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관 정체성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주관적 인식유형

        신원식,배은영 대한지방자치학회 2010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문가들의 사회복지관 정체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을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관의 조직효과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회복지관과 관련된 엄선된 40개의 진술문을 가지고 25명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Q 분류를 하게 하였다. Q 방법론을 통해 사회복지사들의 사회복지관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과 그 특성은 네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중립적인 사회복지관 운영과 직원들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통해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형,’ 둘째, 사회복지관의 운영과정은 투명해야 하고 사업대상은 전체주민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보편적 서비스 제공형,’ 셋째, 지역사회의 다양한 사회복지기관들과 연계를 맺고, 조직화하는 기능을 우선시하는 ‘통합조정 서비스 제공형,’ 마지막으로, 지역주민을 사회복지관 운영의 공동주체로서가 아니라 주로 서비스 제공대상으로 간주하는 ‘통합 사례관리 제공형’ 등이다. 지역적 특성에 부합하는 사회복지관 운영을 위해서는 필수사업의 폐지 또는 축소가 요구되고, 획일적인 사회복지관 평가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농어촌 지역의 사회복지관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찾아가는 서비스 제공이 절실히 요구된다.

      • KCI등재

        제주지역의 사회복지관 사업 실태 분석

        강세현(Kang Sei-hyon) 제주학회 2016 濟州島硏究 Vol.4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의 사회복지관 사업 실태를 분석하여 사회복지관들이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하면서 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의 종합사회복지관들을 대상으로 한 중다사례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주된 자료 수집 방법은 문헌자료이고, 분석에 사용한 문헌자료는 사회복지관이 발행하는 각종 출판물·홍보물·보고서, 홈페이지 자료 둥이다. 연구 내용은 사회복지관 관련 이론적 논의, 사회복지관별 사례분석, 종합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의 모든 사회복지관들은 서비스 제공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고, 사업 분야로는 기족기능강화, 교육문화, 지역사회보호 사업을 중요시하고 있다. 둘째, 사회복지관 사업은 농촌과 도시지역, 일반지역과 영구임대아파트단지, 운영 주체 간에 어떠한 차별성도 발견하지 못하였다. 셋째, 제주지역의 사회복지관들은 그 기능과 사업 분야에 있어 특성화되어 있지 못하고 엇비슷한 기능과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의 시시점은 이렇다. 첫째, 제주지역의 사회복지관들은 지역 특성과 주민 욕구를 적절히 반영하여 특성화된 사업을 수행하려는 노력이 요구 된다. 둘째, 여러 형태의 사회복지시설들이 경쟁하는 상황 속에서 사회복지관이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과도하게 서비스 제공 기능에 집중된 사업을 지양하고 지역조직화와 사례관리 기능의 사업을 개발하고 실천해 나기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community welfare center program in Jeju. The method I shall follow is the multiple-case study which includes several cases. The sources of evidence for data collection is administrative documents, written reports, announcements, internet data and the others.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are: First,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Jeju similarly lay emphasis on the function of service offer. The field of welfare program attach great importance to family function reinforcement education and culture welfare, community care services. Second, It is appeared that there is no evidence of difference between rural and urban communities, between rental apartment and general residence, between central operating bodies. Accordingly it is concluded that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Jeju are not specialized in the function and the field of welfare program On the basis of the major findings, we can present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First, it is need that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Jeju strive to practice specialized programs which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the need of residents are reflected. Second, it is need that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Jeju grope for a plan which develops and enforces programs focused on the function of case management and community organization.

      • 사회복지관 조직에 건강성 개념 도입의 필요성

        박경아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2 No.-

        사회복지관 조직을 대상으로 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이 조직의 효과성(organizational effectiveness)에 관한 연구였다. 조직의 효과성이란 조직목표의 달성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사회복지관 조직의 계량적 성과가 높을수록 목표달성도가 높고 따라서 효과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관 조직의 목표는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의 복지증진, 문제예방, 자립능력배양 등과 같은 추상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효과성으로는 그 측정이 어렵다. 이와 같이 산출을 계량화하여 확인하기 어려운 사회복지관 조직의 성공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조직의 건강성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조직이 어느 정도로 목표를 수행할 수 있는가를 간접적으로 판단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직의 건강성(organizational health)이란 조직이 환경변화에 잘 대처하면서 유지․발전을 계속해 나가고, 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조직의 능력을 말한다. 그런 의미에서 사회복지관 조직의 건강성이란, 조직의 구조가 유연하고 혁신성이 있으며 조직구성원이 변화하는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로써 대처하고 구성원의 직무만족도가 높으며, 급변하는 환경의 변화에 조직이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능력 있는 조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 조직을 진단함에 있어 조직의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이론으로 사회복지관 조직에 건강성 개념을 도입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The researches that have been made so far on social welfare halls have been mostly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a concept that represents the degree of achieving the objectives of organizations.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quantitative outcomes of the organizations of social welfare halls are, the higher and the more effective the degree of achieving the objectives is. However, the objectives of social welfare halls are generally abstract concepts such as the promotion of clients’ welfare, prevention of troubles, and the cultivation of self-supporting capabilities, so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achieving the objectives. In order to examine the degree of being successful in the organizations of social welfare halls, which is difficult to measure quantitatively, the degree of achieving the objectives of the organizations can be evaluated indirectly by adopting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health.The organizational health refers to th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of coping with the changes of the environment, of continuing developments, and of achieving the objectives of organizations effectively.Thus,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social welfare halls can be defined as organizations in which the structure is flexible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members can cope with clients’ changing needs with professional expertise and technology, the organizational members’ job satisfaction is high and there are capabilities to actively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Accordingly, this study explain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adopting the concept of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social welfare halls with the basic theories to examine the capabilities of organizations in diagnosing the organizations of social welfare halls.

      • 사회복지환경변화에 따른 사회복지관역할의 재정립방안 : 성남시 사회복지관과 다목적복지관의 역할을 중심으로

        윤춘모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2007 사회복지지원학회지 Vol.3 No.1

        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일정한 시설과 전문인력을 갖추고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와협력을 통하여 지역사회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 종합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최근 사회복지환경변화에 따른 주민들의 사회복지욕구가 날로 다양화되고 증대되고 있으며 지역단위로 제공되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성남시의 사회복지관과 다목적복지관을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는 사회복지환경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사회복지관과 다목적복지관역할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사회복지관과 다목적복지관역할의 재정립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종합사회복지관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실무자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권오균,조당호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3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1 No.-

        In this study, the fast-paced changes in the social welfare function and role of the environment with respect to getting a serious challenge to the status of a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based on the actual situation and suggest ways to improve study. 5 Methods of Social Welfare Center in Seoul practitioners one by one each of the institution has been selected for an interview was conducted for 1 hour . Looking at the results , first ,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a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projects and the difficulty , it was suggested improvements for solving . In other words, the area of ​​Social Welfare Center recently organized business community, the trend in the village , town development , and the like. However, these projects are i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local government unilaterally closed end is taking a lot of progresses in Korea. To solve this problem, build the necessary infrastructure for projects and funding should be made practical . Second,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risis, identity , and expertise in Kore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last five business areas into three business function switch was made.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expertise and identity of the remote situ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Center in order to perform a given role and identity are clearly the nature of the agency shall be This requires a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and labor organizations for a comprehensive restructuring and innovation is neede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Social Welfare Center is not fit Korea. In order to solve this network of residents should be organized and well-being , it must be done through creating a welfare village , local social capital, social network formed through the practice of community welfare through the practice of substantiality should be .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복지환경 변화에서 기능 및 역할에 대하여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는 종합사회복지관의 실태 및 현황을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소재 5개 종합사회복지관의 실무자가 기관별 각각 1명씩 선정되어 1시간 정도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환경변화에 따른 종합사회복지관의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최근에 종합사회복지관의 지역조직화 사업의 추세는 마을 공동체, 마을 만들기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들이 지자체의 일방적인 계획 및 추진으로 진행됨에 따라 많은 폐단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업추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고, 실질적인 예산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종합사회복지관의 정체성 및 전문성이 위기를 맞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5대 사업영역에서 3대 사업기능으로 전환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종합사회복지관의 전문성 및 정체성 확립은 먼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합사회복지관의 지역 내에서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관의 성격과 정체성이 분명하게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종합사회복지관의 조직 및 인력에 대한 포괄적인 구조조정 및 혁신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의 특성에 맞는 종합사회복지관이 없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민조직화 및 복지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하며, 이를 통해 복지마을 만들기가 이루어져야 하고, 지역사회관계망을 통해 형성된 사회적 자본을 통한 지역복지실천의 내실화를 실천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의 사회복지관 이용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전주람,김성미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s the utilization experience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among North Korean middle-aged female defectors. Un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arranged with 5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ho met the criteria for the present research purpo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utilization experiences of social welfare in South Korea into four main clusters of themes which may be labeled as (1) Looked after Strangers-Material Benefits, Depend on Community Welfare Center Psychologically, Life Guide, (2) Recovering Me-Healing of Mind and Cleansing Feeling, Feeling like a Child, (3) Changing Me-Self-Understanding, Awareness of Recognition, New Type of Communication, (4) Expectations as a Stranger-Free from Disapproving Manners, Sorriness about the welfare administration. In all there are ten sub-themes to consider.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presented some conclusions on the utilization experience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among north korean middle-aged women defectors. We also presented som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on welfare services and future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 이용경험을 지닌 40-50대 북한이탈 중년여성 5명을 대상으로 사회복지관 이용경험이 어떠한지 질적사례연구법으로 접근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 중년여성 5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연구자들은 면담의 전사록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사회복지관 이용경험과 관련하여 언급한 진술문들만을 발췌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의 엄격성을 확보하기 위해 친밀한 관계형성, 삼각검증법, 자료의 다원화 세 가지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40-50대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의 사회복지관 이용경험은 ‘돌보아지는 이방인’, ‘회복되는 나’, ‘변화하는 나’, ‘이방인으로서의 기대’ 4개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돌보아지는 이방인’은 물질적 혜택, 심리적 의지처, 생활 가이드 3개로, ‘회복되는 나’는 마음의 치유와 감정 정화, 동심으로 2개로, ‘변화하는 나’는 자기 이해, 인식의 깨어짐, 새로운 소통 방식 3개로, ‘이방인으로서의 기대’는 따가운 시선에서의 해방, 복지 행정의 아쉬움 2개 총 10가지의 하위범주로 나뉘었다. 결론의 내용을 요약하면, 첫째,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은 사회복지관을 이용 하며 물질적·심리적으로 돌보아지는 경험을 하며 그들의 정착에 사회복지사는 중요한 생활 가이드 역할을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은 사회복지관 이용을 통해 상처의 치유와 감정 정화의 기회를 갖고, 북한에서 경험해보지 못한 즐거운 활동들을 통해 어린 아이와 같은 동심의 세계로 이동하여 심리적으로 회복되어져 가는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은 사회복지관 이용을 통해 자기 이해의 향상, 인권, 복지 등 인식의 깨어짐, 새로운 소통의 방식 배움을 경험하여 변화된 자신을 발견하였다. 넷째,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은 사회복지관을 이용하며 따가운 시선에서의 해방되기를 복지 행정이 보다 체계적이고 자신들의 욕구에 적합한 프로그램들로 구성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의 사회복지관 이용경험에 대한 결론을 제시하였고,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의 사회복지관 이용과 관련하여 몇 가지 이론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관 설치를 위한 수요추정 방법과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오민수,김주연 한국지방행정학회 2023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reasonable and simple application methodology to help calculate the appropriate supply of social welfare centers in local governments. To this end, a demand estimation model was derived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on facility supply and the minimum standards for basic living infrastructure supply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social welfare center supply estimat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was set with four main variables. First, the actual demand for social welfare centers was counted as potential targets, centering on the low-income and vulnerable class, and then set as the demand for facilities. Second, it was set as a capacity variable that can be used in one social welfare center, centering on the annual available population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Third, the average moving distance between the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and the social welfare center was set. This is a variable considering accessibility. Fourth,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social welfare centers was set to consider spatial equity. Based on these four variables, Seongnam City was applied as a case study, and the appropriate number of social welfare centers with a population of 920,000 was derived as 14. The strength of this study is that first, the capacity of social welfare centers was considered in the model. Second, local governments can use it simply. 본 연구의 목적은 시군구에서 사회복지관의 적정한 공급량을 산정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합리적이면서도 간명한 적용방법론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회복지분야 기존 시설 공급에 대한 방법론을 검토하였으며, 국토교통부의 기초 생활 인프라 공급 최저 기준 등을 검토하여 수요추정 모델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사회복지관 공급의 추정 모델은 4가지 주요 변수로 설정하였다. 첫째는 사회복지관의 실 수요를 저소득 및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잠재적 대상자로 집계한 후 이를 시설물의 수요로 설정하였다. 둘째는 사회복지관에서 연간 이용가능한 인구를 중심으로 1개 사회복지관에서 이용이 가능한 역량 변수로 설정하였다. 셋째는 사회복지관과 지역의 중심부로부터의 평균이동거리를 입지할당 측면에서 고려하였다. 넷째는 사회복지관 간 이격거리를 설정하여 공간적 형평성을 고려하였다. 이 네 가지 변수를 토대로 사회복지관의 수용역량을 기준 값으로 설정한 후 사회복지관과 중심부 간 이격거리 소요 시간, 사회복지관 간 이격거리 소요시간을 계수로 적용하여 해당 지역의 적정 사회복지관 수가 산출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추정 모형의 적용을 성남시 사례로 적용하였으며 인구 92만에 적정한 사회복지관 수는 14개소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선행연구에서 한계로 지적되었던 서비스제공의 역량을 고려하면서도 지방자치단체에서 간명하게 활용할 수 있는 수요추정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비행 청소년에 대한 지역사회복지관의 개입과 사회복지사들이 겪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의사소통의 접근과 가족사업의 필요성에 관하여

        곽미정,금상욱,송윤희,김종범 대한지방자치학회 2016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관의 비행 청소년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에 관하여 사회복지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살펴보고, 이에 대한 현장의 실태 및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살펴보고자 하는 취지아래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비행 청소년에 대한 사회복지관의 활동에 대한 접근체제의 효과성 및 개입사례를 통한 현장 실무자의 목소리를 담음으로써 지역사회에서의 청소년 문제를 점검해 보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K 사회복지관의 청소년 실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 두 명과 사회복지관의 행정체계 일반을 담당하는 한 명의 사회복지사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작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이 담당하는 청소년 문제에 대한대처와 효과는 청소년 문제에 대하여 가족, 지역사회가 협동적으로 개입함이 필요함을인식하는 관점이 필요하다. 청소년들이 지역사회복지관의 지지자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긍정적인 경험 및 인식이 중요하며, 이에 지역사회복지관은 가족과 청소년의 욕구를파악하여 전문가로서의 지역체계의 구심점 및 중간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학생에게는 수용적인 자세가 학부모에게는 전문적인 상담역량도 필요하며 기관간의 연계성이 중요하다. 둘째, 지역사회복지관을 찾는 청소년들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지로써 비행 청소년에 대한 사회의 수용적인 인식이 필요하며, 이들에게 지역사회의 건강하고 다양한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그들 스스로 심리적으로 건강한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청소년들의 지역 사회적 차원의 지지를 위하여 요구되는 대안으로 이들비행 청소년들에 대한 일시적 서비스가 아닌 지속적인 사례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사회복지관과 학교 및 제반체제와의 연계 활성화와 청소년들의 지역사회활동을 통한 사회교육과 성장도모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vention provided through local community welfare offices on problematic behaviors of troubled adolescents based on an extensive interview of relevant welfare staff in a local office. The interview is conducted to examine the status of and/or the problems faced by these officers in the field and to propose possible resolutions to these proble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troubled adolescent problems in a community are re-examined focusing on the proposal based on the effect and case studies of access system for intervention on troubled adolescents provided through local community welfare offices. This study is completed through a series of interviews of two welfare officers responsible for Community Youth Affairs and of one welfare officer in charge of General Administration System in Kwachon Welfare Offic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n apparent need for approaching from family and/or community perspectives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and manage the youth problems faced by the local community welfare offices. For these problems it is important that the youth have the positive experience and outlook so as to readily utilize the support resources available in the local community welfare offices, and that the local community welfare offices have the sufficient means to link and to facilitate the family and the youth demands. Second, to the youth coming to the local community welfare offices the community’s open and accepting attitude towards the troubled adolescents becomes important actually allowing them to utilize various resources and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so that be they can be healed emotionally on their own. Third, there is a need for continued management of the troubled youth study cases as an essential response at the community level support. It is hoped that the studies such as this serve to improve the linkage among the local community welfare offices, the schools and other support systems and to enhance the social education and growth through the youth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 사회복지관 지역조직화사업 슈퍼비전 실태와 발전 방안 연구 - B사회복지관 사례를 중심으로 -

        권현진 ( Hyun-jin Kwon ) 한국사회복지슈퍼비전학회 2016 슈퍼비전과 실천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 지역조직화 기능에 대한 슈퍼비전 발전방안을 모색하여 사회복지관이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정체성을 찾고, 전문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관 중에서 지역조직화 기능을 우수하게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B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사회복지관 슈퍼비전 지침, 시행 체계 등을 조사하고, 2012년부터 2014년의 3년간의 지역조직화 기능에 속하는 사업내용에 대한 슈퍼비전 실시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B사회복지관의 중간관리자 이상의 사회복지사 5명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지역조직화 기능에 대한 슈퍼비전 내용 및 경험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조직화 기능에서의 사회복지 슈퍼비전은 외부 슈퍼비전와 내부 슈퍼비전이 모두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내용에 대한 상호 협의나 협약이 없는 상태였으며, 슈퍼바이저의 욕구와 슈퍼바이지의 욕구에 기반한 공통된 슈퍼비전 내용 도출 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사회복지관의 지역조직화 기능에 대한 슈퍼비전 발전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help social welfare centers find its identification in practices of local social welfare and ensure specialty by seeking how to develop supervision on local systematization function. To this end, I researched supervision instructions and implementation system, etc. on B Social Welfare Center, which is known for its excellent operation in terms of local systematization. For three years between 2012 and 2014, I analyzed supervision practices on the function of local systematization. In addition, I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on five social workers at the level of a middle manager or higher about supervision contents and experiences. As a result, it turns out that social welfare supervision on the function of local systematization is conducted through both external and internal supervision. However, there has not been a discussion or agreement on its contents, and it has not reached to a stage where common supervision contents are drawn based on both a supervisor and supervisee`s desire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making suggestions on how to develop supervision on the function of the local systematiz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