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점 선택과 어휘 능력, 그리고 교육

        신명선(Shin, Myung-sun)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4 No.-

        본고는 토론 상황에서 특정 관점 하에 주어진 현상을 개념화하고 이를 단어(들)로 표현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어휘 능력의 구조를 구체화하고 어휘 능력과 관점 선택의 관계를 논의한 뒤 어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어휘 능력의 구조는 ‘①맥락적 측면: 정확한 맥락 파악 능력’, ‘②전략적 측면: 적절한 관점 선택 능력’, ‘③지식적 측면: 최대한 깊고 많은 스키마(schema)의 형성’, ‘④언어적 측면: 체계적인 어휘 목록과 언어 지식 확충(머릿속사전의 깊이와 넓이 확보)’의 네 요소로 구체화될 수 있었다. 어휘 능력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관점 선택’이었다. ‘관점 선택’은 어휘 능력 자원 특히 스키마나 언어적 지식 같은 요소들을 추출하여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특정 관점을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요소는 맥락에 대한 인지적 파악과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본고는 메타언어적 성찰 능력을 신장시키는 방향의 어휘 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Lexical competence basically works in conjunction with communication skills. This paper analyzes how vocabulary skills work in naming and clarifying a given phenomenon in debate situation. The basic educational contents for lexical competence development are "the correct comprehension of situational context", "appropriate viewpoint selection ability", "the maximization of schema", "organizational vocabulary lists and linguistic knowledge"s expansion (depth and width sides). This paper also emphasized that vocabulary education should not be replaced in the way like simply memorizing as much as possible many vocabulary. This paper found that the ability to choose perspectives and contextual contexts is a very important key factor in determining how lexical competence works in discussion situations. And it modified the structure of lexical competence and revealed one aspect of the working aspect of it. Based on this, this paper argued that vocabulary education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meta-language ability is necessary. This paper also pointed out that education to foster humanities and increase thinking and creativity can be set as the goal of vocabulary education.

      • KCI등재

        형법에서 사전 관점과 사후 관점의 부합원칙

        김현조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법학논고 Vol.0 No.54

        The fundamental prerequisite to impose criminal sanctions is a infringement of obligation by the subject of crime. The infringement of obligation exists only to the extent possible the ability of the subject of crime. This is the basic precondition of criminal dogma. It is confirmed by the ex-post judgment that there was the infringement of certain obligation. However, such an obligation must always exist in advance(=ex-ante) in that it can be set only towards the future. The principle of correspondency means that ex-post judgement is must be made within the scope to be determined through ex-ante judgement. Judging by ex-ante, there must be the risk, the possibility of actions, the knowability, and the behavioral norms in order to say that there is a obligation for actor. This is the primary imputation. If the primary imputation was recognized in a individual case, we will be to judge whether he pulled the fulfill its obligations. This is the secondary imputation and ex-post judgement Namely, in order to impute the results that have already occurred to the offender, the risk that had been determined to be important in ex-ante should be realized. If it is determined to be riskless in ex-ante, there is no risk be created in ex-post. Thus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whether the realization of the risk. In the extent corresponding between ex ante and ex post review, it is possible to be impute the criminal sanction. The principle of correspondency is not only to play a key role in the objective imputation of a result. This principle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e overall problem of criminal law theory such as intent and negligence, feasance and nonfeasance, consummation and attempt, impossible attempt. 형법적인 귀속에 있어서 의미가 있는 모든 사후 판단에는 하나의 사전 판단이선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전 판단을 통해서 정해진 범위 내에서 사후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사후 판단과 사전 판단의 부합원칙이다. 형법적 제재를 부과하기 위해서는 의무침해가 있어야 하며, 사후적으로 의무침해가 있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사전적으로 행위자에게 그것에 상응하는 행위(작위 또는 부작위)의무가 있어야 한다. 행위자에게 사전적으로 의무가 있다고하기 위해서는 위험, 행위가능성, 인식가능성, 그리고 행위규범이 존재해야 하는데이를 제1차적 귀속이라고 한다. 개별적인 사례에서 제1차적 귀속이 긍정되면 제2 차적 귀속, 즉 행위주체가 그러한 의무에 따랐느냐 따르지 않았느냐에 관한 판단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사후적으로만 판단할 수밖에 없다. 사후적 판단의 구체적내용은 의무를 설정할 때 그에게 요구되었던 것과 동일하게 그 주체가 자신의 신체적 또는 인식적 능력을 사용했는지 사용하지 않았는지와 위험이 실현되었는지에 관해 판단하는 것이다. 민법과 같은 법률체계와는 달리 형법적 귀속, 특히 제2 차적 귀속을 위해서는 의무침해의 존재여부 이외에 작위인지 부작위인지, 고의인지 과실인지, 그리고 기수인지 미수인지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 제2차적 귀속의전제조건들이 많이 충족되면 될수록 의무침해는 더욱더 강한 형법적 제재를 받게된다. 부작위, 과실 또는 미수의 경우에는 그것이 완전히 불가벌적인 것이 아니라면 작위, 고의 또는 기수에 비하여 경한 형벌이 부과되는 것이다. 사전 판단과 사후 판단 사이의 부합원칙은 단지 위험실현에 관한 판단, 즉 소위결과의 객관적 귀속가능성에 있어서만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고의와과실, 작위와 부작위, 기수와 미수 등 형법의 전반적인 문제에 있어서 부합원칙은모순 없는 형법적 귀속체계의 발전을 위해서 결정적인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개별논문 : 국어과 어휘 교육의 발전 방향

        주세형 ( Se Hyung Joo ) 한국독서학회 2005 독서연구 Vol.0 No.14

        어휘력은 국어 사용 능력의 ‘진정한 기초’를 이루며, 특히 읽기 능력과 관련해 볼 때 그 중요성은 누구나 부인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고에서는 기존 어휘 교육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는 부분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시도함으로써 국어과 어휘 교육의 위상과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자 하였다. 기존 어휘 교육의 한계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모어 화자’라는 학습자 변인을 특성화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둘째는 첫 번째 문제에서 파생되는 것으로, 국어과 어휘 교육이 읽기와의 관련성을 찾는 데 있어 ‘도구적 관점’을 넘어서지 못하여 교육 내용을 풍부히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고에서는 국어과 어휘 교육의 바람직한 모습을 비판적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지식을 풍부히 담는 것이라 보았다. Ⅱ장에서는 현재 양립되어 있는 도구적 관점과 인지적 관점은 제2 언어 이론에서 수입된 것이기 때문에,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과 어휘 교육에서는 두 관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서로 아우를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Ⅲ장에서는 국어과 어휘 교육 내용의 탐색 방향을 두 가지로 설정, 이를 구체화하였다. 모어 화자를 위한 어휘 교육 내용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어휘에 대한 언어학적인 서술이 아니라, 학습자의 어휘 능력에 대한 심리적 탐색이 이루어져야 함을 역설하였다. 아울러, 개별적인 단어를 교육하는 것보다는 어휘를 둘러싼 백과사전적 의미를 중시할 필요가 있다. Ⅳ장에서는 국어과 어휘 교육은 모어 화자의 언어 생활 방식과 일치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문법 교육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녀야 함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현 국어과 어휘 교육에서는 단어 하나에도 언중의 이데올로기와 가치 판단이 응축되어 있음을 크게 부각하지 못하였음을 문제제기하면서, 비판적 읽기와 어휘 교육의 관련성을 논의하였다. Lexical competence has been regarded basic in language ability, expecially in reading comprehension. This thesis has tried to find the way to the developmental direction in vocabulary education. In doing so, the identity of vocabulary education will be clear in Korean Education. The limitation of the past trend will be summarized by two. First, the variable `the Korean native speakers` is not specialized. The second, the vocabulary education remain at instrumental perspective. in relation to reading comprehension. Out of this critical mind, I suggest that the desirable vocabulary education contain the fundamental knowledges to accomplish the critical reading ability. Throughout the chapter 2,3,4, I propose the presuppositional points to reform vocabulary education. In chapter 2, the two perspective of instrumental and cognitive should be integrated mutually in Korean Vocabulary Education. That is because two viewpoints are the 2nd language learner oriented. In chapter 3, the two direction in Korean Vocabulary Education is specified. I`ve stressed the psychological approach to lexical competence rather than linguistic description to vocabulary. Moreover, the encyclopedic meaning to vocabulary should be given more weight rather than each individual word. In chapter 4, I`ve brought forward that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and grammar education, regarding the language use of native speakers. In the final chapter 5, the interrelating between critical reading and vocabulary have been discussed raising a question that even a word has various ideologic values.

      • KCI등재

        문법의 규범적 관점과 해석

        정희창 ( Hui Chang Jeong ) 한말연구학회 2016 한말연구 Vol.- No.40

        Descriptive contents and attitude varies depending on descriptive viewpoint of grammar. Grammatical attitude of school grammar, language norms, and normative dictionary not describes grammar as it is but selects and adjusts depending on given viewpoint. Normative viewpoint needs standard of grammar technology, because only grammatical phenomenon is not a basis for grammar technology. As principle needed when grammar is normatively described, this thesis suggests two principles such as first, target and application scope of grammar technology should be obvious, and second, a result of grammar technology should be expected. The researcher thinks that these principles are commonly showed in normative grammar technology used in present norms, dictionary, school grammar, and grammar for Korean education, and will be a starting point of in-depth discussion about normative viewpoint of grammar. If language is like a continuously-changing organism, the appropriateness of the viewpoint understanding grammar fixedly at one point and viewpoint can be admitted. There is high probability of this viewpoint to be suited to fields needing regular system, procedure, and completeness such as education, learning, and evaluation. In the future, this scope can be expanded to a relation with descriptive grammar and a relation with grammar ability needed in speech community. This discussion will help not only in enlarging the understanding of normative grammar but also in understanding a relation with descriptive grammar and grammar wholly.

      • KCI등재

        불능미수의 가벌성근거

        토마스 바이겐트,레나 바써,홍영기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3 비교형사법연구 Vol.25 No.3

        The interpretation of §§ 22 ff. StGB according to various aspects has shown that the reason for the punishability of an attempt cannot be clearly determined subjectively or objectively. It is true that when creating §§ 22 ff. StGB, the legislator intended to anchor the subjective theory in the law, which is reflected in particular in the words "according to his conception of the act" in § 22 StGB; however, this is already contrasted in § 22 StGB itself with the partially objective element of the "direct" setting. In the regulations on the legal consequences (§ 23 StGB) and the withdrawal from the attempt (§ 24 StGB), subjective and objective elements are mixed in a compromising way. If one sees the protection of legal interests as the rationale for the criminal offence of attempt, the scope of the criminal offence of attempt must be limited to those cases in which ex ante,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informed observer (even if not equipped with expert knowledge), there was a danger to the object of legal interest. For the problem of unsuitable attempt, this means that its punishability is easily compatible with the subjective basic structure of the legal regulation. The objective limitation by the requirement of immediate commencement is also withstood by the unsuitable attempt - the objectiv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success is not a prerequisite. Finally, the punishability of an unsuitable attempt is also compatible with the objective telos of the protection of legal interests - however, only insofar as the attempt presents itself as dangerous ex an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