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설시조의 산문성과 구조적 분방성

        박영주 ( Park Young-ju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9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3

        본고는 사설시조 논의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산문성’의 정체를 산문시와 대비를 통해 규명하고, 사설시조의 진술방식 및 구조적 특성과 결부된 사설시조의 본질과 속성을 살핀 다음, 이러한 특성을 계승한 현대사설시조가 추구해 나가야 할 지향점을 논의한 글이다. 사설시조의 ‘산문성’은 사설의 속성인 ‘엮음’으로 인해 지속적이며 확장적인 묘사 진술이 이루어지는 표현기법 상의 특성으로 파악해야 온당하다. 또 이러한 표현기법 상의 특성은 작품의 시상 전개와 결부된 작시 구성원리의 하나로 이해하는 것이 온당하다. 사설시조를 산문시의 일종으로 간주하거나 산문시의 성격을 지닌 장르로 이해하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 사설시조는 3장 형식을 통한 세 개의 의미단락 및 종장 첫 음보와 둘째 음보를 구성하는 율격적 질서에 있어 평시조의 양식적 특성을 공유한다. 그러면서 한 개 이상의 장에서 4음보를 넘어서지만 현저하게 벗어나지는 않거나 4음보를 현저히 벗어나는 2음보격 ‘엮음’의 확장적 진술을 통해, 화자의 발화를 강화하기도 하고, 시화 대상의 이미지를 강화하거나 구체적 형상을 창출하는 ‘구조적 분방성’을 지녔다는 데 장르의 본질과 속성이 내재해 있다. 이러한 사설시조의 구조적 분방성은 ‘규범 내의 일탈’이라는 데 그 특징과 의의가 있다. 현대사설시조는 시조의 양식성에 사설시조의 구조적 특성 및 오늘의 시대정신과 감성을 반영한 구조적 지향을 구체화시킬 때 특유의 개성과 미학을 구현할 수 있다. 현대사설시조의 다양한 양식 실험은 사설시조의 속성을 대변하는 ‘규범 내의 분방성’을 전제로 할 때 바람직한 양상을 띨 것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자유시를 위시하여 산문시나 일반적인 서정시와 차별성을 지니지 못한 정체불명의 모호한 양식 실험에 그치고 말 위험을 내포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identity of prose-like nature of saseolsijo that is frequently mentioned in related debates, and examine the attributes of saseolsijo in terms of its narrative styl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se, we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contemporary saseolsijo. A work of saseolsijo is formed based on the attributes of ‘weaving’. ‘Weaving’ is an expressive technique of saseolsijo and also one of principles of composing a poem. Genre attributes of saseolsijo lie in ‘structural freedom’ that strengthens a speaker’s narrative or creates images of an object with an expansionary statement through ‘weaving’. This ‘structural freedom’ can be seen as deviation within a standard. Considering this, it would be desirable for contemporary saseolsijo to succeed to genre attributes of saseolsijo, while aspiring to unique aesthetics that reflects the spirit of the times and contemporary sensibilities.

      • KCI등재

        김광균과 군산, 그리고 회화적 감각

        이지영 한국근대문학회 2019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0 No.2

        This article focuses on deepening to understand new lyric poetry prospected by Kim, Kwang-kyun, by reviewing factors to drive pictorial sense of his poetry. Kim. Kwang-kyun used the pictorial methods polishing sensible images, and is summoned as the next generation who internalized the modernity in the 1930's. His poetic world is considered as the result of figuring out new inside(poetic reality) with linguistic mode suitable to the modern spirit, traversing modern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of sensibility. For its main driving forces, first, it is an exploration on new poetic spirit and consciousness through exchanges with artists in the era, and second, it is the experiment of formative mode attributing to his life in Gunsan. Kim, Kwang-kyun prospected the contents of new recognition and possibilities of expressions through formative arts, when he encountered the wave of the modern paintings through Kim, Ki-rim. Having the modern formative methods of painting and the spirit of the era in the 1930's, he experimented new subjectivity, and tried to escape conventional methods, using unaccustomed and clear languages. It is linked to pictorial sense attributing to formativeness, and for grabbing speed and emotions of the changing age. The pictorial sense of aesthetic modernity could be a technology and thought to build a 'new lyrical spirit.' The issue of sense could be found with its cue from his conversion to modern style, discovering the 'composition' through prose in his time in Gunsan. Kim, Kwang-kyun wrote proses intensively at that time, because, extending possibilities of expression as sensible outcomes, he tried to create new poetic reality. By re-composing sensible images through the 'composition', he could secure critical attitude on the modern times refracted to Gunsan. This article figures out main driving force for pictorial sense of Kim, Kwang-kyun's poetry, and has the significance on dealing with the poetic prospect through prose, the artistic values in that time, overlooked by focusing on status and meaning of the images by the previous discussions. The reason that the poet re-thought the subjectivity in the wave of the modernism in the 1930's and could figure loneliness and sadness of the modern subject is the possibility of lyrics through new senses traversing dichotomy frame of romanticism or modernism. 본고는 김광균 시의 회화적 감각을 추동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그가 전망한 새로운 서정시에의 이해를 심화하는 데 주력한다. 김광균은 감각적 이미지를 조탁하는 회화적 기법을 구사하며 1930년대 근대를 내면화 하는 신세대로 호출되었다. 그의 시세계는 모던적 특성과 감상성의 표출 문제를 가로질러 근대정신에 부합하는 언어 양식으로 새로운 내면(시적 현실)을 형상화한 성과로 조명된다. 주요한 동력으로 첫째, 당대 화가들과의 교류를 통한 새로운 시 정신과 문제의식의 탐구이고 둘째, 군산 생활에 기인한 조형적 작법 실험으로 가름할 수 있다. 김광균은 김기림을 통해 근대 회화의 조류를 접하면서 조형을 통해 새로운 인식 내용과 표현 가능성을 전망했다. 1930년대 회화의 근대적 조형 기법과 시대정신을 점유하며 새로운 주관성을 실험했는데, 생경하고 선명한 언어를 구사하며 관습적 작법을 탈피하고자 했다. 이는 조형성에 기인한 회화적 감각과 결부되는 것으로, 변화하는 시대의 속도와 정서를 포착하기 위함이다. 미적 모더니티로서 회화적 감각은 ‘새로운 서정정신’을 수립하는 기술이자 사상이라 할 수 있다. 감각의 문제는 군산 생활 시기 산문성을 통해 ‘구도’를 발견하며 모던적 작풍으로 전환된 데서 단초를 찾을 수 있다. 김광균은 이 시기에 산문들을 집중적으로 발표했는데, 감각적 산물로서 표현 가능성을 확장하는 가운데 새로운 시적 현실을 고안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구도’를 통해 감각적 이미지를 재구성함으로써 군산에 굴절된 근대에의 비평적 태도를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다. 본고는 김광균 시의 회화적 감각을 작동시키는 주요 동력에 대해 해명한 바, 기존 논의들이 이미지의 양상과 의미에 주력함으로써 놓치고 있는 당대 예술적 가치, 산문성을 통한 시적 전망을 다룬 데 의의가 있다. 그가 1930년대 모더니즘의 조류 속에서 주관성을 재고하며 근대 주체의 고독과 애상을 조형화 할 수 있었던 것은, 낭만이나 모던에의 이분법적 프레임을 가로질러 새로운 감각을 통한 서정의 가능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비판적 포크, 물, 그리고 읊조림 — 정태춘의 작품세계

        이영미 한국대중음악학회 2019 대중음악 Vol.- No.24

        이 글은 한국의 대표적인 비판적 포크 작가이자 가수인 정태춘의 작품세계 전체를 정리하는 글이다. 우선 그의 작품세계의 흐름을 다섯 시기로정리하면서 그의 작품 전 시기에 걸쳐 중요하게 등장하는 ‘물’ 이미지의변화를 살펴보고, 이후 그의 읊조리는 듯한 노래 짜임새와 그것이 지니는의미를 고찰한다. 그의 첫 시기인 1983년까지는 가장 대중적 인기를 누린 시기이지만, 아직 그의 작품세계가 충분히 정립되지 않은 초창기의 모습을 띠고 있다. 텔레비전 방송과 거리를 두기 시작한 제2기 1983~1988년의 작품에 이르러 그는 비로소 작가주의적인 자기 세계를 정립하는 모습을 보인다. 제3 기 1989~1991년에는 합법적 대중가요의 시장을 벗어나 민중가요권으로옮겨왔고, 검열과 이윤 가능성에 억매이지 않은 채 사회현실에 대한 비판적 형상화를 담은 작품을 만들고 이를 비합법음반과 집회적 공연 등을통해 발표했다. 뜨거운 민주화운동의 시기가 끝난 후인 제4기 1992~2007 년의 작품에서 그는 몇 년 간의 투쟁의 시기가 허망하게 마감되어 버린당혹감과 아쉬움 속에서, 차분한 태도를 견지하면서도 치열하고 예리한시선으로 현실과 자신을 성찰한다. 작품활동이 거의 끝나가는 시기인 제5기 2008년 이후의 작품에서 그는 제4기에서 견지하고 있던 희망적 태도를 내려놓고 더욱 차분하고 냉철하게, 세상과의 불화를 노래한다. ‘물’이라는 상징은 그의 작품세계의 시작부터 끝까지 매우 중요하게 등장한다. 제1기에서는 그저 배경처럼 등장하던 물은, 자신의 작품세계가확립되는 제2기부터 중요한 의미로 정립되어 마지막 시기까지 이어진다. 흥미로운 것은 사회현실에 대해 가장 직접적으로 발언하던 제3기에는 상징으로서의 물이 사라진다. 내면의 원형적 심상에 눈을 돌릴 틈이 없이오로지 사회현실에만 주목하던 작가의 태도가 드러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정태춘 노래의 중요한 형식적 특질은 읊조리는 듯한 노래, 서창적인노래라는 점이다. 한 마디 안에 아주 빡빡하게 많은 음절의 가사를 배치함으로써 많은 양의 내용을 소화한다. 그래서 그의 노래는 산문적이면서도 늘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산문성은 자신의 작품세계가 정립되는 제2 기부터 두드러져 점점 강해지는 양상을 띤다.

      • KCI등재

        폐허로부터의 비전 : 일제말기 김남천의 소설론과 탈식민의 계기

        차승기 ( Cha Seung-k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1 No.-

        이 글의 목적은 문학적 실천을 곧 사회적-정치적 실천으로 이해하고 있던 ‘전환기’의 김남천에게 문학의 정치성의 핵심이 신체성의 전환과 관련된 것이었음을 밝히고, 이 신체성의 전환이 탈식민주의적 계기를 함축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데 있다. 고발-모랄-풍속-관찰 등으로 이어지는 이 시기 그의 소설론은 장편소설을 통해 세계의 구조와 주체화의 메커니즘을 포착하고자 하는 시도였을 뿐만 아니라, 글쓰기(소설쓰기)를 주체-세계 관계와 자아-타자 관계를 변형시켜가는 과정으로 정립하고자 하는 이론적 탐구이기도 했다. ‘일신상의 진리’로 표상될 수 있는 모랄-풍속론에서 김남천은 개념적이고 일반적인 것이 신체를 가진 ‘자기(나)’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가를 고민하면서 주체화의 메커니즘을 탐구한다. 여기서 김남천이 주목한 지점은 개념적인 것과 개별적인 것의 연결이 신체를 매개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주체가 된다는 것은 곧 어떤 신체가 된다는 것이며, 작가는 글쓰기 (소설쓰기)를 통해 이 신체성의 전환 과정을 경험해간다. 관찰문학론에서 도달한 ‘몰아성’의리얼리즘은 이러한 신체성의 전환 또는 변신을 극단까지 밀어붙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신체성의 전환을 통해 주체화의 메커니즘을 포착하는 소설은 다름 아닌 장편소설이다. 김남천은 주체화 과정의 묘사를 통해 ‘전환기’의 구조를 드러내기 위해, 발자크로 대표되는 장편소설의 ‘원천’을 재생시키고자 했다. 장편소설의 원천은 세계의 산문성을 재현하는 데, 다시 말해 세계를 밑으로부터 수평적으로 파악해가는 데 있다. 비록 김남천의 이론적 탐구와 사상적ㆍ문학적 모험이 풍부한 성과로 귀결되지는 못했지만, ‘전환기’에 대한 의식을 분명하게 견지하고 있던 그는 ‘카프 해산-전향-중일전쟁’ 이후의 세계를 폐허로서 직시하며 제국주의와 식민주의가 가장 고도로 집중된 곳에서 식민주의를 내적으로 탈출할 수 있는 계기를 모색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KIM Nam-cheon’s perception that the politics of literature was essentially related to the conversion of body, and to prove the momentum of decolonization that this conversion implied. In transition period, KIM appreciated literary practice as the socio-political praxis, and sequentially developed his own novel theory such as accusation(告發), moral, custom(風俗), and observation(觀察). His novel theory was not only the attempt to grasp the structure of world and the mechanism of subjectification through novel, but also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to establish the fictionwriting as the metamorphosis process of the relationships of subject-world and self and others. In discourse on moral-custom, KIM quested the mechanism of subjectification, concerning how the conceptual-general could be related to a bodily ‘self(I).’ KIM took no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ual and the singular was constituted by the mediation of the body, and therefore might reach the perception that becoming subject is having a body and that a writer suffers the conversion process of body through the fiction-writing. The realism of self-effacement which the literature theory of observation achieved could be a result of conversion or metamorphosis of the body. It was the novel that grasped the mechanism of subjectification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body. KIM desired to regenerate the Ursprung of novel so as to reveal the structure of the transition period through by depicting the subjectification process. The Ursprung of novel was to represent the prosaic of world, in other words, to comprehend horizontally the world from the bottom. KIM’s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literary adventure could not bear abundant fruit. However, he deserves to be estimated as a theorist and novelist who faced the world since the Sino-Japanese War as ruins and who sought the momentum for the de-colonization ab intra where imperialism and colonialism were highly-concentrated.

      • KCI등재

        1960년대 동인지 『산문시대』와 최하림

        전영주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1 한국문학연구 Vol.- No.65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Choi Ha-Rim's early literature and ‘The Prose Age’. In particular, it analyzed Choi Ha-Rim's novel works in ‘The Prose Age’ Choi Ha-Rim's early works in ‘The Prose Age’ influenced Choi Ha-Rim's poetry world. In the study of ‘The Prose Age’, Choi Ha-Rim is perceived as insignificant, but it is clear that Choi Ha-Rim is a special poet born by ‘The Prose Age’, and the traces of Choi Ha-Rim, who has made literary history shine since the 1960s, can be seen as a literary achievements. This article intended to examine ‘prose style’ and ‘artistry’, which became a compartment of Choi Ha-Rim's poetry world by placing the poem “Remembrance of the Poor Olfe” in 1964 as the central axis of the ‘The Prose Age’. Although he took the first step in the literary world as a poet, ‘prose’ is considered to have partially answered questions about this unique genre recognition by Choi Ha-Rim, a poet, such as criticism, fairy tales, and art reviews. Choi Ha-Rim is an artistic world not only in poetry but also in various genres, and at the center of it is the era of the ‘The Prose Age’. Thus, ‘The Prose Age’ is the starting point for Choi Ha-Rim's literary world. In addition, as an extension of Choi Ha-Rim's literary research, the meaning of ‘the Prose Age’ in Choi Ha-Rim's poetry world is fully reflected in the early poems, the ‘prose style’ and ‘artistry’ of “Remembrance of the Poor Olfe”. 본고는 최하림의 초기시와 동인지 『산문시대』의 관련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1962년 창간호부터 1964년 종간호까지 『산문시대』에 발표된 최하림의 소설작품은 ‘시인 최하림’을 탄생시킨 문학적 배경이라 할 수 있다. 이 시기 최하림의 장르인식과 감각적인 언어의식은 『산문시대』 소설 작품과 초기시 창작을 경유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본고는 1964년 등단시 「빈약한 올페의 회상」과 「해항(海港)」, 「바다의 아이들」을 『산문시대』 발표작과 견주어 보면서 최하림 초기시의 ‘산문성’과 ‘예술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961년 ‘시인’으로서 먼저 문단의 첫 발을 떼었지만 『산문시대』 동인 활동을 거친 최하림은 등단 이후 시 외에도 비평, 평전, 미술평론 등의 저작들을 발표한 바 있다. 시인 최하림이 시와 함께 관심을 기울인 ‘산문’은 『산문시대』의 동인활동이 그 바탕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요컨대 『산문시대』는 최하림 문학세계에서 시발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최하림 문학 연구의 확장으로써 최하림의 시세계에 『산문시대』가 차지하는 의미는 최하림의 초기시 즉 「빈약한 올페의 회상」을 비롯한 「해항」과 「바다의 아이들」에 내재된 ‘산문성’과 ‘예술성’으로 충분히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부재하는 형식과 전후(戰後) 한국시의 개별적 실존

        하재연(Ha, Jae-youn) 한국근대문학회 2016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7 No.2

        송욱의 비평은 신비평의 원리와 실존주의적 지향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한국문학사에서 표면적으로만 이해되어 왔던 상징주의의 시각을 본격화시키는 작업이었다. 이 작업을 가능하게 했던 것은, 송욱의 세대가 해방과 전쟁을 계기로 경험적으로 구축한 과거와의 단절 의식이었으며 세계 문학과의 공통 감각이었다. 그런데 송욱이 시의 언어에 대해 논할 때 반복하곤 하는 전통 단절론은 이광수의 그것과 매우 닮아 있다. 송욱과 같은 시인 그리고 비평가에게 한국시의 전통 부재란 한국시의 형식의 부재와 다름없는 말이었다. 주목할 것은, 번역을 통해 근대시를 모색하고 조선시와 서양의 시를 비교하며 창작 과정을 병행해 나갔던 번역가-시인들에게, 조선어의 결핍과 함께 언제나 시 형식의 부재가 소환되곤 했다는 점이다. 그들이 근대시의 지향과 미래를 논할 때 ‘형식’은 ‘음악’의 다른 말이기도 했고, ‘운율’과 ‘율격’은 언제나 시의 가장 중요한 심급이었다. 더욱 흥미로운 점은, 이들 식민지 시대의 번역가-시인들의 의식과 송욱이 지녔던 의식의 동형성이다. 한편 송욱 시에 대한 평가에서도, ‘산문성’과 ‘시/음악성’의 대립은 첨예하게 드러난다. 구세대와 신세대를 막론하고 이들에게 현대시의 산문화는 우려할 만한 것이며, 송욱 시의 가치는 산문적 내용을 산문화한 형식으로 떨어뜨리지 않는 점에 있었다. ‘음악성’을 시에 불가결한 요소로 가정할 때, 그리고 그 본질을 찾으려 할 때 음악성의 추구는 서구의 정형시 모델에서 벗어날 수 없는 공전(空轉)의 운명을 가진 것이었다. 송욱의 시 텍스트들은 그의 실존에 대한 의식을 깨지거나 찢긴 신체의 언어들로 드러낸다. 송욱의 텍스트들은, 부재하는 한국어 시형식의 음악성을 기준으로 할 때보다, 전쟁이라는 일종의 절단면에서 돋아나는 ‘깨진말’들의 모습이 육체의 언어들로 드러나는 지점에서 훨씬 의미 있는 텍스트로 읽힐 수 있다. 이는 송욱의 지극한 ‘음악성’의 추구를 볼 때 아이러니해 보인다. 『하여지향』 이후 송욱의 시들이 도달하고 있는 지점은, 자신이 부정하고자 했던 구세대의 환영이 다시 반복되는 느낌을 준다. 송욱이 끝내 버릴 수 없었던 시의 ‘본질’에 관한 의식의 소산 즉, 한국시에 부재하는 ‘음악’에 대한 기도는 이후의 시집을 통해 볼 때 추상으로 귀착된다. 시의 음악성은 자수율 같은 단순한 데서만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더 넓은 범위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그는 이해해야 했을 것이다. 시의 음악성이라는 ‘본질’이 시의 형식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현존하는 언어들이 지니는 생명력과 호흡이 시의 형식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Criticism of Song Wook is based on existentialism and the principles of New Criticism, and also it is the full-scale visualization of symbolism prospect, understood superficially in Korean literary history. This work was possible because Song Wook, who lived in the wake of the war and the liberation, had to break the consciousness of the past and the common sense of world literature, which were constructed empirically. However, the discourse on the severed tradition of Song Wook is similar to that of Yi Kwang-su. The absence of tradition in Korean poetry does not differ from the absence of form in Korean poetry in the ideas of Song Wook. Translator-poets always call the lack of the Korean language as the absence of form in Korean poetry. It was, in other words, of the “format” that “music” and “rhyme” have always been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modern poetry in their thoughts. In addition, in the evaluation of the poems of Song Wook, conflict between “prose” and “verse/music” began to appear. The trend of prose in modern poetry, regardless of the old generation and the new generation, was quite alarming to people. The value of Song Wook’s poetry was in that it elevated the content of the prose to the format of verse. However, the text in the poetry of Song Wook either broke the awareness of his presence or exposed the torn body language. The significance of Song’s text lays not in its musical accomplishment and analysis related to Korean poetry but in the embodiment of ’torn words’, sprouting from the war, the fault plane. Hence, the form of poetry is not composed of the essence, the poetic musicality but assembled by vitality and breathing of present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