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쟁점 중심 사회과의 관점에서 본 사회과와 사회과학의 관계: 미국 사회과 교육계의 논쟁을 중심으로

        이태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2 사회과교육연구 Vol.29 No.3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론자들에게 사회과와 사회과학의 관계를 설정하는 일은 난해한 문제이다. 배경 학문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를 질적으로 명확하게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사회과의 정체성을 둘러싼 논쟁에서 사회과와 사회과학의 관계는 더욱 복잡해진다. 사회과와 사회과학의 관계를 탐색하는 논의를 보면, 사회과는 ‘단순화된 사회과학’으로 인식되기도 하고, ‘사회과학의 종합’으로 개념화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자 간의 단편적인 포섭 관계만으로는 사회과의 고유한 정체성을 말하기 어렵다. 사회과의 역사를 고찰하면, 사회과의 정체성 논의는 사회과학과의 관련을 유지하면서도 시민성 교육이라는 독자적인 교과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방향으로 전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은 시민성 교육에 중점을 두는 사회과를 지탱해 온 대표적인 교육 담론이다. 이들의 논리 속에서 사회과의 정체성이 보다 구체화되고 있다.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 담론을 검토하면, 사회과가 사회과학과의 공통된 토대를 공유하면서도 인문학 및 비판주의를 포섭하여 그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된다. 본고는 쟁점 중심 사회과의 관점에서 사회과와 사회과학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 구축을 시도한다.

      • KCI등재후보

        사회과에서 문제해결학습과 의사결정학습의 질적 차이: Dewey와 Engle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태성(Lee, Tae Seong)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9 사회과수업연구 Vol.7 No.2

        요약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사회과에서 실천되고 있는 문제해결학습과 의사결정학습 모형의 질적인 차이를 구분하는 데 있다. 사회과에서 문제해결학습과 의사결정학습은 Dewey의 교육 철학을 계승한 대표적인 수업 모형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두 모형의 본질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은 미진하다. 두 모형은 반성적 탐구라는 전통 속에서 개념, 교육 목표, 교수 방법에 있어서 유사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론적 차원에서 명확한 구분이 쉽지 않다. 결과적으로, 실제 사회과 수업의 실천에서 두 모형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며, 주로 각 모형을 표방하는 대표적인 학자들이 제안한 특정한 절차 혹은 단계로 구분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두 모형이 본격적으로 제기된 사회적 맥락 속에서 질적인 차이가 드러난다. 문제해결학습의 이론적 토대인 Dewey의 관점은 사회과 태동 시기의 ‘사회적 효율성’ 논의와 맞물려 있으며, 반성적 사고의 개념은 민주주의의 이상과 연결되고 있다. 의사결정학습을 촉발시킨 Engle의 생각은 20세기 중반 이후 부각된 ‘사회 비판주의’에 터하고 있으며, 방법론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의 가능성이 엿보인다. 이와 같은 사회적 토대를 바탕으로 할 때, 문제해결학습은 민주주의의 사회적 관계를 고려한 ‘문제의 다각적 이해’로, 의사결정학습은 사회 개선을 위한 ‘문제 제기’로서의 성격으로 새롭게 거듭날 수 있다. 본고에서 제안한 문제해결학습과 의사결정학습에 대한 새로운 성격이 수업의 차원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반성적 탐구의 방향성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좋은 길잡이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tinguish the qualitative differences between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models in social studies. In social studies,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models are recognized as representative instruction models that inherit Dewey s philosophy of education. Since the two models have strong similarities in concepts, educational goals, and teaching methods in the tradition of reflective inquiry,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clearly on the theoretical level. As a result, they tend to be distinguished by specific procedures or steps suggested by representative scholars. Qualitative differences emerge in the social context of the two models. Dewey s perspectiv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problem-solving model, is in line with the discussion of ‘social efficiency’ in the early years of social studies, and the concept of reflective thinking is connected with the ideal of democracy. Engle s ideas, which sparked the decision-making model, are rooted in ‘social criticism’ that has emerged since the mid-twentieth century, and have revealed the methodological possibilities of post-modernism. Based on this social context, problem-solving learning can be characterized as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problems’ for democratic societies, and decision-making learning as ‘posing problems’ for social improvement. The new nature of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in this paper suggests that both models can be understood as the tradition of reflective inquiry, while it is expected to be a good guide for instructors and learners to clearly recognize the direction of reflective inquiry at the instructional level.

      • 서양철학에서 본 공공성

        최태연 ( Tae Yon Choi ) 백석대학교 기독교인문학연구소(구 기독교철학연구소) 2008 기독교철학연구 Vol.9 No.-

        이 논문은 서양철학에서 각 시대와 사상가에 따라 다르게 사고되고 규정되어 온 `공공성`(publicness)의 개념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근대 이후 서양의 공공성 개념은 시민의 권리와 역할에 중심을 두면서 비종교화 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다시 시민사회에서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믿음이 공공성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다시 인정하게 되었다. 필자는 서양철학에서의 공공성 개념을 국가를 형성하는 시민의 정체성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할 것이다. 이 글은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단계에서는 공공성을 어원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공공성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파악할 것이다. 폴리스(polis), 퍼블릭(public), 시빅(civic) 이라는 세 단어의 어원을 살펴봄으로써 서양의 공공성 개념이 담고 있는 일반적 의미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둘째 단계에서는 서양철학사를 통해 나타났던 공공성에 대한 여러 가지 생각과 주장을 역사적으로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면서 공공성에 대한 서양철학 전반의 흐름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유형론적 분석은 다양성의 희석이라는 단점도 있지만, 체계적 파악으로 나아가는 길을 열어 주기도 한다. 셋째 단계에서는 20세기 후반의 현대 정치철학에서 논의되었던 공공성에 대한 담론을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사회비판주의의 순서로 정리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lucidate the concept of the publicness in the western philosophy. Since modern times it has been understood as the rights and role of the citizen. I define it the identity of the citizen which constitutes a state. In this article l will deal with three questions. First, what could be took through the etymological study of words on the concept of the publicness? Three words-polis, public, civic-would ope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original meaning of these. Second, How many types of this concept make an appearance in the history of the western philosophy? Such a typology could help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publicness. Third, how could be discussed three major theories-Liberalism, Communitarianism, Critical Theory" My conclusion is that the publicness become a more important concept in the modern society.

      • KCI등재

        교육행정학에서 사용되는 학교문화 개념들의 유용성과 한계

        박삼철(Park Sam-Chul)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4

        교육행정학의 문헌에 나타난 서로 다른 학교문화의 개념들은 개념적 혼란을 가져올 뿐 아니라 학교문화 연구 결과의 현장 적용에도 혼란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지금까지 제안된 다양한 개념들을 교육행정학의 3가지 주요 이론에 따라 유형화하고 이를 비교ㆍ분석하여 각 개념의 특징, 유용성과 한계를 탐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결과 체제이론의 관점은 조직을 통제하고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으나 학교의 다양한 문화적 특성 등을 분석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주관주의적 관점은 사실에 대한 깊이 있는 기술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반하여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비판주의 관점의 개념은 학교문화의 연구 영역을 넓히는 공헌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나친 가치 편향적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연구의 결과 유형화된 세 개념들은 대체로 개념들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 연구내용 및 범위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각 개념은 마치 ‘장님 코끼리’ 만지는 격으로 거대한 조직문화라는 개념의 일부분에 대한 설명력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코끼리의 실체에 근접한 개념(thick definition)을 찾는 일은 학교문화의 연구와 실제에 필수적인 전제 조건일 수 있음으로 이를 위한 계속적인 연구와 담론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ut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conceptions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ppearing in the area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do this, a theoretical framework derived from the work of Lakomski and Evers(1995) was adopted, which reflected three major theori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cluding systems theory, Greenfield's subjectivism and critical theory. Consequently, ut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concepts were examined, together with their conceptual features and mean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concepts of school culture. First, the concepts of school culture reflecting systems theory have advantages with regard to manipulating school culture and developing and transforming school organization. However, the meaning of the concepts were limited by focusing on the shared culture of school members. Second, the concepts of which the theoretical basis was largely on Greenfield's subjectivism were useful to thickly describe the cultural phenomena of a certain school. But the findings or descriptions were difficult to generalize. Finally, value-oriented approach was a clear feature of the concepts reflecting the critical approach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By focusing on the micro-political aspects of a school organization, this approach was contributed to broaden the scope of cultural studie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It is said that a concept of school culture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 incompatible with others. However,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es that each concept represents only a part of the whole concept of school culture, which remains 'blind men's descriptions of a big elephant'. As different concepts of school culture may impede research and practice, studies examining conceptual issues of school culture should continually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