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6세기 畿湖士林派의 형성과 그 문학적 지향

        禹應順 한국한문학회 200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31

        본고는 사림파의 내적 분화와 그 변모 양상에 주목하면서 16세기 기호사림파의 형성과 문학적 지향을 밝힌 것이다. 사림파는 거듭된 사화로 큰 타격을 입었으나 성장을 지속하여, 중종대에 이르러는 畿湖地方의 지식인들이 다시 정계에 진출하게 된다. 조광조를 중심으로 한 기호사림파는 경제적 현실 대응 태도를 지녔으며, 문학에서도 비분강개한 정조의 작품을 남겼다. 16세기 기호사림파는 공통된 학문적 지향, 정치적 견해를 지녔던 동류 집단으로 이들은 일관되게 훈구파의 사장적 경향을 반대하면서 화려한 수사보다는 내용의 진실성을 추구하였다. 이들이 표방했던 우국애민의 열정, 기묘사화 후의 비분강개한 기풍은 영남사림파가 지향했던 온유돈후의 미의식과는 일정한 편차가 있었다. 이들은 좌절과 비분의 정서를 우의적 기법을 통해 형상화하였고, 생활윤리를 교육, 보급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교훈적 작품을 남기기도 하였다. This paper's aim is to bring light on the appearance of Gi-ho-sa-lim and their literary intention in 16th century, watching the internal division of Sa-llm(士林) and their change. Although repeated Sa-hwa(士禍) and political defeat Sa-lim increased their latent political power continually. In King Jung-jong(中宗)‘s reign, the intellectual in Gi-ho(畿湖) territory entered into politics. Gi-ho-sa-lim and their leader Jo, Kwang-jo(趙光祖) placed emphasis on Kyeong-se(經世, the statecraft) and they created some literary works that contained their sorrowful indignation over the injustice. Gi-ho-sa-lim in 16th century had common scholastic intention and common political views. Their literary intention was the political criticism which was based on the negative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They expressed social trend and political situation. They revealed the public indignation and the deep emotion against the immorality by various literary techniques. They were opposite to the inclination toward literature itself of Hun-gu(勳舊) and pursued the reality of the contents. Their doctrines - passion of U-kuk-ae-min(憂國愛民), patriotism and affection toward the plebeian) and Bi-bun-gang-gae(悲憤慷慨) sorrowful indignation over the injustice) after Gi-myo-sa-hwa(己卯士禍) - were different from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Yeong-nam-sa-lim(嶺南士林), On-yu-don-hu(溫柔敦厚) mildness and sincerity). They expressed their political break and indignation by allegorical technique and often created some instructional works in order to educate the plebian.

      • KCI등재

        자유주제 : 南皐(남고) 朴應衡(박응형)의 忠憤詩(충분시) 硏究(연구)

        황만기 ( Man Ki Hwang ) 동방한문학회 2014 東方漢文學 Vol.0 No.61

        南皐 朴應衡은 임진왜란 때 창의하여 왜적들과 결사한 朴廷번의 손자이다. 조부 박정번의 지고지순한 절의정신은 고스란히 손자에게 전달되었고, 남고는 조부의 절의정신을 계승하여 7세 때 이미 魯仲連에 대한 시를 지을 정도로 의리관이 남달랐다. 『南皐集』 권1의 忠憤詩는 병자호란이 일어나던 1636년부터 명나라 멸망 이후 1653년까지 지은 작품 중에서 傷時憤世와 관련된 시편만을 모아 별도로 편집한 것으로 시대를 마음 아파하고 그릇된 세도에 대하여 비분강개하는 심정을 담고 있다. 또한 자신의 불우한 신세와 암담한 시국을 개탄한 시편 등이 실려 있다. 남고가 비록 병자호란이라는 국가적 위난에서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처럼 청의 포로가 되었다든가 청음 김상헌처럼 청의 군사요청에 반대하는 상소로 안동에서 심양으로 곧장 압송되진 않았지만, 그의 충분시에는 시대를 아파하고 청에 대한 비분강개의 분노가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특히 청의 연호를 쓰지 않고 명의 숭정연호를 사용하면서 숭정유민으로 살고자 한 점은 대명의리의 행동적 표출이라 할 수있다. 남고는 어려서부터 『소학』을 애독하였다. 『소학』에는 춘추대의에 입각한 의리정신의 실천적인 측면이 많이 녹아 있다. 남고는 또 梧溪 曺挺立과 浣亭 李彦英 등 의리관이 투철한 인물들과의 교유를 통해 그의 의리적 삶을 더욱 더 확고히 하였다. 조부의 절의정신 계승, 『소학』을 통한 춘추대의 실천, 그리고 의리지향적인 인물들과의 교유를 통해 남고는 초지일관 의리에 입각한 삶을 살았다. Chungbunsi in Volume 1 of 『Namgojip』 is an additional compilation of the poems related to Sangsibunse and created from 1636 when the Manchu war broke out to 1653 after the collapse of Ming. It includes the feelings of affliction at the era and sorrowful indignation about unrighteous authority. It also includes the poems in which the writer deplores his deprived life and dark situation. Even though during the national crisis of the Manchu war Namgo wasn``t taken prisoner like Crown Prince Sohyeon and Bongrim Infante or sent under escort like Cheongeum Kim Sang-heon who was directly sent from Andong to Simyang because of his appeal against Qing``s request to send military, his Chungbunsi express his sorrow for the times and sorrowful indignation about Qing enough. In particular, the fact that he didn``t use the era name of Qing but used Sungjeong era name of Ming trying to live as a wandering person of Sungjeong can be seen as the behavioral expression of the loyalty to Ming. Namgo Park Eung-hyung was a grandson of Park Jeong-beon who raised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fought against Japanese invaders. grandfather Park Jeong-hyeong``s very noble and pure spirit of fidelity was transmitted to the grandson just as it was, and Namgo had special loyalty even to such an extent as to create a poem about Nojungryeon at the age of 7 by inheriting his grandfather``s integrity. Namgo loved to read 『Sohak』 from childhood. 『Sohak』 includes much of practical side of fidelity based on Chunchudaeeui. Namgo also made his loyal life more firm through social intercourse with those with thorough fidelity, such as Ogye Jo Jeong-lib and Wanjeong Lee Eon-yeong. Through the succession of grandfather``s integrity, practice of Chunchudaeeui with 『Sohak』, and friendship with those of strong loyalty, Namgo led his life grounded on unswerving fidelity.

      • <진주는 주었으나>, <남편의 책임>을 통해 본 1920년대 염상섭의 젠더의식

        조미숙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논집 Vol.23 No.-

        염상섭은 신여성을 다룸에 있어 부정적인 시선으로만 일관하던 동시대 많은 작가들에 비하여 조금은 객관적인 시선을 견지하고 있다고 보였다. 신여성에 대한 극도의 혐오를 보인 남성 작가들이 신여성들의 역사적, 사회적 무지를 강조하여 신여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되 그들에게 아무런 변론의 기회를 주지 않았던 것과 달리 염상섭은 신여성들을 주동인물로 다루면서 오류의 삶에 대한 자기변호의 기회를 주고 있으며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거리가 가까워졌다고는 하나 신여성에 대한 작가의 시선이나 이해의 정도는 그렇지 않았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염상섭은 남성의 근대성은 긍정하면서도 여성의 근대성에 관하여 매우 소극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였다. 그는 여성의 주체적 행보를 주시하기보다 전통적인 여성성을 공고히 견지하며 여성을 극단적으로 이분화하려 하였다. 전통적 아비투스를 답습하고 그 안에 안주하는 여성들을 긍정적으로 보는가 하면 전통적 여성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여성들을 부정, 그들의 존재를 위기로 담지하였던 것이다. 염상섭의 이런 위기의식은 작품 내에서 작중인물로 하여금 감상적인 토로와 한탄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연설 장면의 빈번한 활용이나 인물의 비분강개식 토로를 통하여 작가는 당시 사회에 대하여, 또 신여성에 대하여 하고자 하는 말을 지나칠 정도로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다소 미숙한 방식의 글쓰기 방식을 무릅쓰더라도 일제하의 경박한 근대성에 대한 경계 등 작가의 주제의식을 뚜렷이 하고자 하는 의도 때문이라 판단된다. 하지만 염상섭은 당시 부정하고자 하는 모든 부정적 가치를 신여성에게 전가함으로써 이율배반적 근대의식을 보이고 있다. 그의 이러한 극단적 젠더의식은 당시 사회에 진출하려는 여성 지식인을 배제하고자 한 남성 지식인들의 그것에 다름 아니다. Yeum Sang-sup was considered the objective point of view in dealing with New Woman than many writers were consistently negative attention to that. Other writers on the New Woman was expressed extreme disgust. They stressed the historical, social ignorance of New Woman and their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 New Woman was created. But they did not give any chance of arguing to New Woman. In contrast, Yeum Sang-sup of the New Woman in the initiative when dealing with people, she's their fault for living is giving the opportunity to self-defense. And he is relatively familiar with her gaze, and depicted as has been observed. Yeum Sang-sup was evaluated having the eye when he deal with women as the objective character than any other male artists. But this time, we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he'd be a little prick with a distance female protagonist. Yeum Sang-sup have problems when dealing with New Woman or understanding of the degree of attention. Yeum Sang-sup didn't want to consider a way of life and the subjective self-awareness female protagonist like other writers. He terms reinforce the traditional femininity, and women were divided into two extremely. He was looking positive the women who followed the traditional habitus and settle in it. On the other hand, he denied the women to get away from the traditional to perspective on women. Yeum Sang-sup felt as a crisis such as the presence of women. Yeum Sang-sup was the antinomy tendencies that affirmed man's modernity, in contrary denied women's modernity and had negative attitudes. Yeum Sang-sup made characters resenting said while crying or sigh in the novels because he had such a gender-consciousness in contemporary society with a crisis awareness. He frequently wrote speeches scenes and how to talk through the hero reluctantly say they want to have overly direct expression. It is because author wanted to convey any message through even with low type. Soon it was because the writer's intentions over.

      • KCI등재

        圃隱 鄭夢周 詩의 風格 : 豪放風格을 중심으로

        崔光範 한국한문교육학회 2002 한문교육논집 Vol.18 No.-

        고려 중기 氣를 강조하는 문풍과 더불어 호방의 풍격이 중시되었으나, 성리학이 정착되면서 점차로 이러한 경향이 약화되었다. 이것을 전대엔 미미했다가 성리학 정착과 더불어 평담의 풍격이 강화되는 것과는 반대 현상이다. 고려중기에 비해 호방 풍격이 다소 약화되고 평담 풍격이 새롭게 부상한 고려말기에 李穡·鄭道傳과 더불어 雄·豪의 풍격을 대표하는 圃隱 鄭夢周는 여타 시인과 달리 시종 豪放의 풍격으로 일관하고 있다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 점은 李穡이 다양한 풍격을 두루 갖춘 것이나 鄭道傳이 "豪"는 있으나 "放"은 거의 보이지 않는 것과는 매우 다른 점이다. 포은 시의 豪放 풍격은 내적으로 충일한 자신감과 얽매임 없는 호탕한 선천적 기질에서 연유한 것인데, 그것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 가장 핵심적이며 근간이 되는 것은 강한 經世意志가 담긴 豪邁峻壯한 시들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주로 사행시와 변새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다른 하나는 이러한 憂國 愛君의 의지가 혼란한 시대적 환경으로 인해 굴절되면서 불의한 세력에 대한 대립 자세를 보인 것으로 節義精神의 悲憤慷慨가 담긴 시들이 그것이다. 자신의 座主 金得培의 억울한 죽음을 祭하는 시를 통해 젊어서부터 의리정신이 투철했음을 알 수 있었고, 國運과 道가 점점 쇠하여 가는 것을 한탄하며 靑蛇劍을 한번 휘둘러 세상을 평정하려는 壯士의 비장한 기개를 엿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不羈的 風流를 보여주는 豪宕 豪暢의 시들인데, 이것은 특히 포은과 더불어 동시대 豪·雄의 풍격을 대표하는 李穡이나 鄭道傳에게서도 찾기 어려운 포은의 특징적인 면이다. 험난한 사행 중 지은 시에서도 근심이나 조바심은 거의 찾아볼 수 없고, 유람하는 듯한 태도로 시와 술을 즐기고 심지어 女色에 깊은 관심과 애정을 보이는 것에서 不羈的 성품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한 낙천성과 풍류정신을 엿볼 수 있었다. 悲慨는 포은의 경세의지가 모순된 현실과 접하면서 굴절되어 나타난 豪放 풍격의 變奏이고, 風流는 豪放의 "放"의 특징 가운데 핵심적인 것으로 시로 표출될 때는 豪宕 豪暢의 풍격으로 나타난다. 표현상 특징으로는 우선 광활하고 웅장한 공간적 배경 묘사와 유구한 역사적 배경의 설정, 그리고 빠른 시공간적 추이를 들 수 있다. 스케일이 큰 이러한 시공간적 배경과 간극으로 인해 세세한 경로의 추보적 기술이나 정밀한 배경 묘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또한 시상이 머뭇거림이 없이 빠르게 전개되고, 과장법과 돈좌를 통해 기세와 감정의 기복을 느끼게 한다. 다음으로 산문적 문투나 시어의 반복도 불사하는 조탁없는 자연스러운 표현을 들 수 있는데, 애써 화려한 수식이나 미려한 표현을 구사하지 않았고 험벽한 전고도 거의 없는 자연스런 시어를 구사하면서도 결구나 시상전개가 절로 공교하고 치밀하다. 또한 심후한 홍취와 격렬한 감정, 다양한 정서를 진솔하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표현상 특징은 豪放 풍격의 일반적 특징을 두루 지니고 있는 것이다. 살펴본 바대로 포은의 시는 거의가 豪放 내지는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풍격으로 일관하고 있는데, 이것은 고려시대 豪·雄의 풍격을 대표하면서도 많은 작품을 통해 다양한 풍격을 보여준 李奎報나 李穡과도 다른 점이고, 호탕한 풍류가 돋보인다는 점에서 동시대 李穡이나 鄭道傳과도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In the middle period of the Koryo Empire the literary atmosphere emphasizing vigor was spotlighted together with broad gusto. But as Sung Confucianism began to take root, such trend was dwindled by degrees. On the other hand the gusto of ordinary and simple style which had been meager before was gaining ground according as Sung Confucianism started to take root. The last period of the Koyro Empire where the broad gusto waned and the ordinary and simple gusto waxed, compared with the middle period, while in the same period Poun Jung Mongju who represents the broad and majestic gusto together with Lee Saek can be safely said to have been holding on to the broad gusto differently from other poets. The broad and unrestrained gusto of Poun's poems resulted from his overflowing self-confidence and his unbridled large-minded nature. It can be roughly categorized into three kinds. His valiant and broad-minded poems soaked in his will to govern the world form the basis and the kernel of his entire poems. Another kind is his poems expressing his indignation erupted by his longing for righteousness. These poems show his attitude opposing the unrighteous power of those times. This attitude flows out of his will to care about his home country and love his king, which is refracted in the confusing environment of that times. The last kind is his unbridled and large-minded poems which show the taste of a unfettered soul. Such aspect is so unique that it cannot be easily traced out in the works of Lee Saek and Jung Dojun who represent the contemporary broad and majestic gusto along with Poun. One of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first of all, is the vast and grand description of spatial background, the establishment of an everlasting historical background, and rapid changes of time and space. Because of such large-scale backgrounds and gaps of time and space, descriptions concerning detailed passage in the order of time or precise descriptions of backgrounds are hardly seen. In addition poetic images are rapidly spread out without hesitation, while hyperboles and refractions reveal to us the fluctuations of flows of vigor and emotion. The second stylistic characteristic of his poems is that his poems have artless and natural expressions not caring about prose style and repetition of poetic diction. He didn't squeeze flamboyant or elegant expressions out of his mind. On the contrary he adopted natural dictions bearing no relation to ancient episodes while using really elaborate and accurate constructions and development of poetic sentiments. Besides profound gusto, tumultuous passions and various sentiments are revealed as they are. As illuminated above, most of Poun's poems steadily stick to the broad gusto or other gusto closely related with it. In this respect his poem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Lee Gyubo or Lee Saek, which had showed various tastes in lots of works standing for the broad and majestic gusto in the Koyro Empire era, and they are different from the contemporary works of Lee Saek or Jung Dojun in that magnanimous tastes are prominent in his poems.

      • KCI등재

        黃景源의 시에 나타난 對明義理의 양상과 성격

        이은영(Lee, Eun-You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6 No.-

        본고는 영조조의 문풍을 이끌어간 문장가이자, 보수적 흐름을 주도한 노론 낙론계의 대표적 인사인 황경원의 시 작품을 통해 이 시기 집권층의 중심 이념이면서 황경원 삶의 중요 가치였던 대명의리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문장가로 조명된 황경원에게 있어서 시는 문에 비해 문학적 성취가 덜한 것으로 평가를 받아왔다. 그것은 그의 시가 시상이나 표현, 형상화의 문제에 집중하기 보다 평소 고수하고 있었던 신념과 그에 대한 정서적 지향을 표출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던 탓이 크다. 특히 그는 대명의리의 문제에 천착하면서 유람을 하거나 관직 생활 중의 여유, 풍류를 읊은 서정 서경시 가운데서도 이념적 색채를 드러냈다. 명나라에 대해 공부를 하다가 느낀 점을 시로 읊었고 명나라 장수들의 활약상을 읊었으며, 구원병을 파견하도록 결정을 내린 신종과 의종의 공덕을 높이 기렸다. 이들 시를 관통하는 일관된 정서는 청나라에 대한 강한 적개심과 역사적 치욕에 대한 울분, 그리고 명나라에 대한 한없는 고마움이다. 무엇보다 황경원은 병자호란 당시 구원병을 보내어 조선을 돕고자 했으나 성과를 내지 못한 명나라 마지막 황제 의종에 대한 집요한 추숭을 통해 대명의리의 문제가 일의 결과나 현실적 조건에 있기 보다 정신적인 것이고 원칙적인 것이라는 인식을 표출하였다. 그리고 무도한 왜나 청나라에 대한 토벌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외려 안정화되어가는 추세에 크게 분개하면서 의리 문제가 단지 관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천지향적이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대명의리에 대한 이와 같은 생각은 長詩 또는 聯詩의 형태로 표출되었다. 장시를 통해서는 서사적 구성과 함께 사연을 최대한 자세하고 핍진하게 부각시켰고, 단일한 대상을 가지고 여러 편의 시를 짓는 연시의 방식을 활용하여 주제와 감정을 반복 심화시켰다. 그러나 대의가 널리 선양되지 못하고 토죄가 실현되지 못하는 현실은 원색적인 표현과 격한 감정으로 노출되었으니 시 전편을 관통하는 비분강개한 정서는 확고한 신념과 신념을 지킬 수 없게 된 현실의 간격이 만들어낸 것이었다. 황경원의 문집 속에서 시는 47세를 전후하여 끊긴다. 그러나 이후 그의 삶에서 대명의리는 文을 통해 더욱 적극적으로 표출되고 작품 세계 중심에 핵심적 주제 의식으로 자리하게 된다. 생각과 행동, 학문과 문장 모든 면에서 원칙을 추구하였고, 시세에 따른 변통을 허용하지 않는 삶을 살았던 황경원에게서 대명의리는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의미가 퇴색된 유교국가로서의 자존심을 세우고 유자로서 사명감을 다하기 위한 간절한 노력이었고, 詩는 이러한 신념이 공고화되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Loyalty to the Ming Dynasty, the central ideology of the ruling clas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one of the important life values of Hwang Gyeong-won, by looking into the poetic works of Hwang Gyeong-won, who was a writer that led the literary style during the years and one of the representative members of Noron Nakron Circles that led the conservative flow. The poetic works of Hwang as a writer have been assessed to have fewer literary achievements than his prose works primarily because he used poetry as a means of expressing his beliefs and emotional orientations rather than focusing on such matters as poetical ideas, expressions and embodiment. He particularly revealed his ideological colors in his lyric poems and poems describing scenery he wrote to depict his travel, leisure during his office life, and taste while inquiring into the issue of Loyalty to the Ming Dynasty. He wrote poems to convey what he felt while studying Ming Dynasty, described the actions of Ming generals and highly praised the merits of Shinjong and Uijong that decided to dispatch rescue soldiers in his poems. The common sentiments throughout his poems were his strong antagonism against Qing Dynasty, resentment against the nation's historical disgrace, and limitless gratitude for Ming Dynasty. Most of all, he argued that the matter of Loyalty to the Ming Dynasty was about spirit and principle rather than results or realistic conditions through his persistent worship and respect for Uijong, the last emperor of Ming Dynasty, who tried to help Joseon by sending rescue soldiers during Byeongjahoran but failed to achieve results. He also showed that the matter of Uiri should be oriented toward practice instead of remaining at the level of idea, furiously resenting the trend of stabilization opposite to the subjugation of reckless Japan and Qing. His ideas about Loyalty to the Ming Dynasty were expressed in the form of long or series poem. Through long poems, he highlighted the narrative organization and full stories with the utmost details and realism. He repeated and reinforced topics and emotions through series poems on the same objects. The reality of noble causes not being promoted broadly and crimes not being punished, however, made him use radical expressions and reveal his intense emotions. His sorrowful indignation penetrating his entire poems was the result of the gap between his firm beliefs and the reality in which he could not stand by his beliefs. He stopped writing poetry around at the age of 47 in his anthologies, but the matter of Loyalty to the Ming Dynasty became further reinforced and expressed more actively in the form of prose in his life. Daemyeong Uiri represented his desperate efforts to raise the pride of the nation as a Confucian country whose meanings deteriorated in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s and fulfill his sense of mission as a Confucian scholar to him, who sought after principles in every aspect of thought, action, science, and literature and allowed for no shifts according to the trends of the age.

      • KCI등재

        서정경(徐禎卿)의 시적(詩的) 미각(味覺)

        원종례 한국중국어문학회 2006 中國文學 Vol.49 No.-

        筆者把徐禎卿的作品分爲吳中詩系列、以批判現實爲主的七子詩系列, 以及山水遊覽詩三種; 然後從每個類型抽出幾首代表性的作品, 推尋其審美特徵。 結果得到吳中詩系列(鸚鵡體和花間體), 則以俗趣爲主; 七子詩系列, 則主要以諷趣爲主, 但是從中有兩個作品帶有`俗趣(悲愴婉麗ㆍ微婉)`美感; 山水遊覽詩都帶有`淸趣`。 本人整理其結果, 來作出在`六. 結論`裏可以看到的表格。 根據以上的分析結果, 本人討究了在徐禎卿參與前七子以後, 他在吳中時所運用過的遊戱的ㆍ娛樂的顯示作文能力的浮華作風是否完全消失的問題。 然後得到兩個結論。 第一, 變雅系列的作品, 兼有`諷趣`和`俗趣`。 本稿所分析過的<?闔行>和<擬古宮詞七首>,則有效地運用遊戱的ㆍ娛樂的顯示作文能力的浮華作風, 來緩和批判語氣, 幷且迎合大衆的愛`文`嗜好。 這兩篇作品, 收錄在通過過徐禎卿和李夢陽兩個人的刪去的≪迪功集≫, 因此我們可以知道雖然徐禎卿在北京時候, 爲了脫離吳中詩風而努力, 但是有時候却利用?, 李夢陽也肯定來自徐禎卿吳中詩風的俗趣, 假如他?被用在批評政治或者時事問題的詩之事情。 李夢陽所批判而否定的徐禎卿之吳中系列寫作是`非政治的ㆍ審美一邊倒的寫作`, 幷不是?的`俗趣`。 第二, 徐禎卿的山水遊覽詩可以看做是他在吳中時候所保有的愛好修辭趣向(愛文趣向)之精英化的産物, 就是說, 也可以說是吳中寫作之`變形`。 他的愛好修辭趣向?棄如他在≪談藝錄≫所批判的晉詩之`由文求質`方式, 而轉個方向以走漢詩之`由質開文`的路線, 來歸着的就是王維ㆍ孟浩然系列的山水詩。 現在根據以上的硏究, 總和徐禎卿詩的味覺之變化軌迹, 他的詩的味覺是從吳中通俗主義變成七子詩系列的諷刺的趣向和山水詩系列的脫俗的趣向。 山水詩系列保有純粹的ㆍ精英的審美趣向, 以諷刺爲主的七子詩系列, 除了諷刺趣向以外還保有通俗主義趣向。 可是明代歷史走向近代, 特別突出其歷史意義的詩的範疇不是山水遊覽詩, 而是告發或者諷刺時事和政治問題的. 因爲這個諷刺詩兼有`諷趣`和`俗趣`而不帶俗趣, 我們暫時可以得到(把觀察範圍, 只限定於徐禎卿的詩的話) 在近代化過程初期的諷刺詩裏頭, 有過通俗主義相對優勢而精英主義消失的現象的結論。

      • KCI등재

        논문 : 대호(帶湖)와 표천(瓢泉) 은거시기(隱居時期) 신기질(辛棄疾) 사(詞)의 풍격 변화 -밤(夜)과 등불(燈)을 중심으로

        정태업 중국어문학회 2012 中國語文學誌 Vol.39 No.-

        辛棄疾在宋淳熙8年(1181)受到主和派彈劾而被免職, 之後幾乎都是遭貶謫在鄕閑居度日。 不過, 其閑居期間的詞作, 從風格和內容上可以大槪分做兩個時期。 在宋淳熙8年(1181)遭彈劾之後的10年間帶湖的詞作裏, 辛棄疾表達出對國破山河的祖國的憂憤和慷慨, 也有描述爲收復失地而結義抗金的內容。 在其以``夜``和``燈``爲主題的作品中, ``夜``象征黑暗的時代, 隱含著作者對時代的絶望和鬱憤; 而相反, 以``燈``象征照亮黑暗時代的希望, 幷表達了自身願成爲這希望的意志。 之後在紹熙二年(1191年), 52歲的辛棄疾重又被委任官職, 兩年後再次被罷免回到上饒, 之後的8年間閑居於帶湖和瓢泉, 這一時期其詞作中的``夜``與``燈``又呈現出령一風格。 晩年辛棄疾詞作中的``夜``已超越鬱憤而上升到達觀的境界, 詞作中的``燈``也不再是照亮時代的燈盞, 而是升華爲能克服所有煩惱和矛盾的、 彼岸的眞理的燈火。 從``夜``和``燈``來看辛棄疾詞作風格上的變化, 可以看到作者克服了抑鬱黑暗的時代、 在精神上得到升華。 在時代矛盾帶來的挫折與克服的過程中,辛棄疾的詞也超越了同時代詞作的婉約風格, 創造出新的詞風, 給後代起了흔重要作用。

      • KCI등재

        錦帶 李家煥의 삶과 詩

        여운필 한국한시학회 2022 韓國漢詩硏究 Vol.30 No.-

        Geumdae Yi Gahwan’s poems only remain in his later years. Among the poems, the proportion of five words is high. His poetry seeks simplicity and truth. His theory of poetry is based on the theory that we should focus on purity and novelty. His poems show a wide range of views on things, social contradictions and interest in people's lives, awareness of ego, reality, and history, feelings toward friends, seniors, and the king. Also he expressed his feelings about the political situation in poetry. Such poems have a new and bizarre style and meaning or emotional characteristics that can be summarized into high social interest, the concordance of the scenery and emotion, sadness and resentment. This characteristic is worthy of establishing himself as a representative poet of the reign of King Jeongjo. 장년기 이후의 작품만 남고 5언시의 비중이 높은 錦帶 李家煥의 시는 질박과 眞을 추구하고 淸新에 힘써야 한다는 시론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의 시에는 경물에 대한 시각, 사회적 모순과 백성의 삶에 대한 관심, 자아・현실・역사에 대한 의식, 知舊, 先進, 君王에 대한 소회, 정국의 추이에 따른 감정 등이 두루 드러나 있다. 그러한 시편들에는 높은 사회적 관심, 정경의 일치, 비분강개 등으로 요약할 수 있는 의미 또는 정서의 특성과 新奇・奇詭의 풍격이 두드러진다. 이런 특징은 그를 정조대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자리매김되게 할 만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