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사회적 연결감, 사회정체성 그리고 사회비교가 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서예지,안정민,정태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8 No.4

        이 연구는 사회적 안녕감에 사회적 연결감, 사회정체성, 사회비교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여 사회적 안녕감을 증진할 수 있는 심리사회적 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연구 1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 변인 간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확인하고, 변인 간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매개 분석하였다. 연구 2 실험을 통해 사회적 연결감과 사회비교가 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인과성을 확인하고, 상호작용 효과의 여부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연결감과 한국인으로서의 사회정체성은 사회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한국인으로서의 사회정체성은 사회적 연결감과 사회적 안녕감 사이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였다. 둘째, 사회적 안녕감과 사회정체성에 대해 사회적 연결감과 사회비교의 주요 효과가 확인되었으나, 이 두 변인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연결감이 높을 때 사회적 안녕감과 사회정체성이 가장 긍정적으로 보고 되었다. 또한, 과거 한국 사회와의 하향비교 시 사회적 안녕감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사회적 안녕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사회적 연결감, 사회정체성, 사회비교)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밝힘으로써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connectedness, social identity, and social comparison on social well-being, with the objective of discussing psychosocial strategies to enhance social well-being and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such interventions. To this end, Study 1 employed a survey to statist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nd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gain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se relationships. Study 2 involved an experimental approach to determine the causal effects of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comparison on social well-being, and to test for the presence of interaction effects. The primar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onnectedness and Korean social ident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ocial well-being, with Korean social identity fu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well-being. Second, while the main effects of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comparison on social well-being and social identity were confirmed, n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ere observed.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social connectedness were associated with more positive reports of social well-being and social identity. Additionally, downward comparison with past Korean society resulted in the most favorable outcomes for social well-being.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ocial well-being, a concept that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and provide empirical evidence on the effects of key variables—social connectedness, social identity, and social comparison—thus offering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aimed at enhancing social well-being.

      • KCI등재

        한국인의 사회적 안녕감에 대한 질적 연구: 사회적 연결감, 사회정체성, 사회비교를 중심으로

        서예지,안정민,정태연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30 No.4

        본 연구는 사회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연결감, 사회정체성, 그리고 사회비교 기준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조건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개인들이 사용하는 사회비교의 기준이 어떻게 사회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FGI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성인남녀 20대~60대까지 연령별 5개의 초점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집단별 7명씩 총 3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후 주제별로 자료를 코딩하여 주제를 추출한 후 주제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에서 패턴을 발견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연결감은 타인의 무조건적인 선의, 온 국민이 하나 됨을 느끼는 사건, 사회보장 제도, 투표와 같은 국민의 권리 행사를 경험할 때 나타났다. 둘째, 사람들의 일상 속 주요 사회정체성은 물질적 자기, 사회적 자기, 심리적 자기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되며, 한국인으로서의 사회정체성은 국제적 맥락에서 강화된다. 구체적으로 한국인으로서의 사회정체성을 경험하는 사회문화적 맥락은 국제사회 속 외국인과 차별화되는 정체성, 낯선 환경 속 이방인으로서 정체성, 국위선양 사건 및 스포츠 경기를 통해 활성화되는 정체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비교를 통한 한국 사회에 대한 인식은 개인이 비교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상향 비교 시에는 불안과 좌절감을, 하향 비교 시에는 상대적 안도감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특히,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회적 연결감을 자주 경험하지 못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사회적 연결감이 온 국민이 하나됨을 느끼는 특별한 사건이나 선거와 같은 국민 권리 행사에만 국한되지 않고, 일상적인 경험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심리․사회․문화적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인으로서의 사회정체성을 경험하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파악하고, 세대별로 주요 사회정체성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세대별 정체성 강화 방안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SNS의 발달로 인해 상향 사회비교가 만연한 한국 사회에서, 균형 잡힌 사회 인식을 유지하고 사회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해 하향 비교의 긍정적 역할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ocultural context and condition of social connectedness, social identity and social comparison criteria that affect social well-being. Additionally, it examined qualitatively how people's social well-being is affected by the social comparison standard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is, the FGI methodology was utilized. Adults in their 20s to 60s made up five age-based focus groups, each with seven participants, for a total of 35 people. Afterward, the data were coded by themes, and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patterns and draw conclusions. The following are the primary conclusions: First, social connection was experienced through things like other people's unwavering kindness, events evoking national solidarity,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the exercise of civic rights like voting. Second, people's primary social identities in daily life a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material self, social self, and psychological self, while social identity as a Korean is reinforced by international contexts. In particular, the sociocultural contexts of experiencing the Korean identity were identified as differentiating themselves from other foreigner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eeling like an outsider in a strange setting, and feeling more engaged by national prestige events and sporting events. Third, perceptions of the Korean society through social comparison varied depending on the standard of comparison. Upward comparisons caused feelings of tension and frustration, while downward comparisons offered some relative comfort. The study's findings have important ramifications since they can serve as a basis for advancing social well-being. The study specifically showed a tendency for less frequent experiences of social connectedness. Thus, it implies that in order to make this connectedness a regular occurrence rather than a phenomenon reserved for special occasions, psychosocial and cultural interventions are required. Furthermore, by highlighting the sociocultural contexts in which Korean identity is experienced and the ways in which important social identities vary across genera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tailored methods for each generation to reinforce Korean identity. Last but not least, the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taking into account the beneficial role of downward comparison in preserving balanced social views and fostering social well-being in Korean culture, where upward social comparison is common due to the development of SNS.

      • KCI등재

        사회적 연결감, 자아-도시 연결감, 도시 거주 불안감이 도시 브랜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은아(Yu, Eunah),최지은(Choi, Jieun) 한국산업경영학회 2021 경영연구 Vol.36 No.4

        장기화되는 코로나 펜데믹 상황에서 도시에 거주하는 도시 거주민의 불안은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이러한 도시 거주민의 불안과 연결감이 도시 브랜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따르면 사회적 연결감과 자아-도시 연결감은 각각 도시 브랜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도시 거주불안은 도시 브랜드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각 변인의 주 효과 외 변수 간의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는데 사회적 연결감과 자아-도시 연결감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보고되었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연결감이 낮을수록 자아-도시 연결감이 도시 브랜드 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연결감, 자아-도시 연결감과 도시 거주 불안 간의 삼원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도시 거주 불안이 낮은 경우 사회적 연결감과 자아-도시 연결감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나타나지만, 거주 불안이 높은 경우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도시 브랜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데에 나름의 의미를 지니며, 도시 브랜드 연구에 심리적 요인을 결합하여 이론적 확장을 하였다는 데에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불안이 가중되는 시대에 도시 거주민의도시 브랜드 만족 제고와 관련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During the prolonged coronavirus pandemic, the anxiety of city dwellers has been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rban dwelling anxiety, social connectedness and self-city connectedness on city brand satisfaction. We surveyed 307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either Seoul or Busan, and measured urban dwelling anxiety, social connectedness, self-city connectedness and city br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social connectedness and self-city connected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city brand satisfaction, but urban dwelling anxiety had a negative effect on city brand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between social connectedness, self-city connectedness, and urban dwelling anxiety on city brand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Specifically, when urban dwelling anxiety was low,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ocial connectedness and self-city connectedness was significant, but when urban dwelling anxiety was high, this interaction effect did not app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expanded research on city branding by combining psychological factors with city branding. In addition, the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on how to enhance city brand satisfaction among urban residents in the COVID-19 era.

      • KCI등재

        강원랜드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동주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觀光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강원랜드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사회적 연결감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전략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사회적 책임활동의 유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책임활동은 사회적 연결감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익적 사회책임활동은 사회적 연결감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에 경제적 · 지역개발 사회책임활동을 사회적 연결감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책임활동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간의 사회적 연결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공익적 사회책임활동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간에 사회적 연결감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제적 · 지역개발 사회책임활동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간의 직접효과보다도 사회적 연결감에 의한 간접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존 고객들의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보다, 사회적 책임활동에 의하여 강원랜드와 고객 간의 사회적 연결감(기업-소비자 동일시)을 강화시켜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discussed various activities of social responsibility by analyzing how thes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fluence the quality of social connectedness, the number of revisits, and the visitors' recommendations and feedback. Two main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 it turned out to some degree that the activities of social responsibi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social connectedness, the frequency of revisits, and the visitors' recommendations and feedback. While the activities of social responsibility for the common good do not affect the social connectedness, the number of revisits and recommendations,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for economic and regional development have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them. Second, no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activitie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number of revisits and recommendations were found. However, in terms of the quality of social connectedness, the economic and regional developments are more indirectly affected than the number of revisits and recommendations are directly affected. This result indicates that activities of social responsibility strengthen the quality of social connectedness between. Kangwon Land and its dients, resulting in more frequent revisits as well as more positive feedback, rather than directly influencing the existing clients' revisits and the feedback by the activities of social responsibility.

      • KCI등재

        소비자 혁신 성향이 친환경 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연결감의 역할

        이희정 한국소비문화학회 2023 소비문화연구 Vol.26 No.3

        최근 환경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줄이고 환경 오염의 속도를 줄이기 위한 친환경 제품의 확산과 수용의 중요성이 어느때보다 공감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아직 친환경 제품의 수용이 적극적 행동으로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의 수용에 소비자의 혁신성과 사회적 연결감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 친환경 제품 자체를 기존의 제품과는 다른 혁신적 소비의 영역으로 간주하여 소비자의 혁신성향이 친환경 제품의 수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 혁신성향이 주변 사람들과의 연결감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면 친환경 제품의 확산에 더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비자 혁신성을 쾌락적 혁신성과 사회적 혁신성으로 구분하여 친환경 제품의 수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사회적 연결감이 친환경 제품 수용에 매개효과를 가짐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명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의 연령과 소득은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쾌락적 혁신성과 사회적 혁신성은 친환경 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연결성 역시 친환경 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설에서 예상한 바와 같이 쾌락적 혁신성은 사회적 연결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사회적 혁신성은 사회적 연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연결성의 매개효과는 쾌락적 혁신성과 친환경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나타났다. 소비자 혁신성이라는 단일 개념으로 친환경 제품의 시장 수용에 대해 살펴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 혁신성을 쾌락적 혁신성과 사회적 혁신성으로 구분하여 친환경 제품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더불어, 친환경 제품의 보다 적극적인 수용에 사회적 연결성이라는 측면이 의미를 지닐 수 있음을 탐색하고 확인하였으며, 쾌락적 혁신성이 친환경 제품의 수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연결감이 역할을 하는 것이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의 보다 적극적 시장 확산을 도모하는 실무자들에게 몇 가지 전략적 통찰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spreading and accepting eco-friendly products to reduce the nega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reduce the rate of environmental pollution is gaining more sympathy than ever. However, despite this change in perception, it still seems that more time is needed before th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appears as an active act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onsumers' innovation and social connection can affect th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By dividing consumer innovativeness into hedonic innovativeness and social innovativenes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which innovativeness propensity affects th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and in this process, this study tried to prove that social connectednes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To this end, 200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and their ages and incomes were evenly distribu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hedonic innovativeness and social innovativ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Social connectedness was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Also, as expected from the hypothesis, hedonic innovativeness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onnectedness, bu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innovativ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connectedness.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donic innovativeness and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market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as a single concept of consumer innov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vided consumer innovativeness into hedonic innovativeness and social innovativeness to examine the effect on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In addition, it was explored and confirmed that the aspect of social connectedness can have meaning in more activ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and it is thought that the role of social connectedness in the process of hedonic innovativeness positively affecting th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is meaningful in terms of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ome strategic insights to practitioners seeking more active market expansion of eco-friendly products.

      • KCI우수등재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이끄는가? - 조합원과 비조합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현철,장현정,이정탁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9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responsibility in a consumer’s cooperative on social connectedness, the purchase intention of organic foods, the consumer’s cooperative image and the joining presence of consumer’s cooperativ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Philanthropic activity which was a sub-dimens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hi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connectedness. 2) Economic·ethical activity which was a sub-dimens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connectedness. 3) Social Connected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operative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4) Cooperative imag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sion.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significant efforts to seek a direction for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will contribute to a consumer's cooperative composed of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본 연구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하 생협)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사회적 연결감과 유기농 식품의 구매의도 및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과 소비자의 생협 가입 유무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 결과, 생협의 사회적 책임 유형이 경제ㆍ윤리적 활동과 자선적 활동으로 도출되었고, 도출된 총 두 개의 사회적 책임 차원은 모두 사회적 연결감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사회적 연결감은 생협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생협 이미지는 구매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이 구조적 인과관계에서 조합원 여부의 조절효과는 사회적 연결감과 생협 이미지의 관계에서 일부 채택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조합원과 비조합원의 인식의 차이를 중심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사회적 연결감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였고, 공동체 의식에 기반을 둔 생협의 마케팅 전략수립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

      • KCI등재

        사회적 연결감과 우울의 관계: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비교

        박경순,박영란,손덕순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connectedness on depressive symptom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rural and urban elderly. Data from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 was used for analyzing. The analysis included 948 rural elderly and 982 urban elderly. The results showed that urban elderly's depressive symptom level was higher than rural elderly's. Depending on the subcomponent of social connectednes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n the urban and rural elderly's depressive symptom. It has been confirmed that only loneliness has affected urban elderly people, and that appraisal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have affected rural elderly people, and that belongingness social support has not been significant in both groups. Findings from this research have some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endeavors in reducing depressive symptom of older people.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우울 수준을 확인하고,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이 인식한 사회적 연결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 한편 이와 더불어 사회적 연결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이 거주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조사(KSHAP: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에 포함된 농촌노인 948명과 도시노인 98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농촌노인의 우울은 5.82, 도시노인은 10.07로 도시노인의 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연결감은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연결감의 하위요소에 따라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도시노인에게는 고독감만이, 농촌노인에게는 평가적 지지와 고독감이 영향을 미쳤으며, 소속감 지지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사회적 연결감 증진을 통한 노인 우울 감소를 위해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활동에 대한 소비자 귀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기능적 가치와 사회적 연결감 중심으로

        이연화,서영욱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7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하여 소비자가 인지하는 귀인을 가치지향적 귀인, 전략적 귀인, 이해관계자 지향적 귀인으로 구분해서 이들 귀인들이 기능적 가치, 사회적 연결감을 통하여 구매의도에 미치는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표본을 수집 하기 위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지각하고 있고 그 기업의 제품을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전국의 소비자 3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297부의 설문지를 PLS와SPSS 22.0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고 제안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지향적 귀인은 기능적 가치와 사회적 연결감에 긍정적인 영향을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략적 귀인은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 연결감에는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해관계자 지향적 귀인은 기능적 가치와 사회적 연결감에 부(-)의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능적 가치는 사회적 연결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확인되었다. 다섯째, 기능적 가치와 사회적 연결감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소비자 귀인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선택 행동을 유발하고, 기업에 대해 사회적 연결감을 증대시키며, 소비자는 기업과 심리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형성하고 구매의도에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업 CEO 및 관계자들은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소비자들의호감도를 높이면서 소비자들이 기업을 가깝게 지각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이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메타버스 기반 문화유산 전시에서 관람자의 신체경험이 디지털공감과 사회적연결감에 미치는 영향

        장진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 기반 문화유산 전시에서 관람자의 신체경험이 디지털공감과 사회적 연결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 전시가 단순한 기술적 시도를 넘어 공감과 유대가 형성되는 환경으로 기능할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혼합현실(MR) 기술을 활용한 메타버스 문화유산 전시에 참여한 성인 관람자 1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람자의 신체경험은 디지털공감과 사회적연결감 모두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경험이 사회적연결감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 디지털공감이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메타버스 전시가 관람자 간 감성적 교류와 사회적 유대를 촉진하는 경험적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신체경험 요소를 반영한 전시기획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관람자의 질적 경험을 정량적 분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메타버스 전시 맥락에서 신체경험의 심리·사회적 역할을 밝혀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대상 및 범위를 확장한 지속적인 연구를수행함으로써 융복합 전시 분야의 학술적·실무적 영향력을 보다 명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visitors' embodied experience on digital empathy and social connectedness in metaverse-based cultural heritage exhibitions.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metaverse exhibitions to function as environments that foster emotional engagement and social bonding rather than merely serving as technological implementation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04 adult participants who engaged in a metaverse cultural heritage exhibition utilizing Mixed Reality (MR) technolog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visitors' embodied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digital empathy and social connectedness. Second, digital empathy exhibited a mediating t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bodied experience and social connectedness, suggesting that embodied experience fosters social connectedness by enhancing emotional engagement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etaverse exhibitions can function as experiential spaces that promote emotional interaction and social bonding among visitors. To effectively implement this, exhibition planning should integrate embodied experience elements to enhance visitor engagement. By quantitatively validating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roles of embodied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metaverse exhibition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academic and practical contributions.

      • KCI등재

        소셜미디어 기반의 참여형 CSR전략으로서 소셜 기부의 참여 동기 요인이 CSR신뢰성과 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

        서상희 한국소통학회 2017 한국소통학보 Vol.16 No.4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서 참여형 CSR전략으로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소셜 기부활동의 참여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검증 결과, 소셜 기부 콘텐츠 만족도와 CSR진정성, 사회적 연결감은 CSR신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소셜 기부 평가 요인으로 설정한 콘텐츠 만족도와 CSR진정성, 사회적 연결감은 모두 CSR신뢰성을 매개로 소셜 기부 참여 의향에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 중 콘텐츠 만족도의 경우, CSR 참여의향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CSR진정성과 사회적 연결감은 CSR참여의향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셜 기부에 대한 인식 요인들과 CSR신뢰성 간 영향 관계에 있어서 SNS친구 추천(권유)의 조절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함께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mpirically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fluence factors on participation intention to social donation in participative CSR Strategy using by social media. It was examined that contents satisfaction of social donation, CSR truth, and social connectedness had positive influence on CSR confidence. Also, results showed that contents satisfaction of social donation, CSR truth, and social connectedness had positive influence on participation intention to mediating CSR confidence. And it was confirmed that contents satisfaction of social donation has direct influence on CSR participation intention. On the contrary, it was examined that direct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on CSR participation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Meanwhile, results showed that moderating effect of friends' recommendation in sns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influence of perceptive factors of social donation on CSR truth. Finally, it is provide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and the future conduct of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