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적 커뮤니케이션디자인(ICD)의 과학적 사례조사 방법론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전종범(Jong Bum Jun),권재경(Je Gyeuong Kw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정보화 사회의 변화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디자인 특성이나 학문적, 실무적 연구와 함께 ICD(통합적 커뮤니케이션디자인)의 과학적 사례조사방법론에 대한 연구에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과학적 조사의 의미와 유형을 고찰하고, 기존의 과학적 사례조사방법론이 근거하고 있는 과학적 조사의 기준들을 조사해 보고, 방법론적으로 보완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특성을 파악하고 ICD(통합적 커뮤니케이션디자인)의 과학적 사례조사의 기준에 적합할 수 있는 세분화된 방법론적 내용들을 이론적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과학적 사례조사방법에 대한 연구의 일반화를 위해서 이론이나 전략을 중심으로 근원적인 시각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으며 Yin (1984)의 연구에서 과학적 지식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인 신뢰성, 구성적 타당성, 내적 타당성, 외적 타당성의 4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ICD(통합적 커뮤니케이션디자인)의 과학적 사례조사방법론을 분석해 볼 때 기존의 방법론에서 간과하고 있는 분석적 일반화, 조사자의 중요한 역할, 증거활용과 해석, 상관적인 자료수집 등을 찾아낼 수 있었으며, 동시에 과학적 사례조사방법상 미비한 조사절차, 조사 설계, 자료 분석 방법 등에 대해서는 이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ICD(통합적 커뮤니케이션디자인)의 현실적 필요성과 ICD(통합적 커뮤니케이션디자인)의 과학적 사례조사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This research is exploratory study to construct necessary theoretical foundation to develop Integrated communication design relationship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being based on new theory of information-oriented society. Grasped special quality to supplement methodically about scientific research`s lacking thing. and searched atomized methodology contents that can be suiTable in standard of scientific research with special quality that is the design methodology enemy. Found out analytic generalization, important part of inquirer, proof inflection and analysis, correlative documenting etc. analyzing.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of Integrated communication design. and I wished to supplement lacking investigation procedure of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design, data analysis method etc. This research is meaning in basic data establishment about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of Integrated communication design.

      • KCI등재

        토지조사사업을 통한 일제의 토지수탈 사례 연구

        전영길(Jeon, Yeong-Gil),이성익(Lee, Seong-Yik) 한국지적정보학회 2017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일제의 토지조사사업 당시 이에 저항했던 한 지역 주민들의 사례를 인용, 소개하는 사례분석을 통해 토지조사사업 및 임야조사사업의 실질적 목적이 토지수탈에 치중해 있었음을 추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동안 지적학계 및 실무계에서는 단순히 토지조사사업 및 임야조사사업의 성과만을 강조해 왔다. 반면 역사학계에서는 토지조사사업, 임야조사사업이야 말로 식민지수탈의 가장 큰 수단이었던 것으로 인식해 왔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 지적학계에서도 식민지 토지수탈과 주민항쟁의 사례들에도 다시 관심을 두어 재조명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어느 한편에 치우치지 않는 통합적인 시각에서, 토지조사사업 및 임야조사사업의 공. 과를 함께 재평가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ims to find and suggest that the substantial goal of Land Survey project(1910-1918) might be centered on colonial land exploitation by case study, in which peoples protest against Land Survey Project. Till now, in both korean cadastral academic or administration parts, only the achievements of Land Survey Project and Forest Survey Project has been emphasized. On the contrary, many historians has recognized that they have been the strongest tool to exploit the colonial land. So from now, we will have to be interested on the land exploitation or people’s resistance against the Land Survey Project and Forest Survey Project, and reconsider those projects with a integrated perspective which can not be biased to any one aspect.

      • KCI등재

        사례조사를 통한 통일후 북한의 지적재조사 방안

        김석종(Kim, Suk Jong) 한국지적학회 2015 한국지적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통일한국의 지적재조사 방안모색을 위해 유사 국가사례로 이미 통일된 국가인 독일, 체제전환국가인 러시아, 지적재조사사업이 완료된 프랑스를 사례조사로 비교하였다. 또한 최근 북한의 연구동향과 2014년 10월의 남북물류포럼 세미나 참석 등을 통해 수집한 자료 등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먼저 지적재조사사업의 추진과정에 있어 다목적 지적제도로 나아가고 있는 남한의 실정과 기준에 준하는 방향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그리고 기존에 존재하는 법률과 동일한 체계의 「북한지역 지적재조사 측별법」 제정‘북한토지조사국’ 또는 ‘북한토지조사청’ 의 추진기구 설립, 북한인력에 의한 지적재조사 및 제도정착, 입체지적에 걸맞는 일필지 조사범위의 다양화, 남북한 전체의 통합 지적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구축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In this study, For the seek of cadastral resurvey methods of unified Korea, a couple of similar cases were studied and compared such as already unified nation Germany, transition country Russia, and France which has completed survey. In addition, recent research trend of the North Korea and data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ng in South-North logistic forum on October, 2014 were analyzed. In summary of result, it should be approached to the direction equivalent to the situation and standards of South Korea which is approaching to multi purpose cadastral system. Further, we should consider to build a system to provide integrated cadastral information such as enacting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of North Korea which will be similar to the existing laws and establish 'North Korea Land Research Bureau' or 'North Korea Land Research Department', resurvey by North Korean labor and system settlement, diversifying the survey range which fits to the dimensional cadastre, etc.

      • KCI등재

        직업재활 사례관리 활성화 요인에 대한 사례관리자 인식 연구

        이창희(Lee, Chang-He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0 재활복지 Vol.24 No.2

        이 연구는 장애인 직업재활 현장에서 사례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데 필요한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서 직업재활 현장 사례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대부분의사례관리자들은 직업재활 서비스의 핵심적인 역할이 사례관리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사례관리자들이인식하는 직업재활 사례관리 활성화의 핵심적 요인으로 첫째, 직업재활 실천 현장에서 사례관리가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차원에서 사례관리를 위한 협력 체계를 마련하여 기관 간의 연계와 자원 공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둘째, 직업재활 사례관리모델에 관한 경험적인 연구와 그 결과의 전파를 통해 직업재활 실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사례관리 모델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효과적인 사례관리 실천을 위해서는 사례관리자 1인당이용자 관리의 비중을 조정하여 이용자의 욕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조직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직업재활 실천 현장 사례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사례관리 교육을 시행할 때 현장 사례관리자들이 필요로 하는 전문 지식과 실천 방법에 대한 교육 과정을 개설하여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case managers to analyze the factors necessary for effective case management at vocational rehabilitation sites for the disabled.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most case managers recognized the need for case management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system, and that the key role of rehabilitation services was case management. Second, in order for case management to be carried out effectively at the sit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e,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for case management at the community level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case management so that cooperation and resource sharing among agencies can be achieved. Third, through empirical research o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model and the dissemination of its results, efforts were needed to support the use of the case management model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ite. Fourth, effective case management practices need to further reduce the proportion of case management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direct and indirect practices can be carried out smoothly to respond to users needs. Fifth, in implementing case management training for occup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e field case managers,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around the specialized knowledge required by field case managers and the training courses on how to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층처분 부지조사를 위한 암반공학적 요소: 국내외 현황 및 사례 조사

        최승범(Seungbeom Choi),김유홍(You Hong Kihm),김은경(Eungyeong Kim),천대성(Dae-Sung Cheon) 한국암반공학회 2020 터널과지하공간 Vol.30 No.2

        우리나라는 1978년부터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해왔으며 그에 따른 고준위방사성폐기물 발생이 누적되고 있다. 이를 안전하게 처분하기 위한 영구 처분시설이 시급한 실정이나 처분 부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광범위하고 정밀한 부지조사가 요구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조사가 선행되어야한다. 이러한 부지조사는 단계별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과정에서 다학제적 평가가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부지조사 과정에서 요구되는 암반공학적 요소를 중점으로 사례조사를 수행하였다. 단계별로 고려되는 암반공학적 평가요소와 그 적용 사례를 정리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수행된 해외 연구 사례를 조사하였다. 동시에 국내 연구현황을 정리하였고 부지조사와 관련된 향후 연구 계획을 간략히 보고하였다. 향후 연구를 통해 부지조사 시 참고할 수 있는 기반자료를 생산하고자 하며 본 논문에서 수집된 사례 역시 활용할 예정이다. Nuclear power plants have been operated in Korea since 1978, thus the high-level radioactive waste (HLW) produced from the plants has been accumulated accordingly. Hence, it is urgent to secure a final repository for HLW disposal, however, siting process should be preceded, which usually takes long time, as it requires broad and precise investigation. The investigation is generally carried out in stages, which consists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In this study, the case studies mainly pertaining to rock mechanics were conducted. Rock mechanical aspects required in each stage and their applications were investigated and corresponding R&D researches were presented as well. At the same time, current research status in Korea was presented, followed by a brief future research plan with regard to the site investigation. The future research aims to produc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siting process, and the compiled cases in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references in the research.

      • 해외 환경정책 인벤토리 구축 연구 : 환경전략/대기환경/물환경/국토자연/자원순환 부문

        공성용,홍현정,한대호,한상운,조일현 ( Ilhyun Cho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6 No.-

        정부 3.0 시대에 정부는 공공 정보를 적극 개방·공유하고 소통·협력하여 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힘쓰고 있다. 환경관련 정보도 예외는 아니다. 환경정보는 정부부처(환경부) 및 산하기관의 개별 홈페이지를 통해 관련 환경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대부분 물리적인 환경 매체별 정보 제공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기후변화와 각종 환경 재난 등으로 인해 전 세계는 어느 때보다 긴밀하게 협력하지 않으면 안 될 시점에 와 있는데 이러한 시점에 해외의 선진 환경정책 사례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관리·공유하는 것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해외의 우수한 정책 사례들이 정리되어 정부, 전문가, 일반 국민에게 손쉽게 제공된다면 우리나라의 환경정책이 다양한 경제주체와 이해 당사자의 참여 속에 국제사회의 흐름에 발맞추어 능동적으로 대응하는데 큰 뒷받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가 기획되었고 ‘환경전략’, ‘대기환경’, ‘물환경’, ‘국토자연’, ‘자원순환’ 크게 다섯 가지 부문별로 해외 환경정책들을 분류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 그 체계에 따라 부문별로 해외 환경정책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를 해외 환경정책 DB 카드로 시범 작성하여 정부, 전문가, 일반 국민 등이 해외 환경정책 사례에 대해 접근하고 활용하기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환경전략 부문은 환경전략 관련 국내외 법제도와 기본계획, 정책들을 참조하여 4개의 대분류, 12개의 중분류, 32개의 소분류로 분류체계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EU의 환경관리 및 감시(EMAS) 제도, 네덜란드의 녹색펀드계획(Green Funds Scheme), 미국 뉴잉글랜드의 도시환경프로그램(The Urban Environmental Program) 이상 세 개의 해외 정책사례를 조사해 각각의 정책 DB카드를 시범 작성하였다. 물환경 부문은 크게 물환경과 물인프라 2개의 대분류를 기반으로 물환경은 다시 수질관리, 수생태 보호, 수량관리의 3개의 중분류와 환경인프라로 4개의 중분류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각각 중분류에 대한 주요 정책분야를 구분하여 수질 관리는 9개 분야로 수생태 보호는 7개, 수량관리는 8개, 그리고 환경인프라는 6개, 이상 총 30개로 구분하였다. 선정된 분류체계에 대한 실제 해외사례의 적용을 살펴보기 위해 EU의 통합유역관리정책인 강유역관리계획 (RBMP), 수질모니터링 정책, 그리고 물환경 부문의 포털정보시스템인 WISE에 대한 사례를 상세하게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DB카드를 시범 작성하였다. 대기환경부문의 경우, 국내의 대기환경 관련 법령과 국가계획의 정책들 분류 체계 그리고 주요국의 대기환경관리 체계를 비교·검토하여 대기환경 부문의 대분류를 대기오염물질별 관리와 배출원별 관리로 구분한 후 이에 따라 중분류 및 소분류 체계를 설정하여 대기환경부문 정책분류표를 작성하였다. 또한 정책분류표에 따른 시범 DB카드를 첫 번째 소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미세먼지 관리’를 중심으로 작성해 해외 우수 정책 사례를 검토하였다. 국토자연 부문은 국토자연 대표 국가 법률, 국가 계획, 국가 통계, 국가 지표 등을 고찰하여 국토자연정책 분류 체계를 대분류(5), 중분류(14), 세분류(35)별로 설정하고, 대내외 정책정보 제공 플랫폼을 고찰하여 국토자연정책 분석 체계를 근거, 정책, 담당, 출처로 설정하였다. 국토자연정책 분류 및 분석 체계를 기반으로 국토자연정책 DB카드 양식을 제안하였고, DB카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해외 주요 생태축 정책을 고찰하여 DB카드를 시범 작성하였다. 자원순환부문은 「자원순환기본법」의 제정에 따라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을 촉구하기 위해서는 관련 해외 선진정책의 정보를 파악하여 우리나라의 법제도를 보완하고 사업자와 국민의 인식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미국, 일본 등의 자원순환부문 환경정책 선진국의 자원순환 부문 법률, 계획, 제도, 법체계 등 정책시행 영역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자원순환 부문 정보 분석 범위 및 분류체계를 설정하였고, 정책사례로써 일본의 「순환형사회 형성기본법」, 유럽연합의 WEEE지침, 미국의 WasteWise 프로그램과 매립지 메탄 추출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시범 데이터베이스카드를 작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각 부문별로 해외 환경정책 인벤토리를 시범 구축해 본 결과, 첫째, 해외 정보를 활용할 대상과 목적, 제공방법과 방식이 명확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분류체계에 대한 엄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해외 환경정책 인벤토리 구축뿐만 아니라 이후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 및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최신화하는 작업이 더욱 중요하다. 셋째, 기본적으로 정부, 전문가, 일반 국민이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인벤토리를 구축하고자 하였으나 정보 이용자의 이용 목적과 수준, 기대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인벤토리 구축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해외 환경정책 인벤토리를 구축하는 기초 연구이므로 향후 연구 방향에 맞추어 앞에서 언급한 점을 감안하여 로드맵을 작성한 후, 연구를 추진 및 실행한다면 이용자의 특성에 맞는 해외 환경정책 정보 제공 및 활용·공유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e now live in an age of information overload. How we can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a timely manner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how much information we have in achieving goals and making policy decisions. Under the vision of “Government 3.0”,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actively seeking to open, share and communicate public information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to the public.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no exception. However, most of the provided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currently categorized by physical media. In the case of environmental policy, we can benchmark the advanced environmental policy examples of other nations and introduce and operate them in accordance with our actual situation. These cases of foreign environmental policies are, however, scattered across the institutions and Internet sites of each country and are not not provided in an organized manner. Meanwhile, it is time for the world to cooperate more closely than ever before due to climate change and various environmental disasters. At this point, should the excellent policy cases abroad be classified and arranged according to the same standards and readily provided to the government,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they will ensure that South Korea``s environmental policies actively cope with the flow of international community by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of diverse economic entities and stakeholders. This study was planned for such purpose and a system was established to classify foreign environmental policies into five categories: ‘environmental strategy’, ‘atmospheric environment’, ‘water environment’, ‘nature and land’, and ‘resource circulation’, based on which the worldwide cases of environmental policy were studied accordingly. Then, we made an initial attempt to produce a DB card of worldwide environmental policies to make the information accessible and useful to the government,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overseas. Basically, database building is not done in a short time, and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grasp the needs of stakeholder and information users, and to continuously manage and update the inventories by reflecting them.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worldwide environmental policies inventory is piloted by each division and will be a useful reference in decision-making in the future if the demand of information users is accurately understood and the inventory is managed and updated continuously.

      • KCI등재

        블랙박스 설치 후 주행 중 발생한 자동차 화재 사례의 분석

        이의평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3

        This study investigated a car fire that broke out in the dashboard during driving and analyzed a fire cause and the party responsible for the fire. The black box and its auxiliary battery of the car were put after its purchase. A fire station investigator concluded that a fire cause was related with a black box auxiliary battery. This author dismantled the dashboard to investigate the fire cause and found that the fire was caused by a power steering module and not by the black box auxiliary battery. The findings were presented by evidence.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sponsibility of the fire rested with a car maker rather than with a car owner or a car service center putting the black box auxiliary battery. The investigation of the car fire case confirmed that the cause of a car fire should be judged by specific investigation including dismantlement and not be estimated by investigating appearances or prejudice without evidence. 이 논문에서는 자동차 구입 후 블랙박스와 블랙박스 보조배터리를 설치한 자동차에서 주행 중 대시보드 안에서 발생한 화재사례에 대해 조사하여 화재원인과 화재발생 책임소재 등을 분석하였다. 이 자동차 화재 사례에 대해 소방서의 화재조사관은 블랙박스 보조배터리와 관련되어 화재가 발생한 것이라고 조사하였는데, 저자가 대시보드 등을 분해하여 구체적으로 조사한 결과 물증을 제시하여 블랙박스 보조배터리와는 관련이 없는 파워스티어링 모듈로 인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자동차 화재의 발생 책임이 차주나 블랙박스 보조배터리를 설치한 정비센터에 있지 않고 자동차 제조사에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 자동차 화재사례의 조사를 통해 분해하여 조사하는 등 구체적인 조사를 하지 않고 외관조사만으로 화재원인을 판정하거나 선입견으로 물증을 제시하지 않고 화재원인을 추정해서는 안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아동학대 조사 공공화 정책 이후 지역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업무 경험

        박송이,YOO JOAN PAEK,이봉주,이재윤,조예상,이상균,김세원,김현수 한국사례관리학회 2022 사례관리연구 Vol.13 No.1

        2019년 10월 포용국가 아동정책의 세부 추진과제로 아동 최선의 이익을 위한 지자체 책임 강화의 일환인 아동학대 조사 공공화 정책이 도입되었다. 아동학대 조사 공공화 정책은 기존에 민간이 해오던 아동학대 대응 업무를 아동학대 조사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업무는 공공이, 사례관리 업무는 민간이 수행하는 분담 체계를 구축하였다. 아동학대에 대한 국가의 공공성이 강화되는 현 시점에 본 연구는 아동학대 조사 공공화 이후 현장의 변화를 탐색하고,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18명의 지역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여 정책 도입 이후 이들의 업무 경험이 어떠한지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아동학대 조사 공공화 이후 지역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들의 경험은 두 가지 주제로 분석되었다. 먼저, 이들은 ‘아동학대 조사 공공화의 기대효과 경험’으로 ‘사례관리 중점 기관으로의 전환’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공공화에 따른 새로운 문제 등장 및 오래된 과제의 미해소’로 ‘이질적 조직체계의 협업에 따른 한계’와 ‘사례관리 전문 수행기관으로 전환을 저해하는 요인’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보호체계의 실효성을 기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무브랜드 특성 및 비주얼 아이덴티티 구성요인에 기초한 사례조사

        차은수 ( Eun-soo Tcha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3

        연구배경 최근 무브랜드는 ‘브랜드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기존의 의미를 넘어 새로운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브랜드의 정의 및 개념 변화, 디자인 경향을 파악을 위한 사례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브랜드의 개념 변화를 이해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하여 일반 브랜드와의 디자인적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조사를 통해 무브랜드의 본질, 개념 변화 추이, 종류에 관해 고찰하고, 무브랜드 디자인 특성 및 비주얼 아이덴티티 구성요인에 기반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한다. 조사대상은 무브랜드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및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국내외 8개 기업이다. 연구결과 사례조사를 통해 무브랜드 특성이 무브랜드 비주얼 아이덴티티 요인에 전반적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특히, 상표 지향 무브랜드가 상품정보 지향 무브랜드에 비해 이들 요인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단순성, 편의성, 효율성이 환경성, 모듈성에 비해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결론 무브랜드의 본질 및 시기별 변화 추의를 살펴봄으로써 상품정보 지향 무브랜드와 상표 지향 무브랜드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무브랜드 특성을 편의성, 단순성, 환경성, 모듈성, 효율성으로, 무브랜드 비주얼 아이덴티티 요인을 심볼/로고, 서체, 컬러, 패키지, 광고, 웹사이트로 규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무브랜드 특성이 무브랜드 비주얼 아이덴티티 구성요인에 긍정적 가치를 창출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Background Recently, non-brand is recognized as a new concept beyond the existing meaning of ‘no brand exists'. Nevertheless, there is a lack of case studie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concept changes, and design trend of non-brand. Henc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changes of non-brand,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design components with general brands through case studies. Methods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conceptual change and types of non-bran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nducts case research on the basis of non-brand design characteristics and visual identity components. The research targets are 8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that have high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consumer awareness by reflecting non-brand characteristics. Result The case study shows that non-brand characteristics are generally reflected in non-brand visual identity components, and in particular, the brand-oriented non-brand is more actively utilizing these components than the product-oriented non-brand. Inaddition, simplicity, convenience, and efficiency were more actively applied than environmental factor and modularity. Conclusion By examining the nature of non-brand and trend per period, it was defined by dividing it into brand-oriented non-brand and product-oriented non-brand. In addition, for the non-brand case study, non-brand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into convenience, simplicity, environmental factor, modularity, and efficiency, and non-brand visual identity components were defined as symbols/logos, fonts, colors, packages, advertisements, and websites. By analyzing the cases based on these, the characteristics of non-brand were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creating positive value for the non-brand visual identity compon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