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재지이(聊齋志異)≫와 사후세계(死後世界)

        남민수 영남중국어문학회 2011 중국어문학 Vol.0 No.58

        ≪聊齋志異≫是明淸最著名的文言短篇小說集.這部小說集可以說是中國古代文言小說藝術的精華. ≪聊齋志異≫的藝術手法具有兩個明顯的特點. 第一, ≪聊齋志異≫的故事內容具有較强的志怪性因素性質. 第二, ≪聊齋志異≫的敍述方式具有許多傳奇性的描寫. 其中, 本論文關心的是≪聊齋志異≫藝術手法的第一個特點. 魏晉志怪小說一般涉及歷史傳說·神仙靈跡·鬼魅精怪等許多不同的內容. 其中, <蔣濟亡兒>(≪列異傳≫)·<胡母班>(≪搜神記≫)等不少作品描寫了魏晉人想像的``死後世界``空間.在魏晉志怪小說描寫的``死後世界``已經出現``泰山府君``的信仰, 以``泰山府君``爲首的``死後世界``結構相對較簡單. 但是到了齊梁時代志怪小說裏的``死後世界``已受到佛敎世界觀的影響,其空間擴大和統治的規模結構漸漸複雜. <趙泰>故事裏的``死後世界``已經出現了顯著的佛敎世界觀影響. 趙泰見面的泰山府君흔相似後代的閻羅王,趙泰經歷的地獄世界完全與佛經中的地獄世界相同. 因爲隋唐以來的佛敎已經變成中國人最普遍的宗敎信仰, 所以佛經描寫的死後世界漸漸成爲中國人所相信的死後世界觀念.後世的文人小說家把死後世界觀念往往作他們小說的母題(或者空間背景). 那마,≪聊齋志異≫的死後世界觀和母題與南北朝時代志怪小說中的死後世界觀和母題是不相同?雖然<續黃梁>·<席方平>·<考弊司>等作品也有死後世界觀和母題,但是這些作品的實際意義與魏晉以來的志怪小說不完全相同.例如說<續黃梁>中的曾孝廉故事與唐代傳奇<枕中記>中的盧生故事흔相似,可是<續黃梁>與<枕中記>的現實意義完全不同.<枕中記>的夢中世界眞實地反映``人生如夢``的佛敎眞理,<續黃梁>中的死後世界生動地反映曾秀才內心的功名心理.<席方平>借陰司的暗昧,揭露了封建社會整個官僚機構的腐朽. 上至冥王, 下至君司與城隍以及衙門隸役, 互相勾結, 酷虐百姓, 所以冥界的貪汚官吏其實反映了淸初官場社會的矛盾.<考弊司>中的考弊司可以說是人間監督機關的象徵. 所謂 ``虛두鬼王``, 初見之, 例應割비肉, 若豊於賄者, 便可免受此罪. 這樣貪汚的各個冥界官吏其實直接反映淸代貪汚的各級科場官吏. 總之, 雖然在≪聊齋志異≫出現各種各樣的冥界現象, 但其現實意義不是死後世界而是淸代吏治中的黑暗現實.從而本文從新的角度探討≪聊齋志異≫中的死後世界.

      • KCI등재

        헉슬리 소설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에 내재된 인공지능 시대의 전망 : 몸(body)을 중심으로

        박환영(Park Hwan-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5

        Artificial intelligence is probably one of the most common issues in 21st century. For example, we are often confronted by new vocabularies such a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ep Learning, Big Data, AlphaGo and Autonomous Driving which are closely link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various mass media in everyday life. This means that in contemporary society,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 high demand; hence, it is usually considered an icon and symbol of not only the most advanced technology but also the most efficient and creative invention for human societies. However, some warnings and alerts have also been raised about the gradual replacement of every aspects of all human spheres by artificial intelligence to sustain social and cultural values such as kinship, social rituals and religion in traditional human societies. In that sense, Huxley’s early 20thcentury novel Brave New World reflects the importance of these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in traditional human societies. Thus, in this paper, I analyze some perspectives o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are embedded within Huxley’s novel, focusing on the “body”. As far as kinship is concerned, cybots do not have a kinship network. This is because cybots are normally manufactured like machines in large quantities, whereas humans are bound together with kinship either by birth (consanguineal kinship) or by marriage (affinal kinship). Along the same lines, in Huxley’s description of mass reproduction, most babies are born through artificial insemination and are classified into five social classes through the manipulation of genes as well as the developmental environment. Therefore, the future humans in Huxley’s novel do not establish kin memberships such as father, mother, son, and daughter. Thus, they do not keep equivalent kinship terms. In comparison, the aborigines in Huxley’s novel maintain traditional human values such as kinship and kinship terms. In addition, as far as social rituals and religion are concerned, the future human society in Brave New World shows that all humans share everything with other humans; thus, every man can love every woman and vice versa. There exists neither marriage nor any restrictions. In addition, Huxley’s novel portrays death as a cheerful moment, where corpses are cremated and only leave phosphorus fertilizer for the soil. Hence, future humans do not share feelings of awe towards the human spirit and ancestor worship. In this context, future humans in Brave New World currently look like cybots. In other words, we usually believe that the bodies of cybots do not consist of symbolic elements of human kinship, such as bone, blood and flesh. Furthermore, in traditional societies, the human body is often cosmologically divided into the physical body and the spirit after death. Last, Huxley’s novel Brave New World could raise a fresh alarm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is, artificial intelligence is continuously developed to provide ultimate efficiency and convenience for humans. However, like the civilized human society in Brave New World, the immoderately fast-growing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ntemporary society will bring a deterioration of humanity and of traditional human values such as kinship, rituals, and religion. 헉슬리 소설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에 나오는 문명인들의 미래사회와 같이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무절제한 인공지능의 개발과 인공지능에 대한 지나치게 과도한 신뢰와 의존은 인간성의 약화는 물론이고 친족관계, 의례 그리고 종교와 같은 인간의 고유한 가치마저도 흔적도 없이 한순간에 사라지게 만들 수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헉슬리 소설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에 등장하는 미래사회 문명인들의 사회구조와 생활방식은 오늘날 인공지능 시대에 있어서 몇 가지 전망을 제시해 준다. 첫째, 헉슬리 소설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는 최첨단 과학기술에 의하여 인간의 감정이 통제되는 사회가 배경으로 등장한다. 누군가를 향한 사랑에 대한 감정이나 죽음에 대한 슬픔 등은 통제되고 무시되는 사회인 것이다. 즉 인간이 가진 자연스러운 감정은 소마(soma)에 의하여 조절가능하며, 죽음에 대한 길들이기 교육을 통하여 가까운 사람의 죽음에도 슬퍼하지 않는다. 따라서 인간이면서 인간성이나 인간의 감정이 없는 빈껍데기 인간에 불과하다. 마치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의 모든 영역에서 인간의 역할을 대신할 수는 있지만 인간성과 인간의 감정이 배제된 인공지능 로봇의 이미지와도 닮아 있어서 세계의 통제관인 무스타파 몬드(Mustapha Mond)의 명령에 의하여 움직이는 몸만 있고 정신은 없는 인공지능 로봇을 연상하게 한다. 둘째, 헉슬리 소설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에는 미래사회에서 인공수정으로 대량으로 만들어지고, 유전 조작이나 신체와 두뇌에 산소 공급을 조절하면서 그리고 이후에 태아들의 생육 과정동안 인공적인 습성교육과 훈련으로 인하여 다양한 인간들의 계층이 형성되는 내용이 잘 묘사되어 있다. 또한 헉슬리 소설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에서 문명인들은 인공수정으로 만들어지면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존재도 없으며, 가족과 친족의 개념도 없으며, 따라서 아버지와 어머니 그리고 형제자매와 사촌은 물론이고 다른 가족이나 친족을 호칭하거나 지칭하기 위한 친족용어도 없는 미래사회로 기술되어 있다. 같은 맥락에서 헉슬리 소설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에 나오는 문명인들과 마찬가지로 인공지능 로봇은 가족이나 친족의 구성원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는 있지만 전통적인 친족의 상징적 요소인 뼈, 피 그리고 살과 같은 친족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상징적인 친족의 네트워크를 가지지 못한다. 셋째, 인공지능 로봇의 경우 인류사회의 신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몸은 육체와 영혼이라는 두 가지 요소가 조화를 이루면서 우주론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신화적 상상력을 기대할 수 없으며, 더욱이 사후세계관과 관련하여 몸에서 분리된 영혼 및 조상숭배와 같은 죽음관을 찾아볼 수 없다. 이러한 인공지능 로봇을 마주하듯이 헉슬리 소설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에서 문명인들은 가까운 지인이나 친구들의 죽음에 슬퍼하지도 않으며, 누구나 죽으면 화장(火葬)되어서 인(燐)으로 남겨져서 자연으로 돌아가는 하나의 만들어진 부품과 같은 존재일 뿐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이나 영혼에 대한 경외감에 기초한 조상숭배와 종교관은 생각조차 할 수 없는 마치 인간성을 상실한 복제인간과 같은 무미건조한 존재로 기술되어 있다.

      • KCI등재

        唐宋變革期 死後世界觀과 ‘召喚 및 還魂’에 대한 認識의 變化

        兪垣濬(Yoo, Won-j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31 No.-

        본고는 唐宋變革의 면모를 모색하는 과제의 하나로 『太平廣記』와 『夷堅志』를 중심으로 死後世界觀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죽음과 죽은 뒤의 삶에 대한 인식은 일종의 사회적 학습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고, 가장 장기적인 문화현상이기 때문에 唐宋變革이 진정 變革期로서의 면모를 지니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에 대한 검토는 주로 설화적 자료에 근거해서 이루어진다는 한계를 전제로 한다. 사후세계관은 영혼의 존재방식에 대한 이해가 관건인데, 생전의 신분을 그대로 유지한 채 후손과 함께 생활하고 제사를 통해 서로 교통한다는 범신론적 사유가 중국의 전통적 사후세계관이었다. 이는 후에 氣의 응축으로 생과 사를 파악하는 氣論의 출현, 윤회와 심판을 강조하는 佛敎의 전래로 인해 일대 조정이 필요하게 되는데, 산 자와 죽은 자의 기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절충론으로 이를 수습하였다. 특히 조상에 대한 祭禮가 절대적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승과 저승의 교통이 얼마든지 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 윤회론과 저승 심판론은 唐代 불교의 발달과 함께 널리 확산되었지만 기존의 사후세계관을 근본적으로 바꾸기보다는 오히려 그 안에 흡수되고 타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唐宋을 막론하고 저승의 소환과 심판은 官의 권위에 절대적으로 의존하였고, 심판관 가운데 염라대왕의 모습은 생각과 달리 찾기 힘들며, 還魂의 전제가 육신의 온전함이라는 점 등이 그러하다. 특히 氣論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저승에 갔다가 돌아온 사람에 관해 많은 이야기가 있었던 것은 바로 저승 심판론의 한계이며, 일종의 타협의 산물이었다. 『太平廣記』와 『夷堅志』는 각각 唐과 北宋의 사후세계관을 담고 있어, 그 안에 는 자연히 唐宋의 시대적 변화가 반영되어 있다. 唐代 불교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불교가 사후세계의 중심이 아니었던 것처럼 宋代에는 유학의 부흥에도 불구하고 불교적 심판의 비중은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는 정치, 경제 등의 변화가 사후세계관 변화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遲滯現象’임과 동시에 두 시대의 차이이기도 하다. 하지만 범신론적 사유 또한 전혀 변함이 없는 점에서, 특히 이승과 저승의 간극을 거의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唐宋의 차이를 ‘變革’이라고 규정하기에 족한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 부호를 남기고 싶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 of the view of life after death in the Tang-Song transitional era as it is supposed to have been dealt with in Taipyungwangki and Yigyunji. Since our perception of death and its after-life is not only acquired through a social process of education but also is a quite long-term cultural phenomenon, its study is preliminary toward understanding the Tang-Song age correctly as a great transitional era in Chinese history. Our study, however, is limited in that it does not go beyond considering literary materials currently available. Studying a view of life after death, it is crucial to probe into how the existence of spirit had been understood. The dead ancestors had been considered in China to live with their posterities, keeping their social status intact. This basic idea underwent a great change at the rise of Kiron(氣論) which tries to see life and death as the condensation of Ki. It was also influenced by the accommodation of Buddhism which stresses the cycles of life and godly judgment after death. This great change had been consummated in a kind of an eclectic idea that the Kis of the living and the dead should not be different very much. The theory of life cycles and godly judgment after death was spread widel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Buddhism in the age of Tang; yet Buddhism was rather assimilated into the traditional philosophy of death than overcoming it. Whether it be Tang or Song, the summoning of spirits and their judgments relied absolutely upon the judgmental authorities.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an image of the Ruler of Hell(閻羅大王). More significantly, the importance of Kiron came to be emphasized more than ever. Embracing the views of life after death of Tang and Buksong, Taipyungwangki and Yigyunji reflect the socio-historical change of the Tang-Song age. In spite of the development of Buddhism in the Tang age, Buddhism was not the center of the after-life world; likewise in the Song age, in spite of the flowering of Confucianism, the role of Buddhist judgment did not disappear at all. This seems to indicate not only the difference of two ages but also the phenomenon of delaying that is detectable when the political or economical change gives an impact to such cultural ideas as the view of life after death. But the idea of change in the Tang-Song era is still questionable in that there had been no serious change in the idea of pan-theism at that time and, in particular, they did not take any serious difference between life and death into account.

      • KCI등재

        메가 이벤트의 개최성과 활용과 지역경제 영향 연구 - 2012여수세계박람회를 중심으로 -

        황희곤,이소라 한국무역전시학회 2016 무역전시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메가 이벤트 개최지 중 여수세계박람회를 사례로 메가 이벤트 개최 인식과 사후 활용 효과가 지역주민 및 방문객의 인식 차이에 따라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메가 이벤트 개최 인식이 개최지 사후 활용 효과에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성, 투자성 요인이 사후 활용 효과 인식 요인인 지속가능성과 명소화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후 활용 효과 요인 중 지속가능성 요인에 대한 개최 인식 요인 중 투자성, 편의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 활용 효과 요인 중 명소화 요인에 대해 편의성, 투자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최지 사후 활용 효과는 지역주민과 방문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객의 만족도에 대해 사후 활용 효과 중 지속가능성, 명소화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메가 이벤트 개최 효과 인식이 지역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뒷받침한다. 또한 메가 이벤트 개최로 개최지가 발전하고 있지만 메가 이벤트 개최 효과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현 상황을 정확히 반영한 사후활용 계획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mega-event to the venue afterwards and compare the perception gap of the event between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to learn from the past to prepare for future events. Research purposes in detail: How mega-event impact the future utilization of the future event area. It was analyzed recognizing differences in local and tourists through the vitalization on the 2012 World Expo in Yeosu, Korea as finished 4 years ago from present. This study analyzed that the perception of holding mega event influenced positively utilization of destination such as investment and convenience traits. And the impacts of vitilization of venue influenced th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tourists. It was analyzed that recognition of local and tourists through the vitalization was indifferent. These results of this study analyzed the revitilization afterwards of venue will be greatly important. And this is helpful that the perception between the residents and visitors about the events to prepare for future similar events.

      • KCI등재

        이교 바다 위의 기독교 저승: 『코라 후손들의 항해기』에 나타난 중세의 상상

        주나미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2 西洋中世史硏究 Vol.- No.4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in detail the uniqu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Immram curaig Ua Corra, in which ancient pagan culture coexists vividly with the Christian culture of the Middle Ages, and to fi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it. This will help us understand how the new roles and spaces that the Church has given to the afterlife have interacted and combined with the traditional Celtic imagination of the other world, and how they have taken their place in the minds of the Middle Ages. The first half of the story, that the three sinful brothers repented after dreaming about heaven and hell, shows that Immram curaig Ua Corra is actively borrowing the framework of their journey to the afterlife. In addition, colleagues participating in the voyage of the three brothers show that this document reflects the new social image since the middle of the Middle Ages while inheriting the traditions of the past. If the craftsman assimilated into another world is an old trace of Immram, the soul of a clown who came to inform his colleagues of his fate after death shows people's increased interest in the afterlife. The most interesting thing about this voyage is that it vividly embodies the worlds after death on the sea. In Hell on the Sea, the gods and inhabitants of other world are subjected to harsh punishments for the petty sins committed in their lifetime, deprived of their former glory and joy. At one time, they did not release the invaders who came to their world, but now they are governed by the order created by humans even in their own world. On the other hand, ‘Heaven on the Sea’ is relatively free from the domination of Christianity. It is not a space strictly separated from hell, nor is it a perfect Christian heaven. The paradises of the pagan world, some 'preserving their original form', some 'changing into a more heavenly form', constitute the rest of the world after death above the sea. In a nutshell, ‘Húi Corra’s sea’ is a world where ‘Hell on the Sea’ (the new Christian order oppresses pagan tradition) and ‘Heaven on the Sea’ (a more generous space for pagan elements and symbols) coexist. This shows that medieval Christian society was emphasizing one single world, but in one corner pagan traditions were mapping the various afterlife. 이 연구는 고대 이교 문화가 중세 중기 이후의 기독교 문화와 생생하게 공존하는 『코라 후손들의 항해기』의 독특한 면모와 성격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그것이 지니는 역사적 의미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교회가 사후세계에 부여한 새로운 역할과 공간이 저 너머의 세계에 대한 켈트의 전통적인 상상과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결합되었는지, 나아가 중세인의 심성에 어떻게 자리를 잡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코라의 후손들인 죄를 지은 삼형제가 천국과 지옥에 대한 꿈을 꾸고 나서 회개하게 되었다는 전반부의 내용은 『코라 후손들의 항해기』가 저승 여행기의 틀을 적극적으로 차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삼형제의 항해에 동참하는 동료들은 이 문헌이 과거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중세 중기 이후의 새로운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른 세계에 동화되어 울부짖는 장인이 임람 장르의 옛 흔적이라면, 죽음 이후 자신의 처지를 알려주러 찾아온 어릿광대의 영혼은 사후세계에 대한 사람들의 높아진 관심과 그로 인해 귀환이 잦아진 평범한 죽은 자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항해와 귀환의 과정에서 성직자 무리가 행한 권위 있는 중개자로서의 역할은 교회가 죽음과 저승을 장악해 들어가기 시작한 사회상을 반영한다. 본격적인 항해에서 흥미로운 점은 앞서 지옥과 천국의 꿈을 현실에서 반복하는 것을 넘어 훨씬 폭넓고 생생하게 바다 위에서 실제 저승 세계를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코라 후손들의 항해 중반부의 여정들은 이교 세계의 바다와 섬들로 재구성된 지옥이다. 그곳에는 다른 세계의 신과 주민들이 과거의 영광과 기쁨을 빼앗긴 채 이승에서 저지른 시시한 죄들 때문에 가혹한 형벌을 받고 있다. 한때는 자신들의 세계에 침입한 인간들을 자신들과 똑같이 만들거나 놓아주지 않았던 그들이지만 이제는 자신들의 세상에서조차 인간들이 만들어 놓은 질서의 지배를 받고 있는 것이다. 반면 ‘바다 위의 천국’은 상대적으로 기독교의 감시에서 자유롭다. 그곳은 지옥과 엄격히 구분되는 공간이 아니며, 완벽한 기독교 천국도 아니다. 이 위로와 희망의 여정들은 지옥의 여정들을 앞뒤로 느슨하게 포위하거나 내부로 들어와 있기까지 한다. 게다가 이 기쁨의 여정들은 이교 낙원과 기독교 천국 사이에 애매하게 걸쳐져 있기도 하다. 이교 세계의 낙원들이 일부는 ‘본래 모습을 간직’한 채, 일부는 ‘보다 천국다운 모습으로 변화’하며 바다 위에서 저승 세계의 나머지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요컨대 『코라 후손들의 항해기』에 나타난 ‘바다 위의 저승’은 이승을 지배하는 새로운 기독교 질서가 이교적 전통을 누르고 군림하는 ‘바다 위의 지옥’과 이교적 요소와 상징들에게 보다 너그러운 공간인 ‘바다 위의 천국’이 공존하는 세계이다. 이것은 중세 중기 이후 기독교 사회가 하나의 단일한 세계를 강조하고 있었지만 그 한구석에서는 여전히 바다를 타고 흘러들어온 이교 전통들이 새로운 지배 질서와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사후세계의 지도를 만들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唐 傳奇에 나타난 사후세계 고찰

        김낙철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4

        당 전기는 중국 고대 문언소설의 생성과 발전 그리고 쇠퇴까지 신괴 ․ 풍자 ․ 호협 ․ 애정 등 다양한 작품군의 등장에도 불구하고‘기이한 것을 전한다.’는 본래의 창작 취지에 맞는 신괴류 작품들이 끊이지 않았다. 이는 대부분 전기 작가들이 현실에 대한 도전 의식을 보이면서도 여전히 유교와 불교 및 도교 같은 종교 철학과 문화 사상 범주에 머물며 형이상학적 이상을 추구함으로 인해 생긴 당연한 결과였다. 흔히 애정류 작품들을 전기소설의 가장 발전된 형태라고 하지만 그것이 현실성 및 복잡한 서사구조를 중시하는 문학의 진화론적 관점에 따른 고전적인 평가였다면, 이제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소재의 긍정적 측면 즉 독자들에게 잠시 각박한 현실의 시름을 잊고 영적 황홀감과 공포감의 카타르시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소설의 양적 팽창을 가져왔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중 사후세계 문제는 만물의 영장인 인간 존재를 향한 탐구심의 발로였으며 당 전기 작품들의 일대 관심사였다. 본고는 이러한 소설 소재의 독립성과 중요도에 착안하여 기존에 다수 연구된 사후세계관의 철학적 사유체계를 논하기보다 당 전기소설에 나타난 사후세계가 이야기 구성에 어떻게 운용되었는지 탐색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그래서 사후세계를 묘사한 「齊推女」․「崔環」․「馬僕射總」․「齊饒州」․「吳全素」․「南纘」․「党氏女」․「張寵奴」․「離魂記」․「杜子春」․「霍小玉傳」․「李章武傳」등 11개 전기소설들을 가지고 네 가지 모티프 즉 영혼불멸, 소생, 환생, 불가지론으로 나누어 작품 분석을 진행하였다. This study was began to clarify the world after death of Tang Chuanqi(唐傳奇) novels by making an abstraction and analysis of their structure. Tang Chuanqi was a form of short story in the classical language which developed in the Tang dynasty. Many Authors of Tang Chuanqi often thought of death, they were afraid of death, they believed in afterlife. So, what did they imagine for that? What did they want to be in rebirth? Afterlife is the belief that an soul continues to manifest after the death of the physical body. According to novelists's ideas about the afterlife, the soul may be reborn into this world and begin the life cycle over again. Such rebirths and deaths may take place over and over again continuously until the individual gains entry to a spiritual realm or otherworld. Therefore, major views on the afterlife derive from religions. Reincarnation is the philosophical or religious concept that the non-physical essence of a living being starts a new life in a different physical form or body after biological death. It is also called rebirth or transmigration, and is a part of the Saṃsāra doctrine of cyclic existence. A belief in rebirth metempsychosis was held by Greek historic figures, such as Pythagoras, Socrates, Plato, etc. Tang Chuanqi novels of that type were formed literally from superstitious atmospheric force of nature theory including Confucianism, Buddihsm, Taoism, and writers mixed four patterns - many types of soul, rebirth, resuscitation and agnosticism - from these religions for attract the interest of many people.

      • 독거노인에서 종교와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김정우(Jung-Woo Kim),남기혁(Gihyeok Nam),김현숙(Hyun-Sook Kim),박기창(Ki-Chang Park),김태희(Tae Hui K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7 사회정신의학 Vol.22 No.2

        목 적 : 독거노인에서 종교와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 일 지역에 거주중인 독거노인 1,660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정보, 한국판 단축형 노인우울척도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Short Form, SGDS-K)을 측정하였으며, 종교 및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 여부를 측정한 뒤 T-검정, 카이-제곱 검정 및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대상자의 52.1%가 종교를 가지고 있었으며, 38.7%가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다른 변수의 영향을 통제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을 가진 경우(OR=0.597, p<0.005) 우울증이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종교는 우울증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이 독거노인의 우울증에 있어 보호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종교는 우울증 여부와 연관 성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그 동안 거의 연구된 바가 없는 독거노인에서의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의 임상적 가치를 확인 하였다.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n, belief in afterlife and depression in elderly living alone. Methods : A total of 1,660 individuals were surveyed in this study, which is a community-based study of the elderly population. General characteristics, SGDS-K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Short Form), religiosity and belief in afterlife were surveyed.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chi-square tes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Among participants, 52.1% had religion and 38.7% had belief in afterlife. Participants who have belief in afterlife were less likely to have depression by binary logistic regression after controlling covariates, whereas religion had no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Conclusion : This result suggested that belief in afterlife could be a protective factor for depression in elderly living alone, whereas religion was not. This study confirmed the clinical value of the belief in afterlife in elderly living alone which was less studied before.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自挽詩의 공간과 상상

        임준철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4 No.-

        이 글은 조선시대 자만시 전반에 나타나는 공간적 특성과 상상력의 향방을 살피기위해 기획되었다. 자만시를 쓸 때 시인은 자신의 죽음을 가정하고 죽은 자의 눈으로삶을 되돌아보는 방식을 취한다. 이때 자신의 죽음을 형상화하기 위해 등장하는 공간이 상장례의 공간과 사후세계이다. 또 이를 묘사하기 위해 동원되는 상상력은 자만시의 주제의식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잣대가 된다. 이 글에선 조선시대 자만시를 공간과상상이란 측면에서 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그 개별적 특성과 가치를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했다. 조선시대 자만시를 검토해 보면 동아시아 자만시의 기본적 성격을 따르면서도 다음두 가지 측면에서 다른 점이 발견된다. 한 가지는 사후세계의 설정이란 측면이고, 또다른 한 가지는 자기연민의 극단화란 측면이다. 도연명으로부터 비롯한 동아시아 자만시 대부분이 상장례 과정에만 집중하고 사후세계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반면,조선시대 일부 자만시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이거나 상징적 묘사가 등장한다. 남효온은 사후세계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하여 새로운 시적 효과를 거두었으며, 임제.조임도.이양연은 사후세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자의식을 표출하고 있다. 한편, 송대 진관의 .자작만사.에서 보이는 것 같은 자기연민의 상상력은 남효온에 이르러 처참한 주검의 묘사로 극단화된다. 이런 변별성들은 조선시대 자만시의 공간과 상상의 특수성으로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comcept of space and imagination in self-elegy poetry. Writing self-elegy, a poet assumes his death and looks back his life from a perspective of the dead. To illustrate his death, he usually portraits his own funeral and life after death. A poet's imagination used to portrait these things is a very important standard to find out thematic consciousness of his self-elegy poetry. The space and imagination in self-elegy poetry are unique because they are fictional. These fictional things often show a poet's frustration and regret for real life. Self-elegies in Chosun Dynasty show their uniqueness while basically following the poetic custom of East Asian tradition. For example, a large part of East Asian self-elegy poetry including Tao Yuanming focuses on funeral and seldom refers to life after death. But Nam Hyo-on illustrates life after death in the concrete,so does Im Je, Cho Im-do, Lee Yang-yeon. It is needed to take deeper examinations on this characteristics of self-elegy poetry in Chosun Dynasty.

      • KCI등재

        南孝溫의 自挽詩 硏究

        權赫明(Kwon Huok-my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7 No.-

        이 글은 남효온 자만시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남효온 자만시의 연원이 되는 도연명과 진관의 자만시를 살펴보았는데, 도연명의 자만시는 죽음에 대해 달관적 태도를 주로하면서 애원을, 진관은 애원을 주로 하면서 달관적 태도를 보여주고 있었다. 표현상의 특징으로는 일반 만시와는 달리 장례정경에 대해 주관적 감정을 배제하고 관찰자적 시점으로 서술하고 있었다. 3장에서는 2장과 비교하여 남효온의 자만시 특징을 도출하였는데 다음 세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現實否定과 現實的 不滿의 迂廻的 表出’이다. 남효온은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가 애초부터 잘못되었다는 現實否定意識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自挽詩뿐만 아니라 소릉복위상소나 김시습과의 대화, 그밖의 한시를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남효온은 이러한 현실 속에서 받았던 困厄, 不遇 등의 현실적 불만을 諧謔을 통해 우회적으로 표출하였다. 둘째, ‘死後世界의 肯定的 描寫에 潛在된 報償心理’이다. 死後世界는 남효온이 죽은 뒤에 펼쳐지는 天上의 世界로서, 남효온 自挽詩에만 있는 특징적인 국면이라 할 수 있다. 남효온에게 사후세계는 불우한 현실과 대척적인 위치에 놓인 공간으로 현실과는 달리 남효온이 재능을 인정받고 능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달콤하고 행복한 세상이다. 이것은 현실에서 받은 困厄, 不遇 등을 보상받고자 하는 잠재의식의 표출이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葬禮情景의 客觀的 描寫를 통한 슬픔의 流露’이다. 남효온은 현실세계(否定)와 사후세계(肯定) 사이에 놓인 장례식을 매우 핍진하게 묘사하였고 자신의 죽음에 대해서는 관찰자적 시선을 유지하였다. 이는 장례식을 핍진하게 묘사할수록 커지게 되는 現實的 不幸과 幸福한 死後世界와의 落差를 통해 현실적 삶에 대한 哀傷을 부각시키고자 한 것이다. 또한 집요할만큼 자신의 주검에 대해 객관적 시선을 유지하였는데, 이는 도연명과 진관의 자만시에서 계승?변용된 것으로 직설적으로 주관적 감정을 드러내는 것보다 오히려 극도의 슬픔을 자아내게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is to look into Nam, Hyo-On" Self-Elegy. In order to do this, the elegy of Do, Yeon-Myong and Jin, Kwan was reserched first. In the result, Do, Yeon-Myong" Self-Elegy was based on transcendental attitude and mourning and, Jin, Kwan"s Elegy was based on mourning and little bit of transcendental attitude.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write more objectly than subjectly which is differ from common elegy. Three characteristics of Nam, Hyo-On" Self-Elegy were found based on the above. First, social and governmental complainant were expressed in this elegy. He thought the world he was living in was wrong from the beginning, and the complains were expressed as jokes. He had optimistic thoughts about the world after life because he was not satisfied from this world and he somehow wanted the reward. The world after life was specified because it was only in his elegy. The world after life in this elegy was opposite world of the real world which is the happy place that his talent could be recognized and he could work without restrings. This is the expression of his subconsciousness of his grudge against the real world. Detail description of his funeral indicated the deepening of his sadness. Nam, Hyo-On described the funeral in details to make the readers feel more sad. He discribed the funeral really sad to make the ofter world looked better. This emphasized that the real world was much worse than the after world. The expression charicteristics followed Do, Yeon-Myong and Jin, Kwan"s the object view. That is why he persistantly described in objective ways. This cased the readers extreme sobber.

      • KCI등재

        “太虛幻境”으로 보는 『紅樓夢』의 生死觀念

        노선아(No, Sun-a) 한국중어중문학회 2023 中語中文學 Vol.- No.92

        淸代人情小說『紅樓夢』의 서사 공간은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현실의 인간세계 賈府와 仙界로 설정된 太虛幻境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太虛幻境은 인간계의 이야기를 위한 배경으로 『紅樓夢』의 중점적인 배경은 아니지만, 남녀의 情을 관장하는 곳이면서, 賈府와 여러 주요 인물의 비극적인 결말을 암시하며, 소설의 주제의식과 긴밀하게 관련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 기존 연구에서는 불합리한 현실과 대비된다는 측면에서 太虛幻境을 이상세계로 보고, 太虛幻境의 의미를 종교나 신화적 차원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紅樓夢』의 서사와 공간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太虛幻境은 단순히 현실세계와 대비되는 이상세계가 아닌 삶과 죽음으로 이어지는 사후세계로 볼 수 있으며, 인간계와 仙界사이 죽음 서사를 통해 고대 중국에서 보편적으로 인식되던 생사관 및 『紅樓夢』의 생사관념을 살필 수 있다. 먼저 2장에서는 전생-현생-내세로 이어지는 서사 구조에 따라 서사 공간을 현실의 賈府와 仙界太虛幻境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라 『紅樓夢』에 나타나는 영육 분리의 영혼관, 사후 세계에 대한 인식 및 윤회적 생사관 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는 도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은 고대 중국의 보편적인 생사관이면서 이어지는 3장 논의의 기반이 된다. 3장에서는 『紅樓夢』에 나타나는 여러 죽음 서사를 목록화하고 분석하여 『紅樓夢』의 죽음이 단순히 죽음만을 나타내거나 삶에서 죽음으로 가는 여정이 아닌 삶과 죽음이 연속되는 순환 속에 그려지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또, 『紅樓夢』의 죽음은 대개 賈府여성에게서 일어나며, 이 죽음의 원인은 情과 관련되고, 그 방식은 자살로 나타난다는 특징을 보이는데, 이에 ‘情’과 ‘자살’을 중심으로 『紅樓夢의 생사관념 및 삶의 주요 가치를 심도 있게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로써 太虛幻境이라는 『紅樓夢』의 공간을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석하고, 한국 『紅樓夢』 연구의 영역을 보다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Hong Lou Meng” is a human nature novels in Qing dynasty, and the narrative space of this novel is divided into the real human world Jia-fu(賈府) and the fantasy world Taixu-Huanjing(太虛幻境). Taixu-Huanjing is a background for the human world, not a central background, but it is a very important place in “Hong Lou Meng”. Because it is a place where affection is controlled, and it implies the tragedy of several characters and Jia-fu. It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theme consciousness of this novel. Previous studies have seen Taixu-Huanjing as an ideal world, because it contrasts with the unreasonable reality, and it was intende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space in terms of religion and mythology. But if you look closely at the narrative space and structure of this novel, Taixu-Huanjing can be seen as an afterlife that leads to life and death, not just an ideal world that contrasts with reality. In addition, through the death narrative of “Hong Lou Meng”, we can examine the view of life and death in ancient China and “Hong Lou Meng”. First, in Chapter 2, the narrative space is divided into Jia-fu and Taixu-Huanjing according to the narrative structure leading to the past life, the present life, and the next world. Accordingly, I would like to study about the view of the soul, concepts of the afterlife, samsara structure in “Hong Lou Meng”. This is the basis for Chapter 3 discussion, which is the view of life and death in ancient China influenced by Taoism and Buddhism. Chapter 3 lists and analyzes the various death narratives in “Hong Lou Meng”, I would like to reveal a cycle of life and death in this novel. In addition, the death of “Hong Lou Meng” usually occurs in women, the cause of death is related to affection, the way of death appears to be suicide. So, focusing on affection and suicide, I would like to deeply consider the view of life and death in “Hong Lou Meng”.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reinterprets the Taixu-Huanjing of “Hong Lou Meng” from a new perspective, and the area of Korean “Hong Lou Meng” research will be further expa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