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물질적 표현으로서 장신구아트 - <제 2의 피부로서의 장신구> 작품을 중심으로 -

        김계옥 ( Kyeok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3 No.-

        연구배경 현대 예술과 디자인에서 전개되고 있는 탈 물질적, 탈 형식적인 경향은 급속히 진행되는 정보화 사회로 인해 비물질성의 개념은 한층 더 진보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장신구 역시 재료와 기술이 중심이 되는 기본적인 형식에서 확장되어 새로운 예술적 개념을 포괄하는 한 장르로써 인지되고 그 표현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은 장신구가 예술로써 확장될 때 나타날 수 있는 비물질적 개념과 표현들을 소개하고 이것이 장신구아트로서 새로운 유형으로 자리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비물질성에 대한 개념과 철학적 배경의 고찰을 바탕으로 예술에서의 오브제의 비물질화 개념과 표현사례를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장신구가 예술적 개념을 수용할 때 비물질화 개념의 내포 가능성을 살피고 그 구체적인 표현사례 고찰을 토대로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장신구는 신체의 감성적 경험을 밀접하게 제공함으로써 감각의 연장체로서 인간의 정신을 드러내며 비물질성의 개념을 내포한다. 이 개념은 예술에서 나타난 오브제의 비물질화의 경향과 동일선상에서 해석될 수 있다. < Jewellery as second skin >는 장신구라는 촉매를 통해서 빛, 자국, 향기등의 비물질화되는 현상을 수용하면서 신체 그 자체로서 장신구의 개념을 갖는 무형의 탈물질적 장신구가 된다. 이는 신체와 시간의 움직임이 작용되어 소멸되는 물성을 경험하게 되면서 관념성, 소멸성, 상호작용성으로 의미화된다. 결론 연구자는 비물질적 현상을 수용하고 그로 인한 해석이 가능한 장신구아트의 표현연구를 통해 기존의 장신구가 가진 보편적인 정체성과 개념을 전복시키고 나아가 장신구가 예술로써 새로운 표현의 매체로 작용할 수 있음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Background Post-material and incorporeal form, the trend progressed in the modern art and design is further advanced by the de-materialism concept and with the rapidly advanced information society. With this background, jewellery is also extended from a basic form where materials and technologies are the center and recognized as a genre embracing the new artistic concepts and the need of their expression is realized. As such,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de-material concept and expressions appearing when jewellery is extended to an art and displays that production of jewellery becomes a new genre or category. Method Based on the de-materialism concept and its philosophical background, we studied the de-materialization concept in the art objects and its expression cases. Based upon this, we studied the possibility if jewellery is able to contain a de-materialization concept, when they accept artistic concepts.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detail expressed examples, we also analyze works of researchers. Results Jewellery reveals human mentality and contain the de-materialism concept as an extension of sense by providing physical sensitive expressions. And this concept can be interpreted in a line with the de-materialization trend in the art objects. < Jewellery as the second skin > accepts the phenomenon where light, mark and scent become de-materialized through the catalyst of jewellery and becomes a formless, post-material jewellery that have the concept of the human body itself. Experiencing the material property that is disappearing due to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and time becomes signified as ideality, extinction and interaction. Conclusion Researchers overturn the universal identity and concept of jewellery by accepting the de-material phenomena and research on expressions of jewellery art that can be interpreted based on the phenomena. Furthermore, they are able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jewellery, as a form of art, could be a new potential media of expression.

      • KCI등재

        흄은 영혼의 불멸을 부인하였는가?

        이태하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51 No.4

        Since Plato, saying that “the soul is immaterial and, therefore, simple, indivisible, and incorruptible,” it had been widely held that the question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was itself intimately connected with that of the immateriality of the soul. Thus, Hume, who was charged with denying the immortality of soul by denying the immateriality of the soul, in a letter claimed that he did not anywhere deny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only said that the question did not admit of any distinct meaning, because we had no distinct idea of substance. With regard to this statement, Hume scholars, Gaskin, Yandell and Penelhum, assert that it is not a bald one. But their expositions cannot be accepted, because they do not distinguish Hume's philosophical view from his personal and non—philosophical belief.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how not only that Hume's statement is consistent and true when viewed in his philosophical position, but also that his disbelief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s nothing but a personal belief. 영혼은 비물질적이기에 단순하며 불가분적이며 불멸한다고 말한 플라톤 이래 영혼의 불멸성 문제는 영혼의 비물질성 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따라서 영혼의 비물질성을 부인함으로써 영혼의 불멸성을 부인했다고 비난을 받은 흄은 한 서간에서 자신은 그 어떤 곳에서도 결코 영혼의 비물질성을 부인하지 않았으며 자신은 단지 우리가 실체에 대해 명료한 관념을 가질 수 없기에 이 문제가 명확한 결론을 내릴 수 없는 문제임을 지적했을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가스킨, 얀들, 페넬름과 같은 흄 연구자들은 이 주장이 자신의 입장을 의도적으로 감춘 순수하지 못한 진술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 같은 해석은 흄의 철학적 입장과 개인적 신념을 구분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수용되기 어렵다. 본 논문은 흄의 이 진술은 그의 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일관되며 진실할 뿐 아니라 영혼의 불멸에 대한 흄의 불신은 영혼의 불멸에 대한 종교인들의 믿음과 마찬가지로 그의 개인적인 믿음일 뿐임을 보여주는데 목적이 있다.

      • KCI등재

        1960년대 이후 사진과 결합된 드로잉 작품 연구

        임윤수 한국영상학회 2017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5 No.5

        현대미술에서 드로잉은 더 이상 밑그림이나 습작의 개념이 아니다. 작가의 머릿속에 있는 아이디어그 자체를 말하기도 하고, 작가의 내면 표현에 가장 직접적인 매체가 되기도 한다. 드로잉 뿐 아니라 사진 역시 탄생이후로 미술의 개념을 바꿔 놓은 중요한 매체이다. 사진이 미술이 담당하던 세계의 재현이라는 역할을 한 이후로 미술은 자신의 형식과 순수성을 실험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드로잉과 사진이라는 큰 주제 아래, 1960년대 이후 드로잉 작품에서 사진과 결합된 작품들을분석하여 현대미술의 특징들을 살펴보려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드로잉의 역사적 변천과 확장된 개념들을 살펴보고, 사진의 영역 역시 마찬가지로 그 시작과 개념의 변천들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드로잉과 사진이 결합된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드로잉과 사진을 결합한 작품들은 미술이 점차 개념화 되고, 비물질성의 추구, 장르 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현상 등을 따라감으로써필연적으로 두 영역이 선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드로잉의 근본이 되는 선의 개념을 확장시키고그것을 과정이나 퍼포먼스로 실현함으로써 사진은 기록 매체로서 결합하거나, 작가의 내밀한 고백으로써의 말하기, 정체성 찾기, 내러티브의 부활 등을 위해 도상을 적극적으로 쓰고 언어와 결합하면서 사진과 드로잉은 서로 긴밀히 연결되었다. 드로잉과 사진의 속성들을 살펴봄으로써 점점 더 다양해지는 현대미술의 양상을 이해를 도모하는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In contemporary art, drawing no longer refers solely to sketching or practice. It refers to the author's idea itself, or serves as the most direct medium to represent his or her inner expressions. Drawing as well as photography can be important types of media that have altered art concepts since their emergence, as art jumped into experiments on its form and purity after photography served to represent the world in way for which art used to be responsible. This paper begins with an analysis of works which integrate photography and drawing since the 1960s and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under the grand theme of drawing and photography. To do this, the paper investigates historical changes and extended concepts while also exploring the beginning as well as patterns of historical change related to this type of art. Lastly, it analyzes works where drawing and photography are combined. The findings show that these works comply with a more conceptualized form of art, the pursuit of immateriality, and the ruin of demarcation among genres, indicating that the two areas are indispensably selected. By extending the concept of the line, which serves as the basis for drawing and making it a process or performance, photography is incorporated as a record medium, actively used for narrating the author's secret confessions, discovering identities, and reviving narratives, while also being integrated with language. In the end, photography and drawing are closely intertwined. The findings here and their implications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a greater variety of patterns of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given explor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drawing and photography.

      • KCI등재

        물성특성에 의한 현대건축 외피의 표현유형 연구

        권혜린(Kwon, Hye Rin),김현중(Kim, Hyun Jo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2

        건축외피는 도시변화에 민감한 패러다임적 요소로써현대건축의 외피는 근대와는 명확히 다른 양상을 보인다. 현대건축의 복합적 외피는 단순한 이차원적면이 아닌 인간의 지각을 확장하고 행위를 창출하는 ‘경계공간’으로 이해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범위를 건축외피에 한정하고, 통시적으로 변화해온 외피의 ‘물질적 표현’에 집중하였다. 즉, 건축외피를 통해 한 시대를 대표하는 표상을 이해하고 잠재된 재료의 가치를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문헌을 통해, 근대건축사의 이해 속에서 변화된 외피의 역할을 탐구하였고 현대에서 나타나는 건축외피의 표현양상을 도출할 수 있었다. 현대에서는 재료의 비물질화가 외피를 통해 나타났고, 이 ‘비물질화’를 이해하고자 재료의 물질과 물성적 표현에 대해 탐구하였다. 또한 외피의 물질표현에 집중한 건축가들의 건축물을 사례로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각 표현유형을 ‘상실’, ‘생성’, ‘초월’로 정의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외피의 비물질성표현은 물성의 감성적 표현으로 건축과 인간의 조화를 매개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즉, 현대건축외피의 물질적 표현은 도시의 총체적 구성요소를 외피에 함축적으로 표현하여 인간의 지각을 자극하고 확장하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의 건축외피는 주변 환경과 분리되어 단독의 이미지처럼 평면에 고착되어있다. 오늘날의 외피에 대한 패러다임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외피를 포함한 현대건축공간은 도시와 상보적인 관점에서 시대를 표현해야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건축 재료가 지닌 부가가치의 다양성 연구와 실험은 현시대를 담은 성숙한 공간표현의 플랫폼 역할이 될 것이다. The surf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clearly different from that of modern architecture. The surface of architecture is defined as paradigmatic element that is sensitive to city change and is understood as ‘boundary space’ by extending perception and creating further action of human. Therefor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focus on the surface of architecture that has changed over time to find out the potential value of material and to understand the representative symbol which symbolizes an era of the architecture. Through the literature, I examined the role of changed surface in the understanding of modern architecture, and was able to elaborate presentation aspect that surf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presents. The non-materialization has appeared through the surface in the modern time and its matter and materiality of materials were examined by many studies in order to understand non-materialization. In addition, I was able to define expression as ‘loss’, ‘creation’ and ‘transcendence’ after observing repetitive expression patterns from specific architectures of architects who focus on matter expression of surface. From case analysis, we drew a conclusion that immateriality expression of surface harmonizes human and architecture with emotional expression of matter. In other words, matter expressi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stimulates and expands human’s perception by implicitly expressing every components of the city through the surface. However, surface of recent architecture is now separated from its surrounding environment and limits itself on a plane like an unilateral image. It does not mean that I disagree with today’s paradigm of architecture surface but it should express images of our time with both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the city in a complementary relation. The variety experiments and studies with their valuable and potential materials will become important roles that play the platform of spatial expression in mature contemporary architecture that we live in.

      • KCI등재

        관계마케팅에 의한 스토어 파사드 디자인의 표현특성 연구

        신정은(Jeong Eun Shin),김현중(Hyun Joo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마케팅 패러다임이 소비자 중심의 관계마케팅으로 변화함에 따라 소비자가 스토어에서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파사드는 소비자와 브랜드간의 장기적인 관계 형성에 도움을 주는 장소로 그 목적이 변화하였고, 이를 위해 파사드 디자인은 다변화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가 중심이 되는 관계마케팅의 관점에서 스토어 파사드의 역할 변화와 디자인의 표현양상을 고찰하고 구체적인 디자인 표현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을 통해 마케팅 패러다임의 변화와 스토어 파사드의 역할 변화를 고찰하였고, 역할 변화에 따른 파사드 디자인의 양상을 파악하였다. 그 후, 관계마케팅이 중요 마케팅 전략으로 대두하게 된 2000년 이후 설립된 국, 내외 스토어를 사례대상으로 선정하여 파사드 디자인의 표현특성을 분석하였다. 관계마케팅 시대, 스토어 파사드의 역할 충족을 위해서는 파사드로 소비자의 시선을 유도하고 몰입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몰입은 체험이 극대화 되었을 때 발생하는 것이기에 소비자가 파사드를 지각하고, 인지하고, 느끼는 체험의 과정이 먼저 선행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계마케팅 시대 기업들은 파사드로 소비자를 몰입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미적 체험과 현실 탈출 체험의 특징을 보인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파사드 디자인의 양상과 표현특성을 살펴보았다. 사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미적 체험을 추구하는 파사드 디자인은 파사드를 감동을 주는하나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제공하는 오브제성을 통한 이벤트화의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이는 파사드를 하나의 독립적인 외피로 디자인하고 명확한 윤곽을 형성해주는 일체성과 3차원의 형태를 통해 다의적인 이미지를 제공하는 입체성, 추상적인 이미지를 통해 시각적 감흥을 제공하는 상징성의 표현특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실 탈출 체험을 유도하는 파사드 디자인은 소비자에게 환상적이고 비일상적인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비물질성을 통해 시공간을 확장시키는 양상을 보였다. 비물질성을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미디어의 사용을 통한 역동성과 스토어 내, 외부를 연계하는 투명성, 여러 가지 재료의 겹침에 의한 중첩성의 표현특성이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파사드디자인의 표현특성들은 소비자의 다양한 감정 반응을 유도하며 파사드로의 몰입에 효과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그러나 점점 더 치열해지는 경쟁사회에서 브랜드들은 소비자와의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타 브랜드와 차별화되는 다양한 파사드 디자인 표현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질 것이다. Along with the marketing paradigm has been changed into relationship marketing centered on consumers, the facade which consumers encounter firstly at a store has changed its purpose to be a place helpful to form a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and for this, facade design has been diversifi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consider the role diversification of store facade and expressional tendency of design in the viewpoint of relationship marketing centered on consumers and grasp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concrete design. As the method of the study, the change of marketing paradigm and the role diversification of store facade was considered through literature, and the tendency of facade design according to role diversification was comprehended. After that, domestic and overseas stores which were founded since 2000, where relationship marketing rose as a major marketing strategy, were selected as case objects to analyze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facade design. It is important to induce consumers` attention and immerse it with facade to satisfy the role of store facade in relationship marketing period. However, the immersion occurs when experience is maximized, so that the experiential process of consumers` perception, recognition and feeling of facade must be preced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ndency of facade design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 on the premise that the companies in the period of relationship marketing show the characteristics of esthetics experience and escapist experience as the strategies for consumers` immersion in facade.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acade design which pursues esthetics experience recognized facade as an object which presents inspiration and showed a tendency of involving events through objectivity which provides positive image. And this appeared as expression characteristics such as unity which designs facade as an individual outer cover and forms a clear outline, third dimension which provides polysemantic image through third-dimensional shape, and symbolicity which provides visual inspiration through abstract image. Second, facade design that induces escapist experience showed a tendency to expand space and time through immateriality to provide consumers with fantastical and non-daily image. As the method of expressing immateriality,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such as dynamicity through using media, transparency to connect the inside and outside of store, and duality by overlapping various material appeared. Also, such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facade design induced consumers` diversified emotional response and had effective influence on immersion in facade. However, it seems that in the society where competition gets harder, brands will be required vitally to seek various expression methods of facade design which will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brands in order to form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consumers.

      • KCI등재

        비물질의 물질화를 통한 확장된 기억 오브제의 해석 가능성 연구

        장준호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1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bsent objects’ among the objects appearing in contemporary art in terms of the combination of memory and objects. This absent object shows a phenomenon in which the immateriality of memory is mediated through the object and becomes material. In particular, everyday objects bring back memories. And new memories are created through this object. At this time, we can examine the process of exchange between material and spirit. Concepts such as human spirit, memory, thought, and affect can be seen as immaterial experiences that are not visualized. On the other hand, if a visual artist expresses his or her immaterial experience through visualized materials or object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aterialization of the immaterial takes place in the mean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aspect of 'mediation' seen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memories and to examine how mind and matter are realized from the aspect of 'constructed reality'. In interpreting this process, Bergson's concept of 'memory-image' and Berkeley's 'immaterialistic corpuscularian position' are analyzed. In particular, it explores how existence and non-existence, material and non-material, and visibility and invisibility can be interpreted in works of art that appear as examples. In addition, through the materialization of immateriality, it is intended to interpret the point of exploration of new possibilities emerging in art. 본 논문은 동시대 미술에서 등장하는 오브제 중 ‘부재 오브제’의 특징을 기억과 오브제 결합의 측면에서 다룬다. 부재 오브제는 기억의 비물질성이 오브제를 통해 매개되어 물질화 되는 현상을 보여준다. 특히 일상의 오브제가 기억을 소환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오브제를 통해 새로운 기억이 생성되는데 여기서 물질과 정신의 교환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인간의 정신, 기억, 생각, 정동 등의 개념은 가시화 되지 않은 비물질적 경험이라 볼 수 있다. 반면 시각 예술가가 자신의 비물질적 경험을 가시화 된 물질이나 오브제를 통해 표현할 경우 그 사이에는 비물질의 물질화가 이루어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억의 표현과정에서 보이는 ‘매개’의 측면에 집중하여 정신과 물질이 어떻게 실재화 되는지를 ‘구축된 현실’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을 해석함에 있어 베르그손의 ‘기억-이미지’ 개념과 버클리의 ‘비물질주의적 입자론’에 대해 분석하고 특히 이 과정에서 예시로 등장하는 미술 작품에서 어떻게 존재와 비존재, 물질과 비물질, 가시성과 비가시성을 해석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또한 이러한 비물질의 물질화를 통해 예술에서 등장하는 새로운 가능성의 탐구 지점을 해석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시각미술에 미친 음악적 요소에 관한 연구

        임윤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2

        When music began to make a new musical attempt by introducing noisy notes rather than musical notes after the 20th century, art also escaped from the sight-dependent exclusiveness and began to broaden the horizon of comtemporary art, making diverse attempts.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elements, including both of musical notes and noisy notes and see how these elements are applied to comtemporary art. Firstly,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ases regarding influence of atonal music, which emerged newly in the 20th century, on early abstract paintings, since it was thought that the convergence attempt between the two domains triggered by A. Scheonberg, a musician, known as a synesthete and Kandinsky, a painter, laid the foundation for avant-garde tradition of comtemporary art. Temporality was introduced to art that belonged to space arts, by later artists, who made an attempt at visual music, and this served as the basis to make images and multimedia established as art. Moreover, sight-dependent art induced new experience of the audience through introduction of sound elements. The reason why art of today has transformed into different images is abstractness, temporality, dematerialization, and physical experience, contained in a sound nicely fit what comtemporary art pursues, as described above. It is anticipated that the consideration of sound elements as a power to drive avant-garde art would be a keyword to understand complex and difficult art of today. 미술의 자율성과 순수성을 주장하며 타 장르와의 혼용을 엄격히 금지했던 모더니즘 미술에서도 음악의 영향만큼은 배제하기 힘든 것이었다. 음악이 20세기 이후 악음이 아닌 소음들을 끌어들여 새로운 음악적 시도를 시작했을 때, 미술 역시 시각에만 의존하던 배타성을 벗어나 다양한 감각들을 동원하며 현대미술의 지평을 넓혀 가기 시작했다. 본고에서는 악음과 소음을 모두 포함하는 음악적 요소의 특성들을 고찰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현대미술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20세기에 새롭게 대두된 무조음악과 초기 추상회화의 연관성을 통해 미술과 음악의 관계를 고찰해보았다. 공감각자로 알려진 음악가 쇤베르크와 화가 칸딘스키에 의해서 시도된 두 영역간의 융복합적 시도가 현대미술의 아방가르드적 전통의 근간이 되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시각적 음악을 시도하였던 후대 예술가들에 의해 공간예술로 존재하던 미술에 시간성이 도입이 되고, 이것은 영상과 멀티미디어 장르가 미술로서 성립되는 근거가 되어준다. 또한 시각에만 의존하던 미술이 음악적 요소를 도입함으로써 관객의 새로운 경험을 이끌어내기도 한다. 오늘날의 미술이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된 것에는 이렇듯 음악의 추상성과 시간성, 비물질성과 신체적 경험 등이 현대미술이 추구하는 바와 잘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아방가르드 미술을 추동한 힘으로서의 음악적 요소를 살펴보는 것은 복잡다단한 오늘날의 미술을 이해하는 키워드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뉴미디어 아트의 물질적·비물질적 맥락에 대한 연구

        박현수 ( Park Hyun-su ),박상현 ( Park Sang-hy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8 No.-

        과학과 기술의 경계가 허물어진 `테크노사이언스`라는 협업 형태의 과학기술 시대가 열리면서 뉴미디어아트는 근대적 의미의 미술 형식을 벗어나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확장된 미술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뉴미디어 아트에서 매체는 단순한 도구가 아닌, 사유의 형식과 내용을 규정하는 `사유 도구`가 되어, `디지털` 기반의 비물질적 미술과, 기계나 유기체 기반의 물질적 미술로 양분하였다. 전자는 `가상성의 미술로서 비물질성`으로, 지시대상의 흔적이 소멸된 다양한 형태의 미술의 디지털화와, 비트와 바이트로 구성된 `추상적인 기호 공간`의 가상현실이나 틸트 브러시, 미디어 파사드, 프로젝션 맵핑 등의 증강현실으로 나타난다. 후자는 `실제성의 미술로서 물질성`으로, 닐하비슨과 문 리바스가 보여준 기계-유기체 결합의 확장된 신체나 스텔락의 사이보그 퍼포먼스와 같은 탈주체화되는 사이보그적 양상을 보이거나, 생명 윤리와 연관된 생명공학의 형태로 헬렌 채드윅과 헤더 듀이해그보그의 DNA 분석 및 에두아르도 카츠의 유전자 변이로 나타난다. 미술이 테크노사이언스에 귀속되는 상황에서 미술의 양식은 뉴미디어 아트가 지닌 물질적·비물질적 맥락을 중심으로 더욱 다채롭게 확장되고 있다. As the generation of `technoscience` has emerged, collapsing the bound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new media art has departed from the modern art form to an expanded art form that is based on scientific technology. This medium of new media art is not simply just a `medium` but rather a `reasoning medium` that regulates the form and contents of reasoning which divides art into `digital` based immaterial art and machinery or organism based material art. The former is `immateriality as virtuality art` which appears as the digitalization of various subjects that lost its original traces, the virtual reality of `abstract symbolic space` made up of bits and bytes or augmented reality by tilt brush, media-facade, projection mapping etc. The latter is `materiality as authenticity art` which appears as the expanded body of the combination of machinery and organism shown by Neil Harbisson and Moon Reverse a cyborg aspect escaping subjectivation shown in Stelarc`s cyborg performance, the form of biotechnology related to bio ethics shown in the DNA identification by Helen Chadwick and Heather Dewey Hagborg or genetic mutation by Eduardo Kac. In the situation where art reverts to technoscience, the style of art is diversely expanding based on the material and immaterial context of new media art.

      • KCI등재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의 물질성에서비물질성으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 - 사운드아트에서 드러나는 비물질적 오브제를 중심으로

        정진아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5

        오브제란 자연에서 채취한 물체나 일상적인 용도에서 쓰이는 사물들에 예술가가 예술작품의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잠재된 기억과 예술적 환영 등을 떠올리게 되는 상징적 역할을 하는 대상을 의미한다. 회화와 조각의 경계점에서 출발한 현대미술의 오브제는 재현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파편적이고 혼성적 시대 가치관이나 현세적인 사태 등을 예술적 또는 비예술적 사이를 부유하는 사물성의 힘으로 작품의 형식, 내용, 태도, 지각적 담론을 구축해 가며 나아가 비물질성을 암시하는 개념과 가능성등을 배태함으로써 다차원의 융합과 교류형태로 진행한다. 오브제는 공간에서 대상으로 인식하게 되는 인지과정과 체험으로의 확장성 등으로 물질적 오브제뿐만 아니라 비물질적 오브제의 성향으로 나아가 관객과 적극적으로 소통을 촉진하였는데, 비물질적 요소들에는 연기, 냄새, 액체 등의 질료자체에 해당하는 경우가 있고 시각 외에 촉각, 후각, 청각등과 함께 공감각적 감각까지 포함하는 감각기관을 일깨우는 요소들도 있다. 이중 청각적 매체를 동원하여 신체와 심리적 경험을 다중 감각적으로 구사하여 관람자의 지각을 실험하는 경우로 완결된 오브제로서의 작품을 제시하기보다 과정과 상황 자체가 작품이 되고자 하는 사운드 아트로서의 성격을 갖는 경우도 있다. 사운드아트는 지각적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청각적으로 표현하는 미술장르로 비물질적 성격을 띄는 소리를 오브제로 사용하는데 이는 개념미술에서의 비물질적 개념의 오브제 맥락으로부터 이어지는 것이다. An object refers to an item which plays a symbolic role, by which artists grant meaning in artistic works to articles extracted in nature or things used on a daily basis to recall potential memory and even artistic phantoms. The objects of contemporary art, starting from the boundary point between painting and sculpture, become objects of reappearance, constituting the form, content, attitude and cognitive discourse of works with the power of objectness floating between art and non-art. regarding fragmentary and hybrid times, values, or temporal states, while also conceiving concepts and possibilities and suggesting immateriality and then proceeding with multidimensional convergence and intercourse forms. Objects are launched with the dispositions of material objects and immaterial objects with a recognition process to recognize objects in space and expansion as experience,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positively, and with immaterial factors including the materials of smoke, odor, and liquids. These awaken the sensory organs, including multi-sensory senses as well as the senses of touch, smell, and hearing in addition to the visual sense. Out of this, an artist mobilizes acoustic media, commands physical and mental experience with multisensory usage while testing the viewer's recognition. This act has the characteristic of sound art in that it does not present works as completed objects, with the process and situation becoming the works instead. Sound art is an art genre expressed acoustically based on cognitive awareness, using sound and having it take on an immaterial characteristic as an object, which leading to the objective context of immaterial concepts in conceptual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