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전반기 三身ㆍ三世佛 조성에 대한 연구

        김경미(Kim, Kyung-m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49 No.-

        조선전반기에 새롭게 등장하는 불교미술과 관련된 도상 중에서 삼세불과 삼신불을 주목할 수 있다. 삼세불과 삼신불에 관한 인식은 이미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을 것이다. 『원대화소기』에 원대 무왕조의 삼세불을 모신 萬安寺는 고려 충렬왕 때 국존이자 유가종 승려인 弘眞國師 惠永(1228~1294)이 1290년 원나라에 들어가 『仁王經』을 강의했던 곳이다. 따라서 당시 혜영이 삼세불을 보았을 것이다. 또한, 고려시대의 『稼亭集』에 북경 龍泉寺 화재관련기사에서 삼신불에 대한 언급과, 조선초에 「연복사탑중창비(1394년)」에 나오는 비로자나불의 조성 기록을 통해 삼신불에 대한 개념이 고려시대에는 형성되었을 것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유행하는 삼세불은 석가불, 아미타불, 약사불로 공간적 삼세불이 조성된다. 일본 곤카이코묘지(金戒光明寺)소장 〈삼세불도(1573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동삼세불좌상〉, 〈경주 왕룡사원 소조 약사ㆍ석가불상(1579년)〉등이 확인된다. 삼신불 조성은 원각사탑 1층 남면에 부조된 〈비로자나삼신불도(1467년)〉, 〈천은사 불감 비로자나삼신불도〉등이 확인된다. 또한, 조선 전반기에 조선 전반기의 三身ㆍ三世佛을 함께 造成하는 사례는 세종 때 金守溫(1410~1481)이 世宗 31년(1449)에 편찬한 부처사리에 대한 영험을 기록한 「舍利靈應記」, 일본 주린지(十輪寺)소장 〈五佛會圖(1467년)〉등에서 확인된다. 이와 같은 도상은 조선 전반기에 이르러 대승불교에서 삼신불과 삼세불에 대한 認識이 점차 확산되면서 불교 이론의 발전과정에서 보다 심도 깊은 認知의 결과로서 등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thesis deals with the Trikaya and Three World Buddh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re composed of ??kyamuni(석가불), Bhai?ajyaguru(약사불) and Amit?bha(아미타불). There are generally designated by terms such as samsebul (Buddhas of the three Worlds). Meanwhile, birojanasamsinbul (Buddhas of the three bodies with Vairocana) is composed of Vairocana, ??kyamuni, Nosana Buddha. Trik?y?h are means as dharma-kaya(法身), nirmana-kaya(應身), sambboga-kaya(報身).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ppearance during the fifth century, in Northern Wei of China. Especially according to ‘The records of painting and sculpture in Yuan dynasty『元代畵塑記』’, there are designed for the Buddhas of Three Periods. In Korea, the images of sam-se-bul with time(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nd sam-sin-bul(the Buddhas of the three body) appeared during the 16th century. In addition it integrates with Sam-sin-bul and Sam-se-bul. That is SamsinSamsebul. Understanding of combinationis based on their pattern by time period. Iconography of the images of sam-se-bul with time(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nd sam-sin-bul(the Buddhas of the three body) was completed at this time.

      • KCI등재

        조선시대 17~18세기 三身三世佛掛佛圖 양식 연구

        김선희(Kim, Seon-Hee) 동서미술문화학회 2013 미술문화연구 Vol.3 No.3

        이 논문은 17, 18세기 인조?정조기의 <삼신삼세불괘불도>를 중심으로 형식 분류와 양식특징에 대해서 고찰한 글이다.이 시대는 전란 이후 사회적 변혁과 안정기를 거치며 소실된 불교사원을 복원하고, 활발한 불화조성으로 구도?형태?색채?문양 등에 있어 불화양식이 확립되는 시기로, 조선시대 불화 양식은 물론 불교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겠다. 조선시대 17세기 이후 三身?三世佛의 융합에 따라 괘불화의 경우 비로자나불?노사나불?석가불이 한 조를 이루는 ‘비로자나삼신불’과 석가불?약사불?아미타불로 구성되는 ‘석가모니삼세불’이 혼합된 ‘삼신삼세불괘불도"는 조선시대의 새로운 도상으로서, 오불?사불?삼불 세 가지 형식으로 구분된다. 불상조각은 속리산 법주사 대웅전 상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3불 형식(비로자나?약사불?아미타불)이 전형을 이루고 있음이 파악된다. 이러한 도상은 17세기 오불회괘불도의 영향을 받아 18세기 삼신삼세불괘불도에서 정점을 이룬다. 둘째, 17세기 괘불도는 매우 다양한 구도를 보여주는데, ‘ㅗ’형 그리고 ‘역삼각형(▽)’, ‘횡방형(?)’, ‘사다리꼴"등의 배치법과 한 화면에 2단 또는 3단 의 群圖形式의 구도법이 보인다. 이후 화면을 꽉 채운 二段構圖는 그대로 傳承되어 18세기의 흐름을 엿볼 수 있다. 셋째, 17세기 괘불도에 나타나는 형태는 16세기 불화의 양식적 특징에서 유사함을 많이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국립중앙박물관 소장<四佛會圖>와 친연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나타나는 1650년 作갑사 괘불도의 괴체화(塊體化)경향 등의 흐름은 1684년 作부석사 괘불도로 이어져 17세기 전반기의 소조비로자나불상과 동일한 양식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18세기 괘불도에서는 앞 시대에 비해 권속수가 많아지며 다소 경직되고 정형화된 모습이지만 대형작품에서 보여주는 화면 구성과 세련된 형태미 등에서 당대의 수작으로 평가된다. 넷째, 이 시기 괘불도의 색채적 특징은 비록 채색은 낡았지만 맑고 은은하여 17세기 불화의 고상한 분위기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적색과 녹색 계열을 주조색으로 하고, 佛身의 金彩,金泥와 변용한 황색 筆線, 광배의 화려한 연당초 문양, 중간 계열의 색사용 등은 명종대 왕실발원 불화의 섬세함과 화려함이 여전히 남아 있다. 18세기부터는 점차 탁해지고 장식적인 면과 진채적 성향이 나타나는 시기이지만 새로운 화풍을 계승하여 세대양식의 변화를 실감할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전란 이후 피폐와 곤궁 속에서도 조선의 여러 신앙과 교리가 의식을 통해 만들어진 그림과 불상 조각이므로 그 가치를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다.

      • KCI등재

        조선 후반기 제2기 불교건축과 예배상과의 관계에서 본 도상의미 연구

        주수완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3 강좌미술사 Vol.40 No.-

        This thesis deals with the problem of phenomenon on the re-interpretation in 18th century for the buddhist main temple architectures built by 5×3 square in the 17th century. In the 17th century, all of these buildings were erected as Sakyamuni Hall, but Sakyamuni·Amitabha·Bhaisajyaguru Buddha triad or Virocana·Amitabha·Bhaisajyaguru Buddha trinity were enshrined in them. Since the 18th century, these buildings passed the large and small repairs, but until now the Buddha statues are remained and the name of Buddha was estimated to be unchanged. However, the repair of the building over the course of the 18th century has undergone various changes. In Nonsan Ssanggye-sa and Guishin-sa, their two-story building were remodeled as a single layer. Most of these buildings may had been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roof by going through the repair or reconstruction. Whatever was the original form, these buildings came to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at the 18th century. One is the Sakyamuni Hall lineage which has a gambrel roof enshrined the Sakyamuni Triad in it while the other is the Vairocana Hall lineage which has a gable roof with Vairocana Trinity. In addition, it is something in common that the gambrel roof lineage with Sakyamuni Triad is associated with Byugam Gakseong. Buddhism at these periods can be summarized in general three lines; Hwaeom, Zen, and Pure Land. Vairocana, Sakyamuni and Amitabha buddha symbolized each religious sects. Further, Bhaisajyaguru buddha was concerned with Tantric buddhism on which the ritual text of these periods based. If we admitted that there must be an iconographic meaning, we can find the reason in some visual character as next. The Sakyamuni Triad shrine intended to emphasis the central directivity of Sakyamuni buddha with attendance of other dimensional buddhas. But in case of Vairocana trinity, it intends to show an equality of Tri-Kaya(三身) of buddhas. The gambrel roof looks be coincidence to show the central directivity by symmetrical component while the gable roof is correspondence to show the equality by horizontal extendability. 이 논문은 17세기에 세워진 5칸×3칸 전각들이 18세기에 들어서 재해석되는 현상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이들 전각들은 17세기에는 모두 대웅전으로 건립되었으나, 내부에 봉안되는 존상은 석가·아미타·약사불의 삼세불이거나 비로자나·아미타·약사불의 삼신삼세불이었다. 이후 전각들은 18세기에 들어서서 대체로 크고 작은 중수를 거쳤지만, 불상들은 대체로 지금까지 남아있고, 몇몇 기록을 통해볼 때 불상의 존명 자체가 변하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전각은 18세기의 수리를 거치면서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논산 쌍계사와 귀신사는 중층전각에서 단층전각으로 변화했다. 그 외의 다른 전각도 수리과정을 거치면서 지붕의 형태에 변화가 있었을 수 있다. 그러나 원래의 모습이 무엇이었든지 간에 이들 전각들은 18세기에 들어서서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하나는 팔작지붕을 한 대웅보전 계열의 전각으로 그 안에는 삼세불을 봉안했고, 다른 하나는 맞배지붕을 한 대적광전 계열의 전각으로 그 안에는 비로자나불을 주존으로 하는 삼신삼세불, 혹은 삼신불을 봉안했다. 아울러 팔작지붕의 삼세불 전각은 벽암각성과 연관되어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시기 불교는 대체적으로 선, 화엄, 정토로 요약될 수 있다. 그중에서 비로자나불이 화엄을, 아미타불이 내세구복적 정토를 대표하는 것이라면, 석가모니는 선을 대표하는 존상으로 자연스럽게 규정해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 시기를 즈음하여 정립된 다양한 불교의식집에 면면히 흐르는 밀교적 색채는 현세구복적 성격으로서 약사불이 강조되었던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만약 위와 같은 구분이 가능하다면, 그 이유는 팔작지붕에 봉안된 삼세불은 석가모니를 중심으로서 보다 부각시키고, 아미타와 약사를 마치 석가가 초청한 객으로서 표현하고 있는 반면, 삼신삼세불은 천정의 처리나 기타 장엄에서 대체적으로 삼불의 평등성을 암시하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개념에 부합되는 것이 바로 중심성을 강조하는 팔작지붕 전각과 동일한 공간의 횡적인 확장성을 강조하는 맞배지붕으로 구현된 것이 아닐까 추정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17-18세기 三身三世佛掛佛圖 연구

        김선희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71 No.-

        In this paper, we studied type classification and form features around <Three 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during the reign of Injo⋅ Jeongjo in 17th, 18th century. The times are when Buddhist temples destroyed by fire through social change and stabilization period after war were restored and Buddhist painting style was established in composition⋅ form⋅color⋅pattern etc. by actively creating Buddhist paintings and can be said to hold an important position in research for the style of Buddhist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history of Buddhist paintings. According to the fusion of Trikaya⋅Three World Buddhas after 17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in case of Buddhist Banner Paintings, ‘Three 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in which ‘Seokgamoni Three World Buddhas’ consisting of Seokgamonibul⋅Yaksabul⋅Amitabul and ‘Biroojana Trikaya buddha’ composed of a group of Biroojanabul⋅ Nosanabul⋅Seokgamonibul are mixed is a new paint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divided into three types of five Buddhas⋅four Buddhas⋅ three Buddhas. Except the sculpture in the main hall of Sokrisan Beopjusa, most Buddha sculptures are found to be formed with Three Buddhas type (Biroojana⋅Yaksabul⋅Amitabul). This painting was influenced by Hanging Painting of Five Monks Assembly in the 17th century and peaked in Three 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in 18th century. Second, Buddhist Banner Paintings in the 17th century show various compositions such as placement method of ‘ㅗ’ type and ‘inverted triangle (▽)’ , ‘lateral square(▭)’, ‘trapezoid’ etc. and group image form of 2-stage or 3-stage in one screen. And then 2-stage composition filling the screen has been handed down and shows us the flow of the 18th century. Third, the form shown in Buddhist Banner Paintings in the 17th century is quite similar to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16th century and in particular, it shows affinity with <Four Buddhas Gathering Painting> own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n the flow of big chunk tendency etc. of Gapsa Buddhist Banner Painting created in 1650 led to Buseoksa Buddhist Banner Painting created in 1684, showing stylistic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same as modeling, Biroojana Buddhist Sculpture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18th century Buddhist Banner Painting has more dependents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and is somewhat rigid and formal but evaluated as the masterpiece of the times in terms of screen configuration and sophisticated physical beauty etc. shown in large works. Fourth, though old, the colors of Buddhist Banner Paintings of the times are clear and delicate, showing the elegant atmosphere of 17th-century Buddhist paintings well. The main colors are red and green and delicacy and gorgeousness of King Myeongjong royal family praying Buddhist Paintings still remain in gold painted Buddha body, gold dust and transformed yellow line, colorful lotus rinceau pattern of halo, use of middle colors etc. The 18th century is the time when they became increasingly turbid and decorative aspect and deep-colored tendency appeared but the new style of painting was inherited allowing us to realize changes in the generation form. In addition, it turned out to be enough to feel their value because these are painting and Buddha sculptures made by several beliefs and doctrines of Joseon through rituals even in exhaustion and impoverishment after war. 이 논문은 17, 18세기 인조.정조기의 <삼신삼세불괘불도>를 중심으로형식 분류와 양식특징에 대해서 고찰한 글이다. 이 시대는 전란 이후 사회적 변혁과 안정기를 거치며 소실된 불교사원을 복원하고, 활발한 불화조성으로 구도.형태.색채.문양 등에 있어 불화양식이 확립되는 시기로, 조선시대 불화 양식은 물론 불교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겠다. 조선시대 17세기 이후 三身.三世佛의 융합에 따라 괘불화의 경우 비로자나불.노사나불.석가불이 한 조를 이루는 ‘비로자나삼신불’과 석가불.약사불.아미타불로 구성되는 ‘석가모니삼세불’이 혼합된 ‘삼신삼세불괘불도’는 조선시대의 새로운 도상으로서, 오불.사불.삼불 세 가지 형식으로 구분된다. 불상조각은 속리산 법주사 대웅전 상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3불 형식(비로자나.약사불.아미타불)이 전형을 이루고 있음이 파악된다. 이러한도상은 17세기 오불회괘불도의 영향을 받아 18세기 삼신삼세불괘불도에서정점을 이룬다. 둘째, 17세기 괘불도는 매우 다양한 구도를 보여주는데, ‘ㅗ’형 그리고 ‘역삼각형(▽)’, ‘횡방형(.)’, ‘사다리꼴’ 등의 배치법과 한 화면에 2단 또는 3단의 群圖形式의 구도법이 보인다. 이후 화면을 꽉 채운 二段 構圖는 그대로傳承되어 18세기의 흐름을 엿볼 수 있다. 셋째, 17세기 괘불도에 나타나는 형태는 16세기 불화의 양식적 특징에서유사함을 많이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四佛會圖>와친연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나타나는 1650년 作 갑사 괘불도의 塊體化경향 등의 흐름은 1684년 作 부석사 괘불도로 이어져 17세기 전반기의 소조비로자나불상과 동일한 양식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18세기 괘불도에서는 앞시대에 비해 권속수가 많아지며 다소 경직되고 정형화된 모습이지만 대형작품에서 보여주는 화면 구성과 세련된 형태미 등에서 당대의 수작으로 평가된다. 넷째, 이 시기 괘불도의 색채적 특징은 비록 채색은 낡았지만 맑고 은은하여 17세기 불화의 고상한 분위기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적색과 녹색 계열을주조색으로 하고, 佛身의 金彩, 金泥와 변용한 황색 筆線, 광배의 화려한 연당초 문양, 중간 계열의 색사용 등은 명종대 왕실발원 불화의 섬세함과 화려당초 문양, 중간 계열의 색사용 등은 명종대 왕실발원 불화의 섬세함과 화려함이 여전히 남아 있다. 18세기부터는 점차 탁해지고 장식적인 면과 진채적성향이 나타나는 시기이지만 새로운 화풍을 계승하여 세대양식의 변화를 실감할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전란 이후 피폐와 곤궁 속에서도 조선의 여러신앙과 교리가 의식을 통해 만들어진 그림과 불상 조각이므로 그 가치를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후반기 제3기(純祖-純宗代) 掛佛畵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김창균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3 강좌미술사 Vol.40 No.-

        The third stage of the late Joseon period from 1801 to 1910 (from King Sunjo’s to King Sunjong’s days) is socially chaotic due to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nd popular uprising along with modernization. Distinguishing themselves since the 1800s, some Buddhist monk painters led the realm of Buddhist painting in the last period of Joseon with their continuous activities eve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time before 1930 as it is believed that quality inclination was remarkable in Buddhist Banner Paintings and common Buddhist paintings due to the tendency of modernization since the 1930s. After examining the temporal, thematic, and local conditions with Banner Paintings of Buddha themes, on which temple attention and techniques were intensely paid, as its subject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tents of iconographies, and explored factions of monk painters of Buddhist Banner Paintings at that time that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Buddhist paintings and their painting styles. In the 19th~20th centuries, due to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many Buddhist banner paintings with the themes of Sakyamuni and Amitabha for the purpose of the peace of the royal family and the tendency of dependence upon Buddhism were created. This was especially because hopes and wishes for the worldly interest and afterlife euthanasia greatly worked. In particular, it is conjectured that many Buddhist paintings with the theme of Amitabha were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otic social trends due to invasions by surrounding powerful nations by the 20tthcentury, and such a tendency appeared in Buddhist Rear Paintings and was consistent with the creation of lots of Amitabha paintings. Also on the side of themes, considering the emergence of Medicine Buddha and the increase of Three-World Buddha paintings, we can conjecture that the philosophy of aspiring to mundane good health and long life, and afterlife euthanasia more prevailed in this period than in any other periods, with Sakyamuni as the main Buddha. 조선시대 후반기 제3기는 순조-순종대인 1801년부터 1910년에 이르는 시기로서 근대화와 더불어 서양문물의 유입과 민중봉기로 인한 사회적 혼란기로서, 1800년대 후반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불화승들이 20세기 전반까지도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조선시대 말기 불화 화단을 이끌어오고 있다. 괘불화나 일반 불화의 경우 1930년대 이후 현대화 경향으로 인한 질적 하락이 뚜렷하다고 판단되어 연구 범위를 1920년대까지로 설정하여 寺勢와 기술력이 집중된 부처 주제의 괘불화만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로 삼아, 시기별/주제별 현황과 지역별 현황을 살펴본 다음 주제별에 따른 괘불화의 내용과 도상을 분석해보고, 불화 조성에 참여하였던 이 시기 괘불화 화승유파 및 유파별 화풍에 대해 살펴보았다. 19-20세기 괘불화의 경우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불교에 의지하려는 경향과 왕실의 안녕 기원 목적의 석가불과 아미타불 주제의 괘불화가 많이 조성되는데, 현세의 이익과 내세의 극락왕생에 대한 희망과 바람이 크게 작용한 때문이라고 짐작된다. 특히 20세기에 들어 주변강국들의 외침으로 인해 혼란해진 사회 흐름에 따라 아미타불 주제의 불화가 많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며, 이와 같은 경향은 후불화에도 반영되어 다량의 아미타불도가 그려지는 것과 상통한다고 하겠다. 주제면에 있어서도 약사불도가 등장하고, 삼세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석가불을 주존으로 현세에는 무병장수하고 죽어서는 극락왕생을 희구하는 사상이 어느 시기 못지않게 팽배했음이 짐작된다. 또한 화승유파를 분석해 본 결과 19-20세기 괘불화와 후불화(기타 불화 포함)의 경우 경기지역 몇몇 화승들을 제외하고는 화승들 간의 교류가 활발하지 않음으로 보아 17-8세기에 비해 후불화와 괘불화 화승간의 구분이 보다 확실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록 괘불화의 양이 수적으로 풍부하지 못하고 경기지역에 편중된 지역간의 불균형, 화승들의 한정된 교류로 인해 충분한 연구는 되지 못했다고 하겠으나 장차 괘불화를 포함한 19-20세기 불화 연구에 작은 디딤돌이나마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朝鮮時代 三身佛會圖에 관한 硏究

        황규성(Hwang Kyu-seong) 한국미술사학회 2003 美術史學硏究 Vol.- No.237

        Since Sakyamuni has achieved complete truth, a good variety of views on Buddhas and Buddha-kayas (佛身) have been unfolded through the entire Buddhist history. There are three Buddha-kayas (佛身) on the Buddhas and it will be classified into Dharma-kaya (法身: Vairocana), Sambhoga-kaya (報身: Locana), Nirmana-kaya (化身: Sakya Tathagata) from Indian Buddhist history. Vairocana (毘盧遮那) as Dharma-kaya (法身) originated from the light of Universe in Zoroastrianism. Locana (盧舍那) as Sambhoga-kaya (報身) is the one who has achieved ultimate reality through the practice of great spiritual perfections. Sakya Tathagata (釋迦佛) as Nirmana-kaya(化身) is a historical figure born to the world as Sidhartha Gotama in order to save mankind. In Northern part of Asia such as China, Korea and Japan, all the views on Buddhas and Buddha-kayas of Buddhism were prosperous with many schools or sects. It is uncertain that the thoughts of Threefold-body of Buddhas were represented into art works in India, but we find that Vairocana was embodied as supreme Buddha in Hua-wen Sect (華嚴宗) of Chinese Buddhism around the mid eighth century. Upon at least the late eighth or early ninth century, Chinese artisans started to make statues of Triratna. In Japan where Esoteric Buddhism was prosperous, they did not make any statues of Three Buddhas. It is not yet defined when the three Buddhas started to be made in Korea. But we estimate that it was about the tenth century. In Chosun (朝鮮) dynasty (1392-1910), Koreans began to create paintings of three assemblies of Buddhas. These pictures are usually been enshrined in the Hall of Light (大寂光殿, 大光明殿) of major temples and as large as ten or fifteen meters. The paintings of three assemblies of Buddhas are mostly from late Chosun dynasty and show stylistic changes in three stages (1636-1727, 1725-1800, 1801-1910). The paintings a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their compositions. Type I is representative form of the paintings of three assemblies of Buddhas, for it has all three Buddha-kayas(figures 4-8). Type Ⅱ shows double composition of three Buddha-kayas (Vairocana, Locana and Sakya Tathagata) and three Buddhas in three places (Sakya Tathagata, Amitabha and Bhaisaiyaguru). It is said that Type Ⅱ is the result from unifying two different Buddhist doctrines under the repression of Chosun dynasty. Type Ⅱ is usually represented with crossed or triangular compositions (figures 9-11). In type Ⅲ, only one of the three Buddha-kayas is illustrated according to religious requirements. It may represent a) Vairocana as Dharma -kaya(figures 12), b) Locana as Sambhoga-kaya (figures 13-14), or c) Sakya Tathagata as Nirmana-kaya (figures 15-16). The formations of paintings of three assemblies of Buddhas have been developed from simple compositions to complicated ones: three Buddhas with Vairocana at the center or three Buddhas with Vairocana at the rear → three assemblies of Buddhas → double composition of three Buddha-kayas and three Buddhas in three Buddhist places. The paintings of three assemblies of Buddhas examined above represent most beautiful and ideal world of Buddhism and are distinguished artistic embodiment of universal truth of Buddhism as well as one of the most perfect objects to be worshiped.

      • KCI등재

        기록문화재(記錄文化財)를 통(通)한 조선시대미술(朝鮮時代美術)의 도상해석학적(圖像解釋學的) 연구(硏究) 특집(特輯) : 조선 후반기 제1기(光海君-景宗代) 불화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김창균 ( Chang Kyun K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구 한국미술사연구소) 2012 강좌미술사 Vol.38 No.-

        조선시대 불교는 개국 초 세력이 크게 위축되었으나 승려들의 救國에 대한 희생과 실학자들과의 교유, 內佛堂 및 願堂 창건과 佛經引出, 上寺禁法 폐지와 佛事 시행, 追福水陸齋 설행 등을 통한왕실과 귀족의 崇佛과 信佛로 흥기의 싹이 텄으며, 후기에 들어 교리와 염불신앙이 조계종(禪宗)에 통합되는 새 불교가 일어나 사원의 중건과 재창건 등이 행해지고 불교미술 역시 양적 팽창을 가져오게 된다. 특히 조선조 후반기 제1기는 光海君-景宗代(1609-1724)로서 전반기(1392-1608)와영-정조대(1725-1800) 이후 불화를 연결해주는 가교역할을 하여, 후반기 불교회화 중 차지하는 비중이 지대하다. 후반기 제1기의 불화는 괘불도 33점과 후불도 14점 등 47점이 전해져 온다. 이에 대해 광해군-효종대와 현종-경종대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한 결과 첫째, 두 시기 모두 주제면에서는 영산회도가 가장 많이 조성되었으며, 구도면에서도 앞 시기가 안정된 반면 후반은 보다 동세가 엿보이는 구성법 사용이 파악되었다. 둘째, 존상의 얼굴 및 머리(肉계) 모양, 신체 형태와 손 모양, 광배 형태 등에 있어 앞 시기가 부드럽고 자연스러우며 원만한데 반해, 후반은 다소 경직성이 엿보이는 시기별변화를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셋째, 전반기는 맑고 밝은 색채와 간단한 문양을 채용하여 세선 위주의 섬세한 필선을 구사함으로써 자연스럽고 세련되었으며 투명하고 밝은 느낌이 있는데 비해, 후반에는 보다 복잡해진 문양을 채택하여 다양한 색채를 사용하고 굵은 직선 위주의 필선 구사로 경직된 면이 파악되나 화려해지는 경향을 엿볼 수 있었다. 현종-경종대인 후반에 들어서 비로소 등장하는 후불도 역시 괘불도와 괘를 같이 하며, 영산회도 위주에 세부 양식적인 면에 이르기까지 후반부 괘불도의 영향을 살필 수 있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ough the power of Buddhism largely shrank since the foundation of Chosun, the mood of prosperity comes into buds as the royal family and the nobility had faith for Buddhism in tandem with Buddhists` sacrifice for national salvation, exchanges with Silhak scholars, construction of intramural temples and royal shrineswithin the palace, publication of Buddhist bibles, abortion of Sangsageumbeop, and Bulsa Seolhaeng, Chuboksuryukjae Seolhaeng. Furthermore, as a new strand of Buddhism rose by the late Chosun Dynasty, which integrated creeds and invocative faiths with Jogyejong(Zen Buddhism), numerous Buddhist projects including remodeling and reconstruction of many temples were carried out and hence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Buddhist art was also brought about. Especially, the first part of the late Chosun Dynasty, the period of Kings from Gwanghae-gun to Gyeong-jong(1609~1724), a period playing the role of bridge connecting the Buddhist drawings in the days of Kings Yeong-jo and Jeong-jo(1725~1800) with those in the first half of the Chosun Dynasty(1392~1608), had extremely great importance in the Buddhist paintingin the second half of the Chosun Dynasty. 47 Buddhist drawing pieces in total, including 33 banner paintings and 14 rear paintings, in the first part of the late Chosun Dynasty have been handed down. As a result of the study with the banner paintings and rear paintings divided into those in the period of Kings from Gwanghae-gun to Hyo-jong and those in the period of Kings from Hyeon-jong to Gyeong-jong, first, Yeongsahoedo paintings were overwhelmingly created on the side of theme in both of the two parts of the period. And the paintings in the first part are stable on the side of composition while use of more dynamic method of composition has been founded from the drawings in the second part. Second, as for the forms of Buddha`s face and head(Yukgye), body appearances and hand morphologies, and the forms of the halo, we have found some changes by times in that the drawings from the first part are specifically soft and smooth, while those from the second show a bit of rigidity. Third, as for the use of colors, patterns, and drawing lines, the paintings from the first part are natural and elaborated, and give transparent and bright feelings as they adopt clear and bright colors and simple patterns and freely use delicate drawing lines mainly including fine lines, whereas the drawings from the second part adopt stronger and more diverse colors and complicated patterns and freely use thick sold lines, which strike us as rigid but having a tendency toward splendor. This study has some significance in that it has generally found out that the rear paintings, having firstly occurred toward the second part, the period of Kings from Hyeon-jong to Gyeong-jong, have been much influenced by those from the first part with their concentration on Yeongsanhoedo and on the side of their detailed m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