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정의 관심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사회정의 지지와 사회정의 장애의 조절효과

        박지현(Ji-Hyun Park)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정의 관심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사회정의 지지와 사회정의 장애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교 재학생 370명을 대상으로 사회정의 관심, 진로장벽, 사회정의 지지, 사회정의 장애 수준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중 성실하게 응답한 대학생 342명(남 138명, 여 204명)의 설문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 결과에 대해 SPSS 23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기초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사회정의 관심은 진로장벽, 사회정의 장애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정의 지지와는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사회정의 관심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사회정의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성이 검증되었으나, 사회정의 장애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어 본 연구 결과의 함의 및 대학생 진로상담 및 지도에서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support to social justice and barriers to social just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areer barrier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of 370 undergraduates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ir interest in social justice, career barriers, support to their social justice, and barriers to their social justice. 342 university students (138 male students, 204 female students) who responded sincerely among them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With the results of the survey, reliability analysis and basic statistical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23.0,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interest in social justic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barriers and barriers to social justice and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pport to social justice. Second,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support to social just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areer barriers was verified, but the moderating effects of barriers to social justice were not found. Next, it discusse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ions for career counseling and guidance for university students, and a proposal for follow-up studies.

      • KCI등재

        사회복지, 사회정의론, 합리성 ―롤즈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기초연구―

        전해정 한국법철학회 2013 법철학연구 Vol.16 No.2

        John Rawls’ theory of justice is a theory of social justice, which has influenced social welfare policy. He says, “The good is the satisfaction of rational desire.” Each person has his or her own plan of life - what is good may vary. Right is set down in the social contract, the same for everyone, influenced by the “veil of ignorance.” Rawls specializes the concept of something's being right as it being fair. He insists that reasonableness is different from rationality in the theory. In order to investigate epistemological errors this paper deals critically with the rationality in the theory of J. Rawls, using both Hayek’s concept of two forms of rationality, constructivistic rationalism and evolutionary rationalism and feminist perspective against the dualism of reason and emotion. J. Rawls’ theory is on constructivistic rationalism based on tradition of French Enlightenment. The constructivistic rationalism with an unshakeable belief in human reason recognizes only the explicit knowledges and disregards the implicit knowledges, which makes great efforts to build human society artificially in various ways. However, the constructivistic viewpoints are fatal errors because most part of knowledges are subject to spontaneous order, which are implicit by their nature. J. Rawls’ theory is based on the dualism of reason and emotion, which means reason with men’s character is superior to emotion with women’s. He regards men as representatives of society in original position. For example, heads of families or representatives of families are husbands. Rawls assumes that families are just and has paid no attention at all to the internal justice of the family. Even though family justice must be of central importance for social justice, family is to a large extent ignored in the rest of the theory and wives go completely unrepresented in the original position. He fails entirely to address the justice of the gender system. His theory, including justice as fairness, original position and veil of ignorance lacks rationality in terms of neutrality, objectivity, universality, and so on. However, we should thoroughly examine the theory before searching new paradigm of rationality because for example, his original position and veil of ignorance are powerful concept to help women as the vulnerable. 현대 사회복지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존 롤즈의 정의론은 합리성에 바탕을 둔 사회정의론이다. 사회정의는 사회복지의 중요한 가치로서 이에 대한 연구는 이론적․규범적 연구와 경험적․기술적 연구로 구분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서양철학사에서 합리성의 본질은 이성을 참다운 인식의 원천으로 삼는 이성론(혹은 합리론)과 감각적인 경험을 인식의 원천으로 삼는 경험론에서 발견된다. 그런데 경제학계에서 분배문제와 관련된 합리론은 인식론적 관점에 따라 구성주의적 합리론과 생태적․진화론적 합리론으로 구별된다. 롤즈의 정의론은 구성주의적 합리론에 근거한다. 이성의 절대성을 비판하고 감정의 가치를 인정한다는 점에서 생태적․진화론적 합리론은 여성주의의 주장과 유사하나, 감정의 합리성을 주장하는 여성주의 합리성은 이성이 남성적인 것으로서 우월하고 감정이 여성적인 것으로서 열등하다는 성차별적 신화에 대한 비판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맥락을 중시하는 감정의 합리성과 관련하여 감정노동은 사회복지 실무에서 사회복지의 중요가치인 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사례로서 규범적이고 이론적인 정의론의 사회복지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글은 정의론의 합리성에 대한 생태적․진화론적 합리론의 비판과 여성주의 진영의 비판을 골자로 정의론에서 상정하고 있는 공정으로서의 정의, 원초적 입장과 무지의 베일, 인간관, 도구적 합리성과 실천이성적 합당성 등이 인식론적 관점에서 중립성, 객관성, 보편성, 합리성을 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롤즈의 정의론이 여러 결함을 지니고 있을지라도 정의론의 장점을 고려하여 역사적 지평 속에서 새로운 합리적 세계관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아직도 불합리한 개인주의가 팽배해 있으므로 “옳음”의 바탕 위에서 “옳음”과 “좋음”을 중용적 관점에서 조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롤즈가 가족을 포함한 사회 전체 체제 내에서 젠더의 사회정의를 다루지 못하였으나 롤즈의 원초적 입장과 무지의 베일은 최소수혜자들을 고려한 장치라는 점에서 여성주의자들에게 활용가치가 크다. 나아가 계층적이며 결과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이성(남성)중심의 복지패러다임은 수평적인 의사결정 방식에 따라 국민의 행복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 공정사회를 위한 기독교의 역할

        김영한(Yung Han Kim)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1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2

        공정한 사회란 사회적 약자에게도 상승의 기회가 보장되는 기회균등의 사회요, 사회적으로 억울함과 의분(indignation)이 없는 사회이다. 이를 위해서는 공정성 내지 정의 개념에 대한 반성이 요청된다.분배적 정의는 정의의 비인격적 분배에만 집중하기 때문에 인격과 인간성에 대한 관심은 없다. 사회적 수혜자에 들지 못하는 소외자들이 배려되고 이들의 권익이 끌어올려지기 위해서는 창조적 정의와 변혁적 정의가 요청된다. 공리주의의 약점은 최대다수의 이익을 위한 행동이 개인을 위한 정의를 무시하는 행동을 인가해 주는 데 있다. 롤스정의론의 공헌은"권리가 선보다 우선하다"고 주장하면서 우리 모두를 공정하게 대하는 절차적 정의를 주제화한 점이다. 그러나 그의 절차적 정의론은 정의를 합의하기 위한 과정을 말하는 것으로 무엇이 정의냐 선이냐 하는 것에 대해서는 엄격한 중립성의 관념에 머물고 있다. 샌들에 의하면 서사적 존재로서 우리는 시민의 권리와 의무에 관하여 입장을 취할 때 우리가 속한 공동체 해석에 의존한다. 그러나 공동체적 자아는 보편적인 인간이 누리는 의무와 권리를 잘 설명해 주지 못하고 있다. 이의 보완을 위하여 신학적 차원의 정의 개념이 요청된다. 교회는 사회양심의 보루가 되어 정부와 사회집단들이 권력욕에 집착하여 자기 몫을 주장할 때 이기심을 버리고 공정한 절차를 따르도록 하라고 조정의 역할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사회적 차원에서 분배적 정의, 절차적 정의가 시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분배적, 절차적 정의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창조적 정의, 회복적 정의로서의 변혁적 정의, 그리고 지구촌적 정의가 요청된다. Fair society is a society of equal opportunity in which the weak get guarantee the one of going up and a society without regretfulness and indignation. For it a reflection on the concept of justice or fairness. Distributive justice has no concern in the person and humanity due to concentrating on the impersonal distribution of justice. Creative and transforming justice are needed for that the alienated belonging to the social recipients are cared and their rights are upgraded. The disadvantages of utilitarianism consists in legitimizing the act for the justice of the individuals that the act of the goods for the maximum majority disregards. The contribution of the Rawls' theory of justice is to make thematic the procedural justice treating us fairly affirming "right is superior to the good." However, his theory of procedural justice remains in the idea of strict neutrality concerning what is the good or justice. According to Sandel, we depend as narrative being on the interpretation of community we belong to, in case assuming the position of citizen on the right and duty. However, the communal ego can not explain well the right and duty the universal humans enjoy. For the filling such a gap the concept of justice in the theological dimension is needed. Church, becoming the frontier of social conscience, has to carry out the role of control to urge the government and social powers to give up the egoism and to follow the fair procedure. At first the a distribute and procedural justice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social dimension and for the complementing the disadvantages of the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 creative, transforming as retributive justice and global justice asked.

      • KCI등재

        지리과에서의 사회 정의 교육 방향 설정 및 수업 프로그램 개발

        김하나,임은진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Geography, design and implement a class program based on this, and analyze the process to reveal the implications of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Geography. To this end, the meaning of social justice education, which is being approached in various ways, was reconceptualized, and the direction of social justice education to be pursued in the Department of Geography was set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the survey results for geography teachers. In addition, by designing a class program reflecting this analysis of direction and learner needs, and analyzing the results after applying the program, the value of social justice education in geography was discus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eacher perceptions of social justice education, most teachers were interested in social justice education, and it was sai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practice social justice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s because social injustice and inequality are deeply related to geographic phenomena. Also, as a result of the program’s implementation, students became more aware of social justice and understood that it was closely related to cultural recognition as well as economic differenc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is program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that social justice was closely related to the geography subject by interpreting the problem of inequality experienced by social minorities from a ‘space perspectiv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follow-up programs so that social justice education centered on geography can be practiced not only in class but also in everyday life. 본 연구는 지리과에서의 사회 정의 교육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수업 프로그램을 설계 및 실행한 후 그 과정을분석하여 지리과에서 사회 정의 교육이 지닌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하게 접근되고 있는 사회 정의교육의 의미를 재개념화하였으며, 지리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를 분석종합하여 지리과에서 지향해야 할 사회 정의 교육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방향 및 학습자 요구 분석을 반영한 수업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프로그램 적용 후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지리 교과에서 사회 정의 교육이 가진 가치를 논하였다. 사회 정의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사가사회 정의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사회 부정의 및 불평등이 지리적 현상과 관련이 깊기 때문에 지리 교과에서 사회정의 교육을 실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실행 결과, 학생들은 사회 정의를 보다 분명하게 인식하게되었고, 경제적 차이 뿐만 아니라 문화적 인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또한, 사회적 소수자가 겪는 불평등 문제를 ‘공간적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사회 정의를 지리 수업을 통해 학습하는데 본 프로그램이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지리과가 중심이 된 사회 정의 교육이 수업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후속 프로그램개발이필요하다.

      • KCI등재

        사회적 평등의 이념과 21세기적 과제

        차진아(Cha, Ji-Na) 한국토지공법학회 2017 土地公法硏究 Vol.77 No.-

        인류역사를 통해 평등 내지 정의의 문제는 항상 국가공동체를 구성하고 유지하는데 있어, 특히 헌법국가의 형성과 유지에 있어 가장 근본적인 문제의 하나였다. 힘이 곧 정의라고 믿는 경우에도 이는 힘 있는 자에게 더 많은 몫이 돌아가야 한다고 믿는 의미에서 평등을 정의로 이해하는 것에서 벗어나지 않았고, 인간의 존엄을 전제로 천부인권을 주장하는 경우에도 각자의 몫에 대한 기준이 달라질 뿐 평등이 정의라고 하는 기본 틀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었다. 그런 의미에서 정의로서의 평등은 일종의 “가치의 빈 껍질(Wert-Leerformel)” 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개인적 정의를 넘어서는 사회적 정의를 강조하는 것은 정의의 실체적 내용에 한 발 더 가까이 가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다. 어떤 내용이든 평등이라는 이름으로 정당화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약자의 권리를 인정하는, 이들에게도 존엄한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권리가 인정되어야 한다고 보는 (적자생존의 무한경쟁 속에서 도태 되어도 상관없다고 보지 않는) 정의관념을 주장하는 것이고, 이것이 오늘날 많은 공감을 얻어 사회적 인권 내지 사회국가의 보편화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사회적 정의에 관해 기본적인 방향의 합의는 있을지언정 구체적인 내용과 정도에 대해서는 각국이 처해 있는 여러 가지 이념적, 현실적 여건의 차이로 인해 보편성 보다는 고유성이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적 인권 및 사회국가의 실현은 자유권 및 민주적 법치국가의 실현과는 달리 각국의 지향점과 실현 방식 및 정도에도 매우 커다란 편차를 보이는 다양한 모델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모델들 중에 과연 진정한 정의에 가장 가까운 것은 무엇일까? 우리에게 가장 잘 맞는, 우리나라의 현실과 국민들의 요구에 가장 잘 부합하는 모델은 무엇일까? 또, 최근 급변하는 사회 경제적 환경 속에서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최선의 대안은 무엇일까? 무엇이 정의이냐에 대한 생각도 시대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듯이, 우리나라에서 그리고 우리 시대에 맞는 사회적 정의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끊임없는 고민과 재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그 과정에서 지난 수세기 동안 인류의 경험과 노력을 통해 축적된 것들, -이미 우리 헌법의 이념과 원리로 인정되고 있는- 인권, 민주주의와 법치주 의, 사회적 정의의 이념 등에 대한 충분한 숙고와 반영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21세기 사회국가적 과제들은 예전에 겪지 못했던 새로운 것일 수 있지만, 그 해결의 기준은 우리 헌법의 이념과 원리를 깊이 궁구하는 가운데 찾아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과거의 역사적 경험 및 이를 통해 축적된 지식과 지혜는 여전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In der Geschichte der Menschen hat Gerechtigkeit bzw. Gleichheit ein Grundproblem bei der Gestaltung und Erhaltung der staatsgemeinschaftlichen Ordnung dargestellt. Unter Gerechtigkeit hat man Gleichheit verstanden. Daran hat sich nichts geändert; wenngleich man die Macht mit der Gerechtigkeit gleichsetzt, in dem Sinne dem stärkeren das Mehrere als das Seine ; Das Gleiche gilt auch für den Fall, dass man Menschenrechte für alle Menschen unter Voraussetzung der Würdigkeit des jeden Menschen behauptet. In diesem Fall variieren nur die konkreten Maßstäbe für die Verund Zuteilung des Seinen, aber nicht die Formel, „jedem das Seine! selbst. In diesem Sinne bedeutet Gleichheit als Gerechtigkeit eine Art der „Wert-Leerformel Die Akzentuierung der sozialen Gerechtigkeit über individulelle Gerechtigkeit hinaus heutzutage ist ein Ergebnis der Bestrebung, nach dem Inhalt der Gerechtigkeit einen Schritt näher zu treten. Soziale Gleichheit darf keinen Titel darstellen, irgendjeden Inhalt in derem Namen zu rechtfertigen. Sondern gebietet sie, jedem deshalb auch den sozial Schwächeren, statt natürliche Zuchtwahl bzw. Überleben des Angepasstesten, minimale Rechte für Getaltung des menschenwürdigen Lebens anzuerkennen. Heute hat sie weltweite Echos gefunden; dies hat soziale Menschenrechte und den Sozialstaat zur Verankerung nicht nur auf der jeweiligen innenstaatlichen Ebene, sondern auch auf der (supra- und) internationalen Ebene geführt. Allerdings hat sich die Eigentümlichkeit der sozialen Gerechtigkeit viel stärker als deren Universalität hervorgetreten. Dies beruht auf den Unterschieden in den tatsächlichen Gegebenheiten einerseits und in der ideelen Orientierung andererseits; zwar gibt es eine weltweite Übereinstimmung über die Grundrichtung der sozialen Gerechtigkeit, aber nicht über konkrete Art und Weise sowie koktrtes Maß bei ihrer Umsetzung. Bei der Verwirklichung von den sozialen Menschenrechten bzw. vom Sozialstaat anders als von der Demokratie und vom Rechtsstaat treten verschiedene Modelle, die sich voneinander je nach der Grundorientierung, dem Kokretisierungsmittel und –maß differenzieren. Welches Modell daruter entspricht der sozialen Gerechtigkeit am besten? Welches ist das beste, der Grundorientierung und den wirklichen Gegegenheiten iherzulande gerechte Modell? Was ist die beste Atlernative für die Verwirklichung der sozialen Gerechtigkeit im sich rasch wandelnden gesellschaftlichen und wirtschaftlichen Gegebenheiten? Die Frage nach der sozialen Gerechtigkeit hic et nunc verlangt immerfot weitere Überleungen und Reflexionen; die Antworte darauf, was ist Gerechtigkeit?, haben sich immer verwandelt. Es ist aber deutlich, dass dabei die durch menschliche Erfahrungen und Bestrebungen während der mehreren Jahrhunderten Kristallisiete wie etwa Menschenrechte, Demokratie, Rechtsstaat und Idee der sozialen Gerechtigkeit usw., was bereits in der Verfassung der Republik Korea verankert sind, ausreichend nachgedacht werden sollten. Die sozialstaatliche Aufgabe im 21. Jahrhundert könnte etwas Neues, noch nicht Erfahrenes sein. Die Kriterien für die Erledigung der Aufgebe könnte man durch Forschung der Ideen und Prinzipien von unserer Verfasung finden. In diesem Zusammenhang sind die durch den geschichtlichen Erfahrungen geprüften und aggregierten Kenntnisse und Weisheiten noch heute von besonderer Bedeutung.

      • KCI등재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양상

        강대현(Kang, Daehy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이 해방 직후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동안 사회과는 도입 이래 여러 차례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왔고, 특히 7차 이후 수시 개정 체제로 바뀌면서 2007, 2009 개정 시기에는 잦은 변화를 겪어서 이에 대한 종합적인 성찰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각 개정 시기별로 어떻게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졌고 교과목 체제와 내용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과 변화를 다루고, 이를 토대로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전반적인 양상에 대해서 논의하려고 한다. 결과적으로, 그동안의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을 살펴보면 크게 네 가지 양상이 나타난다. 첫째 국가 주도 하에서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져 항상 국가주의 요소를 반영하는 것이 주요 개정 내용이 되어 왔다. 둘째 대체로 총론이 개정을 주도하는 상황이 전개되어 교과 편제 및 시수를 바꾸는 것이 우선되어 왔다. 셋째, 통합 대 분과의 대립 속에서 영역 간 갈등이 심화되면서 분과 체제가 강화되어 왔다. 넷째, 현장과 괴리된 개정으로 초·중등 교육 및 대학 교원 양성 체제의 왜곡을 가져 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had been revised and changed from Syllabus period to the 2009 revised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Until now,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had been revised from Syllabus period to Seventh curriculum as the periodic revision system and had been changed from 2007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the provisional revised system.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systematically. First of all,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kind of background and factors affected the relevant curriculum for each revision. In the process of analysis, this study deals with the overall flow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specific chang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odalities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a result, we have been looking over the revision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find the four modalities. First, curriculum was amended by the nation and to reflect the nationalist element was a major amendment. Second, educational theorists led the revision process and priority was to change the organization and hours of curriculum. Third, the conflict between the areas of social studies was intensified with the confro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vs. separated curriculum and the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was weakened. The fourth, the revision was separated from field and the distor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nd teachers training system appeared.

      • KCI등재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주숙,박만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수학 교육에서의 사회정의를 가르치기 위한 수학 수업 사례 연구로 이를 적용한 수학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있다. 그리고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의 불평등 문제 상황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한 수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소재한 B초등학교 6학년 학생 18명(남 13명, 여 5명)의 학생들과 방과 후 동아리 수업 시간을 활용하여 8개 주제에 대하여 10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은 수업 중 활동의 관찰 및 학생들의 담화, 활동지, 설문, 인터뷰를 통하여 사회정의 이해, 수학에 대한 흥미,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 수업의 과정에서 삶의 문제에 대하여 사회정의의 관점으로 재인식하게 되면서 비정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 의지를 기르거나 직접 실행에 옮기며 적극적인 사회적 행동을 표현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들에게 친숙하고 밀접한 사회적 맥락 관계에 있는 학습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수학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으며, 세계를 이해하고 잠재적으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실생활에 필수적인 학문으로서‘수학에 대한 가치’인식도 높아졌다.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 수업이 학교 교육에서 정착되기 위해서는 사회정의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교사들의 사회정의에 대한 이해를 보다 깊게 할 필요가 있고, 질 높은 관련 자료의 개발과 현장에서의 적용 그리고 현장의 수업사례를 기반으로 한 교사 교육을 지속적으로 해 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each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on students’interest towards mathematics and perceptions of mathematical values. Eighteen 6th grade students, at B elementary school in Seocho-gu, Seoul, who wished to involved in the study participated in the 10 hour lessons. During the lessons for social justice,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students' reactions in the lessons according to the three categories: Perceiving given problematic situations of social conflicts, searching for problem-solving methods based on mathematical analysis, and changing social behaviors to solve life issues through mathematics. They also examined changes of students' interest towards mathematics and perceptions of mathematical values through the activities and reactions using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s, observations of lessons, and students' activity sheet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perceived mathematics as a tool for social justice in mathematics lessons, tried to find problem-solving methods based on mathematical analysis, and expressed their active social behaviors by cultivating the will of practice to solve life issues through mathematics.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students recognize many of the social problems in their societies as social justice regardless of their economic levels. Second, learning activities need to design in a way that students can accept the social problems as realistic situations in teach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Third, students look at the world from a mathematical perspective, have interest in mathematics, and recognize the values of mathematics in teach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 KCI등재후보

        도덕적 사회주의의 환상에 대한 비판으로서 사회계약론과 자본주의의 법철학적 기초

        김종호(Kim, Jong-Ho)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0 법률실무연구 Vol.8 No.2

        사회정의와 사회적 책임은 자본주의의 규범이란 것과는 양립하기 어려우며 사회적 자각인 정의와 책임이 도덕으로 확립하는 법적 규칙이 되었을 때 자본주의는 사회주의로 변질된다. 자본주의는 인간의 이기적 욕망과 언어적 구상력에 의해서 발전해 오면서 오늘날까지 세계사적인 확대를 보이며 지구의 생태학적 한계를 넘보고 있다. 도덕적 사회주의는 인간본성의 이기주의적 경향을 억제하고 사회적(역사적) 자각에 의해서 자본주의 병폐를 제어하려는 것으로 자본주의의 수정을 포함한 자본주의의 자유방임을 넘으려는 것이다. 인간은 하지만 본질적으로 자유가 없고 지구에는 성장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유한한 인간은 자신을 제어하고 공존 공영하지 않으면 안 된다. 새로운 국제질서의 추진론자는 과거의 고도성장의 일그러진 성과에 매달리고 영리획득의 자유경쟁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는 환상을 선전하고 있다. 역사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와 같이 자유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전통적 가치와 문화를 파괴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제 시장경쟁에 의한 파괴와 합리화는 욕망의 비대화와 인간성의 퇴화와 부패를 확대하는 것만으로 새로운 공정과 정의를 만들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자유와 창조성은 인간이 가진 최고의 가치이지만 교환과 분배의 사회정의와 다양하고 공정한 규칙을 배제하는 신자유주의(시장주의 원리)는 인류복지의 원수가 되어버렸다. 인간은 경제적 영리적 욕구에 의해서만 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지구적 규모의 경제동물들의 아귀다툼의 아수라장이 되도록 내버려 둬서는 안 된다. 현대의 폐쇄적 상황의 문제는 제국주의적 격차의 글로벌화를 극복하고 인류적 복지를 실현하는 목표를 가짐으로써 비로소 해결 가능하게 된다. 신의 보이지 않는 손이란 인간존재의 본질인 창조적 가능성을 오인하고 인간과 인간사회를 공황과 전쟁으로 이끌 뿐만 아니라 강자의 안락과 악의를 방임하는 반도덕적 이데올로기에 불과하다. 만약, 상대를 속이고 가치없는 것을 팔거나 약속한 대금을 지불하지 않으면 그것은 사기이며 계약위반이며 불이익을 당한 측은 이 부정을 허락하지 않는다. 교환적 정의를 회복해야 하기 위해서는 상대를 고소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처럼 인간의 욕망을 어떻게 제어할 것인가에 대한 법철학적 성찰과 담론을 제시하였다. 민법, 상법을 비롯한 법률은 개인과 개인의 관계에 부정(不正)이 생겨서는 안 되기 때문에 정의가 유지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이를 바로잡기 위해 등장한 것이다. 민법, 상법을 비롯한 법률은 상품교환에 대한 정의를 합법화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개인 간의 교환의 관계에 있어서 그것이 교환적 정의라는 것은 더욱 엄밀한 형태로 요구된다. 민사법과 상사법은 이 교환적 정의를 유지하기 위한 규칙체계라고 해도 좋다. 이런 교환적 정의는 상대가 다른 사회의 인간이나 법인 혹은 동일한 사회의 개인과 개인이 교환이나 시장의 거래를 할 경우에는 늘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정의는 이 교환적 정의뿐이다. 이상의 논리에서 경제학을 교환의 정의란 측면에서 보면 지금까지의 강단 경제학이 보편적 정의를 은폐하는 경제학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시장경제에서의 불량정의는 인간존재의 본질에서 생기는 법이며 이것을 어떻게 이끄느냐는 도덕과 정치의 영역에서 해결해야 할 것이다. 본고는 ‘도덕적 사회주의, 무엇이 문제인가?’ 라는 회의(의심)에서 자유와 복지국가론, 사회계약론의 문제점, 자본주의 옹호론과 시장주의 원리를 비판하고, 정의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서 ‘불평등이 인류의 진보의 조건인가?’ ‘사회정의와 탐욕의 조화는 불가능한가?’ ‘재능을 펼칠 기회는 공정한가?’ ‘왜 도덕적 사회주의가 불필요한가?’ 등을 검토하였다. 필자의 변명 그리고 보론으로서 여러 경제학자들의 주장에 필자의 생각을 보태 정의에 관한 새로운 법철학적 기초를 구축하고자 시도하였다.

      • KCI등재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시기별 특징 고찰 : 초·중·고 교수요목기에서 2015개정교육과정기까지

        옥일남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1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time-periodic characteristics of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rom syllabus period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 took a chronological approach, dividing curricula of Social Studies into introductory period, setting period, growth period, transformational period. First, introductory period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emphasized the qualities of civic(公民) in a democratic society. Second, setting period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emphasized the qualities of people(國民) in a democracy. Third, growth period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emphasized the qualities of 'citizen' out of 'people'. Fourth, transformational period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presented common curriculum and selecting curriculum, respects the right of choice of learners. We could find some issues from this research. First, national social needs have been the driving force towards change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Second, there have been a conflict between division and integration of general Social Studies, history and geograph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owards demands of consumers of education, future democratic citizens.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의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시기별 특징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사회과 교육과정기를 시대별로 도 입기, 정착기, 성장기, 변혁기로 구분하여 시기별 변화된 특징과 내용 구성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과거에는 민족 주체성 교육, 국민의 자질 교육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했으나 시대 변화를 반영하여 오늘날에는 민주 시민의 자질을 교육하기 위한 다양성, 개방성을 반영하는 모습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도입기에는 민주 사회의 공민의 자질을 강조하고 있으며, 정착기에는 민주 국가의 국민의 자질을 강조 하고 있다. 성장기에는 ‘국민’으로부터 ‘시민’의 자질을 함양하는 교육으로 나아가고 있다. 최근 교육과정 의 변혁기에 접어들면서 공통교육과정과 선택교육과정의 2원 체제를 유지하여 학습자의 선택권을 존중 하고 있다. 또한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변화 과정에 국가 사회적 요구에 의한 개정이 많이 발견되었다. 사회과의 분과 및 통합 경향은 단원 내용 편성 과정에서 여러 차례 번복되면서 변화를 맞고 있었다. 앞 으로 교육과정 개정 작업은 교육 수요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미래의 민주 시민 양성에 기여하는 방향으 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공정사회와 기독교정의론에 대한 연구

        고재길(Jye Gil Ko)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5 선교와 신학 Vol.35 No.-

        최근에 한국사회에서는 공정사회와 정의에 대한 주제가 회자되고 있다. 공정사회는 모든 사람에게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지만 그 사회의 구성원들이 그 결과를 깨끗이 받아들이는 사회이다. 공정, 기회의 균등, 정의와 같은 개념은 롤즈의 정의론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들이다. 롤즈의 정의론은 정의를 사회의 기본구조, 사회제도를 통해 현실사회에서 실현가능한 정의를 추구한다. ‘공정으로서의 정의’로 요약되는 그의 정의론은 원초적 입장, 무지의 베일, 상호무관심한 합리적 인간을 전제한다. 절차적 과정에서 공정성을 확보하는 그의 정의론은 축자적 서열의 원칙에 기초한 정의의 두 원칙을 통해 확증된다. 차등의 원칙에 대한 평등한 자유의 원칙의 우선성을 강조하는 롤즈는 자유주의적 전통에 견고하게 서 있다. 사회구성원들 가운데 최소수혜자의 최대이익을 도모하는 차등의 원칙은 롤즈의 정의론의 평등주의적 특징을 잘 드러낸다. 그러나 공리주의와 자유지상주의가 추구하는 정의론의 약점을 비판한 롤즈의 정의론에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의 이론은 의무론적 윤리의 경직성, 평등에 대한 자유의 지나친 우선성, 낙관주의적 인간론, 도덕적 개인주의 등과 같은 문제를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은 기독교정의론의 기초를 만드는 데 필요한 도움을 준다. 롤즈의 입장에서 볼 때 한국사회는 아직 공정한 사회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경제적 양극화, 교육기회의 불평등, 정치와 공직사회의 불공정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때 한국사회는 비로소 공정한 사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기독교정의론의 기초-현실적합성의 윤리, 자유와 평등의 상호관계성, 기독교적 인간론, 공동체적 가치-가 한국사회를 ‘공정사회’보다 더 공정한 사회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The issues on “Society of Fairness” and Justice has been very often treated in Korean society. The society of fairness offers equal opportunities to everyone, where he accepts the result without claims. Concepts, such as ‘Fairness’, ‘Equality of Opportunity’, ‘Justice’ are of great importance for the Rawls’ theory of justice. It pursuits the justice which is realizable through social structure or institutions. His theory of justice which is summarized as the ‘Justice as fairness’, premises ‘original position’, ‘veil of ignorance’, ‘mutually disinterested rational human’. His theory which secures fairness through the procedure, is proved by two principles based on the serial or lexical order. Rawls stands firmly on the line of the liberal tradition, which emphasizes on the priority of the principle of equal liberty to the principle of difference. And the principle of difference which promotes the greatest benefit of the least advantaged among social members, reveals equalitarian aspects of Rawls’ theory of justice. Even though Rawls’ justice theory criticized theories of justice pursued by utilitarianism and extreme liberalism, it has its own limit. His theory has problems such as the rigidity of deontological ethics, the priority of liberty to equality, optimistic human theory, moral individualism. The solutions which overcome such limits, help us to build the theory of Christian Justice. From the Rawls’s view, it is hard to tell that Korean society is a fair society. It is not until the problems such as economic polarization, unequal education opportunity, unfair crimes in politic field and society will be solved, that Korean society will be able to be a society of fairness. And the basics of the theory of Christian justice - ethics in accordance with reality, interrelation between liberty and equality, Christian understanding of human, the value of community - will make Korean society much fairer than “society of fair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