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형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강민(Lee, Kang Min),전상길(Jeon, Sang Gil)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3

        한국형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예비 연구에서 국내외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척도 검토, 국내 직장인 100명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 조사 및 전문가 그룹의 검증 등을 통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측정 문항을 개발했다. 예비 연구에서 개발한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측정 문항을 사용해, 다양한 업종에서 일하는 국내 직장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 2개(비윤리적 친조직 외부지향 행동, 비윤리적 친조직 내부지향 행동)를 새롭게 발견했다. 이어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2요인 모형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기존의 유사 개념과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구성 개념간의 변별성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과 측정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은 기존의 유사 개념들(조직 지향 조직 시민 행동, 조직 일탈)과 확연히 구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조직 동일시와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의 예측 타당도를 검증했다. 검증 결과에 따르면, 조직 동일시가 비윤리적 친조직 외부지향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Scale. First, in preliminary study we reviewed papers relate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scales, and developed items to measure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by open-ended questionnaires. After that, we examined content validity of those items with HR experts. In the present study, we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find out internal structure of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using the responses of 400 workers from a variety of organizations in Korea. The result revealed two-factor structure of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for the first time. Also, in order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of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obtained from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 conduc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found the two-factor structure had the most acceptable model fit. Also, we examined whether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can be distinguished with other similar construct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such as organization-focused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devia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can be well distinguished with organization-focused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deviance.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predictive validity) of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scale, and verified that unethical pro-organizational external behavior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his result was obviously correspondent with previous many research resul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한국어판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 척도(UPSB-K)의 타당화 연구

        이강민,전상길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19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Unethical Pro-supervisor Behavior Scale(UPSB-K). In the first step of developing the UPSB-K, we reviewed UPSB scales that was already developed and validated to measure UPSB in foreign studies and then we translated them into Korean and examin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m with HR experts. In the second step of validating the UPSB-K, we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rious validity of the UPSB-K using the responses of 185 workers from a variety of organizations in Korea. First, we examined the Cronbach's α value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the UPSB-K. Second, we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ed factor analysis to validat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UPSB-K. Third, we conducted confirmed factor analyses and χ2 difference tests of each measurement model that include the UPSB-K and other similar construct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such as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UPB), organization-focused citizenship behavior(OCB-O), supervisor- focused citizenship behavior(OCB-S), supervisor-directed deviance to validate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UPSB-K. Lastl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 identification and the UPSB-K to validate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UPSB-K. In the previous researches, it was verified that the UPSB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supervisor identifi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UPSB-K could be the most suitable scale to measure UPSB in Korea.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ground for future researches on the UPSB in Korea. 직원이 자신의 상사를 위해 비윤리적인 행동에 나서는 사례가 국내외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런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은 직원, 고객, 조직, 주주 모두에게 피해를 입힌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에서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을 제대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했다. 첫 번째 척도 개발 단계에서,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이미 해외에서개발, 검증된 척도를 검토해 한국어로 번안하고 전문가 그룹의 검증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했다. 두 번째 척도 타당화 단계에서, 다양한 업종에서 근무하는 국내 직장인 1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개발한 한국어판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 척도의 신뢰도와 다양한 타당도를 검증했다. 먼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측정문항의 Cronbach α값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그리고 판별타당도를검증하기 위해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과 각 유사 개념(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 상사지향 조직시민행동, 상사일탈)을 포함하는 개별 측정모형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및 χ2 차이검증을 실시했다. 마지막으로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의 원인으로 알려진 상사동일시와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어판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은 한국에서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을측정하고 연구하는데 적합한 척도로 나타났다. 한국어판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 척도의 개발, 타당화를 통해 한국에서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한국형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이강민(Lee, Kangmin),전상길(Jeon, Sanggil) 한국인사관리학회 2018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2 No.3

        한국형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 1(척도 개발)에서 국내외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척도 검토, 국내 직장인 100명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조사 및 전문가 그룹의 검증 등을 통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측정문항을 개발했다. 연구 2(척도 타당화)에서 개발한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측정문항을 사용해, 다양한 업종에서 일하는 국내 직장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해, 비윤리적친조직 행동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2개(비윤리적 친조직 외부지향 행동, 비윤리적 친조직 내부지향 행동)를 새롭게 발견했다. 이어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2요인 모형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기존의 유사 개념과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구성개념간의 변별성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은 기존의 유사 개념들(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 조직일탈)과 확연히 구분되는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조직동일시와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의 예측타당도를 검증했다. 검증결과에 따르면, 조직동일시가 비윤리적 친조직 외부지향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Scale. First, in preliminary study we reviewed papers relate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scales, and developed items to measure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by open-ended questionnaires. After that, we examined content validity of those items with HR experts. In the present study, we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find out internal structure of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using the responses of 400 workers from a variety of organizations in Korea. The result revealed two-factor structure of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for the first time. Also, in order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of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obtained from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 conduc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found the two-factor structure had the most acceptable model fit. Also, we examined whether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can be distinguished with other similar construct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such as organization-focused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devia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can be well distinguished with organization-focused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deviance.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predictive validity) of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scale, and verified that unethical pro-organizational external behavior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his result was obviously correspondent with previous many research resul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정당성 인식, 조직기반 자긍심과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

        조윤형(Yoonhyung Cho)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18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2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에 대한 정당성 인식이 비윤리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력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 변수들 간 관계에서 조직기반 자긍심(OBSE: organization-based self-esteem)이 매개하는지도 살펴보았다. CSR 정당성 인식은 외재적 정당성과 내재적 정당성으로 구분하였으며, 비윤리적 행동은 개인 비윤리적 행동과 조직 비윤리적 행동으로 구분하였다. 조직 비윤리적 행동은 조직의 이익을 위해 조직구성원들이 비윤리적 행동을 하는 것으로 몇 몇 연구에서는 친조직 비윤리적 행동의 개념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졌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이며 설문을 통해 검증하였다. CSR을 시행하는 10개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들로부터 수거된 315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SR 외재적 정당성은 개인 비윤리적 행동과 조직 비윤리적 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SR 내재적 정당성은 조직 비윤리적 행동을 낮추고 있었다. 개인 비윤리적 행동에는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OBSE는 개인과 조직 비윤리적 행동을 낮추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OBSE는 CSR 외재적, 내재적 정당성이 개인과 조직 비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CSR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정당성 인식은 개인 그리고 조직 비윤리적 행동의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 조직 비윤리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OBSE가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조윤형(2014)의 CSR과 비윤리적 행동 연구의 확장 측면에서 CSR 정당성 인식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비윤리적 행동으로 이어지는지를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CSR legitimacy on employees’ unethical behavior and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OBSE) on those of relationship. Perceived CSR legitimacy consist of internal and external, and unethical behavior consist of unethical behavior toward individual and organiz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CSR legitimacy, unethical behavior and OBSE, I set up and drawing the main effect, mediating effect hypotheses. To test the hypotheses, survey method was performed. Total 315 employees selected sample from 10 firms listed at DJSI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CSR external legitimacy significantly increase unethical behavior toward individual and organization. Second, perceived CSR internal legitimacy significantly decrease unethical behavior toward organization. Third, OBSE significantly decrease unethical behavior toward individual and organization. Finally, OBSE mediated between perceived CSR legitimacy and unethical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perceived CSR internal legitimacy can have profound impact on the success of corporate’ ethical efforts which reduce employee’s unethical behavior. Also,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explains mechanism of OBSE that linking of perceived CSR legitimacy and unethical behavior.

      • KCI등재

        조직구성원들의 CSR에 대한 정당성 인식, 조직기반 자긍심과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

        조윤형,이한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19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 the perceived CSR legitimacy significantly influence employees' unethical behavior and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OBSE) on those of relationship. Perceived CSR legitimacy consist of internal and external, and unethical behavior consist of unethical behavior toward individual and organiz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CSR legitimacy, unethical behavior and OBSE, I set up and drawing the main effect, mediating effect hypotheses. To test of hypotheses, survey research method are performed. Total 315 employees selected sample from 10 firms listed at DJSI Korea. The results which perceived CSR external legitimacy significantly increase unethical behavior toward individual and organization. Also perceived CSR internal legitimacy significantly decrease unethical behavior toward organization. OBSE significantly decrease unethical behavior toward individual and organization. Finally, OBSE mediated between perceived CSR legitimacy and unethical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perceived CSR internal legitimacy have critical effect of the decrease of corporate' ethical efforts which reduce employee’s unethical behavior. Also,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explains mechanism of OBSE that linking of perceived CSR legitimacy and unethical behavior. 본 연구는 사회적책임활동(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정당성 인식이 비윤리적행동에 어떠한 영향력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조직기반자긍심(OBSE: organization- based self-esteem)이 이들 변수를 매개하는지도 살펴보았다. CSR, OBSE의 영향력을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해 직무불안정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CSR 정당성 인식은 외재적, 내재적 정당성으로 구분하였으며, 비윤리적 행동은 개인 비윤리적 행동과 조직 비윤리적행동으로 구분하였다. 조직 비윤리적 행동은 조직의 이익을 위해 조직구성원들이 비윤리적 행동을 하는 것으로 몇 몇 연구에서는 친조직 비윤리적 행동의 개념으로도 연구가 수행되어졌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이며 설문을 통해 검증하였다. CSR을 시행하는 10 개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들로부터 수거된 315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해 보면 첫째, CSR 외재적 정당성은 개인 비윤리적 행동과 조직 비윤리적 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SR 내재적 정당성은 조직 비윤리적 행동을 낮추고 있었다. 개인 비윤리적 행동에는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OBSE는 개인과 조직 비윤리적행동을 낮추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OBSE는 CSR 외재적, 내재적 정당성이 개인과 조직 비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CSR 정당성 인식은 개인 그리고 조직 비윤리적 행동의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개인, 조직 비윤리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OBSE의 매개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조윤형(2014)의 CSR과 비윤리적 행동 연구의 확장 측면에서 CSR 정당성 인식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비윤리적 행동으로 이어지는지를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가설 검증 이외에 여러 추가적인 분석과 논의를 통해서 본 연구의 의미를 확장하였다.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책임활동 정당성 인식, 비윤리적 행동, 윤리적 리더십과의 관계

        조윤형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erceived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legitimacy on employees' unethical behavior also investigate moderate role of ethical leadership on those of relationship. A literature review on CSR legitimacy, unethical behavior and ethical leadership, then build up main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hypotheses. To test the hypotheses, survey method was performed. Total 177 employees selected sample from 5 firms listed at DJSI (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es)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CSR internal legitimacy reduce unethical behavior toward organization, but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effect on unethical behavior toward individual. Second, perceived CSR external legitimacy increase unethical behavior toward individual. Third ethical leadership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effect on unethical behavior. Finally, ethical leadership partially moderate between perceived CSR internal legitimacy and unethical behavior. If ethical leadership level is high on, then perceived CSR internal legitimacy have more significant reduce unethical behavior than ethical leadership level is low on. Based on findings, perceived CSR internal legitimacy can have profound impact on the success of corporate' ethical efforts. Ethical leadership can leverage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internal legitimacy and unethical behavior, which means that organization serves increase and get CSR internal legitimacy by employees and ethical leadership develope through such as ethical leadership training program to reduce employees' unethical behavior.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의 기업의 사회적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활동에 대한 정당성 인식, 비윤리적 행동 그리고 윤리적 리더십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고 있다. CSR 활동 정당성 인식은 비윤리적 행동을 줄이는 중요한 선행요인이며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윤리적 리더십이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았다. CSR 활동 정당성 인식은 내재적 정당성 인식과 외재적 정당성 인식으로 구분하였으며 비윤리적 행동은 개인에 대한 비윤리적 행동과 조직에 대한 비윤리적 행동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은 주효과 가설과 조절효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적 정당성 인식은 조직에 대한 비윤리적 행동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재적 정당성 인식은 개인에 대한 비윤리적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윤리적 리더십은 개인과 조직에 대한 비윤리적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윤리적 리더십은 내재적 정당성 인식과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 리더십이 높은 경우 내재적 정당성 인식이 비윤리적 행동을 줄이는 영향력은 윤리적 리더십이 낮은 경우에 비해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결국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 수준이 높은 경우에 CSR 활동에 대하여 내부 조직구성원들의 정당성을 확보하였을 경우 비윤리적 행동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준다.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의 비윤리적 행동을 줄이는데 있어서 CSR 활동에 대하여 정당성을 조직구성원들로부터 확보해야만 하며 무엇보다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을 개발하고 이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만 의미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고 있다.

      • KCI등재후보

        기업 내에서 비윤리적 행동에 대한 인식과 행동의도

        윤민정(Minjung Yoon),전병준(Byung-June Chun)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7 No.4

        기업경영환경이 글로벌화 되고 기업의 사회적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윤리경영과 사회적 책임은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기업에서 자주 관찰되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을 인터뷰와 설문을 통해 26개를 추출하고, 각각의 상황에서 행위자의 비윤리적 행동의 심각성 정도와 이에 대한 관찰자의 행동의도를 사무직 종사자 154명에게 질문하였다. 26개의 상황을 윤리적 심각성을 인식하는 정도에 따라 배열하고 이러한 상황에서 행위자가 비윤리적 행동을 인식했을 때 이를 바로잡고자 하는 관찰자의 행동의도의 우선순위를 각각 나누어 보았다. 관찰자가 비윤리적 행동의 심각성을 인식한다고 해서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으로 항상 옮기지는 않았다. 개인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비윤리적 행동에 대한 심각성의 인식정도가 높았지만 비윤리적 행동을 시정하기 위한 관찰자의 행동의도는 조직에 피해를 주는 비윤리적 행동에서 높게 나타났다. 26개의 딜레마 상황을 요인분석에 의해 다시 4가지로 구분하여 행위자와 관찰자와의 사회적 정체성이 일치하거나(우리회사 사람) 상이할 때(경쟁회사 사람), 동일한 비윤리적 행동에 대한 관찰자의 윤리적 판단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혔다. 그 결과 동일한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 ‘우리회사’ 소속 사람의 행동보다 ‘경쟁회사’ 소속의 사람의 행동에 대해 비윤리적 심각성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조직 구성원들의 윤리의식은 행위자와의 관계에 영향을 받고 비윤리적 행동이 개인의 이득과 관련되어 있을 때 상대적으로 관대한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ployees’ ethical seriousness and behavioral intention in organization by using in-basket method. We predicted that individuals use double-standards in judging ethical issues in organiz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154 employees in Korean companies in various industries. From interview, we first extracted representative 26 unethical behaviors that organizational members frequently encounter in their organizational life. Additionally, we relocated 26 unethical behaviors by the ethical seriousness as a result of frequent analysis. And, we relocated the behavioral intentions by the frequency. We find out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employees’ ethical perception and the whistle blowing behavior. Employees perceived ‘Personal-interest’ behavior more serious than other behaviors’. And employees responded they may whistle-blow when they observed ‘Organizational deception’. A closer look to the ethical perception, we also classified unethical behaviors into four dimensions by factor analysis: there are people-related, result-oriented, personal-interest, and deception. We find out that employees use different ethical standards for their own behavior in comparison with others’ behavior. We argue that employees’ ethical judgments of others’ behavior can be varied by whether they share the same organizational membership.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our research for further understanding of unethical behaviors are discussed.

      • KCI등재

        소비자의 비윤리적 행동의 공모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네트워크텍스트 분석을 중심한 소비자 공모의 이슈 도출 -

        임은정 ( Eun-jung Lim ),정순희 ( Soon-hee Jeong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비윤리적 행동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소비자의 공모를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관련 선행연구가 미비한 가운데, 비윤리적 행동과 관련하여 소비자의 공모가 우리 사회 내에서 실제로 주되게 논의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소비자 공모의 특성 및 사회적 논의 경향 등을 포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4년 1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소비자의 비윤리적 행동을 다루고 있는 언론 보도자료 1,318개를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및 네트워크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에 따라 소비자의 비윤리적 행동과 관련된 상위 57개의 키워드가 추출된 가운데, 본 연구의 주제와 부합하는 소비자들의 공모를 의미하는 ‘공유·공모’의 키워드가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더불어 조직적인 행동을 뜻하는 ‘조직화·집단화’와 공모관계를 의미하는 ‘가족·친인척·친구’, ‘공범’ 및 다양한 산업군의 경제주체를 의미하는 키워드가 함께 도출되었다. 둘째, 공출현을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텍스트 분석결과 ‘공유·공모’의 키워드는 높은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보이고 있어, 소비자의 비윤리적 행동과 관련하여 공모가 핵심적 주제로 이슈가 됨과 동시에 여러 다른 이슈를 이끄는 주된 주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법’, ‘조직화·집단화’의 키워드의 높은 중심성은 현재 일어나고 있는 소비자의 공모의 형태가 집단적 행동의 공모와 정보의 구전을 통한 공모로 구분됨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여러 키워드에 대해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바탕으로 군집을 보여주는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덴드로그램을 도출한 결과 ‘소비자의 비윤리적 행동의 사회적 문제’, ‘소비자의 비윤리적 문제의 공모’, ‘소비자의 비윤리적 행동의 만연화’, ‘블랙컨슈머 문제 및 모럴해저드’의 네 가지의 큰 주제가 비윤리적 행동과 관련된 논의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CONCOR 분석 결과에서는 사회문제 및 과제, 정신적-경제적 피해, 조직적 공모, 수법공유, 블랙컨슈머 문제, 소비자 모럴해저드의 세부 주제로 군집이 형성되었다. 이로써 소비자의 공모문제가 우리 사회 내에서 비윤리적 행동과 관련된 하나의 큰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의 공모가 다양한 경제주체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조직적인 집단적 행위의 특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수법을 서로 공유하는 특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의 결과는 소비자의 비윤리적 행동이 개인적 수준을 넘어 소비자 간 혹은 다양한 경제주체 간 집단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사회적 현실을 투영하여, 소비자 공모를 다루는 본 연구의 주제가 시의적절하며 학술적 의미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view to understanding consumers’ conspiracy related to their unethical behaviors. In a situation that there are few precedent studies, it examined if consumers’ conspiracy of unethical behaviors has been discussed in our society sufficiently and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conspiracy and tendencies of social discourse. To achieve such research objectives, text mining and network text analysis were performed for 1,318 press releases that dealt with consumers’ unethical behaviors from January, 2014 to September, 2016.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57 primary key words related to consumers’ unethical behavior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ir frequency and key words ‘sharing·conspiracy’ meaning consumers’ complicity, which corresponded to this research subject showed a higher frequency. Besides, key words were also extracted including ‘organization·collectivization’ meaning an organized behavior, ‘family· relative·friend’ meaning a conspiracy relation, and those meaning a ‘confederate’ and an economic subject in various industrial groups. Secondly, as a result of the network text analysis based on co-occurrence, since key words ‘sharing·conspiracy’ showed higher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it showed that conspiracy became an issue as a key subject related to consumers’ unethical behaviors and at the same time a main subject leading other issues. Furthermore, higher centrality of key words like ‘trick’, ‘organization·collectivization’ revealed that present consumers’ conspiracy may be divided into complicity by collective behavior and that by mouth-to-mouth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Finally, CONCOR analysis showing a cluster was conducted for derived key words based on structural equivalence analysis. As a result of deriving the dendrogram, it identified 4 themes in the discussion on unethical behaviors including ‘social problems of consumers’ unethical behaviors’, ‘conspiracy of consumers’ unethical issues’, ‘spread of consumers’ unethical behaviors’, and ‘black consumer and moral hazard’.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clusters were formed with detailed themes including a social issue and task, psychological-economic damage, organized conspiracy, trick sharing, black consumer and consumer moral hazard. Hence, in a situation that an issue of consumers’ conspiracy is being discussed as a significant subject related to unethical behaviors, it revealed that consumers’ conspiracy has characteristics of an organized collective behavior through network composed of various economic subjects and of sharing a trick among them. These analytic findings reflect a social reality where consumers’ unethical behaviors occur in a group level among consumers or economic subjects beyond the individual, suggesting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on consumers’ conspiracy is well timed and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 KCI등재후보

        소비자 가치와 비윤리적 상거래인식에 따른 청소년들의 녹색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이영애,서인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2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녹색소비행동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소비자 가치와 소비자의 비윤리적 상거 래인식에 따른 녹색소비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미래 우리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의 녹색소비 행동을 파악함으로서 향후 녹색소비행동의 수준을 예측하고 소비자 가치와 윤리의식 제고의 필요성과 건전한 소 비문화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83부의 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t-test, ANOVE, 요인분석, 순서형 프로빗모델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녹색소비행동은 소비자 가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 타났다. 즉, 소비자 가치의 하위영역 중 사회적·기능적·상황적 가치가 높을수록 녹색소비행동은 낮게 나타났 다. 둘째, 청소년들의 비윤리적 상거래인식이 높을수록 녹색소비행동 중 사용행동과 처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나 청소년들의 소비자의 비윤리적 상거래인식에 따라 녹색소비행동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 소년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들 중에서 녹색소비행동과 관련성 있는 변수는 용돈과 주거형태로 나타났다. 즉 용돈 이 많을수록 녹색소비행동이 높았으며 주거형태는 다세대 및 연립주택 등의 공동주택에 거주할수록 녹색처분수준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청소년들의 녹색소비행동은 소비자 가치, 비윤리적 상거래인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녹색소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규교육과정에서 바람직한 소비자 가치와 윤리의식을 고양시키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사회적으로도 청소년을 대상으로 소비자 가치, 윤리의식관련 교육프로그램 의 개설 및 녹색소비행동의 중요성에 대한 계몽과 홍보활동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소비자의식 유형이 비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악성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을 매개변수로

        홍지현(Hong, Jihyun),허경옥(Huh, Kyungok)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소비자의식 유형에 따른 악성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식 유형은 주권의식, 소극적 의식, 공동체의식, 소비자 편향적 의식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소비자의식 유형이 악성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주권의식과 소비자 편향적 의식 성향이 높고 소극적 의식 성향이 낮은 소비자일수록 악성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소비자 의식 유형 중에서 주권의식, 소극적 의식, 소비자 편향적 의식이 비윤리적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악성 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은 비윤리적 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악성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악성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은 주권의식과 소극적 의식이 비윤리적 행동에 주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주권의식과 소극적 의식이 악성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며 비윤리적 행동에 직접적 그리고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건전한 소비자의식과 악성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을 바로 정립하기 위해 소비자, 정부, 기관 및 단체, 기업의 기본적인 역할은 소비자의 전반적인 비윤리적 행동에 대한 사후대책 보다도 예방 차원에서의 소비자의식 교육 및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tudy consumer awareness toward malicious complaint behavior and its’ effect on unethical behavior based on different types of consumer consciousness. We first determine different types of consumers depending on consumer consciousness. Then we examine determinants of consumer awareness toward malicious complaint behavior and also the determinants of unethical behavior. Our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consumer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consumer consciousness: awareness on consumer rights, passive consumer, community sentiment consumer, and fairness consumer. Secondly, consumers who were highly aware of consumer rights and fairness had higher awareness toward malicious consumer complaints, whereas the awareness were lower for passive consumer. Thirdly, consumers who had higher awareness against malicious consumer complaints exhibited less unethical behavior. Fourthly, consumer awareness toward malicious complaint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n consumer rights, passive consumer and unethical behavior. In order to establish proper consumer awareness against the negative aspects of comsumer complaints, the fundamental roles of four agents including consumer, government, company, and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are required to develop policies and education programs on consumer consciousness by focusing on preventive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