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5세 일반 아동의 어휘 발달

        차재은(Jae Eun Cha),김정미(Jung Mee Kim),김수진(Soo Jin Kim),윤미선(Mi Sun Yoon),장문수(Moon Soo Ch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4

        배경 및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학령 전기 일반 아동의 자발화에 나타난 체언의 유형 수와 빈도 수를 살펴보고 품사별로 고빈도 어휘목록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나사렛 말뭉치 2, 3, 4, 5세 아동 각각 20명씩 총 80명의 발화에서 아동별로 300-400 발화를 선정하여 65,783 어절에 대해 체언의 유형 수와 사용 빈도를 계량화하고 고빈도 어휘를 제시하였다. 결과: 체언의 총 유형 수는 2,050개로 전체 품사의 유형 수 중 43.8%, 사용 빈도는 26,932회로 전체 사용 빈도 중 25.6%를 차지하였다. 체언 내 품사별 유형 수 비율은 '보통 명사>고유 명사>의존 명사>대명사>수사'의 순서이고 사용 빈도 비율은 '보통 명사>대명사>의존 명사>고유 명사>수사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체언 발달에서 2세는 보통 명사, 의존 명사, 대명사, 수사의 유형 수 및 사용 빈도에서 다른 연령 집단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고빈도 보통 명사 60개가 누적 빈도 50.5%, 고빈도 의존 명사 10개가 누적 빈도 92.0%, 고빈도 대명사 10개가 누적 빈도 91.6%, 17개의 수사가 누적 빈도 90.4%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체언의 유형 수와 사용 빈도의 증가에서 2-3세가 중요한 시기였고 고빈도 어휘 분석 결과 이 시기의 아동은 대명사, 의존 명사, 수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and tokens of substantives and provide high frequency substantive word list derived from the spontaneous language of Korean young children. Substantives include common nouns (NN), proper nouns (NR), dependent nouns (NX), pronouns (NP), and numeral nouns (NU). Methods: The subjects were 80 children from age 2;0 to 5;11, selected from the Nazarene Spoken Language Corpus. Types and tokens of substantives were analyzed from a total of 27,485 utterances. Each word class of substantives was analyzed according to age group, and high frequency word lists for each word class were made. Results: First, the ratio of types and tokens of substantives within the total vocabulary was 43.8% and 25.6%, respectively. The frequency (descending order) of substance types was NN>NR>NX>NP>NU, and the frequency of substance tokens NN>NP>NX>NR>NU. Second, the 2-year-old group's use of substantives for most word classe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older children. Third, the word lists showed that a limited number of NN, NX, and NP types were used recursively. Conclusion: An increase in the types and tokens of substantives was salient between the 2- and 3-year-old groups. The most frequent words used at any age were for human beings or objects. Among NNs, the older the children became, the more time category nouns they used. These results are discussed from a language development and Korean linguistics point of view.

      • KCI등재

        Utterance-Level Word Class Characteristics in Normal Elderly Women

        김지영(Jiyoung Kim),서상규(Sangkyu Seo),조성래(Sung-Rae Cho),김향희(HyangH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3

        배경 및 목적: 자발화에 나타난 품사를 살펴봄으로써 화자의 표현 언어를 문법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노년층과 청년층의 품사 산출 양상을 비교하여, 노년층의 발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노년층 35명, 청년층 35명에게 자발화를 수집하였고, 산출한 품사는 형식, 기능, 의미에 따라 나누었다. 이에 따른 품사의 빈도수와 유형수, 어휘다양도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결과: 형식적 분류에서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빈도수와 유형수 모두 가변어를 적게, 불변어를 많이 사용하였고, 가변어의 어휘다양도는 노년층이 낮았다. 기능적 분류에서 노년층은 체언에서는 빈도수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용언에서는 빈도수와 유형수 모두 적게 사용하였고, 용언의 어휘다양도는 노년층이 낮았다. 수식언은 빈도수를 적게, 독립언은 빈도수를 많이 산출하였다. 의미적 분류의 품사는 노년층이 대명사에서 빈도수와 유형수 모두 많이 산출하였고, 동사에서는 빈도수를 많이 사용하였지만, 동사의 어휘다양도는 낮게 나타났다. 형용사와 부사에서는 노년층이 빈도수와 유형수 모두 적게 산출하였다. 추가분석으로, 용언의 양상을 관형적용법, 서술적용법으로 나누었다.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서술적용법의 사용 비율이 더 높았다. 논의 및 결론: 노년층은 청년층과 비교하여 품사 산출 양상이 달라지는 것을 밝혔다. 품사의 세 가지 분류방법을 통해 여러 측면에서 특징을 분석하였고, 빈도수, 유형수, 어휘다양도를 측정하여 양적 측면뿐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 발화 특성을 살펴보았다. Objectives: Expressive language ability can be analyzed grammatically by examining the production of word class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s utterances by looking at word classes in spontaneous speech. Methods: Spontaneous speech from 35 young females and 35 elderly females was collected. Word classes were divided by three criteria (form, function, and meaning). The real usage frequency of each instance of a word class (token)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ach word class (type), type-token ratio (TTR), were calculated. Results: For the form category, in both type and token count, the use of inflected words was lower among elderly people, while the use of uninflected words was higher. TTR of inflected words was lower in elderly people. For the functional category, the tokens for substantives were higher among elderly people, while both the types and tokens of inflectional words were lower. For the semantic category, the tokens for verbs were higher but TTR of verbs was lower. The tokens and types for adjectives were both lower among elderly people. Additional experiments showed that the predicative use of inflectional words is more frequent than the attributive use among the elderly. Conclusion: This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ree word class criteria to find various speech characteristics. Further study on word class in language production needs to be conducted while considering factors, such as education and gender.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수 분류사 습득과 입력빈도의 영향

        이선영,신혜원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5

        This study investigated acquisition of Korean numeral classifiers by English-speaking learners of Korean focusing on the input frequency effect on the acquisition order of numeral classifiers. Using an elicited imitation task, this study measured Korean L2 learners’ implicit knowledge of numeral classifiers in order to find any relationship between acquisition order and input frequency rank order. The results from an experiment with 52 English-speaking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native speakers using 21 numeral classifiers found (i) that the learners’ knowledge of numeral classifiers increased as their overall oral proficiency improved, (ii) that the numeral classifiers were acquired in the order of ‘개>마리>권>잔>벌>송이>켤레>병>자루>분>장>포기>그루>갑>알>톨>명>재>대(담배)>모>대(자전거)’ and (iii)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cquisition order and the input frequency rank order (r = - 0.48, p < .05). More study is needed in order to verify the delayed acquisition of ‘명’ which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numeral classifiers with the general classifier ‘개’ in Korean. 본 연구에서는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수 분류사에 대한 지식이 한국어 전반적 능숙도와 함께 높아지는지, 또한 한국어 수 분류사 습득 순서가 입력빈도와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선행연구들은 한국어 수 분류사의 습득 순서가 다른 언어와는 달리 수 분류사의 접근성 위계의 순서를 따르지 않고, 그 보다는 입력빈도와 관련 있음을 시사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도모방과제를 사용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수 분류사에 대한 습득순서와 입력빈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52명의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와 14명의 모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 21개의 수 분류사에 대한 실험결과, (i) 학습자들은 한국어 능숙도가 높아질수록 수 분류사에 대한 지식도 높아졌고, (ii) 습득 순서는 ‘개>마리>권>잔>벌>송이>켤레>병>자루>분>장>포기>그루>갑>알>톨>명>재>모>대(자전거)’로 나타났으며, 이는 입력빈도 순서와 유의미한 상관관계 (r = -0.48, p <.05)를 보였다. 다만 가장 빈도가 높은 ‘명’의 습득순서가 아주 낮게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Zipf 법칙과 TV 드라마 대본의 고차 N-gram 분포

        김준식(Joon Shik Kim),이충연(Chung-Yeon Lee),장민수(Minsu Zhang),김경태(Kyoung-Tae Kim),남문곤(Mun-Gon Nam),남준희(Jun-Hee Na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2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2 No.1

        일반 문서는 빈도수가 높게 자주 사용되는 소수의 단어들과 적은 빈도로 쓰이는 다수의 단어들로 구성되며, 문서에 등장하는 단어들의 빈도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 멱법칙(power law)을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지수분포를 따르는 현상을 Zipf law이라고 한다. Log-log 데이터 분포를 1차 선형 함수로 근사시키면 앞쪽의 작은 절대값의 음수 기울기 부분과 뒤쪽의 큰 절대값의 음수 기울기 부분으로 나뉘는 현상이 밝혀졌다. 특히 하나의 단어에 대한 빈도수 분포를 Unigram 분석이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Unigram 분석을 확장하여 연속된 다수의 단어의 빈도수를 살펴보는 N-gram 분석법을 적용함으로써 구 단위의 언어망 구조의 Zipf law의 유효성을 살펴보았다. N-gram 분석법을 TV 드라마 대본에 적용하여 구어체의 자연어 대사를 분석한 연구는 현재까지 없었다. TV 드라마 236편의 전체 영어 대본을 데이터로 사용하여 등장인물 여섯 명의 대사들에 대해서 Unigram, Bigram, Trigram의 분포를 비교하였다. 여섯 명의 Unigram 분석 결과 모두 Zipf law를 따름을 알 수 있었다. Bigram도 Zipf law를 따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Trigram의 결과는 Zipf law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즉 Log-log 데이터의 앞쪽의 음수 기울기의 절대값이 뒤쪽의 음수 기울기의 절대값보다 큰 값을 가졌으며 이는 알려진 Zipf law와 다른 결과이다. 주인공의 대사 모음과 비슷한 크기의 단어 종류와 단어 수를 가지는 무작위로 생성된 문서에 대해서 Unigram, Bigram, Trigram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Unigram, Bigram, Trigram 분석결과 빈도수가 매우 적어서 자연어 대본의 결과와 다른 패턴을 보였다. 우연에 의한 fluctuation 효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일상 구어체 자연어 대사의 경우 일반적인 문서와는 달리 Trigram에서 많이 사용되는 소수의 단어들과 적은 빈도로 쓰이는 대다수의 단어들로 이루어지는 더욱 강한 power law를 따름을 의미한다.

      • KCI등재

        Predicates in the Vocabulary of Typically Developing Preschoolers

        오재혁(Jea-Hyuk Oh),차재은(Jae-Eun Cha),윤미선(Mi-Sun Yoon),김정미(Jung-Mee Kim),장문수(Moon-Soo Ch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3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학령 전기 아동의 자발화에서 나타나는 용언의 어휘 빈도 양상을 고찰하여 언어 평가 및 중재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나사렛 말뭉치의 2, 3, 4, 5세 아동 각각 20명씩 총 80명에서 300-400발화씩을 선정하여, 총 27,485 발화, 65,783어절에 대해 용언의 유형 수와 사용 빈도를 계량화하고 동사와 형용사의 고빈도 어휘를 제시하였다. 결과: (1) 전체 품사별 유형 수와 사용 빈도에서 용언의 비중은 각각 17.4%와 20.1%였다. (2) 연령에 따른 용언의 발달은 유형 수와 사용 빈도 모두에서 2세와 3세 이상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고빈도 어휘 목록에서 누적 빈도 상위 50%에 속한 동사는 11개, 형용사는 모두 6개였다. 논의 및 결론: 2-5세 시기의 아동에게서 관찰되는 용언의 품사별 유형 수 및 사용 빈도의 구성 비율은 동일하였고 용언의 유형 수와 사용 빈도의 증가는 2-3세 시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나, 이 시기가 아동 언어 발달에서 용언의 발달이 뚜렷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빈도 어휘의 분석 결과 이 시기의 아동이 소수의 용언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언어장애 아동의 평가와 치료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types and tokens of predicates in the spoken language of Korean preschoolers. Predicates include verbs, adjectives, auxiliary verbs, and auxiliary adjectives. Methods: 300-400 utterances from 80 two- to five-year-old children, 20 children from each age group, were selected from the Nazarene spoken language corpus. Types and tokens of predicates were measured from a total of 27,485 utterances (65,783 eojeol). Differences in each word class of predicates, based on age groups, were evaluated and then arranged by frequency. Results: First, the ratio of types and tokens of predicates to total vocabulary was 17.4% and 20.1%, respectively. In predicates, the type-token verb ratio was 73.7%-60.2%, and that of adjectives was 23.4%-25.8%, respectively. Second, there were on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and tokens of predicates between the two-year-old group and the other groups. Third, only a limited number of types of verbs and adjectives were used from high frequencies in the word list. Conclusion: The ratio of predicates to total vocabulary was similar in each age group. The development of predicates in two- to three-years-old is significant. Preschoolers used several predicates repetitively. These results could be used in the evaluation and intervention of children with language difficulties.

      • KCI등재

        러시아어 이차불완료상화 연구: 시제형태의 빈도수를 중심으로

        이주홍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22 러시아연구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15개의 삼중쌍 동사들을 선정해 러시아어 국립 코퍼스에서 각 형태에 따른 시제별 빈도수를 조사해 보았다. 특히 과거시제를 바탕으로 일차불완료상과 이차불완료상의 빈도수 차이를 비교해 보면서 이들의 빈도수 차이에 따라 각각 세 그룹으로 나눠 각 그룹에 해당하는 동사들이 문맥에서 나타내는 의미를 조사해 봄으로써 이들의 빈도수 차이와 코퍼스에서 나타나는 이차불완료상의 의미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하나의 형태에서 파생관계를 이루고 있는 러시아어의 일차불완료상과 이차불완료상 동사들이, 두 형태의 빈도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대부분 맥락 속에서 상적인 의미만으로 차이가 나고, 반대의 경우에는 어휘적으로 다르게 볼 수 있을 정도의 의미차이를 보이기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러시아어 삼중쌍 동사들의 전체적인 상적-어휘적 의미분포와 그 양상을 거시적으로 조망해 봄으로써 러시아어 동사의 상이 문법성과 어휘성이 동시에 나타나는 어휘-문법범주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초보학습자를 위한 ‘통할 수 있는 일본어’와 그 실러버스

        윤강구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41 No.-

        교육과정에서 일본어는 약 70시간 지도할 수 있다. 이 시간으로 구사할 수 있는 외국어 능력은 JLPT N4~N5,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의 A1~A2 정도이다. 이것은 일상생활에서 ‘통할 수 있을’ 정도의 외국어 구사 능력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학습자가 이 정도의 일본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서 실러버스(의사소통 기본 표현)를 제시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통할 수 있는 일본어’는 어떤 상황/장면에서 부정확하고 부자연스럽더라도 상대가 이해할 수 있을 정도를 말한다. 경험상으로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것, 표현이 자연스럽지 못하더라도 통할 수 있는 것, 오용이 있더라도 전체적으로 이해 가능한 정도이어야 한다. 이 기준에 따라 의사소통 기본 표현을 ‘사용 빈도, 안전성, 문법, 의사소통 기능에 따른 언어형식’의 면에서 검토하여 ‘통할 수 있는 일본어’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대안의 기준은 형태가 단순하고, 사용 빈도가 높고, 사용에서 용인 가능해야 하고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urriculum, Japanese language can be taught for about 70 hours. And a realizable language level to be achieved through this series of learning hours is about JLPT N4~N5, and A1 to A2 of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 which are a level capable of speaking a foreign language as good as a “communicatable” level. This study aims to review if the curriculum suggests an appropriate syllabus - basic expression for communication - to help learners have a good command of Japanese language to this degree. “Communicatable Japanese language” means a level that can be understood by a listener even if it is inaccurate and unnatural in a certain situation or scene. Namely, what a speaker says should be at an understandable level by a listener based on listener’s experience, and at a communicatable level even if the expression sometimes does not sound natural or correct, and also at a comprehensible level in general even if there are some misuses. Based on these criteria,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n alternative to “communicatable Japanese language”, taking the basic expression for communication into consideration in terms of frequency of usage, safety, grammar, and communication function. The main criteria for alternative are simple form, high frequency of usage, acceptable usage, and safety secured.

      • KCI등재

        Words in Storybooks as Children’s Language Input Environment: Substantives

        Min Kyung Han(한민경),Si Yeon Seong(성시연),Sou Jin Choi(최서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본 연구는 동화책에 등장하는 단어들 중 체언의 유형과 빈도를 중심으로 그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고 연구와 임상에서 동화책에 기반한 어휘목록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1-2세, 3, 4세, 5-7세 각 연령별 26권씩 총 78권의 동화책을 선정하여 동화책에 등장하는 14,728어절 중 체언에 해당되는 일반명사, 고유명사, 의존명사, 대명사, 수사 등 총 7,184어절을 중심으로 각 품사의 유형 수와 사용빈도를 계산하고 일원분산분석을 통하여 연령별 유형 수와 사용빈도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동화책에 등장하는 단어 중 체언은 전체 유형 수의 38.2%, 사용빈도 26.8%를 차지하였고 3, 4세용 도서에서 가장 높은 유형 수 비율과 사용빈도 비율을 보였다. 품사별로는 유형 수에서는 일반명사>고유명사>의존명사>대명사>수사의 순서로 많았고, 사용빈도는 일반명사>대명사>고유명사=의존명사>수사의 순서로 많이 사용되었다. 수사를 제외한 모든 체언 품사들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형 수와 사용빈도 비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아동의 언어입력환경 중 하나인 동화책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양한 체언을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아동의 어휘습득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and token of substantives in storybooks and to provide suggestions on the use of wordlists based on storybooks. Methods: Twenty-six books in each of three age groups (0-2, 3-4, and 5-7) were selected out of a total of 78 storybooks. Among 14,728 utterances in the selected storybooks, morph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7,184 of the utterances to calculate the types and tokens of substantives including word classes such as common nouns (Common), proper nouns (Proper), dependent nouns (Dependent), pronouns (Pro), and numeral nouns (Numeral). An ANOVA was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and tokens of each word class across age groups. Results: Substantives represented 38.2% and 26.8% of the types and tokens, respectively, with the storybooks for 3- to 4-year olds showing the highest the ratios of types and tokens. From greatest to smallest the order of types was Common>Proper>Dependent>Pro>Numeral and the frequency of tokens was Common>Pro>Dependent=Proper>Numeral. The types and tokens of all substantive word classes except for Numeral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Conclusion: Storybooks, one of children’s language input environments, provide a variety of and repeated exposure to substantives, increasing as the age of the storybooks increases, which may influence word acquisition and development in children.

      • KCI등재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역대 정부별 연구주제 변화 동향 분석: 20년간,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적용하여

        손미 ( Mi Shon ),정주훈 ( Ju Hun Jeong ),김영환 ( Young Hwa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원격, 방송, 미디어활용 교육의 발전을 위한 학술활동을 지원하고 노력을 기울이는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에서 발간하는『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 20년간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주제의 동향과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 주제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교육정보미디어연구』21권 4호까지 게재된 총 545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주제 변화를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로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3명의 교육공학 및 컴퓨터교육 계통의 연구자들이 편당 5개의 주요 주제어(Core Keyword)를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총 1,141개의 주요 주제어가 선정되었다. 빈도수 분석 결과, 지난 20년간 빈도수가 높았던 주요 주제어는 ‘이러닝’, ‘웹기반 학습’,‘학업성취도’, ‘상호작용’, ‘만족도’, ‘원격교육’ 등의 순이었다. 정부별 분석에서는 김대중 정부에서는 ‘웹기반 학습’, ‘교육방송’, ‘학업성취도’ 순으로, 노무현 정부 때는 ‘이러닝’, ‘웹기반 학습’, ‘학업성취도’ 순으로, 이명박 정부 때는 ‘이러닝’, ‘만족도’, ‘학업성취도’ 순으로, 박근혜 정부는 ‘학업성취도’,‘이러닝’, ‘협력학습’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부별 분석을 통해 ‘웹기반 학습’의 빈도수는 1위-2위-5위-62위 순으로 용어의 사용빈도수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원격교육’, ‘사이버수업’, ‘리터러시’ 등의 용어 사용빈도수는 급격히 낮아졌고, ‘협력학습’, ‘몰입’, ‘인지부하’, ‘스마트교육’, ‘SNS’등의 용어 사용빈도수가 매우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용어의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추론할수 있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적용하여 정부별 빈도수 상위 주요 주제어들 간의 중앙성 및 관계를 파악하여 가시화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the last 20 years and finding futuristic issues of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we analyzed 545 articles from the Journals which published a total 21 books and 4 volumes in 2015. A total of three researchers selected five major core keywords while reading all of the summaries of the papers. After all, it was possible to select a total 1,141 keyword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keywords are ‘e-Learning’, ‘web-based learning’, ‘learning achievement’, ‘interaction’, ‘satisfaction’, ‘distance education’. By the criteria of government,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keywords are as follows: 1) Kim Dae-Jung: ‘web-based learning’, ‘educational broadcasting’ and ‘learning achievement’ 2) Rho Moo-Hyun: ‘e-Learning’, ‘web-based learning’ and ‘learning achievement’, 3) Lee Myung-Bak: ‘e-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4) Park Geun-Hye: ‘learning achievement’, ‘e-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These results show some meaningful outcomes. First, the frequency of ‘web-based learning’ has declined accordingly: 1st-2nd-5th-62nd. Second, the following keywords frequence have also significantly declined - ‘distance education’, ‘cyber class’ and ‘literacy’. Third, the frequency of keywords such as ‘cooperative learning’, ‘flow’, ‘cognitive load’, ‘smart education’ and ‘SNS’ has increased. These outcomes clearly show a changing tend and terms used in education. Lastly, while using network-text analysis, it was possible to present the median and relationship amongst the keywords of each government.

      • KCI등재

        동화책 어휘를 통해 살펴 본 아동의 언어입력 환경: 체언을 중심으로

        한민경,성시연,최서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동화책에 등장하는 단어들 중 체언의 유형과 빈도를 중심으로 그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고 연구와 임상에서 동화책에 기반한 어휘목록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1-2세, 3, 4세, 5-7세 각 연령별 26권씩 총 78권의 동화책을 선정하여 동화책에 등장하는 14,728어절 중 체언에 해당되는 일반명사, 고유명사, 의존명사, 대명사, 수사 등 총 7,184어절을 중심으로 각 품사의 유형 수와 사용빈도를 계산하고 일원분산분석을 통하여 연령별 유형 수와 사용빈도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동화책에 등장하는 단어 중 체언은 전체 유형 수의 38.2%, 사용빈도 26.8%를 차지하였고 3, 4세용 도서에서 가장 높은 유형 수 비율과 사용빈도 비율을 보였다. 품사별로는 유형 수에서는 일반명사>고유명사>의존명사>대명사>수사의 순서로 많았고, 사용빈도는 일반명사>대명사>고유명사=의존명사>수사의 순서로 많이 사용되었다. 수사를 제외한 모든 체언 품사들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형 수와 사용빈도 비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아동의 언어입력환경 중 하나인 동화책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양한 체언을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아동의 어휘습득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리라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