based on the point that the construction like today's construction was impossible with the level of national power at that time in that the layers whose difference in construction time between the place No. 2, the central point of the royal palace, and the palaces No. 3~5 could be found were not identified, in that the whole Shanggyeongsheng(上京城) was planned by the same standard scale and finally in that there is a good possibility of accepting Samjoje(三朝制). The Shanggyeongsheng(上京城) is the result of the construction conducted by careful planning from the beginning, and with its close relation with the King Mun's(文王) policy of civilian government(文治), it shows that the governing system of the state was complet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capital and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造營原理) projected in it ar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Chungwon culture(中原文化) was being understood to a considerable level, and this means that the view of the world(天下觀) that he wanted to implement expanded throughout the whole Balhae. 바둑판식 좌우대칭구조로서 궁성 - 황성 - 외성의 3중성 구조를 지닌 상경성은 발해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가장 전범적 인 도성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발해 도성제도의 변천과정은 발해 중앙행정체제의 완비로 발해정체제도 보편화과정의 단 계적 표지라고 할 수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한 대상은 상경성으로, 그 구조는 중원의 隋唐長安城과 그 형식면에서 많은 유사점 을 지니고 있음에도, 상경천도 당시 수당장안성과 같은 구조를 지니고 있었을까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다. 그러나 상경성 발굴 결과와 선학들의 연구결과를 검토해 보면, 상경성은 수당장안성의 외적 구조만이 아니라 그 내면에 투영되어 있는 조영원리도 수용했음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당시 발해의 국력수준에서 현재와 같은 조영이 불가능함을 주장했던 단계별축조설은 궁성의 중심점인 2호 궁전과 3~5호 궁전 사이에서 조영시기의 차이를 발견할 만한 층위가 확인되지 않은 점, 상경성 전체가 동일한 영조척에 의해서 계획되었다는 점, 그리고 3조제를 수용했을 가능성이 농후한 점 등의 측면에서 좀 더 깊이있는 연구가 필요 하다. 결국 상경성 조영은 치밀한 계획에 의한 문왕 치세 당시 국가의 운영원리가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따라서 상 경성의 조영과 그 원리는 초축 당시 상당한 정도로 중원문화를 이해하고 있었음을 전제하는 것이며, 상경성이 지니는 위상과 구체적인 의미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더 나아가 이것은 국가의 통치체제가 마련되고 사회전반으로 투영되었으며, 그가 구상하는 天下觀이 발해국 전체로 확대되어갔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 KCI등재

        논문 : 渤海(발해), 遼(요), 金(김)의 五京制(오경제)와 上京(상경)

        구난희 ( Nan Hee Ku ) 한국고대학회 2015 先史와 古代 Vol.45 No.-

        이 연구는 5경제가 발해, 요, 금에서 이루어진 독특한 다경제(多京制) 방식이라는 데 주목하고 이들 왕조의 5경제가 어떻게 계승, 변용되었는지를 다루었다. 발해의 경우 사료 부족으로 5경제의 형성 과정에 대한 세부적인 사실을 알 수가 없어 다양한 해석이 전개되는 가운데 이 연구에서는 세 왕조의 5경제 형성 과정과 구조로부터 발해의 형성 과정을 역으로 추론해보고자 했다. 요의 5경제는 120여 년의 긴 세월을 거치면서 지방 관제의 정비와 함께 형성되었다. 금의경우는 요의 5경제를 그대로 수용하였으므로 5경 체제가 먼저 갖추어진 후 지방 관제가 정비되었다. 이런 형성 과정의 왕조별 차이는 5(6)경과 지방 관제가 결합된 구조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요의 경우는 5경을 중심으로 전체 지방체제가 5경도로 편성되어 있다. 이와 달리 금의 경우는 19로로 편성된 가운데 5(6)경이 포함된 경로(京路)와 경이 없는 일반로(藩路)의 이원 체제를 이루고 있다. 발해는 요보다는 금의 체제와 유사하다. 전체 15부 중 5경이 포함된 5개 경부와 10개의 일반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해의 5경은 15부 62주의 지방 관제가 갖추어지기 이전에 형성되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차례의 천도를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5경의 명칭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었다는 점으로부터 중경(中京)에서 상경(上京)으로 천도한 시점에 5경의 기본 틀을 갖추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아울러 5경제 속에서 상경이 담당한 역할과 그 의미를 검토하였다. 발해는 천도와 함께 상경이라는 명칭을 새로운 수도에 붙였으며 상경이라는 어의적 의미를 적극적으로 구현하였다. 중경이 발해 지배층의 ‘민족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상징적 중심지역이었다면, 상경은 북방으로 지배력을 확장하면서 다양한 민족을 아우르는 새로운 ‘국가적 정체성’을 표상하는 실질적 중심지역이었다. 요와 금에서도 상경은 도성 또는 그에 버금가는 기능과 역할을 담당했다. 양국이 모두 자신들의 발원지이자 초기 수도를 상경이라 칭하였던 것은 발해가 구현했던 상경의 의미를 계승한 것임은 말할 나위가 없다. 이후 한족 중심지로 영역이 확장되면서 새로운 정치 중심지로 중경(중도)을 설치하였지만 상경은 거란 및 여진족의 전통과 정체성을 유지하는 주요 기능을 이어 나갔다. 발해와는 반대로 이들 왕조에 있어서는 상경이 민족적 구심체였으며 중경은 국가적 구심체로 재설정되었다. 3국의 상경이 갖는 또 다른 공통점은 지리적으로 북위 44도 전후에 설치되어 농경지역과 유목지역을 아우르는 북방왕조의 주요 도시로서 역할을 하였다는 점이다. 농경 지역을 근거로 유목지역의 여러 민족을 아우르려는 발해, 유목지역을 근거로 농경 지역을 통합하려는 요와금의 동일한 관심이 상경의 설치와 운영이라는 공통성을 견지하였다. 이런 점에서 5경제를 동반한 상경이 발해, 요, 금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결코 우연이 아니며 그것을 최초로 구현했던 발해의 취지가 요, 금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주목할 만하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Five Capitals is a unique multiple capitals system developed in Parhae, Liao and Jin and deals with the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Five Capitals of these dynasties. This study aims to pursue new understanding on the forming process of the Five Capitals of Parhae and deduct it inversely from the forming process and structure of three dynasties. To this end, I first reviewed the forming process of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of Liao and Jin which have scarecely known to Korean academy. As a result, the Five Capitals of Liao had been formed for 120 years of long period along with the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while the Jin accepted the Five Capitals of Liao intact so that they could maintain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after building the Five Capitals. Such difference among forming processes of each dynasty is reflected on the combination structure of 5(6) Capitals and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In case of Liao, the Five Capitals became basic structure of entire government system and the local government units were organized under the Five Capitals. In case of Jin, on the other hand, 5(6) Capitals took the dual system of the capital provinces and the general provinces while enlarged government systems were settled down thereto. In this regard, Parhae has rather similar system with Jin rather than Liao. And we can infer that the Five Capitals of Parhae was formed before the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15 provinces 62 districts) was prepared. Also, I reviewed the roles and meaning of Sang-gyeong(the upper capital) in the Five Capitals. Parhae gave the name of Sang-gyeong to their new capital while they transferred the capital and actively realized the semantical meaning of Sang-gyeong. While Junggyeong( the center capital) was a symbolic center that forms ‘ethnic identity’ of Parhae hierarchy, Sang-gyeong was actual center that symbolized new ‘national identity’ for extending their control to the north and encompassing various nations. In Liao and Jin, Sang-gyeong took as much functions and roles as capital. It goes without saying that both countries called their source regions and initial capitals as Sang-gyeong succeeding the meaning of Sang-gyeong that Parhae realized. As the territory was extended to the center of Han race(漢族), they installed Jung-gyeong as new political center but Sang-gyeong kept main functions of maintaining the tradition and identity of Khitan(契丹) and Jurchen(女眞). Unlike Parhae, Sang-gyeong was ethnic centripetal body of these dynasties and Jung-gyeong was reset as national centripetal body. Another common ground of these three countries`` Sang-gyeong is that they were geographically located in 44 degrees north latitude taking the role of main cities of northern dynasties that encompassed farming and nomadic regions. The same interest of Parhae that tried to put a few ethnic groups of nomadic regions together based on farming region as well as Liao and Jin that tried to unify farming regions based on nomadic regions adhered to the common ground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Sang-gyeong. In this regard, the advent of Sang-gyeong along with Five Capitals System in Parhae, Liao and Jin was not by chance, and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purpose of Parhae that first realized it was succeeded to Liao and Jin.

      • KCI등재

        발해의 육로구간 일본도 연구

        정석배(JUNG, Suk-bae) 고구려발해학회 2021 고구려발해연구 Vol.69 No.-

        발해 일본도는 발해의 도성에서 동해안 연안까지의 육로구간과 동해를 건너는 해로구간으로 나뉘어 연구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발해 일본도 육로구간의 구체적인 교통로를 파악하는 것이다. 발해는 구국에서 현주, 상경, 동경, 상경으로 차례로 천도를 하였기 때문에 육로구간 출발지가 도성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발해 사절단이 파견된 제1차 727년은 구국시기에, 제2차 739년은 구국 혹은 현주시기에, 제3차 752년은 현주시기에, 제4차(758년)부터 제11차(779년)까지의 8회는 1차 상경시기에, 제12차 786년은 동경시기에, 제13차(795년)부터 제34차(919년)까지의 22회는 2차 상경시기에 각각 해당한다. 다시 말해서 발해 일본도의 출발지는 구국, 현주, 상경, 동경 4개소였다. 구국의 중심지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길림성 돈화지역으로 인식이 되어 왔었고, 구국도성과 관련된 유적으로 오동성, 성산자산성, 영승유적이 지목되어왔다. 하지만 오동성과 영승유적은 2002~2003년도의 발굴조사 결과 발해의 유적이 아니라 금대유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성산자산성도 구국의 동모산으로 보기에는 성 내부의 주거지역이 지나치게 협소하다는 의견이 제시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구국이 화룡의 서고성에 있었다는 의견, 돈화 북동쪽의 통구령산성과 석호고성에 있었다는 의견, 연길 동쪽의 마반촌산성(성자산성)에 있었다는 의견 등이 새로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진릉의 서원에 배장되었다는 문왕의 둘째 딸 정혜공주의 무덤이 육정산고분군에서 발굴되었기 때문에 아직은 구국의 중심지가 돈화지역에 있었다는 설이 더 타당해 보인다. 이미 밝혀진 바와 같이 중경 현주 시기 도성은 화룡 서고성, 상경성은 발해진 상경용천부유적, 동경 시기 도성은 훈춘 팔련성에 각각 있었다. 발해 일본도 육로구간의 종착지이자 해로구간의 출발지는 러시아 연해주 하산지구에 위치하는 크라스키노성임이 역사학적 및 고고학적 연구 성과에 의해 입증이 된 상태이다. 따라서 발해 일본도 육로구간의 구체적인 교통노선은 구국시기에는 돈화와 크라스키노성, 중경 현주시기에는 서고성과 크라스키노성, 1차와 2차 상경시기에는 상경성과 크라스키노성, 동경시기에는 팔련성과 크라스키노성 사이의 교통로에서 찾아야 한다. 발해 일본도 육로구간 각 출발지에서부터의 구체적인 교통 노선들에 대해서는 학계에 제기되어 있는 기존의 의견들, 새로이 발견 혹은 발굴된 발해유적들, 인공위성과 관련된 지리ㆍ지형 정보들 등을 면밀하게 검토한 다음에 새로운 의견을 제시할 수가 있었다. 발해 일본도 육로구간의 교통 노선은 국가를 대표하는 사절단이 가장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그리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곳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그 결과 구국시기 돈화지역과 크라스키노성 사이의 교통 노선은 “돈화 →대석두진 →부르하통하 상류 →석문 →중평 →토성둔고성 →태양고성 →장안 →부르하통하 최 하류 →송림 →알하하 최 하류 →도문 →온성 →솔만자 →영안 →온특혁부성 →석두하자고성 →장령자 →크라스키노성”으로, 중경 현주시기 서고성과 크라스키노성 사이의 교통 노선은 “서고성 →용정 →연길 →연집 →장안 →도문 →온성 →솔만자 →영안 →온특혁부성 →석두하자고성 →장령자 →크라스키노성”으로, 1차 상경과 2차 상경시기 상경성과 크라스키노성 사이의 교통노선은 “상경성→ (목단강과 경박호) →경박향 →저가고성 →오봉고성 →홍운건축지 →행복건축지 →석성고성 →(알하하 중상류) →낙타촌·중대천·천교령건축지 →왕청 하북고성 →용천평고성 →송림 →도문 →온성 →솔만자 →영안 →팔련성 →석두하자고성 →장령자 →크라스키노성”으로 각각 새롭게 설정되었다. 동경시기의 교통로는 상경 시기 팔련성과 크라스키노성 사이 구간과 일치한다.

      • KCI등재

        발해 상경성의 공간 구조적 특징에 대한 고찰

        김은옥(金?玉) 고구려발해학회 2021 고구려발해연구 Vol.70 No.-

        발해(698-926년)의 상경성은 발해의 여러 천도 과정 중 도성으로 가장 긴 시간 동안 사용된 곳이다. 장기간에 걸친 상경성지에 대한 발굴 조사로 현재 주요 궁전지, 성문지, 도로, 리방(里坊) 등에 대한 대략적인 파악이 가능하게 되었다. 다국적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발해 연구는 연구자들 간의 다양한 각도와 이해 등의 차이로 현재까지도 이견이 많은 연구 대상이다. 또한 발해 고고학 가운데 가장 많이 연구된 대상 중 하나가 바로 이 상경성이다. 한 나라의 대표적인 수도이자 도성으로 천도와 재천도(환도)를 거치는 기간 동안 이 곳은 발해의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중심지였을 것이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상경성지의 형태적인 특징이나 출토 유물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고에서는 그 가운데 상경성 내 공간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상경성은 고대 도성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인 남북 중축선을 기반으로 좌우 대칭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그 중축선 상에 외ㆍ내성의 주요 문지를 비롯하여 주요 궁전지, 성내 가장 큰 도로(제1호 도로)가 배치되어 있다. 상경성은 굉장히 큰 규모의 성이기 때문에 외성안 공간은 다시 내성-황성-궁성 등 여러 공간으로 구분되고, 각 성 역시 담장이나 격벽(隔壁) 등의 시설로 더 작은 규모의 공간들로 세분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①규칙적이고 정연화 된 공간 배치가 이루어졌다는 점, ②남북 중축선을 기반으로 좌우 대칭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 ③도로와 리방 등 외성내, 내성밖 구역 역시 정연하게 구조되었다는 점, ④소수의 문지와 출입 시설 등의 설치로 방어기능이 강화된 폐쇄적 공간 구조를 형성하며 출입을 통제할 수 있었다는 점, ⑤왕의 공간이자 정치적 공간이라고 볼 수 있는 궁성 중에서도 주요 궁전지가 배치된 궁성의 중심구역을 삼중의 성벽과 해자 등으로 철저히 보호하려고 한 점 등을 근거로 당시 발해국 안에서 통치자의 권위와 위상이 대단히 강했다는 것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상경성은 발해의 도성 중 현주와 동경의 치소로 비정되는 서고성과 팔련성 간의 구조적 유사점도 확인할 수 있다. 두 성 역시 상경성과 마찬가지로 남북 중축선을 기반으로 주요 건축지(궁전지) 및 성문 등을 배치하고 있으며, 주요 궁전이 위치한 내성 공간을 이중으로 보호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유사한 성격을 갖고 있는 일부 공간 구역이 설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