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論文) : 학교법인의 임원 해임청구 대표소송 도입 검토 -미국의 모델 비영리법인법(NCA 2008)과 영국의 공익자선법(Charities Act 2006)에 비추어 본 사학분쟁조정위원회의 기능과 관련하여-

        조상희 ( Sang Hee Jo ) 대한교육법학회 2010 敎育 法學 硏究 Vol.22 No.2

        사립학교법이 2007.7.27. 법률 제8545호로 개정 시행되면서 등장한 것이 사학분쟁조정위원회이다. 사학분쟁조정위원회는 사립학교법 개정 이전의 교육부훈령에 의한 교육부장관 자문기구로서의 사학분쟁조정위원회와 대통령령에 의한 심의기구로서의 임시이사후보자심의위원회를 법률상 기구로 만들어 독립성을 강화한 것이다. 그런데 현행 사립학교법상의 학교법인의 임원취임승인취소와 임시이사선임과 관련하여 법적 논리의 일관성이 문제되고 있어서, 미국 ABA의 모델 NCA 2008과 영국 Charity Act 2006에서의 공익법인의 임원에 대한 규정 방식을 비교하여 현재의 임원취임승인취소와 사학분쟁조정위원회의 기능을 검토해 볼 때 절차적 규정방식을 전환해야 한다. 학교법인 임원의 취임승인 제도와 취임승인취소라는 행정청 주도의 행정절차적 규제 방식은 사적 영역에서의 학교법인의 임원해임과 임원해임청구, 대표소송의 구조라는 사법 절차형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사법 절차형으로의 전환이 사립학교법인이 가지는 종래의 사회적, 정치적 맥락과 행정규제를 벗어나 21세기에서의 다양성 추구와 민간 영역의 기능 확대와 행정규제의 축소, 교육의 정상화를 바라는 사립학교를 둘러싼 이해관계인의 의사반영 통로의 확보, 교육분야의 해외교류와 외국인투자의 증대라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길이 될 것이다. After the revision of Private School Act on July 27, 2007, the Private School Dispute Resolution Committee started to take the procedure of the appointment of interim directors and dismissal of private school foundations and discuss the methods on proper management of those foundations. But the power of removal of directors will still remain in the relevant administration. In the meantime there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ules of Supreme Court about whether the interim board of directors could elect, appoint or designate the formal directors regardless of the intent of founders and the purpose of foundation. In comparing the procedure of appointment and removal of the directors in nonprofit corporation in United Stated of America and in charity organizations in United Kingdom, the present procedure of that in Korea has some problems. One is the possibility of much discretion, even capriciousness and arbitrariness of the relevant administration in ratification on the appointment and removal of directors. And the other is there is no chance or channel to reflect the intent of the person of interest in those foundation in the process of administration`s orders or directions.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weird procedure of ratification of the appointment (or election) of the directors should be repealed and the removal of directors and appointment of interim directors should be done in the judicial process and by the court. And we need the great change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procedures regarding the directors of private school foundation in Private School Act, which will result in reducing the power of relevant administration.

      • KCI등재후보

        비영리법인 수익사업의 이익결정요인 분석과 제도개선 방안

        홍형선 국회예산정책처 2016 예산정책연구 Vol.5 No.2

        As of 2012, the figure of the tax report on non profit corporation is 20,240 in total, and yet over 16,000 of the reports created surpluses and net profit that exceeded up to 11.6 trillion won which corresponds to 7.8 billion won per non profit corporation. Futhermore, by considering public benefit of Reserve Funds for Essential Business vested in organizations such as education institutions, social welfare foundations and medical corporations, it can be said that pure profit and the official report of these organizations can show discrepancies. This study shows that the profit of non profit corporations has increased thanks to both public’s trust toward the public-first orientation it usually stands for and the public benefits like non-taxable reduction for the non profit corpor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non profit corporation financial statement and consumer questionnaire survey to find out the income determinator. In addition, it was generally believed by the public that the rate of profit of the non profit corporation is lower than that of profit making businesses because non profit corporation do not try to maximize the profi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price cutting policy of the services and products provided by the non profit corporation may be effective, but it is not the best alternative in regard to their prices determined in the market as well. Instead, this study shows that the institutional framework guaranteeing the re-investment of the profit into the original inherent public business be more strengthened. First, 100% non-taxable reduction for some non profit corporations has to be transformed into low rate taxation, and so the taxation material would be transparently under control. Secondly, in light of the publicness,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at accurate report is paramount. Therefore, the current system regarding Reserve Funds for Essential Business as a necessary business expenses should be abolished and revised to tax reconciliations since the inclusion in deductable expense might distort the reliability of the profit / loss report. 2012년 기준 법인세를 신고한 비영리법인 수가 총 2만 240개이며 그중 1만 6천개의 비영리법인이 흑자를 시현하였고, 당기순이익의 규모도 비영리법인 당 7.5억원으로 총 11.6조원 규모에 이르고 있다. 여기에 학교법인(대학병원), 사회복지법인, 의료법인 수익사업의 당기순이익 전부 또는 일부를 고유목적사업준비금으로 비용 처리할 수 있는 제도를 감안하면 실제 순이익 규모는 이보다 상회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영리법인의 재무제표 및 소비자 설문조사 방식으로 비영리조직 수익사업에 대한 이익결정요인을 분석한 바, 공익성에 대한 일반자의 신뢰와 법인세 등 비과세감면의 공익적 혜택 때문에 비영리조직의 매출(이익)이 신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영리법인은 이윤을 극대화하지 않기 때문에 영리기업보다 수익률이 낮을 것이란 일반적인 상식은 통용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 비록 비영리조직이 공급하는 용역과 재화에 대한 가격인하 요인은 존재하나 비영리조직의 수익사업이 대부분 영리부문과의 경쟁을 통해 시장기제로 가격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실효적인 대안은 아닌 것으로 보았다. 대신, 본 연구에서는 비영리조직이 수익사업을 통해 시현한 이익이 비영리조직의 본래 공익사업으로 재투자가 보장되는 제도적 장치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첫째, 일부 공익법인에 대한 100% 법인세 비과세 감면을 저율의 과세대상으로 편입시켜 과세자료를 보다 더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비영리법인의 공익성에 비추어 볼 때 영업실적은 일반인에게도 쉽게 전달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실제 이익을 내고도 대외적으로 손실이 시현된 것으로 비춰질 수 있는 현행 고유목적사업준비금의 손금산입 제도를 폐지하고 세무조정신고 제도로 비영리조직의 법인세 감면방식을 일원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비영리 학교법인 이사회에 대한 적응적 리더십 교육

        이원일(LEE Wonil)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2

        세계화시대에 비영리 학교법인으로서의 신학대학교는 리더십의 위기 가운데 있다.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나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분별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신학교육의 경영 주체로서 총장이 당연직 이사로 포함되어 있는 이사회의 리더십에 대한 관심과 함양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사회의 리더십 유형은 기술적, 전략적, 적응적 유형 등이다. 세계화시대에 요구되는 리더십은 가치, 사명, 그리고 비전 등을 중요하게 여기는 적응적 리더십이다. 적응적 리더십의 주요한 특성은 발코니, 경계선상 그리고 거버넌스 등이다. 이러한 특성들에 의한 적응적 리더십을 함양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실천신학적 접근을 제시하고 있다. 신학공동체 내외에서 무엇이 진행되고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물음을 중요하게 여기는 서술적-경험적 과정이다. 다음으로 진행되는 일들에 대하여 그 진정성을 탐구하는 비판적 성찰의 과정으로 해석적 과정이다. 그리고 삶의 변화에 대하여 섭리하시는 하나님의 역사에 대한 질문의 과정으로서 규범적 과정이다. 끝으로 변화의 소용돌이 가운데서 지금 여기에서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분별과 실천을 강조하는 실용적 과정이다. 네 가지 요소들의 순환적 과정으로서 비영리 학교법인 이사회의 적응적 리더십 함양을 말하고 있다.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비영리 학교법인 이사회로서의 신학대학교의 이사회도 그 사명과 책임을 위해 교육의 대상이어야 함을 말하고 있다. 비영리 학교법인 이사회로서의 신학대학교 이사회에 대한 적응적 리더십에 대한 교육으로 말미암아, 이사회는 세계화시대에 위기 가운데 있는 신학교육을 적응적인 리더십으로 변화를 촉진해나가며 한국 대학교육의 변화를 이끌어나가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ological College(University)(TCU) as a nonprofit educational foundation tries to change toward specialization for the problem solving of theological education in globalization era. Board of trustees in TCU has an accountability to the theological education toward the nurturing of ministers in the global world. How could the Board of trustees take the responsibility and duty for the nurturing of ministers in the changing world. Board of trustees needs to have an adaptive leadership which is related with value, meaning, mission, and vision. The adaptive leadership have characteristics of balcony, edge, and governance for changing of the TCU. By these characteristics board of trustees is to be educated with an adaptive leadership for responsibility of theological education. An adaptive leadership could be cultivated by expressive outcomes and null curriculum which have an artistic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imagination. The formation processes of adaptive leadership are descriptive-empirical, interpretive, normative, and pragmatical cycles. Descriptive-empirical step is the step of observation in the context of TCU with many ways. Interpretive process is the step of a critical reflection to the observation. Normative process is the step of integration between context and theological text through a hermeneutical circle. And pragmatic process is the step of the strategic suggestion about value, meaning, mission, and vision by the governance of partnership with faculty, staff, and student. The most common design for TCU’s governance is the tripartite system which is board, president, and faculty. The board of trustees needs to have governance for the deep change of TCU as a nonprofit educational foundation.

      • KCI등재

        공익법인 등의 지배구조 개선방안

        김정연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論集 Vol.27 No.3

        A series of new report on misbehavior in non-profit sector urged government to enforce regulation on so-called public charities corporations and foundations. Government announced measures to reinforce accounting standard, expand disclosure obligation regarding financial documents and establish new authority to monitor and control non-profit sector. This article argues that those policy measures would not be as effective as government expects and the development in corporate governance of each charities and foundations is the only way to recover pulic trust.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in non-profit sector aims to help each entity achieve its mission and value which are engraved in the article of information. In Korea, such legislation as “Act on Public Corporation”, “Private School Act”, “Social Welfare Act” and “ Public Health and Medical Services Act” regulate the establishment and the management of relevant non-profit foundation/corporation. This article analyses the provisions on the duties and the responsibilities of directors of each non-profit corporation, the appointment of board members and auditors, the convention of board meetings in each legislation. With relatively well -organized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Korean legislation on public corporations seems to lack provisions on private enforcement with respect to the misconduct of its directors and officers. This article suggests that legislative measures are taken urgently to expand plaintiffs’ standing in derivative suit to activate private enforcement in non-profit sector as well as government regulation. 각종 회계부정과 위법행위 사례가 다수 보도되면서 비영리부문의 위기가 찾아왔다는 지적이 있다. 정부는 회계기준 및 공시의무의 강화, 설립 허가의 엄격화 등 규제 수단을 통하여 비영리법인을 규제하려고 하는데 시민사회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자율적 지배구조 개선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비영리단체, 그 중에서도 공익법인 등에서 지배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입법적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현황을 검토하고, 주요 법리들을 제시한다. 공익법인 등 지배구조 개선은 각 단체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확보하고, 시민사회의 신뢰를 회복하도록 하여 각 단체의 설립목적에 비추어 보다 나은 성과를 달성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익법인 등의 설립근거가 되는 특별법상 지배구조와 관련된 규제의 현황을 점검하고,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현행 법제상으로는 이사회의 구성과 운영, 감사의 선임과 직무, 일부 공익법인 등에서의 외부추천 이사의 선임 등과 같은 제도가 갖추어져 있기는 하지만 대표소송 등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가 부족하여 각 기관이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향후에는 이사회에서 정보에 기반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운영규정을 정비하고, 이사의 행위규범 및 위반 시 책임추궁에 관한 내용을 보완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나아가 공익법인 등의 신뢰의 회복은 외부적 규제만으로 달성할 수는 없다. 각 법인 내부적으로도 임원들의 행위 준칙을 확립하고, 지향하는 가치를 달성하기 위한 업무 절차와 과정들을 정비하고 각 단체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지배구조의 설치 및 운영방안을 도출할 과제를 안고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