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학 전공교과목에 적용한 창의적 교수법이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금란,서임선,김태희,한숙원,김민숙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eative teaching technique(CTT)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CTD), problem solving process(PSP), and self-leadership(SL) in 5 majors of first to third grades in a college nursing department. CTT was developed to promote memory and practical abilit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December 31 in 2017, and the survey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CTT.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TD, PSP, and SL in the first graders whom applied various teaching techniques to one subject. But CTD was 6.8point(p<0.001), PSP was 7.5~7.9point(p<0.001) and SL was 2.9~3.3point(p<0.001) improved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s whom applied similar teaching techniques in two subjects. In order to improve the students' core competency, it is more effective for students to apply one or two methods repeatedly in several subjects than to apply various methods to one subject. Since the CTT was more effective in the group that selected the major depending on aptitude and intere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enhance the interest in nursing major. 본 연구는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 3개 학년 5개 전공교과목에 기억력과 실용능력 증진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 일부를 적용하여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셀프리더십에 대한 영향 여부를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수행되었으며 창의적교수법 적용 전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적용 결과 학년별로 1개 교과목에 다양한 교수법을 적용한 1학년의 경우에는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셀프리더십에 차이가 없었으나, 2개 교과목에서 유사한 교수법을 반복하여 적용한 2학년과 3학년의 경우 비판적 사고성향은 6.8점(p<0.001), 문제해결과정은 7.5~7.9점(p<0.001), 셀프리더십은 2.9~3.3점(p<0.001) 향상되었다.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의 교과목에 여러 가지 교수법을 적용하는 것보다 1~2가지 방법을 여러 교과목에 반복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창의적교수법은 적성과 흥미에 따라 전공을 선택한 그룹에서 보다 효과적이었으므로 추후 전공에 대한 흥미를 촉진 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프레이리(P. Freire) 비판적 문해교육방법을 활용한 실천적 다문화교수법 구상

        배영주(Young-Ju Bae)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6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6 No.2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이 특정 문화 내용이나 다문화적 가치에 대한 단순한 전달이나 이해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그것들이 학습자 삶 속에 구현될 수 있도록 학습자 실천력 배양이 중요하다는 문제의식 하에 이를 가능케 할 실천적 다문화교수법을 구안해 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삶의 맥락과 과제를 연결지어 그 의미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는 실천에 이르도록 하는 교육방법을 제안한 파울로 프레이리의 비판적 문해교육론에 주목하여 과연 그것이 다문화교육방법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지 그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한다. 연구 결과, 그의 교육방법이 다문화교육의 맥락에서 활용될 수 있으려면 몇 가지 수정되어야 할 측면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것들을 수정하여 실천적 다문화교수법의 모델을 구상, 제시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다문화교수법은 아직 보완되어야 할 부분들을 많이 가지고 있지만, 다문화교육의 핵심이 변화된 문화 지형에서 나름의 방식대로 조화로운 삶을 영위해야 할 학습자들의 삶의 변화 노력에 있음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교수방법의 고안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I noticed on Paulo Freire’s critical literacy education method and tried to acquir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teaching method and to design a teaching model. Paulo Freire is a Brazilian educator and philosopher who is a leading advocate of critical pedagogy. He championed that education should allow the oppressed to regain their sense of humanity, to overcome their conditions. He acknowledged that for this occur, the oppressed individual must play a role in their liberation, and he presented a student centered teaching method, in which ‘critical consciousness’, ‘conversation’, ‘contexts of life world’ were counted for much. I investigated applicability and limits on literacy teaching method to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considering the contextual differences between literacy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result, I could ascertained that Freire’s literacy education method had to be revised for applying it to multicultural education. I shaped my idea for practical multicultural teaching method and presented a new model utilizing Freire’s literacy teaching method. The presented teaching method model in this study is not a perfect one yet, but I am looking forward, with this as a momentum, it could be a kind of start point for inquiring practical teaching method in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소셜 벤처 BMC를 적용한 혁신적 교수법 만족도와 비판적 사고력 및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과의 상관관계 : J 대학교 리빙랩 사례

        권혁(Kwon Hyu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최근 대학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지역 사회의 기대와 요구가 다양화되면서 산학협력의 활성화가 강조되고 있고, 대학은 지역사회와의 관계 발전을 위해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한편, 지역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지자체, 대학, 민간, 주민자치 등 다양한 주체들이 노력하고 있지만, 리빙랩 활동에 시민 참여의식이 해외 선진국에 비해미미하여 그 효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과 더불어 아이디어가 정책적으로 발현되지 못하고 제안에만 그치는 등 리빙랩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 제시돼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지역사회의 문제 발굴,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단계별 문제 해결 접근과 실제 지역사회와 연계한 체험 학습활동의 기회를제공하고 있는 J 대학교 리빙랩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리빙랩에 참여하고 있는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의미한 자료 136부를 확보하여 SPSS 통계 프로그램(Ver. 22.0)을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그결과 첫째, 혁신적 교수법 만족도 중 PBL 교수법이 비판적 사고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실시간 원격 강의, 이러닝, 플립 러닝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혁신적 교수법 만족도 중 실시간 원격 강의, PBL, 플립 러닝은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이러닝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혁신적 교수법이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에 영향을 미칠 때 성별의 조절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혁신을 위한 정책 제언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교육 방법론을 제안하였으며, 대학 및 지역의 주민자치 리빙랩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겠다. 본 연구가 향후 국가 리빙랩 교육 정책 방향에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as the expectations and demands of the local community for the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universities have been diversified, the vitalization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is being emphasized, and universities are seeking concrete action plans to develop relationships with the local community. Various actors such as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universities, private sector, and residents are making efforts to solve local community problems, but they pointed out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idea is poor as the awareness of citizens’ participation in Living Lab activities is insignificant compared to that of advanced countries abroad. A consensus is being formed that concrete action plans for the application of the living lab should be presented, such as not being expressed a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ase of J University Living Lab, which provides opportunities for understanding the local community, discovering the problems of the local community, a step-by-step problem-solving approach to community problem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the actual local community.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145 people participating in the Living Lab, and 136 copies of meaningful data were obtained and empir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Ver. 22.0).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BL teaching meth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itical thinking skills among the satisfaction of innovative teaching methods, and that real-time distance lectures, e-learning, and flop learn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real-time distance lecture, PBL, and flip lear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e-learn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teaching method satisfaction.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was confirmed when innovative teaching methods affected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n educational methodology to effectively make policy recommendations for local community innovation,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creation of an ecosystem for resident autonomous living labs in universities and reg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national living lab education policy direction.

      • KCI등재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의 개념 탐색: 한국 다문화교육에의 적용

        김종훈,최주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5 다문화교육연구 Vol.8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dea of ‘culturally relevant pedagogy’ proposed by Ladson-Billing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To accomplish the goal, this study investigates three tenets of culturally relevant pedagogy: academic success, cultural competence, and critical or sociopolitical consciousness, and then it reinforces original intention of each tenet for better practice.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wha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practice culturally relevant pedagogy in accordance with contexts and circumstance of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본 연구는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culturally relevant pedagogy)의 개념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의 세 가지 요소 혹은 준거에 해당하는 ‘학업적 성공’, ‘문화적 역량’, ‘비판적 의식’ 개념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을 실천하고자 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한국 다문화교육의 상황과 맥락에 맞게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을 적용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 KCI등재

        컬럼비아대학교 글쓰기 교수법의 적용 사례

        김성숙(Kim Sung-Sook) 한국리터러시학회 2012 리터러시 연구 Vol.- No.4

        2008년 컬럼비아대학교의 신입생 글쓰기 교과목에서는 학술 담론이 생성되는 전형적 과정을 반영하여, 렌즈에세이(Lens Essay, 25%), 대화적 에세이(Conversational Essay, 25%), 협력적 탐구 에세이(Collaborative Essay, 35%), 자기 성찰적 에세이(Retrospective Essay, 15%) 등 네 편의 긴 글을 쓰게 하였다. 학술 담론이 생성되는 단계적 과정을 반영한, 이 렌즈에세이, 대화적 에세이, 협력적 탐구 보고서 쓰기 과제는 각각 이론화 전략과 비판적 문식성을 함양하고 학술 담론 생성 절차를 익히도록 구성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컬럼비아대학교의 신입생 글쓰기 교수법과 그 적용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국내 대학 작문 교과의 변별적 목표와 교수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컬럼비아대학교의 이 목적 지향적 교수법은 대학 신입생이 학문 담화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학술 담론을 생성할 수 있도록 전략과 절차를 가르친다는 점에서, 국내 대학 작문 교과의 교수 학습 목표를 정초하고 적절한 교수법을 개발하는 데 참조할 바가 많다. This study has introduced the curriculum of academic writing course consisted with 4 consecutive tasks in Columbia university in order to set up the purpose and a model of curriculum of academic writing course with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Undergraduate students write 4 main essays in those writing progressions including a lens essay, a conversational essay, a collaborative essay, and a retrospective essay at the unique writing curriculum. In the first lens essay progression, a student should find a lens from an article mostly written by the professors of Columbia University. Then he or she has to analyze the other object such as a picture or another written text through the lens from the origin text. However Korean student had to start from the project finding a proper lens to adapt his or her own essay since we had little lens essay samples. Through this project, students learned the strategy to build up the logical frame of certain academic written discourse. A conversational essay task has the same problem. We had no proper sample for a conversational essay and this task is somewhat difficult for a freshman. Therefore the teacher put the task into the fictional interest context inviting two or more famous people representing the opposite special opinion. And she made the task easier by permitting to complete together. Through this project, students accustomed to the critical literacy comparing the several counterarguments. And finally through a collaborative essay procession, students learned the procedural knowledge to produce a academic written discourse. The 4 consecutive tasks from the curriculum of academic writing course with undergraduate students in Columbia university are useful to set up the purpose and a model of academic writing course in Korea.

      • KCI등재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에 대한 고찰

        나장함(Na, Jangha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4

        본 연구는 ‘문화적 역량(cultural competence)’,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culturally relevant pedagogy)’에 대한 개념적 혼란이 있다는 문제 인식에서 시작되었다(그 의미를 다소 단순화하고 협의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강함). 다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다문화 교사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의 연구맥락에서는, 다문화적 상황에서 요구되는 교사의 능력을 ’문화적 역량(또는 다문화적 역량/능력, 문화적 민감성, 문화적 감각, 다문화적 교수능력 등)에 중점을 두고 논의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연구물은 ‘문화적 역량’을 사회ㆍ정치적 의식과 연결시켜 다루어 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경향에 대하여 본 연구는, 먼저 우리의 연구 맥락에서 왜 그러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가에 대한 원인과 이에 따른 실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경향에 대한 한 대안으로 Ladson-Billings의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 개념을 분석하고 그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여, 현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the idea of culturally competence or culturally appropriate teaching has received a great interest from many studies o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as an effective tool to work with students of diverse backgrounds. Although they are presented with similar terms(such as culturally appropriate, culturally congruent, culturally responsive), studies used these terms as a theoretical framework provided varying definitions of the term. Most of studies conceptualize the meaning of Ladson-Billings’CRP in a manner that focused mainly on narrow definition of culture. Currently, many teacher eduction programs are based on liberal multiculturalism that tends to preclude analysis on power relations and social privilege. By reviewing and analyzing CRP related literature, this study suggest that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needs to incorporate critical multicultural practices so that teachers will develop socipolitical consciousness of their own that will guide them toward critical practice of CRP.

      • KCI등재

        윤리와 읽기·말하기·쓰기의 교수법적 결합에 관한 시론

        소병철(So Byung-Chul)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6 No.4

        이 글의 목적은 대학의 교양 교과목으로서의 윤리 수업을 읽기(독서), 말하기(발표와 토론), 쓰기(논술) 중심의 의사소통적 접근법과 결합하여 '인문학의 위기' 속에서 무력한 매너리즘에 빠지곤 하는 현행 교양 윤리 수업을 비판적이고 역동적인 수평적 의사소통의 훈련장으로 전환할 수 있는 하나의 교수법적 방안을 구상하는 것이다. 윤리는 본질적으로 철학자의 탁상에서 전개되는 학문이 아니라 문제가 발생한 현장에서 그 문제에 직간접으로 관련된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의 복닥거림을 거치며 탄생하는 인간 실존의 산물이다. 그런한에서 대학에서의 교양 윤리 수업은 철학자의 탁상에 박제되어 있던 '철학적' 문제들을 학생들의 실제적인 관심사와 부합하는 '실존적' 문제들로 번역하여 공론화하고, 이러한 문제들을 공동으로 사유하며 해결을 모색하는 역동적 의사소통의 포럼을 강의실에 구현하기 위한 도전적 실험의 기회가 되어야 한다. 논자는 이러한 관점에서 대학의 교양 윤리 수업에 대한 의사소통적 접근법의 의의와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그러한 접근법의 한 모델을 시론적으로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design a didactical program with which we could combine the ethics as a course in liberal arts with the communicative approach centering on reading(analysis), speaking(presentation and discussion) and writing(essay writing), and change the stereotyped current course of ethics into a critical and dynamic forum of horizontal communication. Essentially, ethics is not the speculation unfolding by a philosopher's desk, but the product of vivid human existence formed in the free-for-alls among the diverse interested parties associated with the real and concrete problems of life. Therefore, ethics as a course in liberal arts must translate the stereotyped 'philosophical' problems into the 'existential' problems really interesting students and refer the latter to an open forum. In short, the course of ethics must change itself into the opportunity of progressive experiments for creating the dynamic forums of communication cooperatively as well as competitively striving to solve the real and concrete ethical problems through the rational thinking. From this standpoint, I will stress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the communicative approach to the ethics as a course in liberal arts and, further, suggest a model of such an approach as a trial.

      • KCI등재

        도덕과 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의 방향 설정

        김영은(Young-Eu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8

        도덕 교사들의 다문화에 대한 이론적, 교육적, 실제적 이해를 높이기 위해, 다문화주 의에 대한 주요 이론적 패러다임과 다문화 교육적 접근을 도덕교육에 맞게 적용해보고 자 한다. 현재 도덕(과)교육에서는 이미 다문화주의가 등장하였지만 실제 교육과정을 실 현하는 교사들의 다문화 및 다문화주의에 대한 개념이 상이하거나 이론적으로 정합되 어 있지 않고 교과서 또한 상이한 다문화주의가 충돌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양한 다문 화주의에 대한 이론적 틀이 교과서 내용과 활동을 정초할 수 있도록 도덕 교육적 시사 점을 도출하였다. 다문화주의의 주요한 패러다임을 비교·분석하여 도덕 교육적 시사점 을 찾고, 실제 도덕과 수업을 통해 실시한 프로그램 예시를 제시하였다. McLaren, Sleeter와 Grant의 분류에 의존하여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교육적 적용 을 위해 Banks의 다문화교육 영역과 비판적 교수법을 제안하였다. 비판적 다문화주의에 서 강조하는 사회 담론에 대한 분석, 사회구조적 시각의 중요성을 통해 다문화의 오개 념과 현 인식을 점검하고 사회정의에 기여할 수 있는 다문화교육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pply a variety of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approaches to moral education in order to moral teachers’ theoretical, pedagogic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s of muliculturalism. To now, although multiculutralism already emerged in moral education, teachers’ concepts of multiculturalism are not coherent to practices and contradicting paradigms are present in the textbook. This study draws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to get textbook contents and activities bound in theoretical frameworks of multiculturalism. Thus, after analyzing various multicultural paradigms to set a direction for applications to moral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multicultural programs actually implemented in the lower secondary moral class. For theoretical frameworks, this study refers to McLaren’s and Sleeter & Grant’s classifications to understand theories of multiculturalism as well as Banks’ multicultural domains and critical pedagogy to get pedagogical applications. This study puts emphasis on the multicultural framework for social justice that examines conceptual errors and the existing discourses of multiculturalism through both cultural and structural analysis which critical multiculturalism contributes to.

      • KCI등재

        사회과학에의 물음과 문학연구의 갱신 가능성 - 가야트리 스피박의 논의를 중심으로

        윤동구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용봉인문논총 Vol.- No.62

        본 연구는 가야트리 스피박의 저서와 개념들, 특히 ‘비판적 지역주의’, ‘초국가적 읽기능력’, ‘새로운 교수법’ 등의 개념들을 중심으로 문학연구와사회과학, 그중에서도 비교문학과 지역학의 상호 협력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문학연구의 고유한 역할과 잠재력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삼는다. 먼저, ‘비판적 지역주의’란 비교문학과 지역학이 의지해 왔던 기존지역 개념의 근거와 조건, 한계, 사용 맥락들을 재검토하는 지적 실천이다. 스피박은 전통적인 지역 분류법이 갖는 본질주의적 속성과 한계를 지적하면서도 그 분류에 따라 생산된 지식들을 활용하여 더욱 새롭고 다양한 지역 범주를 만들어낼 가능성을 모색한다. 다음으로, ‘초국가적 읽기능력’은 이미 주어진 개념이나 범주로 온전히 환원될 수 없는 개별 텍스트들의 차이 또는 잔여물들을 전 지구적 자본주의라는 특수한 조건과 연결 지어 의미화하는 역량이다. 스피박에 따르면 초국가적 읽기능력은 상상력을 기반으로 삼는데, 상상력은 예측 불가능한 타자성과의 만남에 따른 새로운 관계와 연대를 창안하고 발명하는 힘으로서, 아무런 연관성과 유사성에도 기대지 않고 전혀 다른 지역들 사이의 접점을 생성하는 동력이 된다. ‘새로운 교수법’은 스피박이 제시하고자 하는 ‘타자에게서 배우기’와 관련된다. 그 핵심은 ‘아래로부터 배우기’와 ‘배우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는 배움이 오직 알려지지 않은 타자를 통해서만 가능하고, 우리가 배움의 대상과그 결과를 미리 알 수 없을 때에만 배움의 책임이 생겨날 것임을 배운다는 뜻이다. 이러한 배움은 현실이나 제도의 검증과 객관적 보편화를 외면하지 않고 오히려 그런 것과의 대면 속에서 타자에의 책임을 되묻는다는점에서 ‘이중구속’과 연루된 것이기도 하다. 스피박은 이처럼 이중구속과관계하는 타자성과 책임이 문학 교육과 연구를 아우르는 텍스트 읽기에서발견된다고 주장하며, 타자와 배우고 가르치는 읽기가 문학연구와 사회과학의 호혜적 갱신 가능성을 촉진하는 특유의 역량이 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여성영웅소설을 활용한 결혼 이주 여성의 문식성 증진 교육 방안 연구 -≪홍계월전≫을 중심으로-

        강신희 한국국어교육학회 2019 새국어교육 Vol.0 No.121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literacy of marriage migrant women by using heroine novel. Methods: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is research focus on the motive on male attire of Honggyewoljeon. This motive i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cultur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And based on educational contents analyzed, this study search the effective way of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Results: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based on male attire showed that male attire for education is connected with educational contents of ‘cultural literacy’ and male attire for woman’s social life is connected with critical literacy. The former is Korean traditional culture factor influence education culture of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later shows the autonomous way of coping with women’s life problem of the time. And by teaching method of this educational contents, this study suggests contents-based language teaching. Conclusion: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Korean education encourages marriage migrant women to be highly involved in inequality problem by using Korean. 목적:결혼 이주 여성들이 다문화 사회에서 겪는 문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문화적, 비판적 문식성을 증진하기 위한 여성영웅소설 활용 교육 방안 제시이다. 방법:‘남장’ 모티프를 중심으로 ≪홍계월전≫을 고찰하되 문화적․비판적 문식성 증진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한다. 결과:교육을 위해 한 남장을 현대 문화에 영향을 끼치는 전통적 한국 문화 요소를 드러내는 교육 내용으로 보고 ‘문화적 문식성’ 증진과 연계, 사회생활을 위해 한 남장을 당대 현실 문제에 주체적으로 대응하는 여성상을 드러내는 교육 내용으로 보고 ‘비판적 문식성’ 증진과 연계하였다. 이러한 교육 내용을 내용 중심 교수법을 기반으로 교수․학습 방법을 논의한다. 결론:한국 고전문학을 활용한 교육이 결혼 이주 여성들이 한국어를 도구로 하여 자신들의 문제를 돌아보고 적절하게 대응할 줄 아는 능력을 갖추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연구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