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교육과 사회의 만남 - 사회재건주의 재조명을 통한 한국미술교육 고찰 -

        김형숙 한국조형교육학회 2010 造形敎育 Vol.0 No.36

        The modern paradigm of art education that focused on the creative-self expressionism is questioned and the social responsibility in art education is raised in the context of Korean art education. Cultural art education that began in early 2000 has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social function. This study explores the social function of art education based on Social Reconstruction in relation to cultural art education in Korea.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on the myth of art education that has prevailed in modern art education in Korea as well as the West in order to discuss the discourse of social reconstruction art education. The belief of creative-self expressionism is related to the paradigm of modern art, mystification, and originality. Second, this paper explores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social reconstruction as a consequence of the Second World War in the U.S. Exhibitions, art critics, and school art education were focused on the prevailing the status of the nation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Thir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ocial reconstruction is discussed with a focus on the thoughts of John Dewey. Dewey's philosophy on art, education, and community influence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particular, a multicultural and a social reconstructionist approach emphasizes the heighten personal ability of critical literacy and provides a critical eye towards the world in which we live. Finally, this study examines cultural art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a social reconstruction perspective. Cultural art education (that has been practiced by the government for 10 years)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current status and a theoretical framework. 한국에서 미술교육의 사회적 책무성에 관한 논의는 문화예술교육의 시행과 함께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고 볼 수 있고, 그 현상의 근간을 이루는 사상적 배경을 사회재건주의적 패러다임을 통해서 논의해 보았다. 그러나 정책이 시행된 지 거의 10년이 넘어가는 이 시점에서도 방향설정이나 철학적 성찰에 관한 부분은 그간 존재론적 차원에서 연구28)가 있었으나, 사회재건주의 관점에서 조명한 것은 이 연구가 처음 시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추진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몇 가지 방향, 다시 말하면, 패러다임의 부재, 교육목표의 불명확화, 지역문화자원과 연계 및 사회문화예술교육 역량 미흡 등에 관한 논의들을 통해서 문화예술교육은 미술교육 논의의 내적 가치와 쟁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논의로 그 관심을 확장하여야 하며, 교과의 사회적 정당성을 주장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앞서 논의한 사회재건주의 관점은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방향에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미술교육의 사회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패러다임이라 본다. 21세기에 날로 가속화되고 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영역에서 다원화는 문화적 차이와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미술교육이 사회적 정의와 균등한 기회를 부여하는데 기여해야 하는 사회적 책무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외에서 일고 있는 “미술교육과 사회정의”에 관한 담론은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도 유효한 쟁점이라 보며, 그 근본적 철학과 실천적 프로그램을 재고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러한 논의들은 서양에서 태동한 하나의 미술교육 사상을 또다시 수용한다는 단순한 시각에서 바라보기 보다는, 20세기 초 정치․사회․경제적 변화 속에서 미술교육과 사회와의 접점을 찾고자한 사상적 배경들을 다시 읽어보고 우리나라 미술교육 현실에 비추어 재조명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때문에 지금 여기에서 사회재건주의 담론에 대한 진화가 필요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마르크스의 대안사회론 연구의 혁신: 어소시에이션을 중심으로

        정성진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6 No.2

        This This paper attempts to develop an Associationist interpretation of Marx’s alternative to capitalism, represented by the studies of Tabata Minoru, Otani Teninosuke and Paresh Chattopadhyay. First, this paper extrapolates 10 elements of Marx’s postcapitalist vision, centering on the concept of Association and argues that they are totally missing or marginalized in traditional Marxist approaches to communism. Next, this paper periodizes the evolution of Marx’s postcapitalist vision into three phases with two breaks, the 1848 Revolution and 1871 Paris Commune. This is based on a textological reading of Marx’s related works, using Association as a main keyword. Marx tried to overcome his statist bias ― still visible in Manifesto of the Communist Party ― after the 1848 Revolution and proceeded to concretize the concept of Association, enabled by his deep study of political economy as well as practical engagement in the International Workingmen’s Association during the 1850s and 1860s. Eventually, Marx reformulated his concept of communism along Associationist or cooperativist lines after the Paris Commune of 1871. 이 논문은 1990년대 이후 마르크스주의 대안사회론 연구 분야에서 이루어진 성과들에 기초해, 마르크스의 대안사회론을 어소시에이션(Association) 개념을 중심으로 새롭게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절에서는 마르크스의 대안사회론은 어소시에이션 개념을 핵심으로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전통적 마르크스주의의 대안사회론과 결정적으로 다름을 보인다. 3절에서는 어소시에이션 개념을 키워드로 해 마르크스의 관련 텍스트를 읽는 방식으로 마르크스의 대안사회론이 초·중·후기에 걸쳐진화하는 과정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1848년 혁명을 분수령으로 중·후기 이후 마르크스의 대안사회론은 초기 『공산당선언』의 국가 집권주의적 요소를 지양했을 뿐만 아니라, 1850년대 이후 경제학비판의 심화와 1860년대 국제노동자협회에서의실천, 1871년 파리 코뮨의 경험 등을 배경으로 해, 어소시에이션 개념을 이론적·실천적으로 구체화하는 방식으로 진화했음을 확인한다.

      • KCI등재

        진주지역의 사회주의운동과 조선공산당 재건운동

        김희주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6 동국사학 Vol.61 No.-

        이 글은 일제하 한국민족운동의 핵심 동력이었던 사회주의 이념이 진주지역에 수용되는 과정과 사회주의자들의 활동 추이를 살펴본 것이다. 진주지역도 3·1운 동 직후 사회주의자의 결집과 세력화가 이루어졌다. 3·1운동을 주도한 지역 인사 들이 중심이었던 이들 세력은 소작운동을 주로 한 진주노동공제회에서의 활동으 로 실천의 첫 걸음을 디뎠다. 1923년에는 강달영에 의해 꼬르뷰로 국내부 야체이 카가 설치되어 비합법적인 운동도 개시되었다. 당해는 진주지역 사회단체가 양적 으로 팽창하고 질적으로 재편되어 일정한 진영이 형성된 시점이었다. 편승하여 일련의 사상단체들이 결성되었는데 그중 동우사는 사회주의 연구와 지도를 전면에 내세운 대표적인 단체였다. 이러한 대열에 섰던 초기 사회주의자들에 대해 지역 경찰은 감시와 검속을 반복하였다. 이들 1세대 활동가들은 1920년대 중반까지 진 주에서 존재했던 유일한 반식민지 저항집단으로 인정된다. 하지만 1926년 이른바 ‘제2차 조선공산당사건’으로 핵심인사들은 구속되거나 활동무대를 이동하였다. 이 들의 공백은 청년운동을 주도한 2세대 활동가들에 의해 대체되었고 그 공간은 진 주청년동맹과 진주농민조합이었다. 1930년대 진주지역의 사회주의 운동은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의 일환으로 추진 되었다. 이는 중앙의 지도에 의한 혁명적 대중조직건설, 그리고 자생적 지역전위 조직의 등장이라는 두 가지 형태로 전개되었다. 먼저 중앙재건그룹의 지역단위 재 건방침에 따라 진주지역 야체이카와 조직책이 편성되었다. 목표는 당연히 혁명적 농민조합의 건설이었으나 실현되지 못했다. 신진 청년층이 중심이 된 자생적 지역 전위조직도 등장하여 대중 획득과 실천투쟁을 시도하였으나 소기의 성과를 거두 지 못하였다. 진주지역의 사회주의 운동은 사회주의 세력의 등장, 비밀조직의 결성, 사상단 체의 출현, 부문운동의 전개, 당재건운동의 추진 등의 단계로 1930년대 초까지 진 행되었다. 참여세력은 부침을 겪으면서도 운동선을 이어갔고 선명성도 확인된다. 다만 중심 인맥이 지역사회에서 너무 노출되어 있었고 전위조직을 결성한 신진 청년층의 사회적 역량과 경험이 미숙했다는 사실이 취약한 대중성과 함께 이곳의 사회주의 운동이 결실을 맺지 못한 요인이었다.

      • KCI등재

        한국 사회과 다문화 교육의 연구 동향에 관한 메타 분석

        강운선(Kang, Woons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과다문화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안하는데 주어져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여 년 동안 축적되어 온 사회과다문화교육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의 영역(주제), 대상, 강조하는 목표나 관점 등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학술지를 제공하는 RISS, KISS, DBpia 등의 사이트를 통해 사회과다문화교육 관련 학술지를 수집하고, 영역(주제), 대상, 목표와 관점 등의 내용을 Ucinet과 Netdraw 등의 프로그램으로 사회 연결망 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연구물에서 교육과정(47%)과 교육방법(16%)이 차지하는 비중이 60%이상을 차지하며, 목표(13.6%)와 성격(5.7%)이 차지하는 비중은 20% 미만에 이르렀다. 둘째, 사회과다문화교육의 대상은 다문화 가정을 포함하여 인종?민족이 차지하는 비중은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가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가 15% 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 종교,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셋째, 사회과다문화교육자들은 다양성 존중, 다른 문화의 이해, 반 편견, 차별 폐지 등의 목표를 강조하는 경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정의, 비판적 의식, 사회재건 등을 강조하는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history is very short. Korean people have considered Korea to be a homogeneous country for a long time. This fixed idea is changing by marriage immigration rapidly increased since 2000. As a result,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is very short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including Japan, Australia, USA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uggest some directions. I reviewed 76 articles related to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Education area which were published until October 22. 2011 in Korea. For analysis, I used quantitative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The result are following. First, curriculum has the highest percentage,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has second percenta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domain. Second, most of research subject are race/ethnic. Third, social studied researchers took perspective based on cultural pluralism empasing on diversity and anti-bias. Based on researh result, I recommend that research subject need to be enlarge the area including sex, class, disability, religion, and the marginalized in future. Also I propose that social studies researchers try to take an perspective based social reconstructionist later.

      • KCI등재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의 이념적 다면성

        오연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사회과교육 Vol.44 No.4

        In debating on ideological line,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has been simplified too progressive to be a feasible approach. It is a obstacles on general education of social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to be simplified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This make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more actualization. With two criteria, it is analyzed and is drawn a conception of learner's nature. The criteria are the openness of learner's approach social issues and the value relativism.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has value relativism as it suggest to cooperative inquiry.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has more open its contents and has the value relativism. Though the distinctive feature of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is more progressive than that of conservatives,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is some conservative.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prefer feasible publicizing social issues to social and cultural structural problems.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has more narrow contents than other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has a conservative aspect as it surrender to inquire general value, or American Creed. This study has shown that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is a multi-ideological approach with a certain conservative perspectives. Its multi-ideological line is adaptable and feasible in Public school practice.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를 다른 쟁점 중심 사회과의 성격으로 일괄적으로 평가됨으로써, 그 이념적 성격에 대하여 불충분하게 논의되거나, 분석적 논의가 미미하였다.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의 이념적 성격을 단순하게 인식하는 것은 ʻ일반 교육(general education)ʼ으로서의 장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의 이념적 성격을 명료하게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진보주의와 보수주의의 근간이 학습자 본성(leaner's nature)에 대한 관점 차이에서 비롯되며, 이와 연동된 준거들을 도출할 수 있다. 학습자에게 허용되어지거나 제안되는 사회과 교과 내용(subject matter)의 범위와 가치에 대한 상대주의 입장의 유지 정도라는 두 가지 준거로 이념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는 사회적으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쟁점을 다룰 것을 제안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폭넓은 교과 내용을 제안한다. 또한,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는 학습자가 논쟁적 맥락에서 합의된 것을 가치로운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가치 상대주의 관점을 가진다. 이들은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의 진보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는 문화나 사회 구조적 문제보다는 상대적으로 공론화하기 쉬운 사회적 쟁점을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확장적인 교과 내용 범위라고 하기 어렵다. 또한,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는 사회적 일반가치들에 대해서는 가치상대주의를 유보하며, 일반 가치의 내면화를 제안하였다. 이들은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의 이념적 보수적 국면이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는 이념적 다면성을 가지며, 이러한 다면성은 쟁점 중심 사회과가 공교육에서 수용가능성 있는 노선이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아동의 권리, 복지, 평등을 위한 미술교육 - 사회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미술교육의 맥락적 고찰 -

        김선아,안금희,전성수 한국조형교육학회 2010 造形敎育 Vol.0 No.36

        The field of arts education including art education in Korea has experienced a dynamic change in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Despite the fact that the social demands and supports for arts education has expanded, art in school has encroached due to the burden and pressure of competition. Considering this ironical situation of art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search the ways to re-define the social role of art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Extend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e ‘context’ is regarded as the flux of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in interaction of theory and practice. Thus, the discussion of the context of art education from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encompasses arts educational policies, social and educational theories and discourses on arts education. The cross-disciplinary approach of this study purports to expand the framework of art education and to provide a shifted vision for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ject a conceptual map for art education in the context of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change in Korea. Thus, the extensive theoretical research on each concepts such as identity, social justice, or welfare in association with art education should follow in the future research.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or instructional methods that would actualize the proposed objectives of art education in the social context is out of the scope of this stud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initiate further discussions on how art education can benefit diverse populations and prepare them for the future society.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의 사회ㆍ문화적 역할을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과 개념들을 관계적으로 살펴보고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맥락에서 미술교육의 방향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여러 분야의 관점들이 융합하고 통합되는 현 시점에서 미술교육의 본질적인 가치에 집중하기 보다는 미술교육의 사회적 필요성을 뒷받침하고 명료화할 수 있는 개념들을 간학문적으로 고찰하였다. ‘소수자를 포함한 모든 계층에게 제공되는 평등한 문화예술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는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형성과정과 지원사업의 방향을 통하여 미술교육에 대한 현 사회의 요구와 관심을 설명하였다. 또한 사회재건주의와 다문화미술교육에서 논의되었던 미술교육의 사회적 역할을 재조명하고 아동의 권리, 복지, 시민의식 등 사회적 이슈를 포괄할 수 있는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정책적 고찰을 토대로 평생교육, 창의성, 문화적 문해, 문화적 역량, 문화 어울림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미술교육을 재개념화하고, 사회문화예술교육에서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 관한 논의의 폭을 예술교육의 관점과 교육학적, 사회학적 개념을 통하여 확장하고자 한 시도라 할 수 있다. 급변하는 사회의 변화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미술교육에 관한 담론의 폭을 확장하고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틀 안에서 미술교육의 개념적 지도를 개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미술교육을 통한 정체성, 사회참여, 복지, 권리 등의 개념은 후속 연구를 통하여 보다 심도 있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평생의 여정으로서,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창의성 교육으로서, 문화적 문해력과 역량, 그리고 문화 나눔으로서 사회 안에서 미술교육이 실천되기 위한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술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사회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담론들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미국의 초기 사회과 전통에서Harold Rugg의 교육이념 및 실천 노력의 위상 탐색

        오연주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6 시민교육연구 Vol.38 No.3

        A Study on Position of Harold Rugg's idea and his Practice on the Context of American Earlier Tradition of Social Studies 1916년 NEA 보고서가 그 이전의 사회과 전통과 연계된 맥락적 산물이고, 여러 진영 간의 타협의 결과로서, 사회과 교과탄생의 기반으로서 핵심적 전통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1916년 보고서가 초기의 사회과 전통에서 이탈된 우연적 혹은 독보적 산물이 아닌 존재로서, 초기 사회과의 핵심 전통을 표상한다고 전제할 수 있을 것이다.2. 1916년 NEA 보고서에 표상된 초기 사회과의 합의점

      • KCI등재

        다문화 미술교육의 현황과 대안

        안혜리(Hyeri Ah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美術敎育論叢 Vol.25 No.3

        우리 사회가 본격적인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을 앞둔 상황에서, 이 연구는 국내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 미술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현재의 다문화 미술교육은 정체성 함양을 위한 전통미술에 초점을 맞춘 동화주의적 접근이 강하고,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다문화 미술교육도 축제나 의식주 관련된 민속공예 등에 초점을 맞춘 기여적, 부가적 접근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기존의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은 이국적인 문화의 다양성을 나열하는 가운데, ‘타자(他者)’의 목소리가 전적으로 배제되고 그들의 현실이 반영되지 못하다는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적 다원주의 접근과 사회재건적인 접근을 결합한 대안적 접근을 제시한다. 이 접근은 동시대 미술품을 통해 타자의 목소리를 듣는데 초점을 맞춘다. 즉 다양한 문화집단에 속한 미술가들의 작품과 거기에 반영된 그들의 이야기와 관점을 학습하는 것이다. 그런 접근의 예로서 국내 외국인 이주노동자 예술프로젝트 팀인 믹스라이스의 영상작업과 동시대 아프리카계 미국 미술가인 카라 워커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주의 경험과 그에 따른 사회적 차별과 인종차별의 경험을 다룬 수업을 제안한다. Today we are about to enter the stage of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alternative approach to the existing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hich has been operated in two ways: the one is assimilation approach that focuses teaching traditional Korean art for establishing cultural identity; and the other is global education that focuses teaching about diverse cultures around the world. The problem of the existing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s that it attempts to show only exotic aspects of cultural diveristy avoiding to listen to the other and not reflecting realities in their everyday liv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alternative approach in which cultural pluralism and social reconstructivism are intermingled. The approach also stresses that students listen to other’s stories and learn about artists from diverse cultural groups and their perspectives. For example, the study suggests art lessons focusing Mixrice’s work, ‘Mixlanguages’ and Kara Walker’s work, which deals with experiences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mistreatment towards foreign workers in Korea and displacement and racial discrimination towards the African American slaves.

      • KCI등재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의 원류를 찾아서: Harold Rugg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의 설계 및 개발 탐색

        배영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5 No.3

        Recently, our social studies educators have shown a renewed interest in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education. Because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really necessary to cultivate students’ thinking, and moreover achieve the social integration and fair society we all desire now. However, issues-centered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available for secondary schools have not been developed until now. This paper investigates Harold Rugg’s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design and development in terms of the selection, organization, and presentation of contents. Considering the school’s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contribute to solving American problems, Rugg designed and developed his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 series based upon both the social needs and the learning theories. It appears that his textbook development model is still effective in developing problem-based issues-centered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today. If we are going to develop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we will learn much from his model. 최근 국내외 사회과 교육학계에서는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학생들의 사고력을 함양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통합과 공정사회를 이루는 데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의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쟁점 중심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내용 선정과 조직 그리고 내용 제시 방식의 측면에서 Harold Rugg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의 설계와 개발에 관하여 고찰한다. Rugg는 당시에 미국 사회의 과제 해결을 위하여 학교의 사회과 교육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고, 사회적 요구뿐만 아니라 아동의 학습 심리에 부합되게 통합 사회과 교과서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그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 설계와 개발 모형은 사회문제에 기초한 사회적 쟁점의 탐구가 가능한 통합 사회과 교과서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 오늘날에 적용하기에도 거의 손색이 없다. 우리가 앞으로 쟁점 중심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를 개발한다고 할 때 Rugg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 설계 원리와 개발 방식은 눈여겨 볼만하다.

      • KCI등재

        이해를 넘어 모두 함께 사는 세상으로: 사회재건주의 미술관 교육

        이혜진(Rhee Hye J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4

        본 연구는 미술관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문화 다양성 미술교육1)의 획장으로사회재건주의 미술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화 다양성 미술교육은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이행되면서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여러 단계의 문화 다양성 미술교육 방법이 국내미술관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박물관의 초기 문화다양성 프로그램이 주로 주류 문화의 전파를 의도하였다면 미술관은 점차 우리사회에 공존하는 소수 문화 집단의 물질적 산물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들의 정신적 산물, 즉 문화적 상징과 은유에 대한 이해를 돕는 프로그램으로확장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그 밖에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운영한 문화 다양성프로그램, <어떤 시선>이 사회문제를 다루는 현대미술작품을 소개함으로써 사회재건주의 미술교육의 실현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럼으로써 사회재건주의 미술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장(場)으로서의 미술관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rt museums examining cultural diversity and social reconstruction by reviewing museums’ educational programs.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conceptions of, and emerging issues regarding, cultural diversity in art education theories were examined. While early programs in Korean museums mainly focused on educating foreign visitors about Korean culture, art museums have recently turned to helping citizens understand material inventions from other cultures that exist in and impact Korean society. Post-modern philosophy has reconsidered culture to mean a way of life. With this shift, cultural diversity programs in Korean art museums have expanded to explore cultural meanings through artworks and folk tales from other culture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an art museum can be an effective place for integrating cultural diversity into art education, with a view to addressing social reconstruction by introducing contemporary artworks related to social jus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