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赫居世 勢力에 의한 斯盧 小國의 形成

        조범환(Cho Bum Hwa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48

        본고는 현재 경주 지역 일원에 혁거세 세력이 세운 사로 소국의 건국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신라의 시조로 알려진 박혁거세는 외부에서 들어온 이주민으로서 사로 육촌의 세력을 아우르고 사로 소국을 세울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같은 지역에 들어온 또 다른 이주민인 알영 세력과 연합하여 사로국을 형성하였다. 그들은 새로운 묘제인 목관묘를 조성하여 기존의 사로 육촌 세력과는 다른 존재였음을 드러내었다. 현재 이와 관련된 고고학적 자료가 발견되고 있어 사로국의 건국을 입증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이러한 고고학적 증거는 사로 소국의 탄생과 관련하여 매우 주목되는 사실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박혁거세가 세운 사로국은 한반도에서 소국의 탄생이 어떻게 하여 이루어지게 되었는가 하는 것을 제일 잘 보여주는 하나의 예라 할 수 있다. 사로 소국의 탄생을 이해하게 되면 고구려나 백제의 탄생도 쉽사리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는 소국 탄생의 이정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혁거세 세력에 의한 사로 소국의 탄생은 한국 고대 국가의 기원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다시금 언급되어도 결코 지나치지 않다. This article is about how authorities centered in Pak Hyŏkkŏse developed early state of Saro and meaning of its development. It was recorded that Hyŏkkŏse found state of Saro in 57 B.C., but based on former research, he found it far more earlier, 2nd Century B.C. based on former research. With this perspective, early part of Silla’s Records(or Silla bongi) in Samguk sagi for Pak Hyŏkkŏse‘s founding date of Saro was not incorrect. Hyŏkkŏse and his authorities did not establish state of Saro autonomously but with Aryŏng and their authorities, who were immigrants. This was an noticeable fact related with founding of Saro. Also, they made new memorial service(墓祭), Wooden coffin grave(木棺墓) which was fairly proved by archaeological data. If more related archaeological sources are gathered, those sources must be regarded as an helpful materials to prove establishment of Saro. Saro is one of the outstanding example to demonstrate development of state country. Understanding state of Saro establishment will be signpost of studying foundation of state country, because it will help to figure out Koguryŏ or Paekche’s establishment as well. Referring repeatedly about establishment of state of Saro by Hyŏkkŏse and his authorities will not be overemphasized, for it remarkably showed origin of Ancient Korean Countries.

      • KCI등재

        이종률의 민족혁명론에 관한 연구(1)

        박만준 대동철학회 2005 大同哲學 Vol.31 No.-

        이 글은 이종률의 민족혁명론의 이론적 체계를 분석하고 그 원리를 규명하는 데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이종률의 사학과 혁명사상을 그의 생애를 중심으로 정리하는 평면적인 서술이 아니다. 또한 그의 행적을 따라가며 그와 연관된 역사적 사실들을 요목조목 정리하는 사기()의 형식을 취하는 것도 아니다. 그의 말대로 사실()로서의 재료나 자료만으로는 그 학문의 생명력을 제대로 읽어낼 수 없기 때문이다. 학문의 생명력이란 무엇인가? 위기기 역사 사태를 시대적으로 구출하고 전진시키는 구체적이고도 효과적인 힘이다. 이쯤 되면 당연히 이런 반문이 나오게 마련이다. 과연 이종률의 학문은 현재적 생명력을 가지고 있는가? 그래서 우리는 단도직입적으로 이렇게 묻는다. ‘과연 이종률은 살았는가, 죽었는가?’ 학문적 이론이나 학설은 역사적 사회적 조건을 벗어날 수 없다는 점에서 당연히 제기될 수 있는 물음이다. 결론부터 미리 말한다면 ‘이종률은 아직도 살아 있다’. 그 논거가 무엇인가?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민인사학의 문제의식과 그 방법론’을 살핀다. 왜냐하면 이것이 그 논거를 찾아가는 여러 가지 길들 가운데 가장 가까운 지름길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문제의식이란 일종의 진단이며, 정확한 진단은 질병의 치유를 위해 필연적으로 전제되어야 한다. 질병에 대한 진단 없이 치유 방법을 논하기는 어렵다. 진단이란 문제를 발견하는 것이며, 문제를 발견하고 나서야 비로소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적 방법론이 나오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의 문제의식과 그 방법론을 살피고, 연장선상에서 후진성 우리 지역의 사로와 노선을 규정하고, 그 역사 사태의 구출과 전진의 길, 즉 ‘민족혁명’의 사로와 그 전진과정을 탐색해 간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ystems of Lee Jong-ryul's Theory of National Revolution and to inquire into its principles. Therefore, this is naturally not a plain delineation that simply arranges Lee Jong-ryul's view of history and revolutionary thoughts around his life. It also does not take the form of a chronology that itemizes the historical facts related to him along the course of his life. This is because we cannot take full hold of the essence of a science using only the connected data and materials as facts. What is the essence of a science? As he said, it is the concrete and effective power to solve historical tasks in a period of crisis and to make history advance toward a new age. At this point, you might well ask this question: could it be that Lee Jong-ryul's thought still has a vital force in the present? We will answer with this point-blank question: is Lee Jong-ryul alive or dead? It is a natural question, in that scientific theories and thoughts cannot free themselves from their historical and social conditions. Although we risk giving the conclusion in advance, we will say, Lee Jong-ryul is stillalive. What are the grounds for that argument? First of all, we will examine the purpose and methodology of his National-Human Historical Science, because we think this is the nearest short-cut to the path to those grounds. Purpose is a sort of diagnosis, and the exact diagnosis is indispensable for the treatment of the disease. We cannot discuss how to cure a disease whithout any diagnosis. Diagnosis is to discover problems. We cannot determine the practical methodology for solving the problem until we seek the problem out. After we look into his purpose, we will determine the course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path of revolution in our underdeveloped country in that context. After that we will carry out our search for the path to the method of the historical task and advancement, namely, the developmental course of National Revolution and the process of its historical advancement.

      • KCI등재

        서기전 2세기~서기 2세기 사로권역의 철기 부장 시스템과 유통망 구조

        장기명(kimyeong Jang) 한국고고학회 2022 한국고고학보 Vol.- No.123

        본고는 분묘 부장 철기의 검토, 제철 유적의 특징, 금속학적 분석을 상호 비교하여 생산-유통-분배-소비의 연결고리를 탐색함으로써, 사로국이 실질적으로 분묘에 반영하고자 했던 철기 소비 방식과 유통망 구조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서기전 2세기대부터 분묘에 부장된 초기 철기는 서북지방/호서·호남지방/중국 계통의 일부 기종 유입과 자체 생산에 의해 복합적으로 구성되었다. 그 배경에는 다양한 경로·유입 방식에 의거한 새로운 ‘철 물품’ 입수 능력과 급속도로 발전한 철기 생산력을 표출하고자 했던 부장 맥락이 깔려 있었다. 서기전 2세기 말 이후, 사로권역의 철기 부장체계는 서북지방의 기종 구성을 기본 구조로 하되 일부 기종과 생산 기술이 추가되는 형태로 단기간에 완비됨으로써, 위만조선 유이민 영향에 의한 철기 생산체계의 이식과 적극적 수용이 상정된다. 서기전 1세기~서기 1세기에 걸쳐 금호강~형산강 유역(달천광산 일대 포함)에 입지한 수장묘에서는 철 소재를 양적으로 과시하는 매장의례(판상철부 시대, 목관 내부 장식 등)가 공유된다. 이런 현상은 분묘가 본격적으로 철기 소비처로 변모하는 변화 획기로서 진, 변한 특유의 위세적 철기 소비라는 부장 전통을 형성, 전개한 분수령이라 할 수 있다. 중간 소재인 판상철부만이 대량 부장되고 배타적 매장의례로 소비된 배경에는 불균등한 철광석 산지와 초보적 제련 공정 수준에 의해 철 소재의 유통과 확보가 매우 중요시되었고, 진한 유력 국 사이에서 일부 수장들이 철 생산 및 유통망 개입, 분배 관할력을 표출하기 위해 경제적, 이념적 유대 전략을 고안해 낸 것이었다. 2세기 전후의 상황으로 볼 때, 노동집약적 철(기) 생산, 유통의 당시 조건 속에서 사로국은 철광석 산지 확보, 사회적 조직력, 안정적 대외 교역망 등이 충족된 상태였다. 그러한 조건에 기반하여 사라리 130호묘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철 소재 부장량 및 매장의례가 극대화된 형태로 표출되었고, 사로국의 철 생산 및철기 유통과 직결된 경제적, 문화적 기반이 독보적이었음을 보여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ature of ironware buried in tomb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ron manufacture, as well as to undert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metallurgical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results of such a study could help to explore the link betwee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and also illustrate the operation method of ironware produc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distribution network, both of which, it is argued, was reflected in Saroguk tombs in a deliberate manner. From the 2nd century BCE, early ironware buried in tombs was comprised of indigenous products and those that could be traced to ironware from northwestern Korea, the Hoseo and Honam regions, in addition to Chinese ironware. The reason behind this ironware composition can be found in the desire to express the rapidly developed iron productivity of the area, as well as the ability to obtain new ‘iron goods’ through various routes and methods. After the end of the 2nd century BCE, the ironware burial system in the Saro area was completed over a short period of time, with the ironware tradition of the northwestern region forming the basic foundation, with the addition of some new types and production technologies. This suggests the transplantation and active acceptance of the iron production system of Weiman Joseon. From the 1st century BCE to the 1st century CE, burial rituals (the use of iron ingots to pave the floor of the burial pit and the interior decoration of the wooden coffin) were shared in the Geumhogang River and Hyungsangang River Basin (where the Dalcheon Mine is located). This phenomenon can be seen to mark the point at which that the tradition of consuming ironware unique to Jinhan and Byeonhan emerged; it represents a transition to the active consumption of prestige ironware in burials. Securing iron ore production, social organizational power, and a stable foreign trade network was essential for spearheading labor-intensive ir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efficiency of iron production was not particularly high. Given such conditions, Sarari Tomb No. 130 can be seen to express a form of ironware consumption in a burial context in which the volume of iron materials and the degree of ritual practice was maximized, illustrating that the economic and cultural foundations directly related to iron production and ironware distribution in Saroguk was unique.

      • KCI등재

        3~5세기 낙동강이동지역 의기성 철모 연구

        김상현(Kim, Sang Hyun) 영남고고학회 2020 嶺南考古學 Vol.- No.87

        2세기 후엽 이후 낙동강 이동지역의 무덤에 부장된 철모 중에는 형태나 크기로 보아서 무기로서의 기능이 약화되거 나 상실된 것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철모는 부장양상으로 미루어 의기로서 기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의기성 철모 는 형태에 관부돌출철모, 궐수부착철모, 판상철모로 나뉜다. 본고에서는 의기성 철모의 속성을 검토하여 시간적 변화 와 무덤에 부장되는 양상을 살펴 그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의기성 철모들의 속성 검토 결과 시간에 따른 변화를 살폈고, 무덤의 형태와 와질토기, 도질토기 등의 토기편년을 통 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의기성 철모의 변화는 4기의 획기로 설명할 수 있다. I기는 2세기 후엽에서 3세기 전엽으, 낙 동강이동지역에서 관부돌출철모가 광범위하게 확인된다. Ⅱ기는 3세기 중엽에서 4세기 전엽으로, 관부돌출철모와 궐 수부착철모, 판상철모의 병존기로, 특히 궐수부착철모는 경주에 집중되어서 사로의 특징적인 의기라고 할 수 있다. Ⅲ 기는 4세기 중엽으로 관부돌출철모가 사라지고 궐수부착철모와 판상철모가 병존하지만 전반적으로 의기성 철모의 부 장은 감소된다. Ⅳ기는 5세기 이후로 판상철모 단독기로 경주보다는 경주 이외에 지역에 부장된다. 부장양상은 부장유형에 따라 6가지로 나뉘며, 특히 피장자 머리 위에 안치 방향과 직교하여 부장하는 것은 경주를 중심으로 한 사로의 특징적 부장유형이며, 수장급 무덤에서는 의기성 철모가 시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를 통해 부 장양상이 가지는 의미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의기성 철모는 사로단계에서는 피장자의 신분 및 지역 집단의 권위와 부를 과시하는 사회적 기능을 하였다 고 보았다. 그리고 시간에 따라 의기성 철모의 사회적 기능이 약화되고, 5세기 이후 판상철모는 지방의 일부 무덤에서 만 출토된다. 이러한 의기성 철모의 변화와 부장유형은 사로에서 고대왕권국가인 신라로의 성장과정과 대응되는 것으 로 해석하였다. Ritual iron spearheads are actifacts buried in tomb in the Nakdong River eastern area. In the 3rd century AD, they were made for ritual and burial rather than actual use. According to the ritual iron spearheads are form, it is classified into three kinds like the kwanbu protruding iron spearhead, the bracken pattern attach iron spearhead, the plate-shape iron spearhead. The characteristics of ritual iron spearheads were reviewed by type, and the time changes derived from them were assigned to the burial aspect to confirm regional differences.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the burial in the tomb in the eastern part of the Nakdong River. Consequently, the time change of the natural iron spears are 6 step of the Kwanbu protruding iron Spears, 4 step of the bracket pattern attached iron spearheads, 9 step of the plate shape Iron spearhead. These are set to 8 stages in total and the period is divided into four strokes. To verify this, the temporal changes of the tombs such as the shape of the tombs, the brick-clay pottery, and the ceramic-clay pottery were used centrally. In the first phase, Kwanbu protruding iron spearhead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eastern part of the Nakdong River. In the second phase, all types of spearhead, such as he Kwanbu protruding iron spearhead, bracken pattern attached iron spearhaed, plate shape iron spearhead are buried. Especially, the bracken pattern attached iron spearhaed has the characteristic of a unique non-practice iron bars that are identified only in the Saro-guk. In the third period, Saro is transferred to Silla, the ritual iron spearheads is reduced, and the bean kwanbu protruding iron spearhead disappears. The fourth period is the time when Silla was formed, and only then the plate shap spearheads are bur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itual iron spearheads, the bury type was set up. There are six kinds of burials in the tomb form. Especially, the shape that is arranged across the main axis of the head is a characteristic of the character of the SaroGuk formed around Gyeongju. In the tomb of the head, the ritual iron spearheads were used as a floor facility and showed the hierarchy of the subject. The ritual iron spearheads can be seen as having a social function of status and application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Saro to Silla. As the formation of Silla is completed and centralized, the head of the ritual iron spearheads disappears in the upper class, but in the provinces, it can still be seen as one of the objects that symbolize and show the authority and wealth of the group.

      • KCI등재

        유학사상에 근거한 이원익(李元翼)의 유가적 리더십 재조명 -공도(公道)와 사로(私路)의 열림과 닫힘의 모순율을 중심으로-

        嚴連錫 ( Eom Yeonseok )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61 No.-

        이 논문은 이원익이 유학사상에 대하여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나아가 유가 경전의 리더십 덕목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하여 그의 정치 군사적 활동과 유가적 리더십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원익은 公道와 公義를 여는 것과 私徑 및 私路를 닫는 것에 대한 모순율의 적용을 통하여 천하국가를 통일적으로 다스려야 함을 적극적으로 개진하였다. 또한 그는 言路를 개방하고 正路를 세우며, 諫言과 公道가 조정에서 개진됨으로써 조정이 화합하게 되고 이로부터 국가가 융성하고 강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원익에 있어서 마음의 본원을 함양하는 것은 大公을 통하여 공심을 넓힘으로써 국가를 화합하고 통합하는 정치적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원익은 무엇보다도 민생의 안정과 애민을 기본 정신으로 하는 민본주의적 사고에 입각하여 정치 군사적 활동을 통한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또한 그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균형과 조화를 강조하는 리더십을 실천하였으며, 군신 상하에 있어서 수직과 수평을 아우르는 통합의 리더십의 전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원익의 리더십은 현대적 관점에서 볼 때, 균형과 조화, 소통과 통합의 리더십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것으로 커다란 의미를 갖는다. This essay exemined the characteristic of Lee Wonik's political and military activity and Confucian leadership on the basis of comprehension of leadership virtue of Confucian scripture after he considered how Lee Wonik understood Confucian thought, Lee Wonik personal actively expressed that the world and whole country must be ruled unificatively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law of contradiction about open of the public way and unbiased view and closing of private way and personal road. Also he asserted that royal court runs together and the country flourishs by expressing remonstrance and public way at royal court through the open of opinion channel and establishment of the main road. In case of Lee wonik, cultivation of the origin of mind was meant as accomplishment of political purpose unifying state by enlarging public mind through the just and proper. Lee wonik above all demonstrated leadership through political and military activity predicating on democratic thought which made primary mental of the stabiliza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 and love of the people. Also, he practised leadership emphasizing the unprejudiced equilibrium and harmony and suggested model of unifying leadership through which he encompasse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of sovereign and subject,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prospective of modern times, Lee wonik's leadership carrie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way that it could be charactered as the one of equilibrium and harmony, communication and unification.

      • KCI등재

        유학사상에 근거한 李元翼의 유가적 리더십 재조명 -公道와 私路의 열림과 닫힘의 모순율을 중심으로-

        엄연석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Sim Eon-gwang (沈彦光, 1487~1540) passed the primary state examination at the age of Twenty one and served the state for thirty years. When he started government service as a provincial governor of Hamgyeong-do, it was a kind of demotion to him. But apart from showing a good example of honesty, he performed his duties well with intelligence and strength conducted a good moral life. In this paper, an effort has been made to study Sim Eon-gwang’s classical scholarship by classifying the relevant aspects in to three categories. Firstly, the spirit of fidelity to his principle was reviewed. Sim Eon-gwang’was appointed as important officer in the Court. Eochon(漁村) was appointed to an important post, but experienced many political adversities. In the process, Eochon followed great loyalty and justification. The paper tries to reveal that the origin integral spirit served as foundation in reaching the ideals of royal politics and played a central role in establishing the causes of loyalty. Furthermore, it explores the Confucian ideals. The contemporary writings of Eochon is mainly focused on the primitive thoughts of Confucianism. However, it can be discerned that Eochon had comprehensive knowledge of Neo-Confucianism. Observing these facets, it has been attemp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Gobeoulgoron(觚不觚論)’ and explore some aspects of Metaphysical ontology. Through this study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Eochon’s Confucian scholarship can be identified. At last, scrutinizing the ethical views on economy in order, it is intended to study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To acquire an idea of Eochon’s classical scholarship, his court writings submitted to the Kings will be studied and based on these sources it is to endorse that the political ideology asserted by Eochon had elements of Confucian politics. Eochon laid emphasis on the discipline and learning of the highest ruler. The meaning of making an upright heart means detaching the self from prejudice and personal affairs. It articulates about acquiring the objective knowledge and impartial judgement. It further advocates that, “Heart controls the private matters”, declares that the heart determines all the thoughts, actions and decisions. 이 논문은 이원익이 유학사상에 대하여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나아가 유가 경전의 리더십 덕목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하여 그의 정치 군사적 활동과 유가적 리더십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원익은 公道와 公義를 여는 것과 私徑 및 私路를 닫는 것에 대한 모순율의 적용을 통하여 천하국가를 통일적으로 다스려야 함을 적극적으로 개진하였다. 또한 그는 言路를 개방하고 正路를 세우며, 諫言과 公道가 조정에서 개진됨으로써 조정이 화합하게 되고 이로부터 국가가 융성하고 강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원익에 있어서 마음의 본원을 함양하는 것은 大公을 통하여 공심을 넓힘으로써 국가를 화합하고 통합하는 정치적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원익은 무엇보다도 민생의 안정과 애민을 기본 정신으로 하는 민본주의적 사고에 입각하여 정치 군사적 활동을 통한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또한 그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균형과 조화를 강조하는 리더십을 실천하였으며, 군신 상하에 있어서 수직과 수평을 아우르는 통합의 리더십의 전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원익의 리더십은 현대적 관점에서 볼 때, 균형과 조화, 소통과 통합의 리더십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것으로 커다란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고전소설의 소상강 활용양상

        경일남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8 No.-

        본 논문은 소상강이 고전소설의 주요 작중공간으로 수용되고, 변모된 다양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중국의 소상팔경도가 한국에 전래된 이후, 소상강 유역은 절경의 상징적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소상강은 작중인물의 주유공간으로 수용되었으며, 소상팔경에 대한 우울한 서정적 묘사를 이용하여 사로공간으로 변용되었다. 또한 소상강 유역과 관련된 역사전설을 바탕으로 이곳은 작중인물의 구원공간으로 수용되었으며, 작중인물의 억울한 처지를 부각시켜주기 위한 원령공간으로 변모되었다. 그리고 소상강 유역의 이상경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이곳은 고전소설에서 탈속공간으로 수용되었으며, 여기에 풍수사상이 결합되어 길지공간으로 변용되었다. 이처럼 소상강은 고전소설에서 다양한 유형의 작중공간으로 활용되면서 작품구성에 기여하였다. 따라서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소상강이라는 작중공간에 대한 논의는 보다 본격화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various aspects of Sosang-river accepted as a major space in a story and how it is transformed. Since chinese 'Sosang palkyung do' has been passed down in Korea, the area of Sosang-river is perceived as a space of magnificent view. Based on this perception, it is accepted as a traveling space of character and transformed as a path to death in a play using gloomy lyrical description of 'Sosang Palkyung.' Also based on historical legend about the area of Sosang-river, it is accepted as a space to help character get out of the crisis and transformed as a space of revengeful spirit to emphasis character's undeserved mind. Based on the ideal image of Sosang-river, it is accepted as a space to be free from conventionality and combined Feng-sui Thought to this, it is used as a space of suspicious earth. Likewise, Sosang-river is utilized as various types of spaces in a story contributing to a composition of work.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iscuss a space, Sosang-river used in lots of classical novels.

      • KCI등재

        韓國 古代國家의 二重聳立構造와 그 展開

        徐毅植(Seo Eui-Sik) 역사교육연구회 2006 역사교육 Vol.98 No.-

        Up to the present, many historians have thought that the Korean history books and those of Chinese suggested the different historical phase for the Korean peninsular in the 3rd century. And then, they have made efforts to find out the correct one between the both sides’ history books. But the difference was merely occurred from the divergence of visual angle to same aspect. Because the Korean ancient states were founded on the basis of the duplex setup system, according to the visual angle, for example a lateral or a longitudinal view, it can be described to different phase. So we ought to read the both sides" history books mutual supplementarily. This thesis explores the structure of the Duplex Setup System of the korean ancient states. One of its main proposals is that the Three States of the Ancient Korea were established upon this system. The Khan class, that is, governing class of each state, were gathering each other, and had a chief Khan as their own king of a new united kingdom. Saroh(斯盧) was one of those. Therefore Saroh was a united kingdom ruled over all of the Jinhan(辰韓) states from the beginning. The people living in the state were not under the ruling of the king of Saroh, but under the ruling of their own Khan. So to speak, there were two dimension of state. One is a state ruled by a khan, another is a state was made up of the khan classes. This is the Duplex Setup System. Another is that the Duplex Setup System was the distinguishing phase of the ancient of Korea. When the Duplex Setup System was changed to the Unitary Ruling System by the King, the ancient period of the korean history was finished.

      • KCI우수등재

        알베르 사로(Albert Sarraut)의 발전 식민주의: 전간기 프랑스의 식민지 개발론과 새로운 통치성

        권윤경 역사학회 2023 역사학보 Vol.- No.258

        이 글은 전간기 프랑스에서 대두한 식민부 장관 알베르 사로(Albert Sarraut)의 식민지 개발론을 살펴봄으로써 발전의 역사(history of development)에서 식민주의적 계보를 추적하고자 한다. 전간기 제국들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 후 위기에 빠진 식민주의를 혁신하고 정당화하려는 시도가 공통으로 나타났고, 그 기저에 깔린 새로운 통치성은 발전을 키워드로 해서 국가가 사회에 계획적으로 개입하여 식민지의 자연 자원과 인구를 합리적으로 개발·관리하는 것이었다. 사로는 1921년 이후 국가의 적극적 계획을 통한 식민지의 기반시설 건설과 주민 복지를 골자로 하는 식민지 ‘개발(mise en valeur)’을 새로운 제국 정책의 과제로 확산시켰으며, 그의 주장은 비록 바로 정책화되지는 못했더라도 식민지 관료와 전문가 집단들에게서 광범위한 지지를 얻었다. 본문 2장에서는 사로의 1921년 법안과 그가 1923년에 출간한 책을 중심으로 식민지 발전론의 대략적 모습을 개관하고, 3장에서는 사로가 1931년에 출간한 책을 통해 1920년대 식민지 위기를 거치며 변화한 발전 식민주의의 모순을 탐구한다. 4장에서는 1930년대 이후 마침내 식민지 투자가 실현되면서 나타난 문제와 함께 유럽에 전운이 감돌면서 식민지 발전론이 ‘유라프리카’ 기획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살피고, 마지막 결론에서는 발전사 속에서 식민주의 과거의 중요성과 현재적 함의를 짚어본다.

      • KCI등재

        신라 건국과 斯盧 6村

        文暻鉉(Moon, Kyung-hyun)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3

        신라 수도 경주에 6부-6촌이 존재했다. 그 시작을 기원 1세기라 하나 나의 연구로는 6부는 4세기 이후에 만들어졌으며, 6부에 姓이 생긴 것은 신라 통일 이후라고 보겠다. 그리고 신라에서 촌이란 용어가 사용된 것은 적어도 6세기 이후에라야 가능하다. 사서에는 신라 건국을 기원전 1세기라 하나 기원후 4세기경에 역사적인 건국을 했다고 보겠다. 건국설화에는 박씨가 왕족이었다고 하였으나, 연구결과 김씨 왕족이 시조 이후 신라를 실질적으로 통치했다는 것이 이 연구의 개요이다. The Salo six village-groups existed in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dating from the first century B.C However, my study shows that the Salo came into existence after the fourth century and the family names after the unified Silla period. My study also shows that the term “chon” (meaning ‘village’ in Sino-Korean) was used after the sixth century. Though it is generally claimed that Silla was established in the first century B.C., I argue that the historic foundation took place circa fourth century. I also claim that the royal Kim’s reigned over Silla after the progenitor, unlike the legend on the foundation of Silla saying the the Park’s were the royal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