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유년기 무효화 환경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간에 고통 감내력 부족과 비자살적 자해 결과기대의 이중매개 효과

        송지숙,구본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유년기 무효화 환경, 고통 감내력 부족, 비자살적 자해 결과기대,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청소년의 유년기 무효화 환경과 비자살적 자해 간에 고통 감내력 부족과 비자살적 자해 결과기대가 이중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13세부터 19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737부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22.0)를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각각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년기 무효화 환경과 비자살적 자해 간에 고통 감내력 부족이 정(+)적인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유년기 무효화 환경과 비자살적 자해 간에 비자살적 자해 결과기대도 정(+)적인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유년기무효화 환경과 비자살적 자해 간에 고통 감내력 부족, 비자살적 자해 결과기대의 이중매개효과가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이처럼 유년기 무효화 환경과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 부족과 비자살적 자해 결과기대가 이중매개함으로비자살적 자해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의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투쟁-도피-동결체계, 가족표출정서, 정서조절곤란의 관계: 비자살적 자해 유경험자와 무경험자의 비교

        권문희,신효정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9 人間理解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Fight-Flight-Freeze System(FFFS), levels of expressed emotion in the family, an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comparing those who experienced in Non-Suicidal Self-Injury(NSSI) with those who did not experienced Non-Suicidal Self-Injury(NSSI).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SSI attempt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fight-flight-freeze system, levels of expressed emotion, an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comparing to non-NSSI attempters. Second, the correlation was significant between only the freeze system of the fight-flight-freeze system, levels of expressed emotion in the family, an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for NSSI attempters. Third, the freeze system and levels of expressed emotion in the family predicte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for NSSI attempters. Lastly,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unselor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 유경험자들의 투쟁-도피-동결체계(Fight-Flight-Freeze System: FFFS), 가족표출정서, 정서조절곤란 변인들의 특징을 비자살적 자해 무경험자와 비교⋅검토해봄으로써 비자살적 자해와 연관성이 높은 예측 요인을 확인하고 추후 상담 개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지역에 재학 중인 대학생 474명으로부터 투쟁-도피-동결체계, 가족표출정서, 정서조절곤란,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99명은 비자살적 자해 유경험자였으며, 375명은 비자살적 자해 무경험자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자살적 자해 유경험자와 비자살적 자해 무경험자에 대한 차이검증에서 비자살적 자해 유경험자는 비자살적 자해 무경험자보다 동결체계, 가족표출정서, 정서조절곤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투쟁-도피-동결체계(Fight-Flight-Freeze System: FFFS), 가족표출정서, 정서조절곤란 간의 상관에서 비자살적 자해 유경험자들은 동결과 가족표출정서만이 정서조절곤란과 상관이 유의하였고, 비자살적 자해 무경험자들은 투쟁-도피-동결체계, 가족표출정서 변인 모두가 정서조절곤란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정서조절곤란을 예측하는 회귀분석에서 비자살적 자해 유경험자들은 동결과 가족표출정서가 정서조절곤란을 예측하였고, 비자살적 자해 무경험자들은 투쟁, 동결, 가족표출정서가 정서조절곤란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은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비자살적 자해의 중단 및 유지집단 간 비교연구: 자해특성과 통합적 이론모델의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김지윤,김성연,이동훈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risk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ation of nonsuicidal self-injury (NSSI) by comparing a continuation group and a cessation group in a nationwide sample of South Korean adults (N=188) using online and offline surveys. The results showed no difference in the severity of method of self-injury between the continuation and cessation groups. However, the continuation group had a higher frequency and variety of methods of NSSI than the cessation group. Functions of NSSI that affected maintenance included: stimulus seeking; self-punishment; attention seeking and support seeking; and avoidance of punishment or consideration for others. Finally, childhood abuse and adult attachment problems were the primary risk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ation of NSSI.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and NSSI was not mediated by adult attach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비자살적 자해의 중단 및 유지집단 간의 자해특성의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통합적 이론모델을 근거로 비자살적 자해의 유지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18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비자살적 자해 중단 및 유지집단 간의 비자살적 자해방법의 심각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자살적 자해 유지집단은 중단집단에 비해 비자살적 자해의 빈도는 높고, 방법 수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자살적 자해 유지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자해기능은 자극추구, 자기처벌, 처벌 및 대가의 회피, 주변 사람들의 관심 및 지지 추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험요인은 아동기 학대와 애착불안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유지와의 관계에서 애착불안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국내연구 개관: 2000-2018년 연구들을 중심으로

        성요안나,배유빈,김소정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9 인지행동치료 Vol.19 No.2

        The present review aimed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studies on Non-Suicidal Self-Injuries (NSSI) in South Korea. A total of 23 articles were selected from a systematic search covering empirical studies conducted in South Korea and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18. Studies on NSSI have begun to be conducted since 2009 in South Korea. Most of the studies were exploratory research on related variables of NSSI and only 4 studies included clinical samples. The Self-Harm Inventory (SHI) and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 (FASM) were the most popular measures for NSSI and the use of validated instruments was limited. The first engagement of NSSI was found to occur around the age of 12. When compared to males, females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NSSI, more frequently. The ways of inflicting NSSI were classified into active or passive methods. And the motivations of NSSI were classified into intrapersonal or social motivations. In addition, predictors and protective factors for NSSI were investigated among temperamental, developmental, affective and cognitive factors. The connection between NSSI and suicide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NSSI were also explored. Lastly, we discussed the potenti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진행된 비자살적 자해(NSSI)와 관련된 문헌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현 시점의 연구적 성과 및 한계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비자살적 자해 행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 중 2000년부터 2018년 사이에 발표된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체계적인 방식의 문헌 분류 과정을 통해 최종 23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비자살적 자해와 관련된 국내 연구는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매년 꾸준히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와 관련된 변인에 대한 탐색 연구였으며, 임상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4편에 불과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자해척도(SHI)와 자해기능평가지(FASM) 등이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었으며, 타당화된 척도의 사용은 극히 제한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해 행동은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시기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보다 여자의 자해 경험이 더 많고 빈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해의 방법은 크게 적극적인 방법과 수동적인 방법으로 분류하였으며, 자해의 동기는 개인 내적인 요인과 사회적인 요인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자살적 자해의 예측 및 보호요인에 대해 기질적, 발달적, 정서적, 인지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으며, 그밖에 자살 위험성과의 관련성 및 개입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비자살적 자해와 관련된 기존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논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 비자살적 자해의 이해와 고찰

        김주원(Ju-Won Kim) 대한군상담학회 2022 대한군상담학회지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비자살적 자해의 특성을 이해하고 비자살적 자해의 상담에 대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자해에 대한 국내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을 30편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비자살적 자해의 이해와 정의, 동기에 대한 이론적 모델, 촉발요인과 유지요인 및 중단요인 인구통계학적 특징, 그리고 개입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NSSI(Nonsuicidal Self-Injury)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NSSI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tudy on the counseling on NSSI. The subject of study were 30 articles in journals and thesis published form 2010 to 2022 in Korea. Based on this, this study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and definition, the theoretical model of motivati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rigger and maintenance factors and interruption factors, and the counseling plan of NSSI.

      • KCI등재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김지윤,조영희,김성연,이동훈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2

        The present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self-injury among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who engaged in non-suicidal self-injury during adolescence, but no longer do so. For this purpose, four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who no longer engage in non-suicidal self-injury were interviewed in depth, with interview data analyzed using the case study method(Creswell, 2013). The result revealed 7 dimensions, 21 common themes, and 39 individual themes related to previous non-suicidal self-injury. Prior to self-injury, participants exhibited potential risk factors. They then began to engage in self-injury impulsively out of anger or during extremely stressful situations. Participants stopped engaging in self-injury for reasons including a sense of guilt following self-injury, concerns about cuts or scars, physical pain, a lack of the intended effect, and alleviation of the causes of self-injur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의 시작에서 중단에 이르는 과정과 그 이후의 양상에 대한 탐색을 통해 비자살적 자해를 경험하고 중단한 개인에 대한 이해 및 재발방지와 비자살적 자해를 유지하는 대학생을 위한 개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기에 비자살적 자해를 하고, 현재는 중단 상태에 있는 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Creswell(2013)의 사례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7개의 차원, 19개의 공통주제와 37개의 개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비자살적 자해를 하기 이전에 심리적 고통을 유발하는 환경과 부정적인 정서조절의 곤란과 같은 잠재적 위험 요인이 있었다. 이후 스트레스가 증폭된 상황에서 비자살적 자해를 시작하게 되었고, 정서표출 및 조절, 자살방지, 대인관계 영향에 대한 욕구 등을 표현하기 위해 비자살적 자해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해행동 이후 죄책감과 자해로 인한 상처나 흉터에 대한 걱정, 신체적 고통, 문제해결 안됨, 자해 원인 경감 등의 이유로 자해를 중단하게 되었다. 비자살적 자해 중단 이후 스트레스 상황에서 부적응적 대처를 하고 있으며, 자해충동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비자살적 자해행동 예측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김성연,이보라,이동훈 한국재활심리학회 2023 재활심리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59세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8개월 간격으로 두 시점에 걸쳐 종단자료 수집이 이루어졌고, 총 59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593명 중 75명이 비자살적 자해경험이 있는 것으로 응답해 유병률은 12.6%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은 비자살적 자해의 이론적 모델들을 근거로 변인 간 유기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개인심리변인으로 반추, 부정정서, 문제성 음주를, 대인관계변인으로 아동기 학대와 애착불안을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성별, 연령, 1시점 비자살적 자해를 통제한 후에도 1시점의 연구변인이 2시점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1시점 비자살적 자해, 부정정서, 문제성 음주, 아동기 학대는 2시점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했으나, 반추와 애착불안은 2시점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자살적 자해 예방과 개입을 위한 방안과 연구의 시사점 및 의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비자살적 자해 행동 예측을 위한 스마트워치 연동 애플리케이션

        조성훈,나정조 한국영상학회 2024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2 No.3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OECD 국가 중 줄곧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매우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전체 사 망원인 중에서도 5위를 차지할 정도로 자살 문제는 우리 사회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살 실행력을 높이는 요소 중 비 자살적 자해 행동은 가장 위험한 요소이다. 자해 행동 유경험자들은 자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자살률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자해 행동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신 치료나 상담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해 임 상적인 방법만으로는 비자살적 자해 행동으로 발현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의 하나로 자해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이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자해 관련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관련한 연구는 학교 나 기관에서 주로 행해지고 있으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해 행동에 영 향을 미치는 요소를 평가하고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스마트워치와 연동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 고자 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설문을 통해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스마트워치는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사용자 에게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두 가지의 설문을 진행하는 데 앱 실행 시 최초로 진행하는 사전 설문과 2주간 진행하는 생태순간평가(EMA)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해와 관련된 정보와 상담 기관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돕고 필요한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워치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구체적인 수치 혹은 그래프를 통해 자신의 자해 관련 심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제안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비자살적 자해 행동을 예측하고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한다. Korea's suicide rate is consistently ranked first among OECD countries, and is obviously a very serious social problem. As the fifth leading cause of death, suicide has a profound impact on our society. Among the factors that increase suicidal ideation, non-suicidal self-injurious behavior is one of the most dangerous. As people with a history of self-injurious behavior are more likely to commit suicide, efforts to prevent self-injurious behaviors are needed as a way to reduce suicide rates. However, due to society's negative perceptions of psychotherapy and counselling, only clinical methods are used, and these are limited in their ability to address issues that may manifest as non-suicidal self-injury behavior. One way to address these issues is through the development of self-injury applications.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elf-injury applications has taken place in schools and institutions, and the development of such applications for the general public has been limit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smartphone application that works with a smartwatch to assess the factors that influence self-injury behaviors and identify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application's user. The application identifies the user's psychological state through questionnaires, and the smartwatch collects health data and provides the data to the user. The application consists of two surveys: a pre-survey when the app is launched and a two-week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EMA). The app also provides information about self-injury and counselling organizations to help the user understand these factors and, if necessary, seek help. Through a smartwatch and smartphone application, users can observe their self-injury-related psychological state in concrete numbers and graphs. Ultimately, we hope that this proposal will help predict and address non-suicidal self-injury behavior and increase public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non-suicidal self-injuries.

      • KCI등재

        성소수자의 비자살적 자해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지정성별 여성을 중심으로

        김가영,김영근 한국교육인류학회 2024 교육인류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성소수자의 비자살적 자해 경험과 그 의미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성소수자의 비자살적 자해 경험을 시간․사회․장소의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에 따라 어떻게 재구성되는지를 삶의 이야기를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비자살적 자해의 시작과 삶의 이야기를 담았으며, 성소수자로서 경험한 차별과 자해, 그 의미를 탐구하였고, 현재의 삶과 미래에 대한 여정의 방향성에 관한 이야기를 담았다. 본 연구의 연구 퍼즐은 첫째, 한국 사회에서 성소수자의 비자살적 자해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성소수자의 비자살적 자해는 개인적, 환경적 맥락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이다. 이들과 함께 도출해낸 성소수자의 비자살적 자해 경험의 의미는 <억압된 환경 속 일시적 탈출구로서의 자해>, <나다움을 지키기 위한 투쟁>, <배제와 수용의 경계에서>총 3개의 의미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소수자의 비자살적 자해의 경험과 의미를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의 맥락에서 상담학적 제언을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 위기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상담자 경험을 중심으로

        권경인,김지영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of counselors who participated in crisis counselling for non-suicidal self-injury of adolescent.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ith 10 counselors who had experience on non-suicidal self-injury crisis counselling for adolescent were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87 meaning units, 27 subcategories and 11 top categories were drawn, and finally, three topics were generated. As a result of checking on relevance centered around key topics, counselors who participate in crisis counselling for non-suicidal self-injury were confronted with non-suicidal self-injury type of adolescent that was physically abused in different ways, and adolescent clients had intentions of coping with negative emotions through non-suicidal self-injury and affecting others' behaviors. Furthermore, this non-suicidal self-injury was spreading through media and as a culture of adolescent. Counselors who participated in crisis counselling for non-suicidal self-injury experienced shock and difficulties of empathy at the beginning of counselling, and physical tension, emotional pain, fear and impatience in the middle of counselling, and thought clients even in every day lives. In this process, counsellors were gradually experiencing rewarding and growth while learning their own counselling methods for non-suicidal self-injur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discussions and suggestions. 본 연구는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 위기상담에 참여한 상담자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 위기 상담 경험이 있는 10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Gio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그 결과 3개의 주제, 11개 상위범주, 27개 범주, 87개의 의미 단위를 도출하였다. 핵심주제를 중심으로 연관성을 확인한 결과,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 위기상담에 참여한 상담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신체학대를 하는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 양상을 마주하고 있었으며, 청소년 내담자들은 비자살적 자해를 통해 부정적 정서를 대처하거나 다른 사람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비자살적 자해는 미디어 및 청소년 문화로 확산되고 있었다.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 위기상담에 참여한 상담자들은 상담 초기에 충격과 공감의 어려움을 시작으로 상담과정에서는 신체적 긴장과 고통, 정서적 고통, 두려움과 조급함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상담 장면이 아닌 일상에서도 내담자를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담자는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을 위한 자신만의 상담 방법을 체득해가며 서서히 보람과 성장을 경험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