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폐성장애아동을 위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를 활용한 국외 실험연구 분석

        김완숙,방명애 한국자폐학회 2014 자폐성 장애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oreign experimental studies using social stories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y a systematically scanning for journal articles 21 foreign experimental studies using social stories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ublished from 2001 to 2013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es. The artic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research designs, the presentation mode of social stories, and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The most frequently selected subjects were 6- to 9-year-old boys in inclusive elementary schools. Intelligent Quotients of most subjects were higher than 70; (b) Multiple baseline research design across subject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The dependent variables of most studies were social interaction skills and social communication skills; and (c) The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points of most studies range from 50 to 69.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적 상황이야기를 활용한 국외 실험연구를 조사 분석하여 연구의 중재 관련 특성과 중재의 효과성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1년부터 2013년까지 발표된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와 관련된 국외 실험연구 논문을 검색하고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21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논문들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중재 특성, 사회적 상황이야기 특성, 중재의 효과성에 따라 비교 분석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는 일반 초등학교의 통합된 교육환경에 배치되어 있는 6-9세의 남학생에게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었고 지능지수 70이상의 인지적 수준을 가진 아동이 많았다. 둘째, 중재와 관련된 특성을 보면 세 명을 대상으로 하는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연구 방법을 설계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및 사회적 의사소통과 관련된 목표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험연구가 가장 많았다. 사회적 상황이야기 단독 중재와 복합중재를 적용한 논문의 수가 비슷하였고, 실험의 유지단계와 중재충실도 및 사회적 타당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비중복비율 기법으로 알아본 사회적 상황이야기의 중재 효과면에서 효과의 크기가 50~69%인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육적 중재에 있어서 후속연구와 교육현장의 적용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사회 상황이야기 중재가 ADHD 학생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현숙,강옥려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on prosocial behaviors of student with ADHD in school meal time, gathering activities, and break time. For this, one fourth-grade student with ADHD in a general classroom was selected. Before designing the experiment, we selected prosocial behaviors for student with ADHD to learn through meeting with homeroom teacher.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 was us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ree phases: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One session of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each day, four or five days per week. The 10-minut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in researcher’s classroom after school day. Maintenance observing for prosocial behaviors took place for one week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The student was observed three times for one week. The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 story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ncreasing prosocial behavior rates in school meal times and gathering activities. Regarding break time, there was no increase of prosocial behaviors and the intervention ended midway because the dose of medication taken by the student was reduced during the intervention. Moreover, the effects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was maintained in school meal times and gathering activities. Regarding break time, however, it was difficult to judge maintenance. Nevertheless, th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story intervention is a promising way to increase the prosocial behaviors of student with ADHD and that medication can be incorporated as a combined way with social story intervention. Some discuss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본 연구는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가 급식 시간, 모둠활동 시간, 쉬는 시간에 ADHD 학생의 친사회 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증가된 친사회적 행동이 중재가 끝난 후에도 유지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 구를 위해, 일반학급에 입급되어 있는 4학년 ADHD 학생 1명이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실험을 설계하 기 전 담임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ADHD 학생이 학습해야 할 친사회적 행동을 선정하였다. 실험은 상황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로 실시되었다. 기초선 단계에서는 중재를 실시하지 않고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관찰을 실시하였다. 기초선이 안정세를 보이면, 사회 상황 이야기 중재가 시작되었다. 하루에 한 번의 중재를 실시하였고, 주 4일 혹은 5일 중재를 하였으며 한 회기 당 중재는 10~15분간 이루어졌다. 중재 종료 1주 후에는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었는지를 알아보 기 위해 유지 관찰을 하였고, 대상학생은 1주 동안 연속해서 3회기 관찰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 았다. 첫째, 사회 상황이야기 중재를 함으로써 급식 시간과 모둠활동 상황에서 ADHD 학생의 친사회적 행동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쉬는 시간의 경우에는 친사회적 행동 발생률이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대상학생이 복용하고 있던 약물의 양을 줄였기 때문으로 해석되었으며 중재가 중도에 종료 되었다. 둘째, 사회 상황이야기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급식 시간과 모둠활동 상황에서는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그러나 쉬는 시간에는 중재가 끝까지 이루어지지 않아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었는지 판단하 기 어려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는 사회 상황이야기 중재가 ADHD 학생의 친사회적 행동 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임을 시사해주었으며 또한 ADHD 학생을 돕 기 위해서 사회 상황이야기 중재와 약물 복용과의 병합 중재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부분적으로 시사해 주고 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태블릿 PC를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장은진,김향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1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행동의 일탈적 특성은 통합을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따라서 아동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서는 사회적 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중재 방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황이야기 중재는 자폐성 아동의 개별적인 특성을 고려하고, 사회적 단서와 그에 해당하는 적절한 상황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다. 본 연구는 상황이야기 중재에 최근의 교육 환경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스마트 교육을 적용하였다. 태블릿 PC와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를 통해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결과가 유지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북 P시의 초등학교에 통합되어 있는 경증 자폐성 아동이며, 연구 방법은, 행동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중재 이후 사회적 행동 발생률이 증가하였고, 둘째, 증가된 사회적 행동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태블릿 PC를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행동을 증진하고,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므로 이러한 중재가 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오예지,전상신 한국미래교육학회 2023 미래교육연구 Vol.13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on the social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wo boys aged five and one boy aged four, who were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or the study design,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ts was used. The place of intervention was the treatment room in the integrated day care center where the children attended, and the social story for each child was produced and mediated considering the ability and dis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The entir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phases: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social behaviors, which were rarely seen at the baseline, were gradually changed and positively increased as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was conducted, and the changes were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termina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story intervention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hat positively affects the social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o have difficulty in social behavior. 본 연구는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자폐성 장애로 진단받은 만 5세의 남아 2명, 만 4세의 남아 1명으로 총 3명의 자폐성 장애 유아로 단일대상연구방법 중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 장소는 유아가 다니는 통합 어린이집 내 치료실이었으며 참여한 유아의 능력과 장애 특성을 고려하여 유아별 상황이야기를 제작하여 중재하였다. 전체 연구는 기초선, 중재, 유지의 세 단계로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기초선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던 사회적 행동이 상황이야기 중재를 실시하며 점차 변화되어 긍정적 증가가 있었으며 그 변화는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황이야기 중재가 사회적으로 행동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자폐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행동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중재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상황이야기 중재가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박묘주(Park, Myo Joo),강옥려(Kang, Ock-Ryeo) 한국통합교육학회 2021 통합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사회적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학생을 대상으로 상황이야기 중재가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통합학급에 입급된 초등학교 1학년 남아 1명이었으며, 상황 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대상학생이 속한 통합학급 교실에서 이루어졌으며 등교시간, 중간놀이시간, 모둠활동시간의 세 가지 상황을 선정하여 상황 별로 기초선 5~8회기, 중재 8~11회기, 유지 3회기의 총 16주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세 가지 상황 모두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시작행동과 반응행동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며 증가한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발생률은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의사소통장애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논의와 함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ocial story intervention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a target student who suffered from a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n inclusive classroom for 16 weeks.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ettings was applied in three conditions: 1) while waiting for first class, 2) during in-between play activities, and 3) during group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ocial interaction behaviors improv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essions in all three conditions and that these behaviors were maintained after the termination of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상황이야기 중재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강혜원(Kang. Hyewon),홍성호(Hong. Seongho),장정윤(Jang, Jeongyun),이영선(Lee, Youngsun)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상황이야기중재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일반 어린이집에 있는 정서․행동 장애 위험 유아 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자는 어린이집의 일과 중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대상 유아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작 한 상황이야기 책을 사용하여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상황이야기 중재는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가시켰고, 문제행동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상황이야기 중재는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와 일반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것과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 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황이야기 중재를 장애유아가 아닌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조기 중재를 위하여 적용해 보았다는 점과 교실 전체의 사회성부분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tory interventions on the social interactions and Challenging behaviors of young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For that purpose, three young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from a common child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e study, which applie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he investigator used social story books, which were made for each of young children and applied during the free and selective activity hour on the childcare center's daily schedule, and measured its effects on their social interactions and Challenging behaviors. As a result, social story interventions increased social interactions and reduced Challenging behaviors both in young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common young children.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social story interventions are effective for facilitating social interactions and reducing Challenging behaviors both in young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common young children.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pplied social story interventions to young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for early intervention purposes instead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there were indirect interventions through interactions for the young children in the class that were listening to the children's stories next to the subject children, and that the sociality of the entire class changed in a positive way.

      • 사회적 상황이야기가 고기능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반지정 한국심리협회 2010 심리행동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 프로그램을 통하여 고기능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으로 DSM-Ⅳ, CARS에 의해 자폐 장애로 진단된 아동 중 Tsai의 고기능 자폐 장애의 진단 범주를 적용하여 일반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남자아이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기초선은 2010년 3월 22일부터 3월 29일까지 3회기 측정되었고, 사회 상황이야기 중재 프로그램은 4월 5일부터 7월 7일까지 27회기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유지기간으로 7월 12일부터 7월 28일까지 4회기 측정되어 총 34회기가 진행되었다. 또한 연구의 설계는 실험 전, 후 본 연구자와 보조 관찰자 1명이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총 34회기 중 50%에 해당하는 회기에 대한 관찰자간 신뢰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 사회 상황이야기 중재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아동의 자발적인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해선 ( Hae Seon Kim ),김은경 ( Eun Kyung Kim ),전상신 ( Sang Shin Je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3

        이 연구에서는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아동의 자발적인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만5세의 자폐성 장애 남아 1명이며 실험설계는 행동 간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는 대상아동이 이용하는 치료실에서 연구자가 실시하였고, 대상아동의 능력과 특성에 맞게 제작한 상황이야기 읽기, 이해도평가, 역할놀이의 순서로 중재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기초선, 중재, 유지의 세단계로 실시하였으며, 일반화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기초선, 중재, 유지단계마다 대상아동이 이용하는 집단프로그램과 가정에서 각각 2회기씩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상황이야기 중재는 자폐성장애아동의 자발적인 사회적 행 동에 효과가 나타났고, 이러한 효과는 중재가 종료 된 이후에도 유지되었으며 일반화에도 효 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황이야기 중재가 사회적 행동에 어려움을 지닌 자폐성장애아동에게 사회적 상황에 대한 설명과 그에 대한 마음이해를 도움으로써 자발적인 사회적 행동을 습득하고 유지 및 일반화하는데 효과적인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on spontaneous social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subject was a 5-years-old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design, social stories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and direct observation of the target behaviors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 spontaneous social behaviors for the subjec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econd, the effect of intervention was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intervention. Third, the effect of intervention was generalized during intervention and follow-up s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is effective for spontaneous social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KCI등재

        태블릿PC 역할놀이 앱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윤지혜,김은경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tories intervention using tablet PC role-playing application on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participant was 2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for each participant was used for the research design. Dependent variables were greeting behaviors, social initiation behaviors, and social reactive behaviors.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talking with pictures, reading social stories, assessing understanding of social stories, and role-playing with the application.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once a week in the therapy room, and the data of dependent variables were collected in the free playtime and in check-in/check-out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tories intervention using tablet PC role-playing application improved the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econd, improved social interaction performance of the participant was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Third, the improved social interaction performance of the participant was generalized in other sett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social stories intervention using tablet PC role-playing application can improve the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이 연구에서는 태블릿 PC 역할놀이 앱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발달지체 유아 2명이며, 실험은 각 유아의 행동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 세 가지 행동(인사행동, 사회적 시작행동, 사회적 반응행동)에 대한 기초선, 중재, 유지, 일반화 단계로 이루어졌다. 중재는 사진을 보며 이야기 나누기, 상황이야기 읽기, 이해도 평가하기, 앱 역할놀이하기의 순으로 시행되었다. 중재는 치료실에서 주 1회 시행되었고 자료 수집은 자유놀이 상황과 입․퇴실 상황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태블릿 PC 역할놀이 앱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를 통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하였고, 중재에 의해 향상된 행동은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으며, 중재를 실시하지 않은 다른 대상과 상황에서도 중재 효과가 일반화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태블릿 PC 역할놀이 앱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증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비디오 자기 모델링을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영향

        김은형,백은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학연구 Vol.57 No.4

        본 연구는 비디오 자기 모델링을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특수학교 자폐성 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자폐성 장애 학생 1명을 대상으로 체육 수업을 하는 강당, 작업 활동을 하는 직업준비실, 교과 수업을 하는 교실에서 상황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연구 참여자에게 개별화된 상황이야기를 바탕으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영상을 촬영해 적용하였고, 자료수집을 위해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정반응 수의 백분율을 구하였고, 측정된 자료는 시각적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연구의 결과는 비디오 자기 모델링을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을 증가시키고, 증가한 기술이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디오 자기 모델링을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효과성과 함축적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