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何生奇遇傳>과 육체의 서사적 재현

        정규식(Chung, Ku-Sik) 한국문학회 2009 韓國文學論叢 Vol.53 No.-

        본고는 <何生奇遇傳>에 형상화된 육체의 서사적 재현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작품에는 여성의 육체가 가족이라는 제도와 사회적 권력에 의해 사물화(事物化)되어 하나의 수단으로 전락하는 모습이 형상화되어 있다. 부모가 지은 죄의 대가를 딸의 죽음이라는 가장 극단적인 육체에 대한 처벌로 대신한다. 그 과정에서 여인의 현실적 육체는 해체된다. 하지만 이러한 사물화는 하생으로 인하여 극복된다. 사물화되어 버린 여성을 만나게 된 하생은, 그녀를 성적 욕망의 대상으로 응시하게 되고 나아가 그녀의 육체를 환유적으로 재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사물화된 여성의 육체는 환유적으로 재구성되어 현실계로 돌아왔지만 여전히 육체의 사물화를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한다. 여인의 부모는 딸의 환생을 도와준 하생을 마땅치 않게 여겨 딸과 하생의 혼인을 거부한다. 그러자 여인은 육체를 혹사시키는 방법으로 부모의 뜻에 저항하며 하생과의 인연을 강조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여인의 부모는 자신들의 잘못을 반성하게 되고 하생과 여인의 혼인을 승낙한다. 사물화되어 있던 여인의 육체가 완전한 탈사물화되는 순간이다. 가족이나 사회에 예속되어 있던 여인의 육체가 자신이 선택한 하생에게로 귀결되면서 제도나 권력으로부터 해방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과정이 흥미있는 것은 존재의 불연속에 있던 하생과 여인이 육체의 탈사물화와 더불어 존재의 연속을 담보하게 되고 그것은 다시 스스로에 대한 정체성 확립에 이르게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이 <何生奇遇傳>에 형상화되어 있는 육체의 서사적 재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a narrative representation of the body which is storied in <Hasaengkiujeon>. Here, <Hasaengkiujeon> is a Jeongi novel that was written by Shin Gwang Han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In the novel, a woman experiences having her body just objectified as a means by institutional family and social powers. She is extremely punished into death on behalf of her parents who committed a crime. This makes her real body disorganized. At this time, Hasaeng meets her. Seeing her body objectified, Hasaeng comes to have a sexual desire for her and , in a metonymically, restructures her illusive world and body. He gradually approaches her and finally has a sexual intercourse with her. Carrying ‘geumcheok’, a golden ruler symbolizing her, he returns to the real world and then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her parents. With her body restructured, the woman returns to the real world, too. Nevertheless, the body still remains somewhat objectified. Despite Hasaeng helped revive their daughter's life, the parents rejects marriage between him and their daughter because he was lower in social status. Then the woman drives herself relentlessly, resisting to her parents and stressing her close relationship with Hasaeng. In this case, the parents reflect on what they did to Hasaeng and finally accept marriage between him and their daughter. This is the very moment when the objectified body of the woman is completely disobjectified. In other words, the women is liberated from institutions or powers as her body, which was subordinate to family or society, comes to belong to Hasaeng who she found herself. Here, the interesting thing is that Hasaeng and the woman, who were discontinuous in existence, come to secure the continuity of their existence through the so-called body disobjectification and finally reach a firm establishment of their own identity. This is the very point of <Hasaengkiujeon>, that is, a narrative representation of the body.

      • KCI등재

        윤대녕 소설에 나타난 사물화적 양상으로서의 '죽음환영' 고찰

        최영자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6 No.-

        of Yun Dae Nyeong show that the 'Death Instincts' in the human beings themselves is an agent for the life instincts and also a motive to create a new will through the death illusion in the daily life. At the same time, such 'death illusion' is inherent in the day-to-day existence and the Thing inherent in the nature of the the Thing serves as effect of the the Thing. It is the the Thing expressed willingnes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actical and apart from that. The hero 'Yeong Bin' in the novel witnessed holy Bridge nine years ago, a tragedy. In addition, 'Yeong Bin' recognizes the death illusionn being close to himself by sudden deaths of two Japanese women around him, destruction of a happy family and after then a death approaching to his 'father' carrying the stick. As this death apparition visualizes as a 'father', 'Yeong Bin' makes efforts for knowing the nature of the tiger's apparition in the sea blowing a hurricane, however, he never sees it. 'Yeong Bin' the death of the sea adjacent to the death, that is, that the negative the Titing negative cultural aspects walks through the nature of death. As this death apparition visualizes as a 'tiger', 'Yeong Bin' makes efforts for knowing the nature of the tiger's apparition in the sea blowing a hurricane, however, he never sees it. Because this is a death instincts of his inner side. The death instincts is mixed in the daily life as an unknown 'apparitional' mechanism By this reason, 'Yeong Bin' raises a question about the nature of material as an escape point for a limited time oppressing him like obsession and exercises his will to give a meaning for each the Thing. The will for the life instincts of 'Yeong Bin' to overcome the death instincts surfaces by the Titing recognition in the 'sea.' 'Yeong Bin' realizes that the tide time, which seems always fixed, is at work by an unknown power and finally that's the nature of the sea. Then, by this, he reaches the realization that his daily life is also the result of this will effect. while, 'I' and 'He' the point of view described as shows the travel of 'I' as a speaker wandering in the snowy fields of the Akita Prefecture for finding a child crying in the snow. The 'young children' is a self-reflective. And more than a few meters of snow in Akita, cloudy landscape of red light station, restaurant, such as and baby crying, old world hotel and eyes are revealed, in the dim light 'or' primitive experience is reflected of death illusion. welcome death. 'Baby', 'sea', 'snowy' of the Thing in the novel, are signifiers as symbol of such death illusion. There never could stare death in front of him as well as glimpse it through would death illusion. The main characters are the objects themselves through cultural awareness back to the time the repoπ reflect the underlying commitment to practice. 윤대녕의 <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는 왜 바다로 갔나>와 <눈의 여행자>는 주인공들은 그들 자신의 일상에 인접한 죽음환영을 통해 내변의 죽음본능과 마주한다. 동시에 그러한 '죽음환영'은 일상과 사물 본연에 내재한 존재의 본질에 대한 사물화적 효과로 작용한다. 이는 사물화가 능동적 참여와 실천적 의지를 발현하게 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는 왜 바다로 갔나>의 주인공 '영빈'은 9년전 성수대교 참사 현장을 목격한 바 있다. '영빈'은 어느날 홀연히 주변에 나타난 두 일본인 여성의 죽음과 단란하던 가정이 파괴되고 그로 인해 방랑생활을 하던 '아버지'에게 닥칠 죽음 등을 통하여 자신과 인접해 있는 죽음환영을 인식한다. 이러한 죽음환영은 '호랑이'로 가시화되어 나타나고 '영빈'은 폭풍이 몰아치는 바다에서 그러한 호랑이 환영의 본질을 알기 위해 노력하지만 결코 보지 못한다. '영빈'은 죽음의 죽음, 즉 부정의 부정이라는 사물화적 양상을 통해서 죽음의 본질에 다가간다. '영빈'은 강박증처럼 자신을 억누르는 유한적 시간에 대한 탈피구로 사물의 본질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사물 하나하나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한 의지를 발현한다. 죽음본능을 극복하기 위한 '영빈'의 삶본능에 대한 의지는 '바다'를 통한 사물화적 인식으로 표변화된다. '영빈'은 항상 일정해 보이는 물때에도 알 수 없는 어떤 힘이 작용함을 통해, 그것이 결국은 바다의 본질임을 알게 된다. 이를 통해 일상의 삶 또한 그런 의지작용임을 안다. 반면 '그'와 '나'의 시점으로 서술되는 <눈의 여행자>는 눈속에서 울고 있는 어린아이를 찾기 위해 일본 아키타 현의 설원을 헤매는 '나'의 여정을 다루고 있다. 이때 '어린아이'는 반영적 자아이다. 한편 이 텍스트에서 표변화되고 있는 수 미터가 넘는 아키타의 폭설, 붉은 역 풍경, 마귀할멈 같은 식당 할머니, 도깨비 환영과 아기 울음, 낡은 호텔과 희미한 불벚 속에 드러나는 설원 풍경 동은 화자의 죽음환영에 대한 반영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일찍이 주인공 자신이 원시적으로 경험한죽음 환영에 대한 산물이다. '바다' '설원' '아이'와 같은 윤대녕 소설에서 의 사물화적 기표들은 이 같은 죽음환영의 표상이다. 죽음은 결코 정면으로 응시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그 같은 죽음환영을 통해 그것을 엿보는 것이다. 이처럼 윤대녕 소설에서의 주인공들은 사물화적 시간 인식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성찰하는 근원적 의지를 실천한다.

      • KCI등재

        사물화의 계몽변증법 - 마르크스로부터 벤야민까지 비판이론의 한 계보

        장제형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23 獨語敎育 Vol.88 No.88

        사물화의 문제는 마르크스에게서 (다른 이름으로) 처음 제기되고 루카치를 경유하면서 본격화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사물화의 극복 전망을 단지 초월적인 차원에서밖에 사고할 수 없었던 명백한 한계를 지닌다. 본고에서는 사물화 문제에 대한 극복 가능성이 벤야민의 사유 속에서 어떻게 내재성과 초월성의 양가적 측면을 변증법적으로 포괄하는 방식을 통해 마련되고 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역사적 유물론의 전개 과정 속에서 마르크스의 노동 소외 및 상품물신주의, 그리고 루카치의 사물화 개념이 지닌 주요 특성과 더불어 이들에게서 그 극복 방안이 어떻게 설정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 후(II장), 이 사물화 개념의 기본 구도가 무엇보다 벤야민의 독일 비애극의 원천 (이하 비애극 서)에서 어떤 맥락 속에서 수용되고 있는지를 포괄적으로 검토하고, 이 문제가 어떻게 벤야민 고유의 내재적이면서 동시에 초월성을 지시하는 양가적-변증법적 방식으로 감당, 극복되고 있는지에 대해 서술한다(III장). Die zentrale Aufgabe der Kritischen Theorie seit ihrer ersten Generation bis heute lässt sich unter der Formel der kritischen Rekonstruktion der Rationalität zusammenfassen. Die Genese des Begriffs der instrumentellen Vernunft basiert im Grunde genommen auf dem Marx’schen Konzept der Entfremdung der Arbeit und des Warenfetischismus und geht unmittelbar auf das von Lukács’ daraus entwickelte Konzept der Verdinglichung zurück, das er mithilfe von Max Webers Gedanken zur Zweckrationalität marxistisch uminterpretierte. Bei der heutigen Generation der Kritischen Theorie wird die Möglichkeit, die Verdinglichung zu überwinden, gerade durch die Etablierung der normativen Geltung und die intersubjektive Anerkennung begründet. Unter diesen Vorzeichen wird jedoch die Dimension der Dinglichkeit und Materialität relativiert und als Objekte der Reflexion von intersubjektiver Handlung und Anerkennung betrachtet. Eine solche Dimension der Dinglichkeit, die eine gewisse Verwandtschaft mit der Theorie der Mimesis bei Adorno aufweist, findet sich auch in einer anderen Tradition der Kritischen Theorie: Walter Benjamin. Seine frühen Arbeiten können als aktive Auseinandersetzung mit Lukács’ Konzept der Verdinglichung betrachtet werd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er Versuch unternommen, das Problem der instrumentellen Vernunft und der Verdinglichung sowie die Möglichkeit der Überwindung von Marx über Lukács bis Benjamin zu behandeln. Dabei soll besonders sein ambivalent-dialektischer Lösungsversuch am Beispiel des Trauerspiel-Buches erörtert werden, der weder einseitig auf einen immanenten noch auf einen transzendenten Pol reduzierbar ist.

      • KCI등재
      • KCI등재

        조세희의 『난쏘공』에 나타난 사물화적 양상 연구

        최영자 ( Young Ja Choi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3 No.-

        『난쏘공』 연작은 1970년대 자본주의 구조적 메커니즘인 사물화를 면밀하게 투영한다. 자본적 메커니즘에 의해 자신의 보금자리가 하루아침에 철거당한 현실을 직면한 『난쏘공』의 주인공 ``영수``는 사물의 본질적 인식을 통해 물질성을 극복하고자 한다. 예컨대, 이십오만 원짜리 아파트 입주권이 투기업자들에 의해 사십오만 원에 거래되고 그것은 결국 거대자본이라는 왜곡된 담론을 형성하고 나아가 자본주의 사물화의 원천임을 인식하는 것이다. 더불어 아버지의 죽음을 통해 존재의 근원으로서의 축적된 아버지의 시간을 성찰하게 된다. 노비였던 아버지로부터 비롯된 자신의 계급이 결국은 반성적 시간의 부재에서 비롯된 것임을 비로소 인식하게 된 것이다. 계급적 본질을 제대로 인식할 때 비로소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을 탈피할 수 있는 것이다. ``영수``의 저항행위는 이 같은 현실인식에서 비롯된다. ``영희`` 또한 지금껏 자신이 살던 집이 ``팬지꽃``처럼 분홍색이 아니라 ``회색``이었음을 인식하면서, 그것이 아버지의 ``피``의 응집물임을 인식한다. 반면 자본가 아버지의 계급을 환경적으로 물려받은 『내 그물로 오는 가시고기』에서의 ``경훈`` 역시 아버지와의 동일화를 통해 자본주의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인식한다. 주체의 능동적 실천의지를 보여주는 ``영수``에 비해감각적 사물화에 예속되어 가는 경훈``의 현실인식은 풍요와 소비에 입각한 후기자본주의적 특성을 그대로 투영하고 있다. 이처럼 본격화되는 1970년대 자본주의 사물화는 무산자와 부르주아 등의 차별적 가치를 더욱확고하게 하면서 물신적 메커니즘으로 자리잡는다. 『난쏘공』은 1970년대중반 생산과 소비적 메커니즘으로 양분화되고 있는 과도기적 자본주의 사회의 여러 양상을 두 명의 전형적 인물과 배경을 통해 반영하고 있다. The series of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carefully reflects the materialization, which is the structural mechanism of capitalism in 1970s.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in ``Yeong Su`` realized that his home was demolished in a day by capitalistic mechanism and attempted to overcome the corporeality through the essential realization of a material. For example, his 250 thousand won right to apartment residency was traded at 450 thousand won by speculators and this situation made a contorted discourse, a big capital; therefore, he realized it as the origin of capitalistic materialization. In addition, by his father`s death, he reflected on his father`s accumulated time as the origin of existence. Finally, he realized that his class generated from his father as a servant resulted from the absence of reflective time. Namely, when realizing the essence of class, he broke from dialetics between a master and a servant. The resistance of ``Yeong Su`` results from his realization of reality. Also, as ``Yeong Hui`` realized that her home`s color was not pink like a ``pansy`` but was ``gray`` and that was the agglutination of her father`s ``blood``. But, in <A Thorn fish Coming Into My Net>, ``Gyeong Hun``, who environmentally inherited the capitalist class by his father, so concretely realized the structure of capitalism by identification with his father. Opposed to ``Yeong Su`` showing the will to practice positively as a main agent, the realization of ``Gyeong Hun`` being subject to sensitive materialization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post-capitalism based on the richness and consumption. Consequently, the seriously capitalistic materialization in 1970s remained the discriminative values of proletarians and bourgeoisie and became a fetish mechanism. In the novel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the story reflects various aspects of transitional capitalistic society divided into a productive mechanism and a consumptive mechanism in the middle of 1970s by two typical characters and their backgrounds.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이상의 시에 내포된 소외와 정념

        엄경희 ( Kyoung Hee Eum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본 연구는 소외를 관계가 빚어낸 비인간적 사태로 파악하고, 그것의 구체적인 ‘작용태’와 소외가 양산해내는 개별 ‘정념’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이상시에 드러난 자기이해와 세계 인식의 문제, 그리고 소외가 야기하는 고통의 실체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이상 시에 나타난 소외 상황과 정념 등의 분석을 위해 ‘상품구조의 본질’을 통해 소외를 설명하는 루카치의 ‘사물화’ 개념과 사회심리학적 입장에서 소외의 제 형태를 분류한 멜빈 시이맨의 소외론 등을 이론적 토대로 삼았다. 이상의 시에 등장하는 여성들 대부분은 ‘매춘부’(상품)이며 이에 관계된 남성은 매춘행위를 욕망하는 자이거나 그것을 용인해야 하는 남편으로 나타난다. 매춘부로서의 아내는 남편과의 관계방식을 규정할 뿐만이 아니라 남편의 욕구와 의식에 관여함으로써 그를 소외시키는 원인된다. 이것이 사물화된 관계구조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남편과 아내의 관계로부터 빚어지는 ‘나’(남편)의 자기소외의 국면을 살펴보면 권리 양도의 문제가 깊이 개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내와의 관계 속에서 ‘나’는 이미 남편으로서의 권리와 자격을 아내의 애인에게 그리고 신부인 아내에게 양도함으로써 그들에게 종속된다. 한편 소외의 고통은 특수한 정념, 감각, 느낌, 정서 등을 촉발하는 요인이 된다. 이상의 시에서 소외가 야기하는 감각은 주로 ‘극한(極寒)’으로 표현되면 그에 따른 정념은 무력감으로 드러나곤 한다. 그런데 이상이 드러낸 무력감으로서의 정념은 기성의 가치의 부정이나 거부를 내포하는 능동성을 지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상의 시에 내포된 소외와 정념은 사물화된 관계구조가 어떻게 인간적 유대를 훼손하는가, 어떻게 한 존재의 존립을 비생명적인 상태로 강등시키는가를 여실히 드러내준다. 아울러 이와 같은 비극적 존재 상황을 돌파하는 방법은 무엇인가를 묻게 한다. 상품구조에 의한 사물화의 과정은 근대인들이 타자와 맺는 관계방식을 압축적으로 지시한다. 이상은 이를 자신의 문학을 통해 선취한 시인이라 할 수 있다. By comprehending the alienations as inhuman situations resulting from relations, and by analyzing the correlativity between the actual ``operative modes`` of alienations and the mass-produced individual ``passions`` by alienations, this study tries to solve the problems of Lee Sang``s self-understanding and Weltanschauung in his poetry and to explain the substances of pains arising from alienations. And to analyze the situations of alienations and the passions in his poetry, this study adopts theoretical bases such as Gyorgy Lukacs``s concept of the ``reification(Verdinglichung)`` explaining the alienations with the ``essence of commodity-structure`` and Melvin Seeman``s theory classifying every alienation from a sociopsychological standpoint. In Lee Sang``s poetry, most women are ``prostitutes(commodities),`` and men relating to them appear as men who desire, or as husbands who must tolerate, prostitutions. A wife as a prostitute defines a way of herself relating to her husband and causes herself to alienate him by participating in his desire and consciousness. This is to be a reified relational structure. To illuminate an aspect of self-alienation of the ``I(husband)`` is to confirm that a problem of transfer of his right intervenes deeply in this aspect. The ``I`` relating to his wife subjects himself to her lover and her as a bride by transferring already his husbandly right and qualification to them. Meanwhile, the pains of alienations become motivations triggering off specific passions, sensations, feelings, and emotions. In Lee Sang``s poetry, the sensations from alienations are mainly expressed as ``extremities,`` and the passions from them are often exposed as impotent sensations. By the way, these passions that Lee Sang exposes are comprehended as those containing activities involving the negation or rejection against existing values. In addition to illuminating explicitly how the reified relational structure spoils the human relationship and demotes one being``s existence to the situation of non-life, the alienations and passions in Lee Sang``s poetry makeit a question what way can break through the situation of this tragic being. The process of reification by commodity-structure indicates compressedly ways of the moderns relating to their others. Lee Sang is a poet preoccupying this indication in his own literature.

      • KCI등재

        이상의 시에 내포된 소외와 정념

        엄경희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By comprehending the alienations as inhuman situations resulting from relations, and by analyzing the correlativity between the actual 'operative modes' of alienations and the mass-produced individual 'passions' by alienations, this study tries to solve the problems of Lee Sang's self-understanding and Weltanschauung in his poetry and to explain the substances of pains arising from alienations. And to analyze the situations of alienations and the passions in his poetry, this study adopts theoretical bases such as György Lukács's concept of the 'reification(Verdinglichung)' explaining the alienations with the 'essence of commodity-structure' and Melvin Seeman's theory classifying every alienation from a sociopsychological standpoint. In Lee Sang's poetry, most women are 'prostitutes(commodities),' and men relating to them appear as men who desire, or as husbands who must tolerate, prostitutions. A wife as a prostitute defines a way of herself relating to her husband and causes herself to alienate him by participating in his desire and consciousness. This is to be a reified relational structure. To illuminate an aspect of self-alienation of the 'I(husband)' is to confirm that a problem of transfer of his right intervenes deeply in this aspect. The 'I' relating to his wife subjects himself to her lover and her as a bride by transferring already his husbandly right and qualification to them. Meanwhile, the pains of alienations become motivations triggering off specific passions, sensations, feelings, and emotions. In Lee Sang's poetry, the sensations from alienations are mainly expressed as 'extremities,' and the passions from them are often exposed as impotent sensations. By the way, these passions that Lee Sang exposes are comprehended as those containing activities involving the negation or rejection against existing values. In addition to illuminating explicitly how the reified relational structure spoils the human relationship and demotes one being's existence to the situation of non-life, the alienations and passions in Lee Sang's poetry make it a question what way can break through the situation of this tragic being. The process of reification by commodity-structure indicates compressedly ways of the moderns relating to their others. Lee Sang is a poet preoccupying this indication in his own literature. 본 연구는 소외를 관계가 빚어낸 비인간적 사태로 파악하고, 그것의 구체적인 ‘작용태’와 소외가 양산해내는 개별 ‘정념’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이상 시에 드러난 자기이해와 세계 인식의 문제, 그리고 소외가 야기하는 고통의 실체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이상 시에 나타난 소외 상황과 정념 등의 분석을 위해 ‘상품구조의 본질’을 통해 소외를 설명하는 루카치의 ‘사물화’ 개념과 사회심리학적 입장에서 소외의 제 형태를 분류한 멜빈 시이맨의 소외론 등을 이론적 토대로 삼았다. 이상의 시에 등장하는 여성들 대부분은 ‘매춘부’(상품)이며 이에 관계된 남성은 매춘행위를 욕망하는 자이거나 그것을 용인해야 하는 남편으로 나타난다. 매춘부로서의 아내는 남편과의 관계방식을 규정할 뿐만이 아니라 남편의 욕구와 의식에 관여함으로써 그를 소외시키는 원인된다. 이것이 사물화된 관계구조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남편과 아내의 관계로부터 빚어지는 ‘나’(남편)의 자기소외의 국면을 살펴보면 권리 양도의 문제가 깊이 개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내와의 관계 속에서 ‘나’는 이미 남편으로서의 권리와 자격을 아내의 애인에게 그리고 신부인 아내에게 양도함으로써 그들에게 종속된다. 한편 소외의 고통은 특수한 정념, 감각, 느낌, 정서 등을 촉발하는 요인이 된다. 이상의 시에서 소외가 야기하는 감각은 주로 ‘극한(極寒)’으로 표현되면 그에 따른 정념은 무력감으로 드러나곤 한다. 그런데 이상이 드러낸 무력감으로서의 정념은 기성의 가치의 부정이나 거부를 내포하는 능동성을 지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상의 시에 내포된 소외와 정념은 사물화된 관계구조가 어떻게 인간적 유대를 훼손하는가, 어떻게 한 존재의 존립을 비생명적인 상태로 강등시키는가를 여실히 드러내준다. 아울러 이와 같은 비극적 존재 상황을 돌파하는 방법은 무엇인가를 묻게 한다. 상품구조에 의한 사물화의 과정은 근대인들이 타자와 맺는 관계방식을 압축적으로 지시한다. 이상은 이를 자신의 문학을 통해 선취한 시인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구논문 1 : 재난: 자연의 타자화, 인간의 사물화

        이찬수 ( Chan Su Yi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4 종교문화비평 Vol.26 No.26

        재난의 어원(한자, 라틴어)적 의미는 자연의 질서가 기존과 어긋난다고 느껴지는 현상이다. 특히 자연이 인간적 성취의 과정이자 산물인 문명을 파괴할 때 그것을 재난이라 한다. 인명이 살상되고 인간적 성취가 무너진다는 점에서 자연에 의한 문명의 파괴는 천재(天災)이면서 동시에 인재(人災)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천재가 인재가 되는 논리를 추적해보고자 한다. 자연적 재난 자체가 아닌, 인간의 문명이 개입된 재난, 사회적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재난의 근본 원인 및 의미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국내 최악의 해상 참사인 ‘세월호 침몰 사건(2014.04.16.~)’를 염두에 두고, 한나 아렌트, 슬라보예 지젝, 조르조 아감벤 등의 입장을 참조하면서, 재난이 재난이 되는 자연철학적, 정치철학적 논리를 문명 비판적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예외적이어야 할 재난이 사실은 자연을 타자화하며 건설해온 문명의 본질이며, 문명을 향유하는 일상의 속살이라는 사실을 드러내고자 한다. 아울러 아우슈비츠 대량학살에서 드러나듯이, 권력이 인간을 사물화하며 비인간적 예외 상태를 일상적인 것으로 만드는 보이지 않는 근간이라는 사실도 비판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종교 언어를 구체적으로 사용하지는 않겠지만, 라인홀드 니버, 엠마누엘 레비나스 등의 입장을 원용해, 재난 방지 거버넌스는 결국 진정한 의미에서의 종교적 정신과 함께 기획되고 시도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을 결론으로 삼고자 한다. 제목에 담겨있듯이, 재난의 근본 원인은 ‘자연의 타자화’, ‘인간의 사물화’에서 찾아진다는 것이 이 글의 요지가 될 것이다. The original Latin meaning of disaster is a phenomenon where the natural orders have been disrupted that they have become different than before. Particularly, a disaster occurs when civilization, which is a product and an on-going process of human accomplishment, is violated by nature. Because of disasters` disruptiveness that harm civilization and undo human accomplishments, disaster is not merely a “natural disaster” but also a“human disaste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ogic of how the natural disaster can turn into the human disaster. Disaster will be discussed not as a mere natural disaster, but as a configurative disaster where fundamental causes stem from humans civilizations and societal structures. Specifically concerning the Sewol Ferry disaster(2014.04.16), one of the most devastating oceanic catastrophes in the history of Korea, Hannah Arendt, Slavoj Zizek, Giorgio Agamben`s arguments will be incorporated in developing a critical view of civilization to investigate how a disaster breaks out natural-philosophically, and political-philosophically. Through this, the paper will reveal that disasters, which must have been an exception to the rules, are in essence of nature-destroying civilization formed as nature is otherized. Furthermore, as the Auschwitz Holocaust shows, the paper will also critically suggest that political power is a invisible base which cause the reification of human, inhumane exceptions can invisibly become everyday routine. Although the paper will not use religious languages frequently, it will incorporate Reinhold Niebuhr and Emmanuel Levinas`s words to conclude that governance for disaster prevention should be developed and attempted with religious spirit in mind. As the title suggests, the fact that the fundamental causes of disasters are “otherization of nature” and “reification of humans” will be the main topic of this paper.

      • KCI등재

        맑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에 있어 물신주의 비판

        주정립(Chu, Choeng-Lip)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2 No.-

        물신주의는 맑스 이론에 대한 논의에서 종종 언급이 되지만 비교적 등한시된 주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물신주의는 맑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에 있어 “가장 흥미로우면서도 동시에 가장 수수께끼 같은” 주제 중 하나이며 오늘날까지도 그에 대해 논란이 이루어지고 있다. 물신주의 및 그 비판에 대한 이해는 맑스의 정치경제학비판을 이해하는 데 열쇠의 역할을 한다고 할 정도로 이론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맑스의 물신주의 비판에 대한 논의에 앞서 1960년대에 이르기까지 물신주의에 대한 해석에 있어 커다란 영향을 미친 루카치의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루카치는 모든 사회적 과정이 상품생산 및 교환과 결부된 물신주의 또는 사물화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파악하는 총체화된 이해를 드러내고 있으며 사회해방의 전망에 있어 역사철학적이고 인간학적인 전제들에 의존하고 있음이 밝혀진다. 다음으로는 물신주의 비판이 맑스의 이론 전개에 있어 지니는 의미에 대해 간략하게 고찰한다. 비록 인류학적 내지 본질철학적 흔적이 ?경제-철학 수고?에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후기에 ‘정치경제학 비판’에서 본격적으로 전개될 물신주의 및 사물화 비판을 위한 문제의식은 이미 초기 저작들에서 충분히 확인될 수 있음이 밝혀진다. 다음으로는 맑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에 있어 물신주의 비판이 서술의 방법론과 관련해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가 상품 및 화폐의 물신주의 비판, 자본의 물신주의 비판, ‘삼위일체 정식’ 비판 등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고찰된다. 왜곡된 형태로서 경제적 범주들에 대한 비판은 근본적인 인식비판을 의미하는 동시에 과학비판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비판이 물신주의에 대한 비판으로서 수행되고 있음이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물신주의 비판의 목적에 대해 간략하게 성찰한다. 맑스의 물신성 비판은 추상적 사회화의 현실에 대한 왜곡된 또는 객관적인 인식의 비판적 분석만이 아니라 이러한 인식 자체의 “전도된 구성”의 극복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진다. ‘Fetishism’ is sometimes referred to in discussions on Marx’s theory. Nonetheless, one can say it is rather a neglected theme. However, fetishism constitute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and at the same time the most mysterious’ themes in Marx"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which is still debated today. The understanding of fetishism and its critique plays a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Marx"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This work gives at first a critical review of the interpretation of fetishism by Georg Lukacs, which deeply influenced interpretations of fetishism until the 1960s, before discussing Marx’s critique of fetishism. Lukacs reveals a totalized understanding which comprehends all of the social processes as resulting from fetishism or reification combined with the production and exchange of commodities. It is also shown that he relies on premises of philosophy of history and anthrop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emancipation. Subsequently, the work inquires into the meaning of the critique of fetishism for the development of Marx"s theory. Although some anthropological vestiges remain in the Economic and Philosophical Manuscripts of 1844, it can be proven that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the critique of fetishism and reification, which will be later fully developed in the works of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is already contained in the early works. The work then considers the critique of fetishism in its relationship with the methodology of representation in Marx"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through concrete cases, such as the critique of commodity and money fetishism, the critique of capital fetishism and the critique of the Trinitarian formula. It is shown that the critique of economic categories as distorted forms constitutes a fundamental critique of knowledge and at the same time a critique of science; that this critique is carried out as a critique of fetishism. Finally, the work gives a brief reflection of the object of the critique of fetishism. It shows that Marx"s critique of fetishism not only constitutes a critical analysis of the distorted or objective knowledge of the reality of abstract socialization, but it also aims at overcoming the "inverted constitution" of this knowledge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