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산모신생아도우미서비스 제공기관 평가지표 개선방안

        구혜영(Koo, Hyeyoung) 한국비영리학회 2011 한국비영리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산모신생아도우미서비스 제공기관에 대한 평가지표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서비스의 품질관리와 제공인력의 안정적 취업, 서비스의 효과성을 향상하는 데 있다. 2010년 보건복지부에서는 양적 측면에서 서비스 제공기관 및 제공인력은 증가되었으나, 질적인 서비스 수준을 확보하기 위해 산모신생아서비스 제공기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획일적이고 투입중심의 합법성 위주 확인평가 지표 및 평가과정은 서비스의 품질관리를 담보하기에 미흡한 점이 많은 지표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2010년도 산모신생아도우미 서비스 제공기관의 평가가 갖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혜자가 아닌 고객으로서의 이용자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평가지표의 추가, 제공인력 및 제공기관 담당관리자에 대한 전문성 확보, 공공성 높이기 위한 운영지원, 사회서비스의 사회화를 위한 노력, 홍보, 양질의 서비스 확보를 위한 기관 내부역량 강화, 제공기관의 서비스 목표 중 이용자뿐만 아니라 제공인력의 지속적인 노동활동에의 지원 등의 내용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thesis is aiming at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social services, sustainable employment of their workers and their social services effectiveness by showing the advanced evaluation index to the organizations providing neonates delivery care service. In an attempt to maintain the highly qualified social service level, the organizations providing neonates delivery care service were evalu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alth(MHW) in 2010, even those organizations and hired personnel have been increasingly served in a quantitative point of view. However, a number of indications show that the currently mechanical and throughput based check evaluation index and its process, simply focusing on the legitimacy, are not enough to keep its social service highly qualified. Therefore, as part to solve the current evaluation index problems on the organizations providing neonates delivery care service, this essay suggests the following alternatives : 1. Adding the evaluation index so as to maximize the value of its service end-users, recognizing them not beneficiary but customers. 2. Establishing the more specialized personnel in the organizations and highly skillful workers for this service. 3. Consulting to enhance social publicity management in the organizations. 4. Endeavoring and advertising the social services generalized and naturalized in the society. 5. Strengthening the internal competency of organizations in order to supply more qualified services. 6. Helping end-users and service workers to feel social service entirely satisfied and to continue their works, respectively.

      • KCI등재

        사회서비스 전달현장의 갈등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정명재 ( Jung Myungja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1 사회복지정책 Vol.48 No.4

        사회서비스는 바우처를 이용한 수요자 지원방식으로 정부와 이용자 가운데 제공조직을 통해 전달되는 휴먼서비스라는 전달체계의 특징상 서비스 제공조직이나 제공인력에 따라 서비스의 범위와 내용 등의 차이를 유발한다. 여기에 사회변화에 따른 사회서비스 수요의 확대와 전달현장의 변화는 사회서비스 전달현장의 갈등이 이전과는 다른 차원으로 나타나는 계기가 되었고 제공인력과 이용자 간의 심리적 차원을 넘어 사회서비스의 구조적·제도적 요인에 의해 확대·재생산되는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행위자의 총체적 결과물인 사회서비스 전달현장의 갈등은 어떠한 과정으로 발생되며 갈등의 예방을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질문에서 출발하여 대표적인 사회서비스 정책인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사회서비스 전달과정의 주요 행위자인 제공인력과 이용자, 그리고 제공기관과 양성기관 종사자들의 인식과 행태를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중심현상인 ‘사회서비스 전달현장의 갈등’은 사회서비스 이용환경의 다변화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는 종사자의 인식과 교육훈련 수준을 원인으로 직무갈등과 관계갈등의 모습으로 나타나며, 사회서비스의 본질적, 제도적, 개인적 특성에 따라 심화되고 있었다. 갈등의 중재를 위해서는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 만족도 관리가 필요한데 그렇지 못할 경우 전달현장의 갈등은 회피, 전환, 확대되어 결국 사회서비스 만족과 일자리 질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결국 사회서비스 전달현장의 갈등은 사회서비스의 기본 원리인 경쟁의 작동을 어렵게 하고 충분한 공급을 저해시켜 사회서비스 품질 저하까지 이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갈등의 경감과 예방을 위하여 정부는 종사자 전문성 강화, 정보의 비대칭성 해소와 함께 서비스 단가 합리화 등 제도개선의 역할이 촉구되며, 제공조직에게는 품질 모니터링 강화, 서비스 윤리와 의사소통 교육 강화, 전문가로서의 인식 확대 노력이 요구되고 이용자에게도 서비스 인식개선 및 이용태도에 대한 학습강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cause of the conflict in the social service delivery site, and what is the reduction and prevention method of the conflict?’. In order to find answers to questions,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ceptions and behaviors of Service providers and users who are the main actors of the delivery site. In addition, the behavior of providers and training institutions was also reviewed using the Grounded theory and focusing on the health care service of mothers and newborns. As a result of the study, ‘conflict in the field of social service delivery’ appears as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is caused by the diversification of the service environment, the lack of awareness and education with training level of workers and users. Since then, it spreads according to the essential, institutional,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s, causing conflicts in the field of social service delivery. In order to prevent and resolve conflic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workers and to manage service quality such as satisfaction management. If not, the conflict at the delivery site was avoided, transformed and expanded. it led to impairing social service satisfaction and job quality. Also the conflict in the social service delivery site made difficult to operate the competitive principle of social service, and hindered the supply of sufficient social service, ultimately it led to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social service. In order to reduce and prevent such conflicts, the government is urged to play a role in improving the system, such as strengthening worker’s expertise, resolving information asymmetries, and rationalizing service prices. Service providers are required to strengthen quality monitoring, strengthen service ethics and communication education, and expand awareness as experts. Service users also need to improve service awareness and strengthen learning about usage attitudes.

      • KCI등재

        사회서비스 바우처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고객만족도 영향요인

        김 인(Kim, I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0 지방정부연구 Vol.13 No.4

        정부는 공공서비스 수급자의 실질적 서비스 선택권을 보장하고 동시에 공공서비스 공급의 시장원리 확대를 통해 서비스의 질적 개선 및 성과 향상을 위해 바우처제도를 도입·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의 30개 기초자치단체 내의 산모신생아도우미 바우처서비스 수급자 300명과 동 서비스 공급기관 80개를 대상으로 하여 서비스의 효과성과 고객만족도를 측정하고, 이들의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모신생아도우미 바우처서비스의 효과성과 고객만족도가 아주 높게 나타나고 있어 효과성과 고객만족도 측면에서 바우처제도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산모신생아 도우미 바우처 서비스의 경우 바우처관리상의 특성인 시장경쟁성은 서비스 효과성과 고객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바우처 프로그램의 선택성과 정보이용가능성은 서비스효과성과 고객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바우처 이용기간은 서비스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나, 고객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다섯째, 영리기관은 비영리기관에 비해 효과성이 높으나, 고객만족도의 측면에서는 두 기관 사이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여섯째, 정치적 태도는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고객만족도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 끝으로, 연령은 효과성과 고객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Since 2007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vided postpartum woman and infants of lower class families with the caretaker voucher service including health care referrals and nutritional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measure and find the determinants of the effectiven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the caretaker boucher service for postpartum women and infants (CVSPWI) in Korea. The data has been gathered from 30 basic local governments, 80 service providing insitutions, and 300 voucher service customers. The research findings are synthesized as following. First, the effectiveness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CVSPWI are very high as compared to those of other services, therefore the boucher program can be evaluated as very successful. Second, the market competitiveness, a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boucher management, greatly influences the effectiveness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the program. Third, the period of using the voucher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ut does not influence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the program. Fourth, profit organization shows higher effectiveness than non-profit organization, but it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customer satisfaction. Fifty, political attitude does not influence the effectiveness, but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customer satisfaction. Sixth, the destitute group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lower than the other upper group, therefore the level of income influenc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inally, the age does not influence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service effectiveness

      • KCI등재

        전자바우처 도입 이후 사회서비스 시장의 변화와 시장구조 결정요인 분석 -산모신생아 도우미 서비스를 중심으로

        조현승 ( Hyun Seung Cho ),고대영 ( Dae Young Koh ),박문수 ( Moon Soo Park ) 한국산업조직학회 2013 産業組織硏究 Vol.21 No.3

        본 연구는 산모신생아도우미 서비스를 대상으로, 전자바우처 제도 도입 후에야 가능해진 소비자들의 자유로운 제공기관 선택 및 전환이 보다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고, 전자바우처 제도 도입에 따른 소비자 선택권 강화가 사회서비스 시장구조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2008년 2월부터 2011년 12월까지의 기간에 해당하는 산모신생아도우미서비스 개인별 이용실적 전수자료를 토대로 재구성한 231개 시?군?구의 월별 시장 자료가 사용되었다. 한편, 소비자 선택권 강화가 사회서비스 시장구조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추정하기 위해, 횡단면 회귀분석, 고정효과(fixed effect) 패널 모형과 함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한 2단계 최소자승(2 stage least square) 고정효과 모형과 하우스만-테일러(Hausman-Taylor) 확률효과(random effect) 모형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아직은 산모신생아도우미 서비스 시장의 경쟁이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제도도입 이후 시장 집중도가 완화되고 있으며, 특히 예전에는 불가능했던 소비자들의 제공기관 전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소비자의 제공기관 선택권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선택권의 대리변수인 소비자의 제공기관 전환 비율의 증가는 시장 집중도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e-voucher system in the Mother-Infant Help Service.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e-vouchers, government social services were delivered through designated suppliers, without allowing beneficiaries any other options. However, with e-vouchers, consumers have been able to select service providers of their choosing, which has induced competition among social service providers. Panel data analysis was utilized to test the changes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consumer options to select service providers. The result shows that the ratio of consumers who switched suppliers to the number of total users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e-voucher system. Furthermore, allowing consumers to choose service providers by way of e-voucher program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ducing market concentration.

      • KCI등재

        전자바우처 도입 이후 사회서비스 시장의 변화와 시장구조 결정요인 분석 – 산모신생아 도우미 서비스를 중심으로

        조현승,고대영,박문수 한국산업조직학회 2013 産業組織硏究 Vol.21 No.3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e-voucher system in the Mother-Infant Help Service.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e-vouchers,government social services were delivered through designated suppliers, without allowing beneficiaries any other options. However, with e-vouchers, consumers have been able to select service providers of their choosing, which has induced competition among social service providers. Panel data analysis was utilized to test the changes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consumer options to select service providers. The result shows that the ratio of consumers who switched suppliers to the number of total users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e-voucher system. Furthermore, allowing consumers to choose service providers by way of e-voucher program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ducing market concentration. 본 연구는 산모신생아도우미 서비스를 대상으로, 전자바우처 제도 도입 후에야 가능해진소비자들의 자유로운 제공기관 선택 및 전환이 보다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고, 전자바우처 제도 도입에 따른 소비자 선택권 강화가 사회서비스 시장구조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2008년 2월부터 2011년 12월까지의 기간에 해당하는 산모신생아도우미서비스 개인별 이용실적 전수자료를 토대로 재구성한 231개 시ㆍ군ㆍ구의 월별 시장 자료가 사용되었다. 한편, 소비자 선택권 강화가 사회서비스 시장구조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추정하기 위해, 횡단면 회귀분석, 고정효과(fixed effect) 패널 모형과함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한 2단계 최소자승(2 stage least square) 고정효과 모형과 하우스만-테일러(Hausman-Taylor) 확률효과(random effect) 모형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아직은 산모신생아도우미 서비스 시장의 경쟁이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하기는어렵지만, 제도도입 이후 시장 집중도가 완화되고 있으며, 특히 예전에는 불가능했던 소비자들의 제공기관 전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소비자의 제공기관 선택권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선택권의 대리변수인 소비자의 제공기관 전환 비율의 증가는 시장 집중도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사회서비스 공급 기관의 거리와 영리성이 바우처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산모신생아도우미 바우처 시장을 중심으로-

        이제복 ( JaeBok Lee ),박상인 ( Sangin Park ) 한국정책학회 2011 韓國政策學會報 Vol.20 No.4

        본 논문은 최근 도입된 사회서비스 바우처 사업이 소비자의 선택권 확대와 공급자 간의 경쟁을 촉진하는 지리적 시장을 범위로 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연구한다. 이와 함께조직의 소유 구조에 따라 이용하는 소비자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영리기관과 비영리기관이 공존하며, 각 지역지부 수준에서 소비자 수요가 조사된 충청남도 지역의 산모신생아도우미 바우처 시장을 분석한다. 공급자의 특성으로 영리성 여부와 소비자의 특성으로 연령, 소득, 가구원 수, 장애 여부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공급기관에 대한 이산선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현재의 행정구역보다 지리적 시장이 작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비영리기관을 선택한 소비자들은 영리기관을 선택한 소비자보다 가구원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급 기관의 서비스 제공 범위의 지리적 확대는 오히려 소비자 선택권의 확대 및 공급자간 경쟁을 촉진하기보다는 사회서비스 접근성을 낮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조직의 소유 구조에 따라 소비자 계층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여지를 보여준다. This paper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i) whether geographic boundaries set up for social service voucher services in Korea are adequately defined as markets which can widen the consumer’s choices and (ii) how consumers’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between nonprofit and for-profit providers. Specifically this paper employs a conditional logit model for social service provider choices by consumers with consumer-level data, including demographic information such as age, income, household size, and disability, in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from February to March in 2008. Our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the distance to provider influences choice probability negatively, suggesting that the maternity home care service market is smaller than the designated province. Moreover, nonprofit providers have consumers with larger household size. It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nonprofit providers may supply more intensive home care services, or it may reflect cherry-picking by for-profit providers.

      • KCI등재

        사회서비스시장 형성에 지자체가 미치는 영향

        김종건(Kim, Jong-Gu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2

        본 연구는 바우처방식의 도입으로 인해 활성화되고 있는 사회서비스 공급기관의 경쟁에 지자체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 사회복지의 시장화 개념을 세 가지 측면에서 재론한다. 서비스의 생산측면에서 영리(for profit)와 비영리(non-for profit)를 구분하고, 공급기관의 경쟁측면에서는 관리되는 경쟁(managed competition)과 자유경쟁(free competition)을 구분하고, 수요자의 선택측면에서는 제한된 선택(bounded choices)과 비제한적 선택(non-bounded choices)을 구분하여 개념틀을 재구성한다. 이를 토대로 경남지역 산모신생아도우미지원사업을 분석한 결과 지자체의 영리 공급기관의 진입과 수요자모집에 대한 규제 그리고 공급기관에 관한 정보제공의 공정성이 서비스의 시장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규명되었다. There has been a debate on marketization of social welfare. The proponents of marketization argue that it will give us useful explanation of recent change with the adoption of voucher and to the demand-side around social service. But this study attempts to deal with the question, based on the public/private in the production of social service and on the same in the finance. In this paper, thus the new analysis frame is proposed to explain the change of private sector. It is divided for profit/non-for profit of the private in the production of social service, managed competition/free competition of the competition in the providers, bounded choices/non-bounded choices of the choice in the demand.

      • KCI등재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의 노동 경험: 시장화된 사회적 돌봄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비판적 고찰

        조보배,김수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3 여성연구 Vol.1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sit the problems of the the marketized social care service system by illuminating the experiences of ‘Maternal and Newborn Health Care Workers’. Existing studies on uncov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are-work have been largely discussed in terms of ‘undervaluation of care-work’, ‘gendered work’, and ‘women’s increasing engagement in low-paid jobs’ through empirical researches. Also, qualitative studies have tried to reveal the experiences of social care workers, focusing on ‘long-term’ care workers for the elderly or the disabled. ‘Maternal and newborn health care workers’ have common characteristics like other ‘long-term’ and ‘home-based care’ workers in terms of the ‘dispatched(to home) workers’, but they have the additional labor insecurity as ‘intermittent workers’ in terms of only providing ‘short-term’ care-services during the postpartum care period. The ‘shortness of work’ increases the difficulties of care workers as ‘dispatched worker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social care workers experience and perceive care labor through qualitative data on five maternal and newborn health care workers. First, social care workers cannot identify exactly who are their final employers in their work like dispatched workers. Even when social care workers are dissatisfied with working conditions, they cannot express these anywhere because they are detached from the government or contracted institutions, which may be their employers. Second, having to work in private space (home) not in formal workplace, they experience their roles and their work scope are violated and blurred. Working isolated and alone, social care workers hardly communicate with other care workers and the attachment to the care recipients is often the only satisfaction they have with their work.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