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자의 다문화감수성과 비판적 의식이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임숙(Sook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다문화 감수성과 비판의식이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대한 이들 간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데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상담경력이 있는 상담자 292명을 표집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다문화 감수성, 비판적 의식,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대해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 감수성, 비판적 의식, 사회정의 옹호역량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감수성과 비판적 의식은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대한 비판적 의식, 다문화 감수성 간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비판적 의식이 다문화 감수성보다 사회정의 옹호역량을 예측하는 강력한 정적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대한 다문화 감수성 및 비판적의식의 하위요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비판적의식의 하위요인인 사회정치적 참여가 가장 강력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평등주의, 다문화 감수성의 하위요인인 문화차이에 대한 존중감, 상호작용에 대한 자신감, 상호작용에 대한 주의력의 순으로 사회정의 옹호역량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를 통해 비판적 의식의 사회정치적 참여가 사회정의 옹호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예측 변인으로서 실천적 참여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ecify the effects of both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critical consciousness on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y, and to analyze relative effectiveness of them on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y. Methods Study subjects were 292 counselors who have engaged with professional experiences. Data were collected using test tool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critical consciousness’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y’, and then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ounselor’s multicultural sensitivity, critical consciousness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y. Second, regarding the hierarchical effect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critical consciousness on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y, was a more powerful predictor variable that predicting critical consciousness than multicultural sensitivity. Thirds, regarding the relative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critical consciousness on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y, ssocial-political-participation, a sub variable of critical consciousness, was a most powerful predictor variable, and it was followed by egalitarianism, sub variable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repect for cultural difference, interaction confidence, interaction attentiveness. Conclusions According to this study, social-political-participation which is a sub variable of critical consciousness was the most effective predictor variable, it provides importance of practical participation in promoting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y.

      • KCI등재

        상담자의 사회정의 옹호역량과 상담자 발달수준, 작업동맹 그리고 상담성과의 관계

        김미진,권경인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ounselors’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counselor development level, working alliance, and counseling outcomes by focusing on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one of the counselor’s factors affecting counseling outcomes. In order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the competition model and the research model were set up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otential variables included in the model were social justice advocacy, counselors development level, working alliance, and counseling outcomes. The counseling outcomes were evaluated by the counselor’s satisfaction for counseling itself. One way ANOVA and Scheffe post-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unselors’ career and the study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of the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counselor’s career were significant in working alliance, counselors development level, and counseling outcomes, except in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Second, counselors’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did not directly affect their counseling outcomes. Third, both counselors development level and working alliance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counselor’s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on counseling outcomes. Fourth, counselors’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indirectly affected working alliance through counselors development level.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상담성과에 미치는 상담자 요인 중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주목하고, 상담자의 사회정의 옹호역량과 상담자 발달수준, 작업동맹, 상담성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경쟁모형과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모형에 포함된 잠재변인은 사회정의 옹호, 상담자 발달수준, 작업동맹, 상담성과였다. 상담성과는 상담자가 보고한 상담만족도를 평가한다. 상담자의 경력과 본 연구의 변인들 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일원변량분석(ANOVA) 및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경력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는 사회정의 옹호역량을 제외한 작업동맹, 상담자 발달수준, 상담성과에서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의 사회정의 옹호역량은 상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의 사회정의 옹호역량과 상담성과에서 상담자 발달수준과 작업동맹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상담자 사회정의 옹호역량은 상담자 발달수준을 거쳐 상담자 작업동맹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고, 후속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일반 상담역량, 다문화 상담역량, 사회정의 옹호 상담역량의구조적 관계 및 잠재집단 탐색

        임은미,강혜정,구자경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5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counselor's general counseling competency,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y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unseling competency,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fter analyzing the potential profile of the three counseling competencies. For these purpos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unselor development level scale,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y scale,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unseling competency scale were administered to 428 counselors or graduate students with experiences or interest in multi-cultural couns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unselor's counseling competency was identified as a hierarchical structure of general counseling competency,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y,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unseling competency, and a total five latent groups according to three counseling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The subty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group are named as follows; ‘The general counseling vulnerable group’ being a especially low level of general counseling competencies, ‘The low counseling competency group’ being a generally low level of all counseling competencies, ‘The general counseling competency group’ being a high level of general counseling competencies, ‘The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mpetency group’ being a high level of multi-cultural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unseling competencies, The high competency group’ being a high level of all the three counseling competencies. In ‘The high competency group’, age, education, career, social and political interest,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counseling were high, These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low in ‘The low counseling competency group’ and ‘The general counseling vulnerable group’. 본 연구의 목표는 상담자의 일반 상담역량, 다문화 상담역량, 사회정의 옹호 상담역량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세 가지 상담 역량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후 잠재집단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 상담에 대한 관심이나 경험이 있는 상담자와 상담 대학원생 428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상담자 발달수준 척도, 다문화 상담역량 척도, 사회정의 옹호 상담역량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담자의 상담역량은 일반 상담역량, 다문화 상담역량, 사회정의 옹호상담역량의 위계구조로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세 가지 상담역량에 따른 잠재집단은 5개로 나타났다. 각 잠재집단의 특성에 따라 일반 상담역량이 특히 낮은 ‘일반상담 취약집단’, 세 가지 상담역량이 전체적으로 낮은 ‘상담역량 취약집단’, 세 가지 상담역량 중 일반 상담역량이 높은 ‘일반 상담역량 집단’,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역량이 높은 ‘다문화 사회정의 역량 집단’, 세 가지 상담역량 전체가 높은 ‘높은 역량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높은 역량집단’에서 연령․학력․경력․사회정치적 관심 등이 높았고, 다문화 수강 경험 및 다문화 상담 경험도 많았다. ‘상담역량 취약집단’과 ‘일반상담 취약집단’에서는 이러한 특성들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상담자들의 사회정의 옹호역량 발달 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이재복,장소정,김영신,남목민,조훈제,이수정,연규진 한국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4 No.1

        본 연구는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 상담자의 사회정의 옹호역량 발달 과정에서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정의 옹호역량 수준이 높고 암묵적 성 고정관념 수준이 낮은 상담자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접을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개의 영역, 즉 “사회정의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 “옹호역량 증진 과정”, “옹호 추구 과정에서의 어려움”, “사회정의 활동상의 어려움에 대한 대처”, “사회정의 추구 후 삶의 변화”, “사회정의 옹호 상담 발전을 위한 제언”과 22개의 범주, 그리고 18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참가자들은 교육과 다양한 경험을 계기로 사회정의에 관심을 가졌으며, 지식 추구와 옹호 활동 실천, 개인적 성찰, 멘토의 도움을 통해 옹호역량을 증진하였다. 이들은 여러 가지 내외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고정관념에 대한 성찰, 문제 제기, 동료들과의 교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어려움에 대처하였다. 또한, 사회정의를 추구하면서 실제로 사회구조 및 개인적 삶 속에서 변화 등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우수등재

        학교장면에서의 옹호상담 방안 탐색

        임은미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3

        This study is to make a starting point for academic discussion on advocacy counseling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arched the literature on advocacy counseling.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es, advocacy counseling is th 5th force of counseling for reducing systemic barriers which hinder clients’ human growth. The types of advocacy are client/student empowerment and advocacy, community collaboration and systems advocacy, public information and social/political advocacy. Advocacy processes consist of developing advocacy disposition, advocacy relationships and knowledge, defining advocacy problems,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ction plans, making an evaluation, and celebrating or regrouping. The professions’ concerns about advocacy include violating value-free practices in counseling, confusing the professional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Several qualities are required to be a advocacy counselor such as flexible defining the range of client, proactive and preventive approach,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multi-systems, extended awareness, self-advocacy, ethical advocacy based on information etc.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researches on the advocacy by Korean counselors, the development of advocacy competency test, and continuous case studies ar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dvocacy counseling. 우리나라 학교상담의 현장에서는 옹호가 이미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상담자의 옹호활동에 대한 학문적인 논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옹호에 대한 학문적 논의의 출발점을 제공하고자 옹호의 개념, 유형, 과정, 우려, 옹호상담자의 자질, 옹호상담의 발전 방안을 정리하였다. 옹호는 학생의 발달을 가로막는 사회적 억압, 특권, 불평등에 초점을 두고 사회변화를 통해 내담자 문제의 해결을 지원하려는 상담 접근으로서 상담의 제 5세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옹호상담의 유형은 학생 역량강화 및 옹호, 지역사회 협동 및 체계 옹호, 공공정보 제공 및 사회/정치적 옹호로 구성된다. 옹호의 과정은 옹호성향개발, 옹호 관계수립 및 지식개발, 옹호 문제 정의, 행동계획 수립, 행동 계획 이행, 평가, 축하와 재조직으로 이루어진다. 옹호상담에 대한 우려에는 상담의 가치중립성 침해, 전문적 상담관계의 경계 혼란, 예방활동의 경제적 가치 모호, 조력활동 전문가간의 역할 중첩, 동료관계 유지의 어려움 등이 있다. 옹호상담을 위한 상담자 자질로는 내담자의 범위에 대한 유연한 관점, 선제적․예방적 접근, 중다 체계 간 의사소통 기술, 확대된 인식능력, 자기옹호능력, 정보기반의 윤리적 활동 태도 등이 있다. 한국의 학교 장면에서 옹호상담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상담자의 옹호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과 훈련, 우리나라 학교 상담의 옹호실태와 상담자들의 옹호경험에 대한 실증적 연구, 옹호역량 진단도구의 개발과 지속적인 사례연구 등이 요구된다.

      • KCI등재

        사회정의에 기초한 진로상담 및 직업상담: 상담자 역할과 상담자 교육에 대한 시사점

        이소연,서영석,김재훈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3

        As the economic recession has prolonged and lack of employment has become serious, social structural problems such as income polarization and recruitment corruption have intensified. In this new reality, counselors need to understand and address their client’s job stress and career problems as issues reflecting social contradictions, not just personal ones. In social justice counseling, the client’s problems are assumed to arise from social contradictions (e.g., oppression, discrimination, privilege), so the counselor considers and attempts to change the social context affecting the problems.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justice perspective and the corresponding roles and activities of counselors specific to career/vocational counseling. Educational models and programs to enhance the social justice competencies of career/vocational counselors are introduced. Implications for career/vocational counselors and opportunities for future social justice in career/vocational counseling research are discussed. 국내 경제불황이 장기화되고 고용부진이 심화되는 가운데, 소득양극화, 채용비리 등 사회구조적인 문제들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내담자가 호소하는 취업스트레스, 진로고민 등의 문제를 단순히 개인 내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모순을 반영한 문제로 이해하고 다루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사회정의 상담에서는 내담자들이 호소하는 문제가 억압, 차별, 특권 등 사회적인 모순 때문에 발생한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상담자는 내담자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환경적 맥락을 고려하고, 궁극적으로는 내담자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사회적 상황이나 체제를 변화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의 관점과 이에 기초한 상담자의 역할 및 활동을 살펴보고, 진로상담 및 직업상담 영역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회정의의 의미와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사회정의에 기초한 진로상담자/직업상담자의 역량을 살펴보고, 진로상담/직업상담 전문가의 사회정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모델과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사회정의에 기초한 진로상담자 및 직업상담자들의 역할과 교육, 관련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한국 상담자의 수퍼비전을 위한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의 통합방안 탐색

        임은미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5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plored how can integrate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unseling into the supervision for Korean counselors.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counselor who has never experienced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supervision to successfully conduct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unseling. To this end, the researcher review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supervision such as;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unseling competency,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unseling supervision, and outlined the plan to apply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unseling supervision for Korean counselors. As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prior researches on the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unseling supervision in Korea, the research reviewed mainly studies from oversea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an effective supervision in Korea where the hierarchy of supervisory relations is strong, it was necessary to integrate the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unseling supervision, specifically, providing a safe supervision atmosphere, establishing cultural relations, understanding individual in the system, empowering, and advocacy needed to be noted and utilized. The study also discussed the reasons why it is not actively applied in the field despite the widespread awareness of the need for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unseling supervision and what should be prepared to activate it.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을 한국 상담자를 위한 수퍼비전에 통합하는 방안에 대해 탐색하였다.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을 받아보지 못한 상담자가 상담현장에서 그것을 성공적으로 실시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수퍼비전,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 역량,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의 지침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한국 상담자를 위한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 적용방안을 정리하였다. 아직 국내에서는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 관련 선행 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워서 다문화 사회정의 수퍼비전 관련 연구는 해외의 것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수퍼비전 관계의 위계성이 강한 한국에서 효과적인 수퍼비전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을 통합할 필요가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안전한 수퍼비전 분위기 제공, 문화적 관계 형성, 체계 속의 개인 이해, 역량강화와 옹호에 주목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었다. 아울러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활발하게 적용되지 않는 이유와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의 활성화를 위해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정의 옹호상담을 적용한 상담자 자기옹호에 관한 고찰

        김지영,정은선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4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concept for the term “Counselor self-advocacy” in order to better support professional counselors who seek deeper and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inner world of their clients. To do this, 'Counselor self-advocacy' was defined through analyzing the past relevant studies. The authors suggests that counselor self-advocacy is defined as the counselor’s basic right to support and advocate for themselves and is manifested as the counselor’s efforts to thoroughly understand and support their clients. The counselor’s efforts of self-advocating can also be a model for the client self-advocacy. Furthermore, this study confirmed its importance and need for counselor advocacy through examining individual case studies, then explored skills, knowledge, and technical skills needed for effective self-advocacy, along with exploring professional advocacy capacity. The authors conceptualized the process of practicing counselor self-advocacy as “improving advocacy” after consulting with the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ACA)’s advocacy competency model. Finally, the study presents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study’s results. In the midst of an emerging discourse regarding social justice advocacy counseling in Korea,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raises interest the importance and need of counselor self-advocacy, and suggested the further relevant studies. 이 연구는 내담자의 세계를 보다 정확하고 깊이 있게 이해하며 옹호하고자 노력하는 전문 상담자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담자 자기옹호’의 개념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거쳐 상담자 자기옹호에 대해 정의하였다. ‘상담자 자기옹호’는 상담자가 스스로를 지지하고 옹호하는, 특권이 아닌 기본 권리를 누리기 위한 노력이며,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를 충분히 이해하고 옹호하는 상담자의 자세로 발현된다. 스스로를 옹호하는 상담자의 도전과 성과는 내담자의 자기옹호에 하나의 모델이 될 수 있다. 또한 상담 현장의 개별 사례를 통해 상담자 자기옹호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확인한 후, 상담자 자기옹호 역량, 효과적 옹호에 필요한 능력, 지식 및 기술 역량을 탐색하였다. ACA의 옹호역량모형을 참고하여 상담자 자기옹호의 과정을 ‘나아가는 옹호’로 개념화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 및 제언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정의 옹호상담이 논의되기 시작한 한국의 현 상황에서 상담자 자기옹호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이에 대한 후속 연구의 가능성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상담자의 사회정의 옹호역량과 외현적·암묵적 성 고정관념이 내담자 호소 문제 귀인에 미치는 영향: 미묘한 성차별 사례를 중심으로

        조훈제,이재복,최연재,연규진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3 人間理解 Vol.44 No.1

        We investigate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unselor’s competence in social justice advocacy and explicit and implicit gender stereotype relate to attributions for a client’s problem in a case involving gender microaggressi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73 Counselors, who were presented with a hypothetical scenario of a client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following a gender microaggression incident. We measured the variables of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explicit and implicit gender stereotypes, and attributions for the client’s problem. We conduc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o predict each attribution style. Explicit gender stereotypes positively predicted internal attributions of causality, while the interaction effects of implicit gender stereotypes and advocacy competences were significant. Implicit gender stereotype×social participation of counselors predicted locus of causality; implicit gender stereotype×empowering clients and implicit gender stereotype×social participation of counselors predicted internal controllabilit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상담자의 사회정의 옹호 역량, 외현적 성 고정관념, 암묵적 성 고정관념이 미묘한성차별을 경험한 내담자의 호소 문제에 대한 귀인과 어떠한 관련을 맺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위해 173명의 상담자 표본을 대상으로 미묘한 성차별 경험 후에 심리적 어려움 겪고 있는 가상의 내담자 사례를 제시한 후 사회정의 옹호 역량, 외현적 성 고정관념, 암묵적 성 고정관념과호소 문제에 대한 귀인방식을 조사했다.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세 가지 귀인방식에 대해 각각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외현적 성 고정관념이 호소 문제의 원인에대한 내재적 귀인을 유의하게 예측했다. 또한 암묵적 성 고정관념과 사회정의 옹호 역량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내재적 원인 소재 귀인에 대해 암묵적 성 고정관념과 상담자 사회참여가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으며, 내적 통제 소재 귀인에 대해서는 암묵적 성 고정관념과 상담자 사회참여, 암묵적 성 고정관념과 내담자 역량강화가 각각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보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후속 연구 방향을 제언했다.

      • KCI등재

        다문화 시대의 상담자 교육: 비판적 의식과 상호교차성을 중심으로

        김태선,신주연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critical consciousness and intersectionality as valuable constructs for incorporating social justice and advocacy competencies into counseling practice. To this end, the authors reviewed the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empirical evidenc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of critical consciousness. Next, the concepts and roles, empirical studi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associated with intersectionality are reviewed. The authors then discussed the implications, challenges and considerations of incorporating these two constructs into counselor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era. They argue that critical consciousness and intersectionality can help counselors more comprehensively understand structural oppression and inequalities, and competently perform actions to promote social change. These constructs also help counselors take process-oriented and developmental approaches to building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ies, which can maintain and deepen their efforts to cultivate multicultural competencie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의와 옹호 역량을 상담실제에서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데 기여하는 주요 개념으로 비판적 의식과 상호교차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비판적 의식의 개념 및 측정, 경험적 연구,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개입방안을 개관하였다. 둘째, 상호교차성의 개념과 역할, 경험적 연구, 그리고 상담심리 영역에서 상호교차성의 활용을 증진하기 위한 개입방안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비판적 의식과 상호교차성 개념의 도입이 다문화 시대의 국내 상담자 교육에 가지는 의의와 향후 도전 및 과제를 논의하였다. 비판적 의식과 상호교차성은 상담자가 사회구조적인 억압과 불평등을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사회변화를 위한 실천적 활동을 유능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또한, 이들 개념은 다문화 상담역량을 과정-중심적이고 전생애 발달의 관점에서 접근하도록 하여 다문화 상담역량 증진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심화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