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참외의 대목 종류가 뿌리의 발달과 활력에 미치는 영향

        신용습(Yong-Seub Shin),서영진(Young-Jin Seo),최충돈(Chung-Don Choi),박소득(So-Deuk Park),김병수(Byung-Soo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5 No.4

        참외의 대목종류가 뿌리의 발달과 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근묘에 비해 접목묘의 뿌리 생장이 우수하였으며 접목묘 중에서는 세력이 강한 품종으로 알려진 ‘신토좌’, ‘엘리트호박’의 생장이 좋았다. 뿌리의 활력과 관련된 일비액의 분비는 자근묘보다 접목묘에서 우수하였고 뿌리의 발달과 일비속도의 증가는 지온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지온이 상승할수록 뿌리 발달이 촉진되고 근 활력이 우수하였다. 과실의 수량은 접목묘에서 무거웠으나 품질은 지근묘에서 높았다. Results of development and activity of roots by rootstock sort of oriental melon were fellowed; Grafted seedlings had higher root growth than self-roots seedlings and among grafted seedlings, Shintozoa and Elite rootstocks had higher root growth. Grafted seedlings had more xylem exudate, which connects activity of roots, than self-root seedlings. Development of roots and increase of xylem exudate were better in higher temperature. Marketable yield was higher in grafted seedling and quality of fruit was higher in self-root seedling.

      • KCI등재

        사과뿌리썩이선충의 침입과 기주의 해부학적 및 생화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혜림,한상찬,김용균 한국응용곤충학회 199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는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vulnus)이 옥수수뿌리조직을 침입했을 때, 조직의 해부학적.생화학적 변화를 밝힘으로써 식물과 선충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이들 정보를 바탕으로 선충저항성 작물의 육종 및 선별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옥수수뿌리 표피를 뚫고 들어온 선충은 뿌리 피층에 자리를 잡고, 세포벽을 파괴하면서 다른 세포로 이동한다. 마침내 선충들은 피층의 내피와 세근의 기부에 밀집했다. P.vuinus의 암컷들은 세포내에 공간(cavity)을 형성하여 그 속에 알을 낳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선충에 의한 주된 피해양상은 세포벽이 파괴되고 부서져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세근의 기부에서도 관찰된다. 선충의 피해로 야기된 옥수수 뿌리의 생화학적 변화는 선충접종구와 무접종구간 총단백질양과 esterase활력조사를 통해 비교.분석되었다. Denaturing gel 상에서 총단백질양의 비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esterase 의 pattern 및 활력에서도 유의할 만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Anatomical and biochemical changes of the corn root injured by the root lesion nematode, Pratylenchus vulnu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nematode and the crop which can be applied to a breeding program for nematode-resistant crop. The nematode and the crop which can be applied to be a breeding program for nematode-resistant crop. The nematode entered the cortex of corn root through its epidemis. They moved to other cortical cells by breaking their cell walls. They, finally, gathered around the endodermis of the roots and the bases of the root hairs. Parasitism of the nematode formed cavities within the root tissues where the females laid eggs. Major root damage by the nematode occurred in the cortical cells where must cell walls were broken and crushed to form empty spaces. These empty spaces in the base of the root resulted in this breakdown. Damage-induced biochemical changes of the corn roots were analysed by their total protein patterns and esterase activities in both control and nematode-infected roots. Denaturing gel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nding patterns between them. Esterase patterns and activities, also,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infected and the control roots.

      • KCI등재

        숙근안개초의 생장 및 로제트 발생에 미치는 장일 및 GA3 엽면살포의 영향

        정동춘,임회춘,김갑철,송영주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07 화훼연구 Vol.15 No.4

        준고냉지 안개초 가을~초겨울 절화 작형에서 장일 (일장연장, 광중단) 단독처리 및 GA3 병행처리가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뿌리활력과 광합 성속도는 장일처리로 높아졌고, GA3 병행처리로 더 증 가되었다. 광중단 처리에서 출뢰가 무처리보다 11일 촉 진되었으며, 출뢰한 분지수가 주당 4.9개로 가장 많았 고 로제트 발생률도 무처리에 비해 50% 억제되어 절 화량이 증가하였다. 한편 장일과 GA3 병행처리가 로제 트 발생 억제에 상승적으로 작용하지는 못했다. The effect of long day treatment (day length extension and night break) and foliar application of 100 mg·L-1 GA3 on growth and rosette formation of Gypsophila paniculata in autumn cultivation in the subalpine area was investigated. Long day treatment increased root activity and photosynthetic rate, and application of GA3 led to a slight additional increase of both root activity and photosynthetic rate. Night break treatment advanced the time of flower budding, increased the number of flower budding on lateral shoot, and reduced the ratio of rosette formation, which led to an increase in yield. However, long day treatment along with foliar application of GA3 did not synergistically affected in the inhibition of rosette formation.

      • KCI등재

        반촉성 수경재배시 대목에 따른 방울토마토 접목묘의 생육, 수량 및 엽 내 양분 함량

        이혜원,정효봉,이준구,황인덕,권덕호,안율균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2 No.1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cultivation in tomatoes for year-round production. One of them, semi-forcing cultivation is characterized by growing seedlings in winter season. If grafted seedlings are used in winter season that energy cost can be reduced, because they have tolerance to cold str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ootstock performance by measuring the growth, yield, and leaf-macronutrient content of cherry tomatoes grown in semi-forcing hydroponics. Three domestic rootstocks ‘HSF4’, ‘21LM’, ‘21A701’, and a control cultivar ‘B-blocking’ were grafted onto jujube-shaped cherry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L.) commercial cultivar ‘Nonari’. The total yield per plant with grafted cherry tomato ‘21A701’ was 3,387g, which was 11%, 22% and 24% higher than the yield with ‘B-blocking’, non-grafted one and ‘HSF4’. The stem diameter of ‘21A701’ was thick with 8.26mm, whereas non-grafted one was thin with 7.23mm at 160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flowering position of ‘21LM’ was 34% and 47% higher than the flowering position of ‘B-blocking’ and non-grafted one at 153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NO3-N concentration in petiole sap of ‘21LM’ was the highest with 1,746mg·L-1 and non-grafted one and ‘HSF4’ were the lowest with 1,252mg·L-1 and 1,245mg·L-1 at 167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rootstock/scion combinations in cherry tomatoes can affect the plant growth, yield, and the concentration of different NO3-N in leaves at the late growth stage. Both ‘21A701’ and ‘21LM’ have vigorous root system, which influence the growth and yield increased. 토마토 재배 작형 중 반촉성재배는 저온기 육묘가 특징으로 저온에 내성을 갖는 접목묘를 사용하면 겨울철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반촉성 수경재배 시 방울토마토 대목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생육과 수량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 엽 내 양분 함량을 측정하여 국내에서 육성한 대목의 성능을 검정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 재료로는 대목 계통 ‘HSF4’, ‘21LM’, ‘21A701’과 대조 대목품종 ‘B-blocking’을 사용하였으며, 접수 품종으로 대추방울토마토 ‘Nonari’를 사용하여 접목 처리구 4개와 비접목 처리구 1개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정식 후 160일에 ‘21A701’ 대목 처리구의 줄기직경은 8.26mm로 대조 대목 처리구인 ‘B-blocking’보다 0.27mm 더 두꺼웠고 비접목 처리구는 7.23mm로 얇았다. 정식 후 153일에 ‘21LM’ 처리구의 개화위치는 18.0cm로 ‘B-blocking’보다 6.2cm 더 높았고, 비접목 처리구는 9.6cm로 낮았다. ‘21A701’의 주당 총 수량은 3,387g으로 ‘B-blocking’보다 11% 높았고 비접목처리구와 ‘HSF4’보다 각각 22%와 24% 더 높았다. 정식 후 167일에 ‘21LM’의 NO3-N 농도는 1,746mg·L-1로 높았고 비접목 처리구와 ‘HSF4’는 각각 1,252mg·L-1와 1,245mg·L-1 으로 낮았다. ‘21A701’과 ‘21LM’은 뿌리 활력이 강해 생장과 수량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HSF4’의 주당 총 수량이 적은 이유는 접목 친화성이 낮아 양수분의 이동이 약하고 이에 따라 생장과 엽내 질산태 질소 함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처리 간 수량과 생육 정도가 생육 후기 엽내 양분 함량과 비슷한 양상을 보여 엽병 즙액 분석을 통해 대목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고온과 다습조건이 양파의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희주,이상규,김성겸,안세웅,이진형,이희수,김철우,권영석,한지원 한국원예학회 2019 원예과학기술지 Vol.37 No.5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combination of high-temperature and excessive irrigation treatments on growth, physiological response, and yield of onion (Allium cepa).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typical plastic house (one side open and the other side installed ventilation fans) with a gradient air temperature (maximum different value of air temperature: 6°C). The excessive irrigation (EI) treatment commenced at 149 days after transplanting.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growth parameters in response to air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conditions. Under a combination of ambient (A) + 6°C and A + 3°C with optimal irrigation (OI) conditions, the plant height was 128.7 and 128.9 cm/plant, respectively, which was the highest among all the tested treatments. The number of leaves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of 11.8 and 11.7/plant at A + 3°C andA + 6°C with OI and least difference of 8.6/plant in A-EI. The stem diameter and leaf width were higher under A + 3°C and A + 6°C with OI conditions than in the ambient temperature treatment. Bulb weight dramatically increased under the A + 6°C and A + 3°C temperature treatments. The marketable yields increased by 157% and 127% under A + 6°C-OI and A + 6°C-EI temperature treatments than in ambient temperature with OI.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nion yields increased in response to 6°C or 3°C high-temperature treatments than under the ambient temperature treatment. 양파의 고온과 다습조건이 생육, 생리반응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하우스의막혀 있는 부분에 설치된 환기팬을 이용하여 시설 내부로 공기를 빨아들여 개방된 반대쪽 입구로 배출함으로써 입구와 안쪽의온도차가 6°C로 조절되는 시설에서 수행하였다. 토양수분 다습처리(EI)는 정식후 149일부터 토양수분 함량이 40%가 되도록처리하였다. 양파의 생육특성은 온도와 토양수분에 의해 유의성이 있었다. 초장은 외기 + 3°C(Ambient; A + 3°C), 외기 +6°C(A + 6°C)의 적습(OI) 처리구가 각각 128.7cm와 128.9cm로 다른 처리구보다 컸다. 엽수는 A + 3°C-OI 처리와 A + 6°C-OI처리구가 주당 11.8매와 11.7매로 가장 많았고, A-EI 처리구가 8.6매로 가장 적었다. 양파의 경경과 엽폭은 A + 3°C-OI 처리와A + 6°C-OI 처리구가 외기처리구보다 증가하였다. 양파의 구중은 A + 3°C, A + 6°C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상품수량은 A+ 6°C-OI처리와 A + 3°C-OI 처리구가 외기-OI 대비 각각 157%, 127% 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양파는 외기보다 6°C 정도 고온이 되면 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육 후기 과다한 토양 수분에 따라 생장이 억제되었다. 그리고 수량과 과실의 형태는 토양수분보다는 기온의 영향이 컸다. 외기온 처리구(대조구)에서 토양 수분이 과다한 처리구에서 수량이 감소하였으나, 고온 처리구(+ 3°C)에서는 과다한 토양 수분이 구중의 무게가 유의하게 컸다.

      • KCI등재
      • KCI등재

        착과기 이후의 약광 조건이 백침계 오이의 생육반응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성기철(Ki Cheol Seong),문지혜(Gi Hye Moon),이상규(Sang Gyu Lee),강용구(Yong Gu Kang),김광용(Kwang Yong Kim),서효덕(Hyo Duck Seo)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4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3 No.1

        본 시험은 백침계 오이에 있어 착과기 이후의 저광도 조건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자 수행되었다. 광도 처리는 무처리를 비롯하여 100, 200, 400 μ㏖ㆍm?²ㆍs?¹로 되도록 하였다. 초장과 측지길이는 광도가 낮았던 처리에서 크게 감소되었으나, 저광도 처리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엽면적과 근중은 100 μ㏖ㆍm?²ㆍs?¹에서 가장 적었으나, 200과 400 μ㏖ㆍm?²ㆍs?¹ 처리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광합성량은 저광도가 될수록 감소되었다. 엽록소 함량과, 근활력 및 일비액 역시 낮은 광도에서 감소하였는데, 200 μ㏖ㆍm?²ㆍs?¹과 400 μ㏖ㆍm?²ㆍs?¹ 처리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잎의 기공 관찰 결과 낮은 광도에서 기공세포의 발달이 억제되었고 기공의 개도도 완전하지 않았으며, 기공크기가 작았으나 기공수는 증가하였다. 낮은 광도 하에서 잎에 황화현상과 유과 형태의 비정상과가 발생되었다. 또한 잎의 Mg와 Ca의 흡수량이 광도가 낮아짐에 따라 저하되었다. 수확과수는 자연광에 비하여 400μ㏖ㆍm?²ㆍs?¹에서 65%, 200과 100 μ㏖ㆍm?²ㆍs?¹에서 각각 80%와 90%의 수량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저광 조건은 처리 후 2주 정도의 초기수량에 크게 영향을 끼쳤으며, 특히 측지 수확과수가 현저히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light intensity (100, 200, 400 μ㏖ㆍm?²ㆍs?¹, and natural light) on the growth and the fruit quality of cucumber(Cucumis sativus cv. Hyakunari-3).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plant height and length of lateral shoots were decreased under low light condition,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Leaf area and root weight were lowest under low light intensity(100 μ㏖ㆍm?²ㆍs?¹),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200 and 400 μ㏖ㆍm?²ㆍs?¹. Photosynthesis rate was decreased with reduced light intensity and total chlorophyll contents, root activity and xylem sap were also decreased under low light intens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00 and 400 μ㏖ㆍm?²ㆍs?¹. From the SEM observation the erosion of the guard cells and closed stomata in low light treatment were shown and the size of stoma were small also the stomatal aperture were decreased with reducing the light intensity. Chlorosis in leaves and aborted-liked fruits were appeared under low light condition and Ca and Mg uptake in leaves were decreased by shading in proportion to the decrease of light intensity. Fruit yields were decreased by 65% under 400 μ㏖ㆍm?²ㆍs?¹, and by 80~90% under 200 and 100 μ㏖ㆍm?²ㆍs?¹, compared to those under the natural light. This low intensity of light caused the sharp decrease in the early harvested yields within two weeks and the fruit yields of lateral shoots were greatly decreased.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절화장미 수경재배시 배양액의 농도와 pH가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혜진(Hye Jin Lee),양은영(Eun-Young Yang),박금순(Keum-Soon Park),이용범(Yong-Beom Lee),배종향(Jong Hyang Bae),전경수(Kyung Soo Je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4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3 No.4

        본 실험은 장미 식물생산공장식 수경재배시 배양액의 EC와 pH와 같은 지하부 환경요인이 장미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배양액의 EC를 1.0~3.5dSㆍm­¹로 처리하였을 때 장미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큰 차이가 없어 비료의 사용량을 고려하여 배양액의 농도를 높게 관리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합성률, 증산률 및 생육 등은 EC 1.0~1.5dSㆍm­¹에서 높아 single-stemmedrose 수경재배에 있어 최적의 농도임을 알 수 있었다. 배양액의 pH는 pH 3.0과 7.0을 제외한 pH 4.0~6.0에서 광합성률과 증산률이 높게 나타나 장미는 배양액의 pH를 다른 작물에 비해 낮게 관리하는 것이 생육이나 무기이온 흡수에 있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C and pH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the single-stemmed rose grown in a rose factory installed with hydroponic system. The growth and quality of the single-stemmed ro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the EC of the nutrient solutions 1.0~3.5 dSㆍm­¹, which resulted in concluding high concentra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was not necessary. The optimum range of the EC for single-stemmed rose was 1.5~2.0 dSㆍm­¹ considering plant growth, photosynthetic and transpiration rates. The optimum range of the pH for good plant growth without any visible physiological disorder was 4.0~6.0. Therefore, to keep the pH of the nutrient solution for rose low compared to other plants was beneficial for plant growth and uptake of the mineral 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