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자본과 범죄학이론

        신동준 한국사회학회 2010 韓國社會學 Vol.44 No.4

        사회자본 개념은 많은 사회과학자들로부터 주목을 받아왔고, 범죄학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하지만 사회자본은 개념의 지나친 포괄성과 모호성 때문에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다. 또한 사회자본 개념이 정말 새로운 개념으로서 가치를 갖는가의 문제 등으로 많은 논쟁이 이루어져왔다. 이 논문은 사회자본 개념을 활용한 범죄학 연구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사회자본 개념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사회자본이 범죄학 분야에서 새로운 개념으로서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한다. 사회자본 개념을 활용한 범죄학 연구들은 범죄학이론이 사회자본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그리고 그 맥락을 명확하게 밝혀준다. 사회자본의 긍정적 측면은 사회통제이론과 사회해체이론을 통해서, 그리고 사회자본의 부정적 측면은 차별접촉이론을 통해서 잘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자본의 이러한 이중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ㆍ사회구조적 맥락에 대해서는 아노미이론과 차별기회이론이 통찰력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본다. 이 논문은 사회자본 개념이 기존의 범죄학이론에 새롭게 기여하는 바가 거의 없다고 주장한다. 개념 통합을 통한 이론통합의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이러한 통합이 과연 논리적으로 가능하며 범죄학 발전에 대해 실질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가 존재한다. 사회자본이 학문적으로 유용성을 확보하려면 사회자본 ‘이론’을 구성하기 이전에 그 개념을 좁게 잡아 경제적 동기의 차원으로 제한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론적 지향점에 따라 사회자본 개념을 달리 활용하면서 사회자본의 맥락 의존성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 소셜미디어상의 사회적 자본과 태도의 확신성이 의견표명에 미치는 영향 : 침묵의 나선이론과 해석수준이론을 중심으로

        신동인,곽기영 한국경영정보학회 2019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이론과 침묵의 나선이론을 바탕으로 SNS 사용자들이 사회적 이슈에 대해 공개적으로 의견표명을 하게 되는 과정을 구조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해석수준이론을 바탕으로 이슈에 대한 개인의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의견표명 프로세스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SNS 사용자들의 공개적인 의견표명 동기요인을 SNS 사회적 자본, 여론분위기 일치도, 태도의 확신성으로 제시하고 각 변수들 간의 영향 관계를 가설로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SNS 사회적 자본은 여론분위기 일치도와 태도의 확신성, 공개적인 의견표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여론분위기 일치도는 공개적인 의견표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태도의 확신성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태도의 확신성은 공개적인 의견표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감은 SNS 사회적 자본과 여론분위기 일치도 간의 영향 관계를 정의 효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사회적 자본과 태도의 확신성 간의 영향 관계를 정의 효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모델에서 사회적 거리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이론을 통해 침묵의 나선이론을 보완하는 새로운 여론형성 과정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으며, 해석수준이론의 관점에서 SNS 사용자의 의견표명 프로세스를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실증하였다.

      • KCI등재후보

        조직 내 사회적 자본 개념의 재해석 -의사소통행위이론 관점을 중심으로-

        송현정 ( Hyeon Jeong So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0 HRD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내 사회적 자본 개념의 재해석에 있다. 사회적 자본은 조직 내 지식경영과 결합되어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관계적, 인지적 측면에서 지식경영 기여에 대한 그 효과성이 검증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회적 자본에의 접근은 관계에의 투자라는 사회적 자본의 본래의 이론적 기원에서 볼 때 오히려 구조 기능주의적 측면에 전착되어 관계의 행위자 즉 개인의 인지적 측면의 가치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abermas의 의사소통 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문헌분석 연구를 통하여 조직 내 사회적 자본의 가치를 다시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로 첫째 의사소통행위 이론과 사회적 자본의 연관성은 무엇인가, 둘째 의사소통행위 이론 관점의 사회적 자본 개념이 인력개발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라는 두 가지를 제기하였다. 이 분석을 위하여 의사소통행위 이론의 이해, 사회적 자본의 개념 이해 및 한계점 분석, 조직 내 의사소통행위와 관련된 문헌분석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자본의 인지적 차원에 대한 학문적 탐구는 현재는 미미하지만 사회적 자본의 증대 및 그로 인한 조직 성과 향상에 잠재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인력개발에 주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인지적 차원 사회적 자본에 대한 가치인식으로 이원적 관점의 전환, 둘째 기술적 관점과 사회적 과정 관점으로 이분화 되어 있는 조직학습이론에 소통적 학습이론의 조직학습 필요성 제기, 셋째 상황학습이나 실천공동체의 학습형태 활성화뿐만 아니라 학습내용과 이행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 제기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social capital in organization. Many studies of social capital have been conducted combined with knowledge management(KM) to show its direct and indirect effectiveness in organizations in terms of structural, relational, and cognitive levels of social capital. However, those of outcomes draw underestimates the value of cognitive level of social capital owing to concentrate on the structural-functional effect of social capital.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se and understand the value of cognitive level of social capital with perspective of communicative theory by Habermas. Based on this the research questions are (1)what relations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communicative theory are, and (2)how we can analyze out implications from the communicative theory to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we could find the potential for contributions of the cognitive levels of social capital to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its development although it is a nascent stage to appreciate its value at this moment.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a few implications are proposed. First, it can provide extended views of social capital which is limited to only two dimensions like relational and structural dimension. Second, it suggests to broaden the views of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ies which is dividend as a dichotomy approach like instrumental perspective vs social process perspective. We may consider communicative learning perspective as a comprehensive frame. Finally, we can explore the new learning content based on the importance of cognitive dimension of social capital. They may be weighing on the languages itself include narratives and discourse, and its interpretation intra- and inter-organizations for example.

      • KCI등재

        비대칭 사회와 합리적 선택이론

        이재혁(Lee, Jaehyuc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4 사회와 이론 Vol.25 No.-

        이 논문은 사회학 이론가 제임스콜만(James S. Coleman)의 합리적 선택이론과 ‘비대칭 사회론’에 대해 체계적으로 소개하는 글이다. 이른바 ‘콜만 리포트’로 사회학계 보다는 오히려 교육학계에서 더 널리 알려져 있는 콜만은 1990년 그의 합리적 이론관을 집대성한 Foundations of Social Theory를 출간하면서 사회학 이론 영역에 뚜렷하고도 강렬한 족적을 남겼다. 이 연구에서는 콜만의 합리적 선택이론을 집중적으로 소개하면서, 그의 분석적 이론체계가 갖는 보다 넓은 사상적 함의들을 추적하고자 한다. 동시에 치열한‘사회학도’로서의 콜만의 여러 면모에 대해서도 겸하여 소개하려고 한다. 먼저 1장에서는 콜만이 제기하는 사회이론의 기준을 실타래 삼아 합리적 선택이론에서의 방법론적 개체주의, 미시-거시 연계의 문제, 행위 합리성의 가정 등에 대해 주로 메타 이론적 차원에서 논의한다. 본론격인 2장에서는 콜만이 제시하는 합리적 선택론을 요약적으로 소개한다. 콜만 버전의 합리적 선택 이론이 갖는 균형론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에 따르는 분석적 강점과 함께 여러 내재적 한계들에 대해 논의 할 것이다. 이 논의는 콜만의 비대칭 사회론과 사회적 자본의 주제에 대한 논의로 이어지며, 여기서는 콜만 이론의 밑바탕에 깔린 계약론적 사상의 특성을 소개하면서 그러한 계약론적 세계관과 그의 균형론적 분석틀 간의 간극에 대해 언급한다. 마지막 3장에서는 콜만의 교육연구를 간략하게 소개하면서, 현실문제에 민감한‘사회학자’ 콜만의 면모에 대해 간략하게 스케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콜만의 비대칭 사회론이 한국 사회에 갖는 함의에 대해 고찰한다. This paper discuss in a systematic way about James S. Coleman’s rational choice theory and ‘asymmetric society’ theory. Even though Coleman has been better known as the author of so called ‘Coleman Report’ in educational science than in sociology, he made distinctly his legacy as a general theorist by the publication of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in 1990, his magnum opus of life-long theoretical work. In this study, we trace in depth about the overall framework of his rational choice theory, and discuss in a more wide perspective about the philosophical/political implications of his rationalistic theory. At the same time, we also try to sketch his figure as a genuine ‘sociologist’ who never left the touch with the real world problems. While introducing mainly about Coleman’s rationalistic framework, we also discuss about the related theoretical issues on micro-macro link, agency and structure, and the problem of rationality assumption and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one of the major contribution by Coleman in economic sociology field, are newly appreciated in terms of his ‘asymmetric society’ argument. Lastly, Coleman’s contribution to educational research is briefly introduced, which, we hope, also reveals in part his personality as a scholar.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이 지식 축적에 미치는 영향: 업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승현,이창원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11

        본 연구는 공급사슬환경에서 구매자-공급자 관계 사이 사회적 결과물인 사회적 자본이 공급자 관점에서공급사슬 관계자인 두 주체 간에 일어나는 지식축적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과정이 업종에 따라 나타나는조절효과의 영향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사회적 자본은 기존에 연구된 구매자 관점과 달리 공급자 관점에더욱 중요한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구매자-공급자 관계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급자의 관점에서 공급사슬 관계에 있어 사회적 자본과 지식축적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자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을 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그리고 관계적 자본으로 세분화하여 지식 축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기존에 연구가 부족하였던 공급자 관점의 사회적 자본과 지식 축적간의 관계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제조업과 정보통신업을 중심으로 사회적 자본과 지식 축적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요인으로 업종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공급사슬환경에서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관계적 자본 요인 중 관계적 자본이지식축적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조적 자본과 인지적 자본이 다음으로 지식축적에 높은 영향을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본과 지식 축적의 관계에 대한 업종의 조절효과는 제조업의 경우사회적 자본 중 구조적 자본과 지식축적을 제외하고, 인지적 자본과 지식축적, 관계적 자본과 지식축적의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아울러, 정보통신업은 구조적 자본과 지식축적, 인지적 자본과 지식축적, 관계적 자본과 지식축적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급사슬환경의 공급자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이 지식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이해를 넓히고, 업종에 따라 사회적 자본과 지식축적의 관계에 대한 차별화된 경영전략과 지속적인 성과 향상에도움을 줄 수 있는 공급사슬관리의 전략적 방향성이 요구된다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 study result between buyer and supplier in supply chain environment, on knowledge accumulation between two suppliers and suppliers, and the effect of moderating effects of these processes depending on industry. Especially, since societal capital has more important meaning in the supplier's perspective than the previous buyer's perspective, this study tried to prove how this relationship is realized within the buyer-supplier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in supply chain relationship from the viewpoint of suppliers. First, from the supplier's perspective, social capital is divided into structural capital, cognitive capital, and relational capital to understand how it affects knowledge accumulation. Seco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dustry as a moderating factor that can positively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centering on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in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collect data. The measurement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on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and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In addition,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path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on the research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95 manufacturing companies were 50.9%, and 188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mpanies were 49.1%. In addition, 247 companies with an average sales of less than 50 billion won accounted for 64.6%, while 292 companies with less than 500 regular workers accounted for 76.3%. In addition, the trading period with buyers was 177 with less than 10 years, 46.2%, and 53.8% with 206 with more than 10 yea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structural capital, cognitive capital, and relational capital factors of social capital in the supply chain environment, relational capital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knowledge accumulation, and structural capital and cognitive capital were the second most influential variables on knowledge accumulation.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dustry is social capital, which significantly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capital, knowledge accumulation, relation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except for structural capital, but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significantly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cognitive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relation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and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in the situation where efficient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supply chain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re required are empirically verified. Second, this study prove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knowledge accumulation from the viewpoint of suppliers, unlik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buyers. Third, it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by industry.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social capital affecting knowledge accumulation from the supplier's point of view of supply chain environment was broadened, and the strategic direc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was required to help the differentiated management strategy and continuous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according to the industry.

      • KCI등재후보

        사회 자본이 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경희(Chu, Kyounghee),신재원(Shin, Jae Won),김향미(Kim, Hyang Mi)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사회 자본은 사회학에서 시작되었으나, 그 중요성의 증대와 함께 최근에는 경제학, 경영학에서 논의되며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사회 자본은 네트워크, 신뢰, 규범이라는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사회 자본 구성요소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사회 자본은 사회 구성원간의 결속을 통해 단순히 직접적인 교환의 관계를 넘어서 보다 확장된 교환관계로의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 낸다. 사회 자본은 개인의 사회 생활에 필요하고 중요한 자산이 되며, 사회 전체 구성원들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한다. 사회 공동체 간 협력은 사회 전체에 이익을 가져다주며, 개인에게도 주변 이웃과의 교류, 상호협력, 연대감 등을 통해 이익을 가져다준다. 또한 마케팅 분야에서는 시민들의 윤리적 행동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이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자본이론 관점에서 사회 자본이 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자본이 윤리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 혹은 정부에서 보다 시민의 윤리적 행동 제고를 위해서는 사회 자본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적극적으로 시민의 사회 자본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장려해야 할 것이다. Social capital started from sociology and has been recently expanded to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with its increasing importance. Social capital has key components of social network, trust and norms. As such, social capital leads to an expanded exchange relationship which is an affirmative effect through cohesion of social members over a direct exchange relationship. Social capital becomes an essential asset for individuals’ social life and largel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whole society’s standard of living. Cooperation among social members provides benefits to the whole community and individuals also gain advantages through exchange with neighbors, mutual cooperation and social solidarity. As the importance of citizens’ ethical behavior has been highlighted in themarketing field, it has been increasingly studied. Accordingly,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the social capital’s impact on citizens’ ethical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theory. Th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ethical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government will need to provide more chances to create social capital and encourage people to actively take part in social capital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citizens’ ethical behavior. 사회 자본은 사회학에서 시작되었으나, 그 중요성의 증대와 함께 최근에는 경제학, 경영학에서 논의되며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사회 자본은 네트워크, 신뢰, 규범이라는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사회 자본 구성요소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사회 자본은 사회 구성원간의 결속을 통해 단순히 직접적인 교환의 관계를 넘어서 보다 확장된 교환관계로의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 낸다. 사회 자본은 개인의 사회 생활에 필요하고 중요한 자산이 되며, 사회 전체 구성원들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한다. 사회 공동체 간 협력은 사회 전체에 이익을 가져다주며, 개인에게도 주변 이웃과의 교류, 상호협력, 연대감 등을 통해 이익을 가져다준다. 또한 마케팅 분야에서는 시민들의 윤리적 행동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이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자본이론 관점에서 사회 자본이 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자본이 윤리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 혹은 정부에서 보다 시민의 윤리적 행동 제고를 위해서는 사회 자본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적극적으로 시민의 사회 자본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장려해야 할 것이다. Social capital started from sociology and has been recently expanded to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with its increasing importance. Social capital has key components of social network, trust and norms. As such, social capital leads to an expanded exchange relationship which is an affirmative effect through cohesion of social members over a direct exchange relationship. Social capital becomes an essential asset for individuals’ social life and largel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whole society’s standard of living. Cooperation among social members provides benefits to the whole community and individuals also gain advantages through exchange with neighbors, mutual cooperation and social solidarity. As the importance of citizens’ ethical behavior has been highlighted in themarketing field, it has been increasingly studied. Accordingly,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the social capital’s impact on citizens’ ethical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theory. Th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ethical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government will need to provide more chances to create social capital and encourage people to actively take part in social capital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citizens’ ethical behavior.

      • KCI등재

        일본진출 사례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SW기업의 해외 사회자본 축적과 재무적 성과와의 관계 연구

        남영호(Young Ho Nam) 한국경영학회 2010 Korea Business Review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 SW기업의 국제화 패턴 사례를 사회자본 이론(social capital theory)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사회자본-현지화-성과 모델을 설정하고 국내 SW기업의 해외진출의 성과에 관한 연구명제를 도출하였으며, 경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일본에 진출한 대표적인 SW 개발기업이 본사와 해외법인 간에 형성되어 있는 대내적 사회자본(internal social capital)을 활용하여서 현지 시장에서 배태적 네트워크(embedded network)를 형성하고 주요인사의 국제화 경험을 이용하여 대외적 사회자본(external social capital)을 축적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패턴매칭기법을 통하여 대내적 및 대외적 사회자본의 축적량은 현지화의 조기 달성과 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혔다. 대외적 사회자본의 축적방식이나 축적량은 기업별로 매우 상이하다는 점과 대내적 사회자본은 위생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축적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에는 대외적 사회자본의 축적량에 관계없이 현지화를 조속히 달성하기가 어렵다는 점도 분석하였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성격이 사회자본과 재무적 성과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즉 패키지성 소프트웨어의 경우에는 제품의 표준화가 잘되어 있기 때문에 서비스성 소프트웨어보다 적은 사회자본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사회자본의 축적량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영적 시사점으로 대외적 사회자본을 조속히 축적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조인트벤처의 한계 및 현지 법인장 선임의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based on the social capital theory, investigates social capital accumulated by Korean software(SW) development firms which have made considerable achievement in the Japanese market.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ocial capital and financial performance is examined.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assessing ways in which internal and external social capital can be acquired in the Japanese market. There are thre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First, it establishe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social capital and financial performance. Second, it is found that this relationship is less strong if the firm deals in packaged SW products. It is explained in terms of localization requirements. Effective sales of standardized packaged SW requires less embedded network in the market than do enterprise solutions. Third, at the early stage the internal social capital works as a hygiene factor, without which it is not easy to localize products and implement marketing strategy. Firms tried to absorb the external social capital in their own peculiar ways. One way to absorb local experiential knowledge quickly is to make strategic alliance or a joint venture with Japanese firms. However, due to Japanese market characteristics, it is not easy for Korean SW developers to make a partnership with pertinent established Japanese counterparts. Thus, experiences and network relationship of a management team play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 strong tie with Japanese partners. Hiring a local expert as a general manager of an oversea subsidiary is another way to acquire the social capital quickly but it has shortcomings.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이 유통경로 갈등해석에 미치는 영향

        박민숙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사회적 자본이 유통경로 갈등해석에 미치는 영향박 민 숙*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상생 협력을 위한 경로갈등관리를 위해 본사와 대리점 간의 사회적 자본(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관계적 자본)이 갈등을 해결해야할 과제로 인식하고 협력하려는 의도인 갈등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 방법: 문헌고찰을 통해 대리점이 지각하는 사회적 자본이 갈등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갈등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의 차원을 발견하였다. 대리점을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과 갈등해석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구조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분석 결과, 대리점이 인식하는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자본과 관계적 자본이 높은 경우에는 갈등해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인지적 자본의 경우에는 갈등해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갈등을 관리하는 첫 번째 관점인 갈등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갈등해석에 구조적 자본과 관계적 자본의 역할이 중요함을 발견하여 갈등관리 전략에 활용할 수 있다. 핵심어: 사회적 자본 이론, 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관계적 자본, 유통경로갈등 □ 접수일: 2022년 11월 11일, 수정일: 2022년 11월 29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부산가톨릭대학교 유통마케팅학과 부교수(Professor, Catholic Univ. of Pusan, Email: mspark@cup.ac.kr) Effect of Social Capital of Marketing Channelon Conflict InterpretationMinsook Park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structural capital, cognitive capital, relational capital) between the head office and agency for path conflict management on the conflict interpretation, which is the intention of cooperating and recognizing the conflict as a task to be resolved. A literature review is conducted on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perceived by agencies on conflict interpretation, and the dimension of social capital that affects conflict interpretation is discovered. A survey is conducted for agencies, and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is conducted. As a result, when the structural and relational capitals are high,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flict interpretation, and the cognitive capital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flict interpretation. The dimension of social capital that affects conflict interpretation, which is the first aspect of conflict management, can be used in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Key Words: Social Capital Theory, Structural Capital, Cognitive Capital, Relational Capital, Marketing Channel Conflict

      • KCI등재

        브랜드 개설 SNS 페이지에서의 사회적 실재감이 관계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윤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논집 Vol.22 No.4

        커뮤니케이션 환경변화와 함께 기업들은 사회적 매체를 활용하여 과거 일방적인 소통에서 벗어 나 고객과의 양방향 소통을 수행하고자 하고 있다. 특히 다수의 기업들은 페이스북 등으로 대표 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브랜드 페이지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매체 특성과 관련된 매체의 사회적 실재감이 브랜드 개설 SNS 페이지 운영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실재감이 고객 과의 관계 자본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후 관계 자본의 형성이 브 랜드 개설 SNS 페이지에 대한 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까지 확인하였다. 사회자본 이론에서 관계 자본은 신뢰와 상호호혜 규범, 동일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결 과 브랜드 개설 SNS 페이지에서 참여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실재감은 상호호혜 규범과 동일시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고, 신뢰에는 상호호혜 규범을 매개로 해 간접적인 영향 을 주고 있었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관계 자본은 브랜드 개설 SNS 페이지에 대한 태도와 브랜 드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브랜드 개설 SNS페이지가 주요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활용될 수 있 음을 제시하고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브랜드 개설 SNS 페이지 운영자들은 커뮤니케 이션 단서의 확대, 기술적 상호작용성의 증대, 메시지의 유형과 내용의 조정 등의 방법을 통해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는 노력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음을 함의하고 있다. Companies are trying to utilize social media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in an interactive way. For that purpose, many companies are establishing brand’s social media profile in SNS (social network service) where customers can interact with brand and other custom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social presence on building relational capital between brand and customers in brand’s SNS social identity(e.g. facebook fan-page). And this study also attempts to examine the positive impact of relational capital on participants’ brand-built SNS page attitude and brand attitude as well. SEM is adopted to test research model, and it shows that social presence has positive impact on three subsets of relational capital which are trust, norm of reciprocity, and identification with having either direct or indirect way. And furthermore, this study verifies the positive linkage between relational capital and brand-built SNS page attitude, and reveals the positive influence of brand-built SNS page attitude on brand attitude. The results suggests that brand social media identity can be utilized as effective marketing communication channel. And for more effectiveness, the operator should lead to a higher degree of social presence by adopting many communication cues and enhancing media interactivity.

      • KCI등재

        청소년의 비행화 과정과 유형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 가정, 학교, 친구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유경아,김병수 아시아교정포럼 2017 교정담론 Vol.11 No.2

        본 논문은 청소년의 비행과 가정, 학교, 및 친구 사회자본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서 최소 1회 이상 교내징계를 받은 경험이 있는 청소년 1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후 근거이론을 이용하여 이들의 비행 과정 및 유형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의미 있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의 부재’인 가정과 학교에서의 부정적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비행화를 가속화하고 결과적으로 비행을 촉발시킴을 알 수 있었다. 사회 자본을 토대로 청소년 비행 유형을 도출한 결과 긍정적 사회자본을 가진 ‘몰지각형’, ‘설계형’과 부정적 사회자본을 가진 ‘반항형’, ‘회피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 유형은 비행이 습관화될 수준으로 빠지기까지의 과정에서 상이한 특징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대응방법도 달라져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가족, 학교, 친구 사회자본을 형성하는 의미 있는 타인이 청소년의 행동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과의 관계형성이 청소년 비행을 억제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delinquency and family, school, and the social capital of friends. For the study, 17 adolescents with at least one in-school discipline experienc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Subsequently, grounded theory was used to determine their juvenile delinquency process and typ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egative social capital in family and school, which is the 'lack of interaction with significant others', proved to accelerate the delinquency of adolescents and consequently, it was found to be the cause for delinquency. By determining juvenile delinquency types based on social capital, these in turn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subcategories: 'lack of discretion type' and 'mapping out type' with positive social capital, 'rebellious type' and 'avoidance type' with negative social capital. Each subtype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course of delinquency until reaching a habitual level.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response method should be changed accordingly, suggesting that the role of family, school, and friends in social capital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predicting the behavior of adolescents. Furthermore, the relationships with and among these groups can be effective for suppressing or even preventing juvenile delinqu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