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노년기 가구주의 다차원적 빈곤 집단 유형과 특성: 잠재집단 모형(LCA)의 적용

        남수정 ( Nam Su-j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의 빈곤에 다차원적인 접근의 적용과 더불어 잠재적 집단분석 실시를 통하여 노년기에 경험하게 되는 빈곤을 유형화함으로써 노년기 빈곤에 대한 효과적인 대책과 실효성 있는 정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을 이용하여 빈곤에 취약 계층인 노년기 가구주의 빈곤을 다차원적 빈곤 개념으로 접근하여 화폐, 건강, 주거, 고용, 인적관계, 사회보장 이상 6가지 차원에 대해 살펴본 후, 각 지표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통해 노년기 가구주의 빈곤을 유형화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 지표들 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화폐적 차원과 비화폐적 차원들 간의 상관관계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빈곤지표들 간의 독립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집단분석결과, 우리나라 노년기 가구주의 빈곤은 크게 세 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화폐와 고용의 빈곤 경험 확률이 높은 기본 빈곤형, 화폐, 고용, 건강 빈곤경험 확률이 높은 건강 빈곤형, 그리고 화폐, 고용, 건강 뿐 아니라 여러 차원에서 복합적으로 빈곤 경험 확률이 높은 다중 빈곤형으로 유형화 되었다. 셋째, 잠재집단 유형에 따른 인구통계적 특성을 살펴보면 비빈곤집단과 비교하여 빈곤집단의 평균 연령이 더 높았으며 특히, 건강 빈곤형의 평균연령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의 결과, 비빈곤집단이 빈곤집단 유형들과 비교하여 중졸, 고졸, 대졸이상 모두에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빈곤집단 유형들 사이에서는 큰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Many scholars have acknowledged the limitations of monetary poverty measure and have suggested using multidimensional poverty as an alternative poverty measure. This study try to share same orientation and explore a new method that help us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poverty of older people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in Korean older people by utilizing a latent class analysis model. Data from the 2015 Korea Welfare Panel Study are analyzed in terms of multidimensional poverty, including money, health, housing, employment, social security, and human relation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rrelations between monetary dimension and non-monetary dimension were relatively low. Most of the poverty dimensions were relatively independent that they do not affect each other very much, and income support alone is not expected to solve various dimensions of poverty. Second,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in Korean older people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basic poverty type is composed of people who are weak at money and labor. The health poverty type is characterized by low income, unstable labour status, and deprivation in health. The multiple poverty type have experience of deprivation in most of living area such as money, labour, health, housing, and social security. Third, the average age of povert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non poverty group. Specially, the mean of age in health poverty type with deprivation in health was the highest. Regarding education, non poverty groups showed a relatively higher ratio than middle school graduates, high school graduates, and university graduates in comparison with the poverty groups.

      • KCI등재

        부산시 독거노인의 빈곤유형별 삶의 질 및 노인복지서비스 인지도에 관한 연구: 맞춤형복지 빈곤유형을 중심으로

        진재문(Jin JaeMoon),김수영(Kim SooYou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정부가 맞춤형복지제도의 개별급여를 실시함에 따라, 욕구를 기준으로 독거노인의 빈곤을 유형화 한 후, 빈곤유형에 따라 WHO의 건강 개념을 사용한 삶의 질과 노인들에게 필요한 노인복지서비스에 관한 인지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탐색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2012년 부산복지개발원에서 구축한 ‘부산광역시 독거노인생활실태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총 사례는 1,023개이다. 독거노인의 빈곤유형을 7개의 빈곤형과 비빈곤형으로 총 8개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로, 독거노인의 빈곤유형에 따라 삶의 질(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건강)의 세부 변수에 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로, 독거노인이 어느 빈곤유형에 속하는가에 따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제외한 기초노령연금, 노인일자리사업, 노인돌봄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빈곤유형에 따 라 삶의 질의 점수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노인복지서비스의 인지도가 낮게 나타고 있어, 일종의 정책적 조응의 불일치가 확인되고 있다. 넷째, 이러한 경향은 특히 중복빈곤의 유형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aimed at the influence of poverty-types on the Quality of Life(QOL) and the recognition of welfare services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Busan, Korea, and focused on poverty-types of Korean customized welfare support. QOL was redefined by the health concept of WHO, which means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and social health. We used the data which BSWDI constructed in 2012. Data were obtain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 responses of 1,203 older adults living alone. ANOVA and Crosstab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overty-types on QOL and the recognition of welfare services.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poverty types, QOL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were partially influenced. Second, depending on poverty types, older adults living alone showed the different recognition of welfare services such as Basic Pension Support, Employment Program for the Aged, Long-term Care Insurance, and Care services for the Aged. Third, our study identified the mismatch between needs and recognition for each group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Fourth, these influences were relatively strong at the group of overlapped poverty type.

      • KCI등재후보

        근로빈곤가구 청소년의 사회진출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경휘(Kim Kyoung Huy)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9 No.-

        연구의 목적은 근로빈곤가구 청소년의 사회진출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청년패널 1차에서 4차년도 자료까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근로빈곤가구 청소년의 사회진출 유형에 성별, 미래의 직업선택기준, 졸업 후 예상 진로, 전공계열, 아르바이트경험여부, 부의 직업유무, 부모의 대학교육 여부, 월평균근로소득, 자가소유 여부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근로빈곤가구 청소년의 사회진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청소년 자신이 현재의 어려운 사회경제적 상황에 대해 어느 정도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미래에 대해 준비 하는가였다. 이러한 결과는 근로빈곤가구 청소년에 대한 진로교육 및 사회진출 준비에 있어서 다양한 경제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근로빈곤가구 청소년에 대한 자기존중, 자기효능, 삶의 목적, 미래에 대한 낙관성 고취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심리사회적 프로그램들이 제공되어 근로빈곤가구 청소년 자신이 자신의 사회진출에 대한 준비와 자신감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그리고 부모의 직업여부와 교육수준이 근로빈곤가구 청소년의 사회진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실적으로 단기간에 부모에 대한 직업알선 및 교육수준 향상을 돕는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고려해 볼 때, 근로빈곤가구 청소년 부모에 대한 개입보다는 근로빈곤가구 청소년에 대한 직접적인 멘토링 프로그램, 사회화 프로그램, 그리고 공부방 사업이 지금보다 더 활성화되어 제공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다. 또한 개인 및 가족에 대한 접근은 기존의 근로빈곤가구 청소년의 비행 및 빈곤의 되물림의 원인이 가족에게만 있다고 보는 제한된 관점에서 벗어나 근로빈곤가구 청소년 개인에 대한 체계적인 개입을 통해 근로빈곤가구 청소년의 사회진출이 미취업이 아닌 대학진학과 대안적으로 적절한 취업이 원만히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is a factors the influence in working poor household Adolescence s society advance type. These purpose for this study analyed 1th and 4th penal data. As a result, Working poor household Adolescence s society advance type is influenced from sex, job select standard, future s path, high school kind, part-time job experience, father s job, parents education, income, owner home. Specially, Working poor household Adolescence s society advance factor was to prepare about the future with thinking which Adolescence is positive in some degree about difficult social economy circumstance present. These result is mean that working poor household Adolescence s society advance ready is not only various economical support in course education and society advance preparation, but also self-esteem, self-effect, purpose of life, optimistic about future s encourage through psychological-social program. And parents s job and education was influence in Working poor household Adolescence s society advance type. When consider that it is difficult that help job provide and education level upgrade about parents at short period actually, Instead it may be more efficient that is offered direct mentoring program, socialization program, and study room business about labor poverty furniture teenagers. Also, Approach about individual and family is escape from limited viewpoint see that working poor Adolescence delinquency and poverty inherit cause is only family problem. And this. And these access may help that an employment that is suitable as alternative with college entering that working poor household Adolescence s society advance is not unemployment through systematic intervention. And these access may become help to go to work as college entering and good company which working poor household Adolescence society advance is not unemployment through systematic intervention.

      • KCI등재

        장애유형 중분류별 기업체 취업근로자의빈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체외부, 감각, 신체내부·정신적장애를 중심으로 -

        이형열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17 GRI 연구논총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dentify if personal characteristics(demographics, disabilities) of employees with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in the sub-category(external physical, sensory, internal and mental disorders) such as health-related variables, family-related variables, income-related variables, and employment- related variables make any difference in determining poverty. For this study, I have conducted literary research into some 975 relevant books and materials, including the 8th Panel Investigation on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2015) as raw data. Data processing to verify research issues has been conducted with the use of frequency and percentage, cross analysis(χ2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a number of factors that strongly influence the poverty determination based on the types of disabilities and implications related to them. First, in terms of age and marital status as part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s(demographics, disability), younger disabled employees and single(unmarried) disabled employee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poverty segment than older and married disabled employees, respectively(external physical disability). Second, when it comes to the healthrelated variables, employees who are affected by health conditions are more likely to suffer poverty than those who are not(whole, sensory). Third, among the family-related variables, disabled employees with more family members with disabilities and disabled employees who don't own their own homes(whole) a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poverty than those in other respects. Fourth, among the income security related variables, disabled employees with lower social insurance benefits(whole, external physical, and sensory) and those with lower public transfer income(whole and sensory), are more likely to be subject to poverty that those in contrasting conditions. Fifth, among the employment-related variables, disabled employees receiving less compensations such as wage and those who work for 36 hours or more per week are less likely to belong to poverty that those who receive more compensations(whole, external physical, sensory) and work less than 18 hours per week (external physical, sensory). However, none of the variables are found to affect employees with internal and mental disabilities in determining poverty. Based on the implications and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an intervention plan from the perspective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by the type of disorder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be able to resolve the poverty issue of employees with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장애유형 중분류별(신체외부, 감각, 신체내부정신적장애) 기업체 취업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인구사회학적, 장애)관련 변수, 건강관련 변수, 가족관련 변수, 소득보장관련 변수, 고용관련 변수가 빈곤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제8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15년) 원자료(raw data)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와 직접 관련이 있는 97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χ2 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유형 중분류별 빈곤결정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함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특성변인(인구사회학적, 장애) 중, 연령이 적은 장애근로자일수록 많은 장애근로자에 비해(감각), 미혼(배우자 무)인 장애근로자가 기혼(배우자 유)의 장애근로자에 비해(신체외부) 빈곤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관련 변인 중, 건강상태로 인해 일에 지장을 받는 장애근로자일수록 지장을 받지 않는 장애근로자에 비해(전체, 감각) 빈곤에처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관련 변인 중, 장애인 가구원수가 많은 장애근로자일수록 그렇지 않은장애근로자에 비해(전체, 신체외부), 자가를 소유하지 않은 장애근로자일수록 자가를 소유한 장애근로자에 비해(전체) 빈곤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득보장관련 변인 중, 사회보험급여가 적은 장애근로자일수록 사회보험급여가 많은 장애근로자에 비해(전체, 신체외부, 감각), 공적이전급여가 적은 장애근로자가 많은 장애근로자에 비해(전체, 감각) 빈곤에 처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용관련 변인 중, 임금 등 보상이 적은 장애근로자일수록 많은 장애근로자에 비해(전체, 신체외부, 감각), 1주에 36시간 이상 근로하는 장애근로자(신체외부, 감각)는 18 시간 미만 근로하는 장애근로자에 비해 빈곤에 속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 신체내부정신적장애 근로자의경우, 모든 변수가 빈곤결정 여부에는 강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및 함의를 근거로 하여 장애유형 중분류별 기업체 취업근로자의 빈곤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장애유형별 특성이 반영된 직업재활적 측면의 개입방안을 제언하겠다.

      • KCI등재

        한국 노인의 다차원적 빈곤 유형과 사회보장에 관한 연구

        김수영 ( Sooyoung Kim ),박병현 ( Byung Hyun Park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8 사회복지정책 Vol.45 No.4

        한국은 심각한 노인빈곤 문제를 겪고 있으며, 소득뿐만 아니라 자산, 건강, 사회참여 등 여러 영역에서의 빈곤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사회보장체계가 노인의 다차원적인 빈곤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에 대한 진단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의 다차원적 빈곤 유형에 따라 사회보장 급여수준 및 여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노인의 소득, 자산, 노동, 건강, 대인관계, 사회참여, 주거 차원의 빈곤 특성이 공공부조, 사회보험, 사회서비스 보장 특성과 갖는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노인실태조사 2014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t-test, ANOVA, 교차분석,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도출된 ‘비빈곤집단’, ‘건강ㆍ관계빈곤집단’, ‘다중빈곤집단’에 따른 사회보장 수준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공공부조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기초노령연금 수급률 및 수급액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별 차이를 나타내었다. 사회보험인 기타공적급여의 수급률에서도 동일한 경향이 나타났으며, 공적연금의 경우 위의 경향과는 반대로 나타났다. 노인장 기요양보험 수급률은 ‘건강ㆍ관계빈곤집단’과 ‘다중빈곤집단’이 ‘비빈곤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사회서비스의 경우 ‘다중빈곤집단’은 경로당, 경로식당, 식사배달서비스를, ‘비빈곤집단’은 복지관과 공공여가문화시설 이용이 많았다. 결과적으로 다차원적 빈곤 유형별 사회서비스 이용 특성이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보장제도의 발전전략을 도출하였다. Korea suffers from severe elderly poverty and experiences poverty due to low income as well as in various other areas including assets, health, and social participation. However, there is no current analysis of how the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 handles the multidimensional elderly poverty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social security benefits depending on the type.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crossove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urvey data of the elderly from 2014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characteristics of income, assets, labor, heal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social participation, and housing as well as public assistance, social insurance, and social service security characteristic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Multidimensional poverty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deficiency types as a result of k-means cluster, group 1 (non-deficiency), group 2 (health+social participation deficiency) and group 3(overall deficiency) and were used to analyze the level of social security benefit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by multidimensional poverty types were shown distinctively.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seeking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social security system reflecting this.

      • KCI등재

        한국인의 소득양극화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인식유형

        김동수,김옥환,이상헌,정태연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7 No.4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definite cognition of Korean people about Social Polarization and to define its category. For this study, Qualitative Research is provided to 38 candidates who live in Seoul. The results show that the reason of the social polarization is divided into 4 categories such as Impossible Social Class Change, Can be the middle class, Can be the Rich, Possible Social Class Change. And the solution of polarization is divided into 4 categories such as Progressive Solution, Moderate Progressive Solution, Moderate Conservative Solution, Conservative Solution. On the basis of the cross-tabulation of the reason and solution of polarization, Most of Korean have tendency to cognize the reason of polarization conservatively, but the solution of polarization is cognized progressively. And This study tries to discuss the meaning of the categories and the implications for consensual communication of Social polarization in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소득양극화에 대한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한구인의 구체적인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38명의 연구대상자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이를 질적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득양극화 원인에 대하여 계층이동 불가능유형, 중산층 가능유형, 부유층 가능유형, 계층이동 가능유형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소득양극화의 해결책에 대하여 진보적 해결유형, 중도진보적 해결유형, 중도보수적 해결유형, 보수적 해결유형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원인인식과 해결책인식을 교차하여 본 결과, 한국인은 대체로 소득양극화의 원인을 보수적으로 인식하는 반면에 해결책에서는 진보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각 유형별 의미와, 한국사회에서 소득양극화 문제에 대한 합의적 의사소통을 이루기 위한 시사점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빈곤가구 자녀의 노동시장 진입과정 유형화

        노혜진 ( Hye Jin Noh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사회복지정책 Vol.3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동시장 진입과정 유형화를 통하여 빈곤의 세대간 이전이 진행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건배열분석을 통하여 빈곤가구에서 성장한 자녀를 대상으로 청년기 노동시장 진입과정을 유형화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고소득가구 자녀와 비교하였다. 종사상지위와 직업을 중심으로 이행과정을 분석한 결과, 우선 종사상 지위 측면에서 빈곤가구 자녀는 정규직 중심형, 정규직으로의 이동형, 미취업형, 진입과 이탈 반복형 등 4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그에 비해 고소득 가구의 자녀는 정규직 중심형, 정규직으로의 이동형, 미취업형 등 3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한편, 직업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빈곤가구는 기능장치형, 빈번한 이직형, 다양한 직종형, 미취업형 등 4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고소득가구는 전문 사무직형, 전문 사무직으로의 이동형, 미취업형 등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고소득가구 자녀의 경우 청년기에 이미 전문직이나 사무직 정규근로자로의 이행이 고정되고 있는 반면, 빈곤가구 자녀는 노동시장의 진입과 이탈뿐만 아니라 직업의 이동도 빈번한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청소년기를 보낸 두 개의 집단이 청년기에 노동시장 진입과정에서도 상이한 경험을 하고, 이것이 결과적으로 생애소득에 영향을 미칠 것임을 유추할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process of poverty through classification of entry process in labour market. In order to find out an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study classifies entry process in labour market of youth among poverty and compares the result with 5th quintile. To analyze entry process, this study used optimal matching of sequence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multinomial analysis from Korea Labour Panel data(1-11waves).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or youth were divided into 4 clusters (regular worker, change to regular worker, unemployment, and repeat of entry and exit) from employment status. And rich youth were classified 3 clusters (regular worker, change to regular worker, and unemployment). Second, in terms of job, poor youth were divided to 4 clusters (manual worker, frequent change job, various jobs, and unemployment). And rich youth were classified 3 clusters (professional, change to professional, and unemployment). These finding means that poor youth already experience unstable labour from entry process in labour market. And it is able to affect to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overty.

      • KCI등재

        빈곤 장애여성의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자본 수준과 유형을 중심으로 -

        임걸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9 No.4

        본 연구는 빈곤 장애 여성의 사회자본이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그 관계를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빈곤 장애 여성의 경우 경제활동을 위해 장애 여성들이 보유하거나 관계하고 있는 사회자본 수준과 유형에 따라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빈곤 장애 여성이 보유하고 있는 사회자본 수준과 유형이 노동시장 진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연구결과 빈곤 장애 여성의사회자본 수준에서는 규모가 크고, 밀도가 강할수록 노동시장 진입에 매우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자본 유형에서는 신뢰와 참여가 클수록 노동시장 진입에 매우 유의미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빈곤 장애 여성의 사회자본 수준과유형이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주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labor market entry for poor and disabled women and to reveal the relationship. In the case of poverty-stricken and disabled women,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on the impact on labor market entry depending on the level and type of social capital that disabled women possess or are involved in for economic activ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looked at how the level and type of social capital possessed by poor and disabled women affects their entry into the labor marke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evel of social capital of poor and disabled women is larger and the stronger the density, the more labor market they have. It was found to have a very significant impact on market entry, and in terms of social capital type, greater trust and participation were found to have a very significant impact on labor market entr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major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regarding the impact of the level and type of social capital of poor and disabled women on their entry into the labor market.

      • KCI등재

        빈곤계층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2007년과 2008년의 변화 비교

        정원오 ( Won Oh Joung ),이선정 ( Sun Jeong Le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빈곤가구의 소비패턴이 단일 유형이 아니라 여러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러한 차이에 어떤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빈곤계층을 하나의 소비유형으로 단순화 할 수 없으며,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필수품의 목록이 변화하였고, 변화의 양상은 라이프사이클이 상이한 가구원의 구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소비패턴의 유형은 여섯가지로 분류되었는데, 각각은 교육비지출형, 식료품지출형, 사회적관계지출형, 교통통신비지출형, 의료비지출형, 주거비지출형으로 명명할 수 있었다. 각 소비패턴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항로짓분석을 실시한 결과 빈곤가구의 경제적 특성보다는 가구특성, 가구주특성, 사회적 특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빈곤가구의 다양한 욕구를 확인했고, 소비패턴의 영향 요인이 경제적인 요인보다는 가구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한시적인 소득지원에 무게를 두고 있는 한국의 빈곤정책은 가구의 욕구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sumption patterns of the poor households. The first objective of this analysis is to show that the group living in poverty get not one consumption pattern but several types of consumption patterns. The second objective is to understand what factors effect the consumption patterns. This study use the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in 2008 & 2009. In oder to achieve first goal, We conduct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And to achieve second goal, We conduct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six patterns of consuming types of the poor households. They are education oriented consuming type, diet oriented type, social network oriented type, transportation-communication oriented type, health & medical oriented type, and housing expenditure oriented type. Second we find these consumption patterns are effected by not economic factors but socio-populational factors, especially by life cycle of members of household.

      • KCI등재

        기초연금의 노인가구 유형별 빈곤감소 효과 분석

        김안나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기초연금제도의 도입과 확대가 노인가구의 빈곤감소와 소득분배개선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가를 노인가구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초연금 도입 이전인 2013년과 도입 이후인 2016년 및 2019년도의 가계 동향조사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가구주 가구의 소득은 비교년도 동안 증가세를 보였으 며 공적이전소득 또한 증가하였다. 둘째, 노인가구유형별 빈곤율 비교에서는 노인단독가구의 높은 빈곤율을 볼 수 있다. 정부의 빈곤완화 정책 효과분석은 모든 노인가구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노인부부가구의 경우 가장 두드러지 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소득분배개선은 모든 노인가구유형에서 개선 추이를 보였으며 특히 노인 단독가구의 경우 개선 의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넷째, 기초연금도입의 효과를 분석한 이중차이 다중로짓분석은 기초연금의 도입이 중위소 득의 40%를 기준으로 하는 빈곤 위험을 감소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the Basic Pension scheme in terms of poverty reduction and income distribution among elderly households by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the household type. It compares the data before (2013) and after (2016, 2019) the introduction of Basic Pension by using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data. Empirical analyses indicate that, first, the overall income and the public income transfer of the elderly households increased during the period compared. Second, the poverty rate was considerably higher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han for other household types. The government policy led to poverty-reduction for all types of elderly households, wherein the effect was most profound in the case of elderly living with spouse. Third, income distribution improved for all types of elderly households, though maximum margin was observed in the cas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Fourth, according to the multivariate logit regression, the Basic Pension had a positive impact on reducing the risk of poverty (defined as below 40% of median income) among the elderly househo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