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노인의 사회관계망을 측정하는 도구의 타당화 연구: Lubben 사회관계망 척도(LSNS-18)
김용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1
노인의 사회관계망은 사회참여, 자원에 대한 접근성, 삶의 질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노인의 사회관계망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노인이 관계망 내 사람들과 맺는 교류의 내용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노인의 사회관계망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측정되었으며 표준화된 방식으로 측정되지 않은 문제점을 보였다. Lubben 사회관계망 척도(LSNS-18)는 노년기 사회적 관계의 주요 대상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다수의 연구에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받아 온 표준화된 사회관계망 척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사회관계망 측정을 위해 널리 사용되어 온 Lubben 사회관계망 척도(LSNS-18)의 한국어판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경기도 OO시에 거주하는 514명의 노인이 참여하였다. 한국어판 Lubben 사회관계망 척도(LSNS-18)에 대한 평가는 매우 양호하였다. 첫째, Lubben 사회관계망 척도(LSNS-18)의 요인구조는 영어판의 요인구조와 동일하였고, 둘째, Lubben 사회관계망 척도(LSNS-18)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우수하였으며, 셋째,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된 척도의 수렴타당도가 양호하였고 판별타당도 또한 확보되어 각 요인이 서로 잘 구별되었다. 마지막으로 보건복지 분야 연구와 실천을 위해 한국어판 Lubben 사회관계망 척도(LSNS-18)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Since social networks in the elderly influence their social participation, accessibility to resources, and quality of life, it is very important to measure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dimensions of social networks of the elderly. Social networks have been measured in many different ways and it has been rare to use standardized instruments to measure the concept in previous studies. The Lubben Social Network Scale is a standardized instrument which includes relatives, friends, and neighbors who are key people for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an expanded version of the Lubben Social Network Scale (LSNS-18). A total of 514 elderly people residing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LSNS-18 were satisfactory. The Korean version of the LSNS-18 had the same factor structure as its English counterpart and showed satisfactory level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Finally, this study suggests how to use the Korean version of the LSNS-18 for research as well as practice in the fields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임문정(LIN WENTING),남윤재(Nam, Yoonja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8 문화산업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중국의 대표적 SNS 중에 하나인 시나 웨이보를 이용하는 중국 연예인들이 온라인 내에서 어떻게 사회관계망을 구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사회관계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1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시나 웨이보 공식 차트에 등록된 270명의 중국 대륙, 대만, 홍콩 출신 연예인들의 연애인들 간의 팔로우 현황, 페이지 팬 수, 연예인의 출신지역, 연령, 직종 등 정보를 수집하고, 네트워크 구조상에서 연결정도 중심성과 근접 중심성을 산출하였다. 사회관계망 분석결과는 270명 연예인 중 중국 연예계 네트워크의 중심 역할을 하는 세부 직종은 예능 프로그램 진행자 이며, 대만 출신 연예인들이 중국 대륙이나 홍콩 출신 연예인보다 적극적으로 온라인 인맥관리를 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웨이보 차트에서 인기가 높은 연예인과 팬 수가 많은 연예인들이 중국 대중문화산업 내 온라인 사회관계망 내에서도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연예인들의 사회관계망에 대한 연구로서, 중국 대중문화산업의 생산부분의 주체에 대한 직접적이면서도 포괄적인 연구로서 의미가 있으며, 중국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SNS중 하나인 웨이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서, 중국 내 온라인 네트워크 현황과 대중문화와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중국의 전통적인 인맥관리가 어떻게 온라인 사회관계망에 적용되어 지는지를 확인 할 수 있게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social network of Chinese celebritieswho were using SinaWeibo, whichwas one of themost popular Chinese Social Network Services. From November 2015 to March 2017, this research collected celebrities’ data, including their following status, follower numbers, original regions, ages, and occupations, from the Weibo popular chart. The result showed that among those 270 celebrities, entertainment show hosts were at the center of the network and Taiwanese celebrities were more willing to connect with other celebrities to build relationships in the network.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ose who had high ranks in the popularity chart or more followers were relatively central in the network. Through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his study tried to describe a current situation of one of themain producing parts of Chinese culture industry, and explain howSNS can reflect Chinese traditional social relationships. 본 연구는 중국의 대표적 SNS 중에 하나인 시나 웨이보를 이용하는 중국 연예인들이 온라인 내에서 어떻게 사회관계망을 구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사회관계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1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시나 웨이보 공식 차트에 등록된 270명의 중국 대륙, 대만, 홍콩 출신 연예인들의 연애인들 간의 팔로우 현황, 페이지 팬 수, 연예인의 출신지역, 연령, 직종 등 정보를 수집하고, 네트워크 구조상에서 연결정도 중심성과 근접 중심성을 산출하였다. 사회관계망 분석결과는 270명 연예인 중 중국 연예계 네트워크의 중심 역할을 하는 세부 직종은 예능 프로그램 진행자 이며, 대만 출신 연예인들이 중국 대륙이나 홍콩 출신 연예인보다 적극적으로 온라인 인맥관리를 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웨이보 차트에서 인기가 높은 연예인과 팬 수가 많은 연예인들이 중국 대중문화산업 내 온라인 사회관계망 내에서도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연예인들의 사회관계망에 대한 연구로서, 중국 대중문화산업의 생산부분의 주체에 대한 직접적이면서도 포괄적인 연구로서 의미가 있으며, 중국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SNS중 하나인 웨이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서, 중국 내 온라인 네트워크 현황과 대중문화와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중국의 전통적인 인맥관리가 어떻게 온라인 사회관계망에 적용되어 지는지를 확인 할 수 있게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social network of Chinese celebritieswho were using SinaWeibo, whichwas one of themost popular Chinese Social Network Services. From November 2015 to March 2017, this research collected celebrities’ data, including their following status, follower numbers, original regions, ages, and occupations, from the Weibo popular chart. The result showed that among those 270 celebrities, entertainment show hosts were at the center of the network and Taiwanese celebrities were more willing to connect with other celebrities to build relationships in the network.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ose who had high ranks in the popularity chart or more followers were relatively central in the network. Through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his study tried to describe a current situation of one of themain producing parts of Chinese culture industry, and explain howSNS can reflect Chinese traditional social relationships.
임윤수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3 Law & technology Vol.9 No.1
사회관계망서비스는 익명성을 특징으로 하는 통상의 인터넷 서비스와 달리 이용자 스스로 개인정보를 적극 공개한다는 측면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의 우려가 상존한다. 특히 사회관계망서비스 제공자가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수집, 처리, 분석하여 Target Marketing에 활용하고 있는 점은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또 다른 위험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사회관계망서비스 이용자의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된 제도적 문제점과 법적 쟁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적용 법률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보보법 제정 이후 주무부처간의 해석차이로 사회관계망서비스 제공자에게 어떤 법률이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나 법해석의 일반원칙에 따라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에게 적용되는 정보통신망법이 특별법으로 우선 적용되고 동법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경우 보충적으로 일반법인 개인정보보호법이 적용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개인정보의 법적 개념 역시 법규정상의 모순으로 인해 명확한 개념 규정이 쉽지 않은 상황이며 이에 대한 연구 또한 부족한 상황이나 사견으로는 개별 정보는 다른 정보와의 조합 또는 결합에 의해 그 식별력을 갖게 된다는 점에서 특정 정보가 개인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결합의 용이성이라는 규범적 해석기준을 통해 판단해야 할 것으로 보이고, 결합의 용이성은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을 고려하여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다음으로 사회관계망서비스 제공자가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Target Marketing을 하는 것은 허용된다 하더라도 필요최소정보수집의 원칙이 적용되어야하며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생성정보 수집툴의 활용 등과 관련하여 이용자에게 명확히 고지하고 사전 동의를 받아야 할 것이다. 또한 이용자의 개인정보 수집은 원칙적으로 이용자의 동의를 전제로 함이 원칙이며 관련 법령에서 예외적으로 이용자의 동의 없는 개인정보 수집을 허용하는 경우에도 이용자의 입장에서 그러한 개인정보의 수집이 예견 가능한 것이었는지 여부, 사전 동의절차 이행의 용이성, 사회관계망서비스 제공자의 정당한 이익과 이용자 개인정보보호의 필요성의 적절한 이익형량 등의 요건 등을 고려하여 신중히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정보통신망법상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은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의 개인정보 이용 목적, 제공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의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등을 모두 고지하고 개별적으로 동의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어 사회관계망 서비스 제공자가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판매, 양도, 대여, 열람하게 하는 등의 소위 개인정보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은 사실상 금지되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개인정보의 국외 이전은 정보통신망법의 규정상 이용자의 동의를 요한다고 해석할 수밖에 없으나 개인정보보호법 규정의 취지, 실무적인 측면 등을 고려할 때 개인정보 국외이전의 경우 예외 없이 이용자의 동의를 필요로 한다는 정보통신망법의 규정은 다소 문제의 소지가 있어 보인다. 개인정보와 관련된 쟁점들은 최근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대형 개인정보유출 사고와 개인정보보호법의 시행 등으로 그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의 적용 범위, 해석 기준 등이 통일되어 있지 못할뿐만 아니라 실효성 있는 개인정보 보호 대책 또한 제대로 수립되어 있지 못한 형편이며 이와 관련된 학계의 연구나 실무적 관행 수립 또한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부디 조속히 학계의 연구와 법률 개정 등이 이루어져 사회관계망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의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율할 수 있는 실무 관행이 정착되길 바란다. Unlike other general internet services, which feature anonymity,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arouses concern over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at the users of the SNS actively disclose theirown personal information. In particular, SNS providers’act of collecting, processing and analyzing personalinformation of SNS users and using such information for their target marketing is another risk factor for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of SNS users. In this regard, the institutional problems and legal issuesarising in connection with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f SNS users have been addressed below.First,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PIPA”) has been enacted as a general law concerning personalinformation; however,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on the laws applicable to SNS providers due to adiscrepancy in interpretation among competent agencies. Nonetheless, it would be reasonable to deem that the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APIC”) which is applicable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first applies as a special law,and then the PIPA supplementarily applies as a general law if there is no particular provision in the APIC, inaccordance with the general principles for the interpretation of law. Second, it is not easy to clearly define thelegal concept of personal information due to contradiction among legal provisions, and research thereon has notbeen actively progressed. Personally, judgment on whether or not certain information falls under personalinformation should be rendered based on the criterion for normative interpretation, namely easiness ofcombination, because individual information becomes discriminable when it is mixed or combined with otherinformation; and easiness of combin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aking into account both objective andsubjective aspects. Next, even if SNS providers are allowed to conduct target marketing activities by usingpersonal information of SNS users, the principle of collection of minimum information required is still applicableand SNS providers are required to plainly notify the users of the coll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andthe use of information collection tools and then obtain prior consent from them. Moreover, personal informationof SNS users must be collected on the premise that the SNS users have consented to such collection, inprinciple. Even in the case where personal information is allowed to be collected without consent of users underapplicable laws as an exception, predictability of such collection, easines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procedure for prior consent, appropriate balancing of interests between the legitimate profit of SNS providersand the need of personal information of SNS users, and other requirements must be considered from the pointof view of the users. In addition, the APIC stipulates that ever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hall, whenever it intends to furnish a third party with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notify the user of theperson to whom the personal information is furnished, the purposes of us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erson to whom the personal information is furnished, the item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furnished, and theperiod of time during which the person to whom the personal information is furnished will possess and use thepersonal information, and shall obtain consent from the user. As such, it should be deemed that SNS providersare actually prohibited from conducting so-called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marketing activities, includingsale, transfer, lease or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of SNS users to many and unspecified persons. As tooverseas transfer of personal information, there is no choice but to see that overseas transfer of personalinformation requires consent of the user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ursuant to the provisions of the APIC.However, in view of the spirit of the PIPA, practical perspectives, etc., the provisions of the APIC requiringconsent of users for overseas transfer of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exception seem to be controversial.There is a rising interest on the issues relating to personal information along with the enforcement of the PIPA;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pare realistic and effective measure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because thescope of application and the criterion for interpretation of the PIPA and the APIC are inconsistent and theprovisions of each law are ambiguous and thus can be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Public awareness about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as been greatly raised due to the occurrence of a series of full-scalepersonal information leakages; however, academic research and business practices have not yet beensufficiently developed. I hope that academic research is made, relevant laws are amended, and other measuresare taken as soon as possible so that business practices that can mediate between the interests of SNSproviders and those of SNS users are established.
곽세열 한국청소년학회 2024 청소년학연구 Vol.31 No.8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성격장애 척도를 활용하여 어떤 사회관계망 특성이 성격장애 경향과 관련되는지 탐색하고자 했다. 대학교 기반에서 모집된 191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밀론 다축 임상성격검사(Millon Clinical Multiaxial Inventory-IV)와 사회관계망 설문 자료가 수집되었다. 사회관계망 설문에서는 사회관계망의 크기와 가장 가까운 3인과의 질적 관계 특성을 조사했다. 요인분석 및 주성분 분석 절차를 통해 3개의 성격요인 점수(부정적 자기감, 고양된 자기중심성, 비우호성)와 8개의 사회관계망 패턴(관계강도, 불편감, 도구적 대상화, 과도한 관여 등)들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상호작용에서 느끼는 불편감과 정신화의 어려움, 심리적 단절과 같은 사회관계망 특성은 세 가지 성격 요인에 걸쳐 비교적 일관된 정적 관련성을 보였다. 반면, 사회관계망의 친사회적 상호작용의 강도는 성격 요인의 부정적 자기감과는 부적 관계를, 고양된 자기중심성 요인과는 정적 관계를 보였다. 또한 확인된 대부분의 관련성들은 우울, 불안, 양극성 증상의 효과를 통제한 이후에도 일관되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에 분포하는 부적응적 성격 특성이 사회관계망의 다양한 특성으로 반영됨을 보여주는데, 특히 연구 결과는 관계망의 크기가 크거나 관계 강도가 강한 것보다는 관계 내 불편감 및 과도한 관여 경향, 관계 단절의 이력이 다양한 성격장애의 경향과 일관되게 관련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Interpersonal dysfunction is recognized as a key feature that distinguishes typical mental disorders from personality disorder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ether syndromes of personality disorders correspond to common and specific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Data were collected from 191 university-based participants in South Korea,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illon Clinical Multiaxial Inventory-IV (MCMI-IV) and a social network survey. The social network survey assessed the size of social networks and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losest three individuals. After data reduction, three personality factor scores (negative self-esteem, narcissistic self-centeredness, hostility) and eight social network patterns (relationship intensity, discomfort, instrumentality, excessive involvement) were extracted. The results showed that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such as discomfort in interactions and difficulties in mentalization consistently correlated with the three personality pathology factors. In contrast, the strength of prosocial interactions exhibited opposite relationships with personality factors of negative self-esteem and self-centeredness. Furthermore, most of these relationships remained consiste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and bipolar symptom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traits of personality disorders are reflected in dysfunctional characteristics within social networks.
홍성덕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5 No.-
본 연구는 근현대 전환기 유학자의 사회관계망 분석과 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 시론적인 글이다. 식민지배와 함께 한국은 탈유교사회로 전환되었다. 식민지 근대는 전통의 해체를 요구하였고 전통의 해체는 유교문화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했다. 그럼에도 전통적 유림이 유교문화를 배척한 것은 아니었다. 사회가 근대사회로 재편되는 과정에서도 유학자는 사회관계망 형성을 통해 유학의 계승을 놓지 않았다. 탈유교사회 속에서 삶을 영위한 유학자들의 사회관계망 분석을 통해 근대 한국사회에서 유교의 본질과 위상이 어떠했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조선 유학의 지형도를 분명히 할 수 있고, 근현대 유학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현대 한국사회에서 유학이 가지는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탈유교사회에서 유교문화가 가지는 규범성이 파악하고 21세기 건강한 한국사회를 위한 유학의 기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사회관계망 분석은 유학자의 개인 문집에서 관계형성자를 추출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사회관계망 분석은 시계열적으로 재배열되어야 하며, 유학자의 지리 정보와 인적 네트워크 형성의 관계를 밝혀야 한다. 유학자와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 밀집도를 파악하기 위한 증거 자료를 제시해야 하며, 관계의 위계성 여부로 검증되어야 한다. 유학자 사회관계망 시스템에는 기본적으로 근현대 유학자뿐 아니라 일반 사람들의 인적 정보가 축적되어야 하며 출처정보가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시스템은 인명DB와 출처DB를 중심으로 설계되고 유학자 상호 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유형 분류와 기술(記述) 내용이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불특정의 두 유학자가 상호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분석해 시각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근현대 유학자에 대한 정보는 전근대보다 상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내용이 많다. 따라서 시스템은 확장과 변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This paper is a kind of an essay to suggest the directions to analyze social networks of Confucian scholars in modern and contemporary era and construct the appropriate system for the study. With the beginning of Japanese colonial ruling, Korea became a post-Confucian society. The colonial modern times required deconstruction of Korean traditions, which forced Korea to get out of its Confucian culture. However,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didn’t exclude their Confucian culture. Even in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as a modern society, the scholars didn’t give up inheriting Confucianism constructing their own social network.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social network in the post- Confucian society,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essentials and status of Confucianism at that time. With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e topographical map of Joseon’s Confucianism more clearly, and change the studying paradigms of modern and contemporary Confucianism. In addition, we may understand the diversity that the Confucianism has in contemporary Korea. Further, understanding the canonicity of Confucian culture in the post-Confucian society, we can suggest the functions of Confucianism for the healthy Korean society for the 21st century. The social network analysis begins from extracting relation-promoters from scholars’ personal anthologies. Social network analysis should be rearranged according to time series, an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each scholar and the relations of personal network formation should be clarified. Further, corroborative data to understand the relation density among scholars should be suggested, and they should be verified upon the hierarchy of relationships. In the Confucians’ social network system, there should be included human information of both modern and contemporary scholars and common people, and the information of the sources should be provided as well. For this, the system should be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database of names and their sources, and categories of types and description explaining mutual relationships among scholar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how two unspecified scholars could be linked should be analyzed and provided visually. In fact, inform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scholars is rather difficult to get than that of premodern scholars. Thus, the system should be designed to be expanded and changed more easily.
폐경기 여성의 호르몬 대체요법 여부에 따른 폐경과 노화에 대한 태도, 사회관계망 및 삶의 질 비교
한상숙,최정순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7 No.1
Background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HRT) upon menopausal women’s attitude towards menopause, aging and quality of life.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group is divided into HRT and Non-HRT group. The variables tool used in this study were attitude towards menopause, aging, social network and quality of lif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C 12.0 for x²-test and ANCOVA.Results : The HRT group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menopause (F=31.14, p〈.001), aging (F=138.93, p〈.001) and quality of life((F=265.09, p〈.001). And the conflict of social network in the HRT group was lower than in the Non-HRT group(F=742.50, P〈.001). But the support of social network in the HRT group was higher than in the Non-HRT group(F=125.02, P〈.001).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HRT helps postmenopausal women to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menopause and aging, and also to promote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network in postmenopausal women. 연구배경 : 최근 들어 폐경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인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호르몬 대체요법이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폐경기 여성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폐경기와 관련된 신체 및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인 역할 면에서의 치료효과를 평가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페경 전후의 비교연구로 호르몬대체요법을 받는 여성과 받지 않는 여성에 대한 비교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경기 여성을 위한 호르몬 대체요법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폐경과 노화에 대한 태도와 사회관계망 기능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지를 확인하여페경기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05년 7월~2005년 10월까지 서울시내에 위치하고 있는 1개 종합병원에서 45세~59세의 폐경후기 여성 중 호르몬대체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을 받고 있는 119명과 호르몬대체요법을 받지 않는 호르몬비대체요법(Non-HRT)군 109명으로부터 삶의 질, 폐경과 노화에 대한 태도 그리고 사회관계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군 간의 동질성검정은 x²-test, 폐경과 노화에 대한 태도, 사회관계망 및 삶의 질에 대한 비교는 ANCOVA로 분석하였다. 결 과 : HRT군은 Non-HRT군보다, 폐경(F=31.14, p=〈0.01)과 노화(F=138.93, p〈0.001)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또한폐경기 여성의 사회관계망 지지는 HRT군이 Non-HRT군(F=125.02, p〈0.001)보다 더 높게, 사회관계망 간의 갈등(F=742.50, p〈0.001) 은 더 낮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삶의 질(F=265.09, p〈0.001)도 더 높았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폐경기 여성을 위한 호르몬대체요법(HRT)군이 호르몬비대체요법(Non-HRT)군보다 폐경과 노화에 대한 태도, 사회관계망 기능 및 삶의 질에서 더 긍정적임이 확인되었다.
한국 노인의 사회관계망 유형과 건강상태의 관계: 남녀집단별 분석
임소영,강민아,조성일 한국노인복지학회 2013 노인복지연구 Vol.0 No.59
In this study, we aimed to find answers to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are the social network types of the Korean elderly classified? 2) How are the social network types of the Korean elderly and their health status are related? We analyzed raw data of the "2004 Living Profile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Older Persons in Korea," collected by KIHAS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 used the latent class analysis to find structural forms of the social network types of the Korean elderly. The results of the latent class analysis showed that the social network types were different by gender. Health statu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social network types of the Korean elders. When we control for age,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level, these differences disappeared among males but remained amogn female elders. 인구 고령화의 급속화로 노인의 자살률 증가와 같은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는데, 노인의 정서적 고립감이나 사회적 관계망의 약화가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한국 가족형태의 특성상 가족관계를 세분화하여 한국 노인의 사회관계망 유형을 분석하고, 둘째, 사회관계망 유형과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결과가 의미하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생산한 『2004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원자료에 대한 잠재집단 분석 (latent class analysis)을 활용한 결과 한국 노인의 사회관계망은 광범위형, 배우자중심형, 제한형, 동거자녀중심형 등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나 남녀 노인간에 세부유형에서는 차이가 보였다. 한국 노인의 사회관계망 유형은 노인이 처한 인구사회학적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고 있었으며, 남녀 노인 모두 제한형이나 동거자녀 중심형 집단의 경우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았다. 공분산분석을 통해 사회관계망 유형과 건강상태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노인의 사회관계망 유형에 따라 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제한된 사회관계망형과 자녀중심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 건강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광범위형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스토어의 품질요인과 쇼핑 감정반응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제원(Lee, Je-Won) 한국물류학회 2020 물류학회지 Vol.30 No.2
온라인 구매행동이 비대면 상황에서 결정되는 감정활동이 중요해지고 있는 가운데 감정을 이해하려는 심층적 연구들이 확장되 고 있다. 최근들어 소비자 행동 연구의 패러다임이 인지 활동의 단일차원에서 감정 상태를 포함하는 다차원적 측면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구매결정 변수인 충성도 연구에서도 인간의 심리상태를 포함한 감정차원의 변수가 제시되는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비대면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행동 결정변수로 감정역할의 영향력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온라인의 품질요 인으로 정보품질, 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로 증명한 DeLone & McLean(2003)의 연구를 중심으로 소비자 행동 결정변수인 충성도 를 다차원의 감정차원으로 확대하여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의 영향력 관계와 매개효과로 쇼핑 감정반응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스토어의 온라인 품질로 정보품질과 시스템품질이 쇼핑 감정반 응에 중요한 영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용자들의 정확한 정보입력 유도와 시스템의 안정적 제공이 소비자들의 사회관계 망서비스(SNS) 스토어에 대한 충성도를 강화시켜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쇼핑 감정반응과 충성도의 영향력 관계에 있어서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 간의 매개효과 관계성을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충성도는 태도적 충성도 형성된 이후에 행동적 충성도가 강화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사회적 환경변화에 따른 비대면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온라인 쇼핑몰 중 성장성이 높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스토어의 생일안내, 선물하기 등의 정보 자극은 기존 온라인 쇼핑몰과의 차별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소비자들의 쇼핑몰에 대한 충성도를 강화시켜 나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소비자들의 휘발성이 높은 온라인 환경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스토어의 생일안내, 선물하기 등의 감정자극 활동은 기존 쇼핑몰과의 차별화 가능성을 확대시킬 수 있고, 거시적 관점에서 새로운 콘텐츠와의 융복합적 접목을 통한 운영의 확장 가능성을 제안한다. As the importance of emotional activities that determine online purchasing behavior is being emphasized, more in-depth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understand emotions. Recently, the paradigm of consumer behavior research has developed from the single dimension of cognitive activity to multi-dimensional measurement including emotional states. And multi-dimensional measurement research have appeared including research on the loyalty of final purchase decision variables. This study not only provides more research factors that the previous relevant research suggested in various manners, but identifies the relation between loyalty and emotional stimulation (e.g. birthday notification, sending gift) that is provided through stores on emotion-centric social network services. For this study, online quality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e whether factors of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influence on shopping emotional response. The study also proves that the weight of the influence between attitudinal loyalty and behavioral loyalty at a psychological level depending on shopping emotional respons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information and system quality that provides an important influence on shopping emotional response among online quality factors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stores. It turned out that the loyalty towards Social Network Service (SNS) stores is strengthened when store users are encouraged to input accurate information and the online system runs in a stable manner. The shopping appraisal reaction was found to have increased the influence of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and stable system supply. Second, the intermediary role of attitudinal loyalty was confirmed in terms of shopping emotional response and loyalty: this study was able to prove the systematic approach regarding the reinforcement of attitudinal loyalty. The shopping appraisal reaction was found to have increased the influence of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and stable system supply. Finally, it was found that behavioral loyalty of consumers gets enhanced after attitudinal loyalty is created. The loyalty of social network services (SNS) stores also confirme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reactions among consumers.
대안골프의 시장진입전략수단 분석 :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활용한 풋골프 사례 중심으로
권기성(Kwon, Kisung) 한국창업학회 2018 한국창업학회지 Vol.13 No.5
기존 시장에 신규 공급자가 진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노력과 시장진입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 골프시장에 진입하고 있는 대안골프의 경우는 차별화된 상품을 앞세운 제품촉진 전략수단과 함께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활용한 홍보촉진 전략수단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안골프 종목 중 하나인 풋골프가 특정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국내에 도입되고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FIFG(Federation for International FootGolf)로부터 승인을 받은 풋골프 관련 협회가 운영한 사회관계망서비스의 방문자 활동 내역에 대한 통계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과 내용분석에 따른 범주화 및 항목화를 통해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 속성 별로 반응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콘텐츠가 게시 되는 시점과 관련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관심도는 점차 상승하였지만 특정 시점 이후 상승 폭이 급격히 확대되는 경우는 없었다. 구체적으로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콘텐츠의 속성은 관계이 었는데 풋골프 관련 협회와 실질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콘텐츠를 게시한 경우 관심도가 높아졌다. 풋골프 관련 협회의 향후 계획에 대해 소통하는 콘텐츠와 풋골프 관련 협회의 정체성을 보여주기 위한 콘텐츠에 대한 관심 역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국제협회 혹은 풋골프 관련 일반 정보들을 단순히 공유하는 콘텐츠에 대한 관심은 그리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사회관계망서비스의 기본적 속성에 기반하여 단순히 정보를 전달할 때 보다 방문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게시한 경우 방문자의 더욱 높은 관심을 이끌어 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사례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New product and/or service providers often encounter difficulties when entering existing markets. They usually use four different strategic tools to enter the markets. Alternative golf sports attempt to enter the existing golf market with promotion strategic tools such as product promotion highlighting unique feature of products as well as utiliz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With these backgrounds, we analyzed the influencing process of FootGolf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We acquired to analyze the visitors’ activity data of particular social networking service hosted by FootGolf related association in Korea which got authorized by FIFG(Federation for International FootGolf).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ntent analysis method with categorization and itemization. As the major result, different attention was paid to the respective contents classified by the attributes of contents. Moreover, the attention to the particular organization operating social network service was increased periodically, but there was no radical increasing pattern at any point in time. Specifically, among diverse content attributes, the contents concerned with relationship attribute got relatively higher attention from visitors. Moreover, the contents relating to interaction and identity could also get higher attention than any other types of contents. However, the visitors did not pay much attention for the contents regarding notification compared to the other type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visitor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interactive contents than the contents of one-way communication.
시장활동에 참여했던 북한 여성들의 비공식 사회관계망 고찰
조현정,권은별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91 No.-
본 연구는 시장활동에 참여했던 북한 여성들의 비공식 사회관계망 형태와 특징을 현상학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비공식 사회관계망 형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여성들은 친분 관계망을 통해 적극적인 ‘연대와 재결속’을 다지고 있다. 둘째, 경제수단 관계망을 통해 소매와 도매 장사를 위한 ‘목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셋째, 지역사회 관계망을 통해 경제적 능력과 입지를 견고히 하기 위한 ‘이해’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북한 여성들의 비공식 사회관계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시적 소비’를 통한 구별짓기가 확산되고 있다. 둘째, ‘사회적 자원’을 확장하기 위한 줄다리기에 사력을 다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 여성들의 비공식 사회관계망을 통한 인간관계 상호작용의 형태와 특징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북한 여성들의 비공식 사회관계망은 변화되는 의식과 실천을 통해 가족 구조와 지역사회 전반에 소극적 저항을 기반하는 균열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점차 사회변동의 주요한 자원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북한 정부의 통제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의 시장활동은 불가피하게 활성화될 수밖에 없다. 북한의 여성들은 자신의 비공식 사회관계망을 굳건히 다지면서 경제적 능력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타협’과 ‘협력’을 적극 활용할 것이다. 그러므로 경제적 능력을 갖춘 북한 여성들의 행위 주체성에 대한 논의가 과대·과소 평가되는 것과 같은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되며, 북한 사회의 제한적 상황에서 이들의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