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낭만과 현실 사이에서

        김주영(Kim, Joo Young)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청주 수암골에서 진행된 문화예술사업 과정에서 드러나는 빈곤의 재현 양상을 분석한다. 빈곤을 재현하는 행위자로 문화예술사업 기획자, 예술가 그리고 수암골 주민을 살펴봄으로써 이 세 주체가 어떻게 빈곤을 재현하고 있는지 설명하고자 한다. 빈곤의 재현 양상은 골목길, 농촌적인 마을 공동체에 대한 이견(異見), 빈곤에 대한 오인과 선택적인 인식, 이를 통해 나타나는 빈곤에 대한 의도치 않은 비가시화로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낭만과 현실이라는 기획자, 예술가, 주민 사이의 빈곤에 대한 인식의 간극은 서로 간에 오해를 불러일으키게 되면서 문화예술사업의 의도와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예술사업은 계속되고 있으며, 세 주체 간의 동상이몽 역시 지속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문화예술사업 과정에서 드러나는 기획자, 예술가, 주민 사이의 빈곤에 대한 다른 방식의 재현이 현실로서 빈곤의 문제를 보이지 않게 만들고 있음을 비판하고자 한다. 오늘날 철거와 재개발의 악몽에서 벗어난 달동네가 보존형 개발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다른 방식으로 박제화, 상품화 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presentation of poverty from a culture and art project in Suamgol, an urban impoverished area called Daldongnae in Cheongju, Korea. This study observes the project planners, artists, and local residents, who are key agents to the project, and examines how they represent poverty based on their understandings and experiences. These diverse expressions of poverty are found in alleys, from different understandings toward rural-like village communities, and misconceptions or selective perceptions of poverty. As shown in this study, this process unintentionally misrepresents poverty. Whereas the planners, artists, and local residents present poverty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poverty in reality disappears. The residents of this Daldongnae went through forced demolitions and redevelopment, and finally survived their nightmares. Now, however, a new paradigm called preservation development objectifies and commercializes their lives and poverty in reality in a whole different way.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가구 빈곤이 미치는 영향

        구자민(Ja-Min Goo),윤희선(Hee-Sun Yoon),이상록(Sang-Ro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빈곤은 청소년의 발달 및 적응을 규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널리 평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청소년의 발달 및 적응에 미치는 빈곤의 영향에 대한 파악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가구 빈곤의 영향을 경험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이중적 어려움을 지닌 빈곤가구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실천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7차 자료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연구문제 분석에는 OLS 다중회귀분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다문화 가구의 빈곤은 다문화 특성 변수들과 함께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가구 빈곤은 하위 변인인 학업성취와 교우관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청소년들에서도 가구 빈곤이 학교적응의 주요 영향 요인임을 보여주는 바로, 이들의 학교적응 제고를 위해서는 다문화 특성 뿐 아니라 빈곤과 같은 가구의 경제적 상태에도 정책적 관심과 주목이 적극 요청됨을 시사하여 준다. 특히, 다문화 및 빈곤의 이중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빈곤가구 다문화 청소년에게는 보다 적극적인 지원 및 개입, 관리의 필요성을 환기하여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amily poverty on the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7th data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was used and the OLS multiple regression models ware applied. to the analyses. From the result of the OLS model analyses, we found out that family poverty affect significantly on the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Especially, family poverty has th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friend relationships.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amily poverty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y confirm that family poverty during period of the adolescent has an important meaning and influence on the aspect of school adjustment as to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Implications of this study may be that policy attentions are necessary to not only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but also family background such as poverty in oder to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addit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re special support and interventions are requested to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from poverty families who are suffering dual difficulties such as multi-cultural problems and poverty problem.

      • KCI등재

        부모의 인적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빈곤 학생과 비빈곤 학생 차이를 중심으로-

        김현숙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1 학교사회복지 Vol.-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poor and non-poor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was affected by the human, social and cultural capital of their parents. The study was conducted in schools that were engaged in the Supportive Project for the Priority Region of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SPPREWI) in the city of Iksan, Chonbuk provi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3 elementary and 220 middle school students(poor 216, non-poor 397).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between poor and non-poor students in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educational achievement. First, fathers' human capital(education) negatively affected poor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but fathers' human capital(education, occupation) positively affected non-poor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Second, the social capital of family background(number of sibling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poor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whereas parent-child relationships(educational interest and conversation, participation of education activit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non-poor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Third, parents' cultural capital did not affect non-poor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whereas it positively affected poor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인적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이 빈곤 학생과 비빈곤 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북 익산지역 교복투 사업이 시행 중인 학교의 초등생 393명, 중학생 220명(빈곤 학생 216명, 비빈곤 학생 397명)을 조사하였다. 학업성취 영향요인은 빈곤 학생과 비빈곤 학생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첫째, 부의 인적자본은 빈곤 학생의 학업성취에는 부학력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비빈곤 학생의 학업성취에는 부학력, 부직업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의 사회자본 중 가족배경(형제자매수)은 빈곤 학생의 학업성취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부모-자녀 관계(교육적 관심과 대화, 학교교육활동 참여)는 비빈곤 학생의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의 문화자본은 비빈곤 학생의 학업성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빈곤 학생의 학업성취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서 기독교의 윤리적 과제

        조용훈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1 기독교사회윤리 Vol.22 No.-

        우리사회는 급속히 다문화사회로 변해가고 있다. 하지만 오랫동안 순혈주의 문화 속에서 지내다보니 이러한 변화가 낯설고 때로는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기독교윤리학적 관점에서 다문화사회에서 생겨나는 사회윤리 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찾고자 한다. 우리사회가 다문화사회로 변하는 현실에서 생기는 문제들에는 차별, 빈곤 그리고 소외가 포함된다. 첫째, 피부색이나 출신국, 경제적 형편에 따른 사회적 차별이 생겼다. 결혼이주여성의 경우에는 인종차별, 계급차별 외에도 성차별까지 경험하고 있다. 둘째, 대부분의 이주노동자들은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살고 있으며, 다수의 다문화가정에서 빈곤은 대물림되고 있다. 셋째,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그리고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문화적 소외와 배제로 인해 고통을 당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윤리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있어 기독교의 우선적 과제는 다문화사회에 걸맞는 윤리적 가치를 함양하는 일이다. 먼저, 공생과 상생의 가치를 형성해야 한다. 다양성을 축복으로 알아 다문화상황을 국제 경쟁력의 기반으로 만들 수 있는 지혜가 요청된다. 둘째, 관용의 가치로서, 문화에서 다름이란 좋고 나쁨이나 높고 낮음의 문제가 아니다. 교회는 다름을 수용하고 적극적으로 해석하는 힘을 배양해야 한다. 셋째, 배려와 돌봄의 가치다. 하나님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특별히 관심하신 분이며, 교회는 그들을 돌보고 배려하도록 부름받은 공동체다. 마지막으로, 환대의 가치다. 흔히 낯설음은 적대감으로 변하기 쉬운데, 우리는 두려움 대신 따뜻한 마음으로 환대하는 문화를 형성해야 한다. 기독교윤리의 또 다른 과제는 지역교회가 다문화사회의 모델을 만들어 가는 일이다. 지역교회의 다문화사역 가운데 안산의 ‘국경없는 마을’(박천응목사)이나 상주교회(곽희주목사)는 좋은 사례가 된다. 둘째, 다문화교육으로서 지역교회는 이주민만 아니라 원주민을 교육의 대상으로 삼고, 교육목표는 이주민의 다중정체성 형성과 원주민의 다문화가치 함양에 두어야 한다. Korea rapidly moves to multicultural society: economic globalization brings a huge influx of foreign workers into Korea; a large number of foreign women immigrated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growing now more than ever. These factors diversify the racial, cultural homogeneity of Korean society.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he Korean church should respond to the social change in order to reconcile cultural differences and promote cultural diversity. Korea has been a racially and culturally homogeneous society for a long time and has a strong tendency to refuse the heterogeneous cultures. For this reason, today's process to multicultural society accompanies social problems such as cultural conflict, racial discrimination and xenophobia, and also causes economic injustice to foreign workers. The Korean Church have to take the ethical tasks to overcome socio-cultural problems in multicultural society, which would jeopardize and devitalize the country: The church community should develop the value system to pursue unity in diversity and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differences. Furthermore, positive actions should be taken to care for the unprivileged, cultural minority and welcome the foreign residents. In addition, the church have to develop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eeking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cultures represented by the 'salad bowl' model in opposition to the ideology of assimilati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ncourages foreign immigrants to retain their own cultural identity and integrity, and can change the diverse cultural resources into the positive energy to enrich the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이주근로자의 빈곤과 복지선교

        전석재(Seok Jae Jeon) 한국기독교학회 2015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8 No.-

        이 논문은 다문화 사회의 변화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 중 외국인 이주 근로자를 중심으로 빈곤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선교적 관점에서 다문화사회를 이해하고, 외국인 이주근로자들의 빈곤문제를 복지선교 차원에서 접근하고 대안을 세워보았다. 실제적으로 연구방법에 필요한 이주근로자들의 설문조사와 인터뷰는 인천 남동공단을 방문하여 연구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논문은 이주근로자의 빈곤문제와 그들을 향한 빈곤복지선교의 방향과 한국사회와 교회가 외국인 이주근로자의 빈곤문제를 향한 방향성과 대안을 설정해 보았으며, 이주근로자들의 많은 문제 가운데 빈곤에 집중하여 다루었다. 이 논문은 빈곤문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전국단위로 실시하지 못했으며, 많은 이주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하지 못했음에 한계를 가졌다. 이 논문에서는 이주근로자를 향한 한국교회가 선교공동체로서 이주근로자로부터 많은 것을 배워야 됨을 역설했다. 선교가 문화적, 인종적, 언어적 경계를 넘어서서 복음을 소통하는 것이라면 경계에 선 존재로서의 이주근로자 존재 자체가 선교적이라 말할 수 있다. 따라서 기독교 선교는 이주근로자로부터 여러 가지 상호문화적인 요소를 배우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이주근로자를 향한 사회봉사부나 선교회를 노회나 총회에서 만들어 지속적인 지원이 요청된다. 또한 이주근로자 사역을 하는 선교단체나 선교회를 지역교회가 MOU를 체결하여 인적, 물적 자원을 지원할 수 있다. 이주근로자를 향한 빈곤복지선교는 계속하여 시행해야 할 사역이다. 한국사회와 교회, 그리고 NGO, 정부가 함께 연대하고 협력하여 이주근로자 빈곤복지의 문제를 함께 풀어가야 한다. 특별히 한국교회의 섬김과 봉사로 인한 다문화적 접근으로 외국인 근로자상담, 교육과 역량개발, CHE를 통한 자발적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주근로자를 향한 섬김과 선교의 접촉점을 가질 수 있다. This articles is to represent a application of “Poverty Welfare Mission for migrant Workers” to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as a welfare mission strategy of balanced Korea church and society responsibility in the aspect of a ‘migrant workers Mission.’ I mention that perspective and analysis about a poverty based on immigrant workers. I explain that an immigrant worker kinds and situations in Korea society. This study builds on a direction of research study and method in Namdong industrial complex in Incheon, Korea. I find that immigrant workers in companies had some problems about labor circumstances and small wages. I suggest that as below. First, poverty welfare mission strategy would play positive roles in making their works maintain the identity and equal human right of Korean people in work fields. Second, Korea churches and societies can corporate wholistic mission for immigrant Workers: such as economic situation, NGO service, medical service, family counseling, educational supports, and human rights. Third, Korea churches support and build on Community Health Evangelism. so they service health service and medical service in migrant workers. Fourth, We have could be connect with Social Welfare, Churches, Government, NGO Network, and Schools toward immigrant workers poverty life and welfare. This study focus on various mission strategy toward migrant mission in Korea society. We need partnership and cooperation among Korea churches, Christian NGO, Mission groups and migrant churches in Korea.

      • KCI등재

        전 지구적 문화, 문화 산업 비판

        박성우(Sung Woo Park)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2

        현재의 디지털, 글로벌(전 지구적) 환경에서 ‘문화’와 ‘문화 산업’이라는 용어는 비교적 포괄적이자 적극적, 자의적 관점에서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문화 현상에 대한 규정에서 드러나는 확장된 인식의 모습을 감안하자면, 문화적 대상의 ‘사회적 생명성의 형태’(The social form of life, Appadurai, 1986; Lash & Lury, 2007)라는 새로운 개념적 이해를 필요로 한다. 이 과정에서, 문화 생산 및 소비에서의 연속적 흐름들(trajectories)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그리고 주?객체의 시공간적 그리고 존재론적 변화의 특성들은 어떠한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결국, 지금의 전 지구적 문화 산업은 특히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중심으로, 들뢰즈, 가타리적(1994) 관점에서의 ‘생성적 되기’(becoming)의 과정과 전형적으로 결합하며 그 위상적 특이성을 지속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더불어, 오늘날 전 지구적 문화 산업은 주?객체들의 준안 정적 ‘개체화’(individuation, Simondon, 1992; Stiegler, 1998, 2008, 2011), 그리고 그 흐름 속에서 드러나는, 다소 낯설면서도 익숙한 새로운 자본주의 교환 질서, 즉 ‘미디어 교환 시스템’(media exchange, Park, 2014)을 폭넓게 부각시킨다. 이 글에선 우선 형상적(figural)이며 정조(情調)적인(atmospheric) 특징을 나타내는 소위 전 지구적 문화화, 그리고 문화적 대상에 대한 새로운 형태의 소유, 교환 개념과,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주체들의 ’초개체화’(trans-individuation, Stiegler, 2011)와 ‘빈곤화’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조명한다. The rising concerns of culture and culture industry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globalised, digital cultural flows. This paper aims to interrogate the global circulations of cultural objects from the perspectives of ‘forms of social life’(Appadurai, 1986) and the ‘global culture industry’(Lash and Lury, 2007). This will allow the engagement of ‘proletarianisation’ in the age of digital, mobile, and social media, through which unique features of global cultural objects’ trajectories such as the strange but familiar economic exchange system and inter-subjective transmutation on ‘meta-stabilising’ cultural spaces and’trans-individuation’ on subjects will be examined. This research is approached both empirically and transcendentally through the key underpinning factors of this figural, atmospheric aspect of global culture and culturisation. Furthermore, drawing new challenges for the ‘becoming’ and ‘virality’, derived from excessive ‘media-exchange’, helps us to better understand not only global digital pop cultural phantasmagoria, but also the pathological disease of ‘the imaginary’. These are from a capitalistic illusion.

      • KCI등재

        홈리스의 생활양식과 자아정체성에 관한 연구

        신승배(Shin Seungbae) 한국공공사회학회 2011 공공사회연구 Vol.1 No.2

        이 연구는 홈리스들이 갖는 문화적 특성과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홈리스의 일상생활을 심층면접을 통하여 살펴본 것이다. 홈리스 집단은 일반사회와는 구별되는 그들만의 생활양식을 가지고 있으며, 빈곤문화와 마찬가지로 사회의 지배적인 계층과 구별되는 홈리스들만의 태도와 가치를 갖는 독립된 하위문화의 형태로 탈노숙에 대한 낮은 열망 수준과 개체 간 사회화를 통해 독특한 계층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노숙 전의 교육과 취업기회의 결여는 노숙 진입에 영향을 주며, 경제력 상실과 일반사회와의 관계 약화는 홈리스 사회로의 진입을 촉진한다. 노숙생활 중 일일경제 패턴과 홈리스 집단의 독특한 문화는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친다. 홈리스는 홈리스 집단의 일상생활을 통하여 홈리스 문화를 체험하고 홈리스 집단의 하위문화를 받아들이게 됨으로써 홈리스로서의 자아정체성을 확립해 나간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노숙생활 중의 생존을 위한 적응전략으로 홈리스 문화를 선택해 나감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빈민들이 주요한 사회제도와 통합되지 못하고 이탈되는 특징은 빈곤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기도 하며, 홈리스가 생존을 위하여 일반사회와의 관계 단절이라는 생존전략을 선택한 때문이기도 하다. 홈리스 문화는 기회의 결여를 기반으로 생산되고 빈곤문화와 같은 홈리스 문화의 영향으로 지속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describe subculture of homeless people in urban Korea. especially by focusing on their lifestyles and self-identiti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Homeless people have their own lifestyles and unique sub-culture that include their own attitudes and values. Homeless culture was based on the lack of education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sustainable under the influences of poverty culture. They embraced a sub-culture of homeless through the daily lives and established their own self-identities as their functional survival strategy. So, they accept their life experiences on the streets as a way of life and they have low self-esteem and little respect for themselve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help explain why homeless people have a difficult struggle to get out of the state of homelessness.

      • KCI등재후보

        비행 하위문화이론에 나타난 빈곤과 범죄의 사회학적 고찰

        김영제(Young Je Kim)(金英濟),김판석(Pan Suk Kim)(金判錫)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1 Crisisonomy Vol.7 No.3

        본 연구는 지역 사회 빈곤과 범죄의 관련성을 연구함에 있어 사회경제적 입장의 측면에서 지역사회 사회 계층과 범죄 간의 관계를 범죄 발생 및 범죄 통제의 정도, 그리고 법의식과 사회 계층적 갈등의 측면에서 빈곤과 범죄의 관계성을 비행 하위문화이론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비행 하위문화의 관점은 하위 계층은 중류 계층이주를 이루는 사회에서 중류 계층을 따르기 위해 노력하고 이런 노력이 좌절 될 때마다 사회에 반항심을 갖게 되고 합법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들이 좌절되면 중류 계층이 만들어 놓은 규범과 질서에 반항심을 갖게 되고 성공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과정에 범죄를 저지르게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빈곤과 범죄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볼 때 범죄 연구에 있어서 사회 환경적 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을 통한 다학제적인 논의가 필요하며, 빈곤퇴치를 위한 사회복지 및 사회 안전망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lasses and crime within a community in terms of crime occurrence and its control from the socio-economic aspec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crime with a focus on the delinquent subculture theory in terms of legal consciousness and class conflict. According to the theory, the lower-class members try to achieve success legitimately in a society where the middle class values are dominant, but they become frustrated and express aggression against the middle class norms which have caused them frustration. Furthermore, they even commit crimes to achieve their desired goals. In that, the statistics support the delinquent subculture theory which Cohen argued.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poverty and crime, this study stresses multi-disciplinary discussion using comprehensive approaches to socio-environmental factors in crime studies, social welfare, and effective social safety nets to reduce poverty.

      • KCI등재

        부산‧경남지역 빈곤층의 정치‧사회의식

        주인석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1 공공정책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빈곤층의 정치‧사회의식을 살펴보고 있다. 우리 사회가 양극화로 인해 빈곤층은 더 이상 희망에 대한 기대를 잃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 양극화로 인해 가난한 사람들은 물질적 가치 박탈과 사회적 소외를 경험하고 있다. 과거 빈곤층은 성공에 대한 희망은 자신의 노력이라 생각했지만, 이제 가난이 구조화되어 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과정이 지속된다면 우리 사회도 빈곤문화에 대해 우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정부와 사회의 적극적인 처방이 필요한 시점이 되고 있다. 또한 사회통합과 발전을 위해서도 빈곤을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political and social consciousness of the poor in Busan, Ulsan, and South Gyoungnam province. The poor in Korea lost their hope in life and experience alienation and deprivation of material value. The poor believed that they could achieved success by their efforts in the past, but out society show structuring of poverty. If this trend continues our society concern culture of poverty. Therefore, Korean government need to prepare active policies for solving poverty and these policies also need social inte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