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학습요소를 활용한 고려시대 사료학습 방안

        문경호 한국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연구 Vol.- No.37

        The learning by means of historical materials has drawn attention as a method of learning for the students to expand the power of understanding, analysis, imagination and decision making. The suggestion of learning of historical materials as an alternative related to that whenever the history education was criticized for moving to the knowledge oriented education. But the learning of historical materials in reality is short to the level of interpretation by reading the historical materials simply, otherwise, it has been used for the materials of problem solving to prepare the university admission capability test. The description on the situation on the era of writing such history and the incompleteness of the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explained essentially, but such process has been omitted mostly. This paper points the issues on the learning of historical materials in current schools and suggests the models of historical material learning in various patterns oriented to the historical terminologies and events suggested for the learning elements in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on 2015. For this matter, the important contents out of the study achievements in Koryo Dynasty related to the learning elements were summarized and learning models were made by discovering the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hereto. The activities oriented to the students have been being settled in the class while the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on 2015 adopted. The most general thing out of the activities made in the history lessons is the study on historical materials. For the success of historical material learning, making text material by discovering the historical materials consistently which will activate the thinking power of the students rather than weighting to the theories and analysis by collecting the historical cases used in the class are essential. Moreover, the experience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learning of historical materials shall be accumulated and arranged systematically 사료학습은 학생들의 이해력과 분석력, 상상력, 판단력 등을 신장시키는 학습 방안으로 주목받았다. 역사교육이 지식위주의 교육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비판을 받을 때마다 사료학습이 그 대안으로 제시된 것도 그와 관련이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의 사료학습은 단순히 사료를 읽고 해석하는 정도에서 끝나거나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대비하기 위한 문제풀이용 자료 정도로 활용되고 있다. 사료가 쓰여진 시기의 상황에 대한 설명, 사료의 불완전성 등에 대하여 반드시 설명해 주어야 하지만 그러한 과정은 대부분 생략된다. 이 글에서는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료학습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2015개정 교육과정에 학습요소로 제시된 역사 용어 또는 사건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사료학습 모형을 제시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요소와 관련된 최근의 고려시대 연구성과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그와 관련된 사료들을 찾아 5가지 유형의 사료학습을 제시하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수업에서는 학생 중심의 활동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역사 수업 시간에 이루어지는 활동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이 사료학습이다. 사료학습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이론에만 치중하기보다 학생들의 사고력을 자극할 만한 사료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어 교재화하고, 수업에서 활용한 사례를 모아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각급 학교에서 시행되는 사료학습의 성공 또는 실패 경험이 축적되고, 체계적으로 정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등학교 국사 교수

        김두헌(Kim, Doo-He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38 No.-

        본고에서는 고등학교 국사 교수-학습에서의 가계 기록을 자료로 사용한 사료학습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먼저 한국 역사상 존재하였던 가계 기록의 종류와 그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가계 기록인 족보는 고려 말부터 간행되었지만, 조선 전기에 간행되어 현전하는 것은 30편 내외에 지나지 않는다. 가승은 족보보다 먼저 편찬되었는데, 족보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가계 기록이었다. 내외보와 팔고조도는 현전하는 수가 적지만 외가를 폭넓게 수록하였다는 점에서 부계 위주의 족보와 다른 특징이 있다. 각 성관의 주요 가계를 간추려 정리한 종합보에는 거의 대부분 양반 가계가 수록되어 있다. 교과 내용과 관련된 가계 기록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로 다음 네 가지 사실을 들었다. 첫째, 유교가 조선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막대한 영향을 미친 사회 이념이라는 사실이다. 둘째, 조선 사회가 가문 중심의 사회였다는 사실이다. 셋째,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여성의 지위가 변화되었다는 사실이다. 넷째, 조선 후기에 시간이 흐를수록 유력한 가문의 문벌화가 심화되어 갔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존의 연구 성과와 관련된 고등학교 교과 내용들을 제시하였으며, 이들을 서로 연관시켜 학습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가계 기록을 자료로 사용한 사료 학습의 효과로는 다음 네 가지를 들었다. 그것은 첫째 시간의 연속성을 느끼는데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 둘째 자신의 정체성과 주체성을 갖는데 효과적이라는 것, 셋째 보편성과 개별성을 인식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 넷째 가족애와 친족애를 고취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 등이다. 가계 기록을 자료로 사용한 사료 학습 시 교사가 유의해야 할 점으로는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학생들에게 족보가 없다는 사실이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시켜주어야 한다는 것, 둘째 오늘날의 시대 이념에 적합한 가계 기록을 만들기를 권고해야 한다는 것, 셋째 족보의 내용 중에 허위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은 진실성이 뛰어나다는 사실도 밝혀 주어야 한다는 것과 족보의 위조된 부분을 가려내는 방법 등이다.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서는 가계 기록 사료 학습은 교과 진도와 직접적으로 관련해서는 본시 학습에서 관련이 있을 때마다 활용하는 분산적 접근 방법과, 교과 진도와 상관없이는 주제 접근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주제 접근 방법의 가계 기록 사료 학습은 한 종류의 사료만을 학습 자료로 사용하여 관련 교과 내용을 학습한 이후에 통괄적으로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 학습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사료 학습과 다르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사료 학습은 드물게 실시하는 학습이므로, 교과 내용뿐만 아니라 교과 외의 내용도 학습하고 학습 내용과 현재와의 관련성도 포함시킴으로써 학생들에게 역사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역사학의 실용적 가치를 느끼게 할 것을 권장하였다. 한편 이러한 학습 내용과 방안이 담긴 사료 활용 카드와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This paper studi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used genealogical records as the learning materials in the korean history classes of high school. First, the types and the contents of korean genealogical records were introduced. Chogbo(族譜) referring to typical korean genealogical records was published from the end of Goryeo(高麗) era in the korean history, but there are only thirty pieces of them which have come down from the early Chosun(朝鮮) dynasty. Gaseung(家乘) compiled before Chopbo was the fundamental genealogical record. Though the number of Naeoebo (內外譜) and Palgojodo(八高祖圖) is few in existence, but they are different from Chogbo which mainly copes with paternal line, in that they contain the history of mother’s side. Yangban(兩班) lineage was almost written in the Chonghabbo(綜合譜) that arranged main lineages of each clan. The previous results of research on genealogical records related to subject matter were presented. First, the confucianism was a dominated social idea in the Chosun(朝鮮) dynasty. Second, the Chosun society was set by family. Third, Imjinwailan(壬辰倭亂) was the standing point of the change of women’s social status. Finally, the rate that influential clan occupied high office was gradually intensified in the late Chosun. The educational effects of historical materials learning used genealogical records were presented. First, it is the most effective to cognize the continuity of time. Second, to assure the identity and subjectivity of one’s own is effective. Third, to be aware of the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is effective. Fourth, to infuse the love for family and relatives is effective. It is recommended to keep the following three things in mind when an instructor makes a use of genealogical records as historical learning materials. First, teacher should impress that it is not shame of not having Chogbo(族譜). Second, it should be promoted to compile genealogical records to suit social ideas of today. Third, it should be clarified that most of genealogical records are credible enough to be used as historical materials though some of them contain false information. And the way to detect the parts of forgeries was presented. On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genealogical records can be used with dispersive approach available at any time the lesson is related to them partially and subject approach when is related generally. The subject approach method used genealogical records is different from the other historical materials learning in the way 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essed with only one type of historical materials. As subject approach is rarely carried out in one year, it was encouraged to study not only subject contents but also substances beyond them and include connection between past and present in order to help students profoundly understand history and its practicality. It was showed historical materials application cards and lesson plan containing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mentioned above.

      • KCI등재

        교과서 사료의 빈도 분석을 통한 한국사 핵심 사료의 제시 가능성 탐색

        박진동,이미미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0

        Although the classroom use of historical sources was emphasized in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historical sources have not been prominent in the National Curriculum. With the advent of the textbook adoption system, there now are many different Korean history textbook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the use of historical sources in textbooks have been limited to content verification. In the reform context that emphasizes essential knowledge and skills, there rose the need to identify essential historical sources and to systemize the relationships among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is study analyzed historical sources inclu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14 Korean history textbooks with a purpose to identify essential historical sources.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vealed that the selection and presentation of historical sources needs to be refined and systemized. Finding also highlighted the common historical sources across textbooks through the textbook analysis. There were 110 common historical sources which were included in more than half of 6 2011 textbooks and 8 2014 textbooks (50 sources listed in more than half of both 2011 and 2014 textbooks, 19 in 2011 textbooks, and 41 in 2014 textbook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ossibility to agree on essential sources is high. We discuss how the focus on essential sources can expand and enrich history instruction.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지식과 기능을 강조하는 방향에서 사료 학습을 발전시키려면 핵심 사료를 선정하고 그에 따라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의 연속선상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역사교육의 다양성을 훼손하지 않는 전제에서 좀 더 탐구 학습을 돕는 사료를 탐색하는 방안으로 핵심 사료의 선정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을 검토한 결과 교수학습 항목에서 활용을 강조하는 정도였고 어떤 사료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화가 부족하였다. 이에 비해서 미국의 사례를 보면 목록의 제시는 물론 사료의 수준까지 고려하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검정 역사 교과서는 다양한 사료를 선정하여 본문이나 탐구 활동에 배치하였으나 내용 이해를 보완하는 기능이 대부분이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11년판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6종과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14년판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8종을 탐색한 결과 각각 과반인 4종 이상과 5종 이상 수록된 사료 110건(모두 과반 50건, 2011년판만 과반 19건, 2014년판만 과반 41건)을 추출하였다. 검정 교과서가 다양성을 추구하는 가운데 이와 같이 공통 사료가 다수 나타난 점에서 향후 핵심 사료 선정의 가능성은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제 깊이 있고 의미 있는 사료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평가 등에서 핵심 사료를 어떻게 제시하고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궁리가 필요하며, 그러한 방향에서 본고가 수행한 기초 작업이 기여하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을 통한 사료비교학습

        김보림(Bo-rim K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교육연구 Vol.51 No.-

        최근 역사교육에서는 사료를 활용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역사가의 탐구과정을 익히고 역사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사료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고에서 사료학습의 한 모형으로서 개발한 사료비교학습은 단일한 역사적 사실이나 사건등에 대해 서로 다른 평가나 해석을 하고 있는 두 개 이상의 사료를 비교함으로써 사료가 작성된 역사적 배경상황을 이해하고 역사적 사실이나 사건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고에서 제시하는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은 이러한 점에서 붕당의 출현과 전개과정을 파악하는 사료비교학습의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북인 정권하에 편찬된 『선조실록』은 서인에 대해 공정한 평가로 서술할 수 없었으며, 인조반정 이후 서인이 집권한 상황에서 『선조실록』의 수정은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선조수정실록』에서는 서인에 대한 입장을 보완하고 수정하는 편찬 노선을 밟았다. 본시학습의 전개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문제를 인식하게 하고 사료를 비판, 해석하게 하여 두 사료의 비교를 통한 붕당 정치의 실체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comparing historical materials. This model helps students to learn the process as historians use when they study history. This model for comparing historical materials which this study developed as one of the teaching models is to compare with the historical facts or events in the different materials which was published in the same period. In addition, it is possible we use the different materials which the historians have different ideas about the same facts or events it was not shown at the same period. Students in the class are able to learn the background of the historical materials and understand more deeply. This paper could be a good example because it propose two different materials which was made at the different period. The main faction was different politically when the two materials was published each. The appearance of ‘Bungdang’ is at the early Seonjo period. After the West had the power in politics, they insist this Sil-Lok had to be revised. As a result, the revised version was completed to publish soon. This version said that the West is very successful in history. With that, teachers make the learners understand the criticism of historical materials, the methods of analyze historical materials in advance before they start the class. The students can understand ‘Bungdang’ politics more concretely through this class comparing between Seonjo veritable records(Seonjo Sil-Lok) and the revised version(Seonjo Sujung Sil-Lok) This processing is from recognizing the issues through the historical materials.

      • KCI등재

        중・고등학교 교과서 實學 史料 활용의 특징과 개선 방안

        홍선이 한국역사교육학회 2019 역사교육연구 Vol.- No.35

        Nowadays, many history educators and researchers regard ‘historical thinking’ as a purpose of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considering the sourcesbased learning methods as being more important than instructorled methods. National History Curriculum also puts emphasis on the use of primary sources in order to develop historical thinking. This is why a variety of original sources are contained in the current history textbook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perty of primary sources contained in textbooks and to explore better ways in which students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inquiring the constructive nature of historical knowledge as well as understanding specific historical contents.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ed. First, there are no ‘doubting a common knowledge’ and ‘sourcing’ process in the way of using sources in textbooks. Second, the inquiry activities are too much easy, or there are lot of cliche questions and answers. Lastly, the kinds of historical sources and the ways of using them have been excessively ‘standardiz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doubting a given knowledge’ and ‘contextualize’ process must be included in the inquiry activities. 최근 역사학에 내재된 고유한 방식으로 역사를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는 역사 지식의 구성적・해석적 성격에 기초하여 지식 자체보다는 지식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주목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그 과정에서 사료학습이 역사교육의 본질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부상하였다. 신화화된 역사 내러티브를 해체할 수 있는 잠재력과, ‘역사적 사고(historical thinking)’의 원동력이 사료에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실학사상을 대상으로 교과서 수록 사료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을 실학으로 선정한 데에는 단일 주제 중 가장 많은 사료가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다는 점과 실학의 정의, 분파, 계통, 성격, 한계, 의의 등 어느 하나 논쟁적이지 않은 부분이 없다는 점이 고려되었다. 실학은 특정한 관점과 틀에서 만들어진 내러티브가 ‘신화화’된 주제이기에, 주어진 역사 지식의 맹목적 수용이 아닌, 비판적이고 성찰적인 학습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런 이유로 실학은 사료학습에 매우 적합한 주제라고 판단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중・고등학교 교과서가 실학 사료를 활용하는 방식에는 ‘주어진 지식 의심하기’와 ‘분석적 읽기’ 과정이 전무하였다. 둘째, 실학 사료를 활용한 탐구 활동은 지나치게 쉽거나, 답이 정해진 ‘닫힌 탐구’였다. 다시 말해 ‘탐구 없는 탐구 활동’이었다. 마지막으로, 선정한 사료의 종류와 활용 방식 역시 지나치게 ‘정형화’되어 있었다. 결국, 다양한 사료를 활용하였고 탐구라고 명명되었지만, 전반적으로 사료학습이라고 보기도, 탐구학습이라고 보기도 어려웠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는 ‘주어진 지식 의심하기’와 ‘맥락화’ 절차가 탐구 절차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현행 교과서들이 중복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익숙한 사료들과 지금까지 교과서에 한 번도 활용된 적 없었던 사료들로 새로운 유형의 탐구 활동을 구성하여 소개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 역사 - 수업에서의 사료 활용 실태 연구

        이미미 한국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연구 Vol.- No.29

        Teachers and scholars alike have emphasized the use of historical sources in classrooms; yet, how and to what extent historical sources are used in classrooms is a less explored territory. Employing a mixed methods approach, this study analyzed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use of historical sources as well as their perceptions of historical sources. First, I surveyed history teachers in 100 randomly sampled middle schools for their perception on historical sources and teaching practice using historical sources. Second, I interviewed seven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on their teaching of the first unit in middle school history. The seven interviewees completed teacher logs on the use of historical sources for each period during the unit.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eachers shared the strong need for the use of historical sources in middle school history instruction, but their understanding of what historical sources are and their practice showed a wide variety. When zooming in on the use of primary sources, teachers demonstrated strikingly similar practice focusing on reading comprehension. Teachers were in need of diverse and rich curricular materials to assist them with teaching of historical sourc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tudy discusses three implications for enhancing historical source instruction in middle schools. 사료 교수・학습에 대한 중요성은 강조되어 왔지만, 현장에서 사료가 어느 정도 활용되고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수업에서의 사료 활용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려는 목적에서 중학교 『역사』 수업에서의사료 활용 실태 및 사료 활용의 양적・질적 활성화를 위해 교사는 무엇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지를 혼합연구방법을 통해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선 표집한 100개 중학교의 역사 교사를 대상으로 한 사료 활용 실태 설문 조사와 함께 다양한 교직 경력을 갖춘교사 7명의 수업일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중학교 『역사①』 1단원 사료 활용을 분석하였다. 중학교 『역사』 교사는 사료가 역사 수업에 필요한 교수・학습 자료라는 공통된 인식을 갖고 있었으나, 사료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해를 보였으며, 활용 양상 또한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1차 문자 사료 활용에 있어서는 상당한 정형성이 나타남을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들은 사료학습을 증진하기 위해 수업 준비나 실제 수업에 사용할수 있는 풍부하고 다양한 교재를 가장 필요로 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역사 교사의 사료 및 사료학습에 대한 인식, 그리고 사료 활용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료학습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독일 초등 1-4학년 사물수업 교육과정의 교과역량과 역사영역 학습내용 분석

        배지혜(Bae, Jihye)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39

        독일 초등학교의 사물수업은 어린이의 인식과 생활세계를 다루는 사회와 과학의 통합교과로, 본 연구는 독일 16개 주(州) 수준에서 개발된 역량중심 사물수업 교육과정의 교과역량과 역사영역 학습내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사물수업 교과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모형을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둘째, 사물수업 교과의 역량과 학습영역을 개관하였다. 셋째, 사물수업 교과의 역사영역 학습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역량중심 교육과정 모형은 씨실과 날실이 교차하는 형태의 직물형과 복수의 중첩된 원에 역량과 내용을 제시한 원형 등이 사용되었다. 모형은 교과역량과 학습내용이 결합된 교수학습을 표현한다. 둘째, 과학과 사회의 통합교과인 사물수업의 교과역량은 ‘이해와 분석’, ‘의사소통과 발표’, ‘판단과 평가’, ‘연대와 실천’이 제시되었다. 셋째, 사물수업 역사영역의 학습내용은 ‘기초적인 역사하기 활동’, ‘사료 학습’, ‘시간과 일정’, ‘미래 구성’의 네 주제로 분류하였다. 이 중 사료의 의미와 종류를 개관하고 사실과 허구의 역사 서술을 구분하는 ‘사료 학습’과, 학생 스스로 미래를 계획하고 이를 위한 행동을 계획하는 ‘미래 구성’의 학습 내용이 특징적이다. 2022년 교육과정 개정은 교과 수준의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의 교과역량으로 판단 역량을 채택하고 역사 영역 학습 내용으로 사료 학습을 다룰 것을 주장하고, 연대사 학습의 구체적인 내용 및 범위를 제안하였다. Sachunterricht in German primary schools is an integrated subject of social studies and natural sciences that deals with children s perception and their world of experience. The study analyzed the Subject-Competencies and historical learning content of Sachunterricht in fifteen German state curricula. Research findings are, first, that a textile-type in which weft and warp threads intersect and a circle-type that depicts competencies and contents in overlapping circles were the two representative competency-models of Competency-based curricula. The models visualize that subject competencies and learning content are represented equally in the lessons. Second, the Subject-competency of the Sachunterricht consists of the following four competencies: ‘Knowing and Analysing’, ‘Communicating and Presenting’, ‘Judging and Positioning’ and ‘Designing the Future and Acting’. Third, the learning contents in the history part of Sachunterricht are ’Basic Doing-history Activities’, ‘Learning on Historical Sources’, ‘Time and Schedule’, and ‘Future Design and Action’. It is noteworthy that the content of ‘Learning on Historical Sources’ deals with the meaning and types of historical sources and distinguishes facts from fictional descriptions of history. The ‘Designing the Future and Acting’, in which students design their future and plan actions for it is worthy of notice as well.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in South Korea should achieve a shift to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t the subject level in terms of struc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achunterricht curriculums of German states, this study argues that the 2022 Curriculum must adopt the Judgement Competence as one of the subject competencies of primary social studies and must adress the learning on historical sources. Furthermore, it proposes the content and scope of chronological history lessons for third and fourth graders.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사 수업의 사료학습 -일본 측 ‘독도영유권’ 근거 사료를 중심으로-

        최보영 한국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연구 Vol.- No.38

        The study of historical materials i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levels of historical facts and to improve research power and analytical skills. Especially, the history education through the study of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a must not an option in that it can induce students’ value judgment about historical facts at issue. This study presents the model of instruction about the education of Dokdo as a method of the study of historical materials fo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data emphasized in the amended curriculum of 2015. It is also intended to break the existing method that just emphasizes and repeats the fact that Dokdo is Korean territory. Recently, Japan has established the Office of Policy Planning and Coordination on Territory and Sovereignty of Cabinet Secretariat, and summarized the core of their claim to Dokdo’s sovereignty. In addition, they have presented Takesimakou(竹島考), Okisi(隱岐誌) and 『Simaneken Tokeishyo(島根縣統計書) as Dokdo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Dokdo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they presented and suggests the instruction model to criticize their claim inversely. Through this instruction method, students are expected to experience the enjoyment of historical research by themselves, and to develop their debating skills to persuade others with proper data. 사료학습은 학생들 스스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탐구력과 분석력을 신장시키는 효율적인 학습방법이다. 특히 쟁점이 되는 역사일 경우 가치판단을 스스로 하게끔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료학습을 통한 역사 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여야 한다. 본 연구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역사자료 분석과 해석을 위한 사료학습 방안으로 독도 교육에 대한 수업모형을 제시한 것이다. 그러면서도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강조·반복하는 기존 교육방식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최근 일본은 내각관방 영토·주권 대책기획조정실을 설치하여 한국, 중국, 러시아와 갈등을 빚고 있는 영토문제를 국가적 수준에서 교육, 홍보하고 있다. 이들 내각영토실이 제시하는 독도 영유권 주장의 핵심을 정리하였다. 또 사료학습에서 활용할 독도 관련 사료로 『竹島考』, 『隱岐誌』, 『島根縣統計書』 등을 사료학습에 활용할 사료로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내각영토실에서 제시한 독도 영유권 관련 사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일본의 영유권 주장의 논리를 역으로 비판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 역사를 탐구하는 즐거움을 경험하고 적절한 자료를 통해 상대를 설득하는 토론의 기술 또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역사 글쓰기'를 통한 史料學習의 접근방안

        문창로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본고는 ‘역사 글쓰기’를 통한 史料學習의 접근과 의미, 그리고 실제 학습자들의 글쓰기 사례를 정리하여 효과적인 사료학습의 접근 방향을 모색해본 것이다. 역사적 인물을 대상으로 글쓰기를 하는 과정은 역사가가 史料의 내용을 읽고 歷史像을 구성하는 작업과 유사하다. 역사가 歷史家에 의해 재구성된 창조적 생산물이라고 할 때, 역사 글쓰기는 역사교육의 측면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역사를 판단하고 해석할 수 있는 歷史的 思考力의 향상이라는 교육목표에 부합할 수 있다. 史料講讀을 통한 역사적 인물의 ‘삶 읽기’, 그리고 인물 탐구를 통한 ‘역사 글쓰기’를 연계하여 실제 수업에 접근할 때, 학습자는 일차적으로 역사적 인물에 대한 이해와 친근감을 갖게 된다. 또한 자신의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는 관련 자료의 探索과 수집 · 정리 및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역사적 이해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는 스스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내용을 구성하여 글쓰기를 통한 역사적 인물의 삶과 사회상을 묘사하면서 자신의 감정이나 직관 및 창의력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다. 나아가 학습자는 활동 인물의 시대적 ·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인물에 대한 평가를 통해 사고력, 비판력 등 역사적인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thesis are to get the meaning and proximity in 'historical composition'. Also, this is a writing to grope for an approaching direction of effective historical materials learning by means of arranging composition examples. The process of a composition on a historical figure is similar to the work that a historian reads and constructs the contents of historical documents. If history is enough to acknowledge a creative product reorganized by historians, the historical composition coincides with an educational object which is the improvement of historical contemplative faculty. Which means that a learner is able to judge and interpret history by himself in the aspect of historical education. A learner can take the comprehension and affection about historical figure first when he gets close to the real lesson in transl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life of historical man and searching for the man. And he is capable of rising his own historical power to understand throughout the inquiry and complication, arrangement, even synthetic analysis into the related materials to apply them to his own writing. The learner puts in order of his thought and make contents up for composition in person going through the process. With that, he gets to take on opportunity to express his own feelings and intuitions, creative power describing the life and social aspect of historical figure in writing. Furthermore, I look for what he advances his thinking power and critical ability in the estimation based on the background of the historic man's time and society.

      • KCI등재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 개발 절차에 관한 연구

        이은영 한국기록학회 2011 기록학연구 Vol.0 No.29

        Standards-curriculum based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is the bes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units for historical thinking abilities. This paper purposes a developing procedures of an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that is theoretical instructions of developing an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is paper can be used of the theoretical bases for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by proposing the methodology of development of an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The developing procedures of an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is the same with the procedures of developing an e-learning contents that has planning, analyzing, designing, developing and assessing steps but it is characterized by an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that is curriculum standards analysis, collection analysis, and detailed design for structured formats in effective-accomplishments for teaching-learning objectives. I propose the procedures for determining teaching-learning subjects that enable the development of an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by curriculum standards analysis. I also propose the procedures for deriving the key words from the teaching-learning subjects. Collection analysis methods analyze key records that correspond to the learning subjects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of primary sources. In the steps of designing, titles of contents and contents structures have to be determined and storyboards based on flowchart of learning have to be made of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es. In the steps of developing contents, making a copy of primary sources like a original is the key points. And also in the steps of assessment, products of teaching-learning contents to effectively achieve the teaching-learning objectives have to be estimated by the appraisal board. Finally I propose that user's survey research after the services have to be reflected on contents updates and new developments of contents. 교육과정에 기반한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는 역사적 사고력 함양에 가장 효과적인 교수․학습 도구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의 개발 방법론을 제안함으로써 국립 기관인 국가기록원이 본격적인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이론적 지침이 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의 개발 절차는 e-러닝 콘텐츠의 개발 단계인 ‘기획-분석-설계-개발-평가’의 단계를 거친다. 구체적으로는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로서의 특성을 띤 교육과정 분석과 컬렉션 분석, 교수․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구조화된 형태로 설계하기 위한 세부 단계를 거친다. 교육과정 분석에선 일차 사료를 활용한 학습이 가능한 주제 항목을 설정하고 이를 검색을 위한 키워드로 도출하는 절차와 일차 사료별 교수․학습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분석하였다. 컬렉션 분석에선 키워드별로 기록 검색을 실시한 뒤 일차 사료의 선별 기준에 따라 최종적인 기록을 선정하는 과정을 제안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설계 단계에서는 콘텐츠의 제목 및 내용 구조를 결정하고, 학습 흐름도를 기반으로 스토리보드를 작성하여야 한다. 개발 시엔 일차 사료의 질감을 원본에 최대한 가깝게 제작하는 것이 핵심이며, 평가 단계에선 콘텐츠의 교수․학습 내용이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는지를 평가하고 실제 콘텐츠 서비스 운영 후 이용자 만족도 조사에 의한 평가 결과를 새로운 콘텐츠 개발이나 콘텐츠 업데이트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