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대생의 비만도에 따른 신체인식과 신체만족도 조사

        권진(Kwen, J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3

        현대 여성들은 늘씬하고 아름다운 몸매를 선호하는 반면, 스스로의 인체는 비만하다고 여기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는 본인 신체의 실측 값으로 계산된 비만도는 모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여대생을 중심으로 로러지수 비만도와 자기인식 비만도에 따른 신체인식과 신체만족도를 파악하여 20대 여성이 추구하는 미적욕구를 충족시키는 의복 개발에 대한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범위와 내용은 수척형, 표준형, 비만형의 비만도에 따른 신체 인식과 신체 만족도에 관한 분석이다. 연구의 자료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로러지수 비만도와 자기인식 비만도의 신체인식 및 신체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폐쇄형 설문지를 이용한 질문지법을 활용하였으며, 로러지수 산출을 위해서는 신장과 체중의 인체계측법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연구표본은 PASW 18.0의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여 여대생은 실제 비만도보다 스스로 인식하는 비만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실측 비만도와 인식 비만도 사이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만도에 따른 신체 인식 영향 요인은 체중, 둘레항목, 길이항목, 넓이항목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항목들 보다 체중, 가슴둘레 그리고 엉덩이둘레가 자기인식 비만도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신체 만족도에서는 로러지수 비만도와 자기인식 비만도 모두 비만형의 신체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척형의 신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만도에 따른 신체 만족도는 체중, 상체와 하체 형태 및 실루엣, 그리고 허리 및 팔과 다리의 둘레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척형이나 표준형 여성의 의복보다는 신체 만족도가 낮은 비만형 여성의 의복 개선이 더욱더 요구됨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비만도에 의한 신체 인식이나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기 때문에 인체 특성에 따른 세분화된 의복 개발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대 소비자들의 이상적 신체와 실제 신체 차이를 고려한 의복 설계와 제작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Modern women are in favor of slim and esthetic body line but many of them are likely to consider themselves fat. In reality, however, most of them do not know their actually measured obesity. From such a point of view, this research intends to work on the bod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Rohrer"s Index and self-perception among the college women and to provide theoretical materials in developing the clothing that meets the esthetic desire for females in their twenties. Scope and contents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about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body according to the type of being thin, normal and obese. Research materials were referred to from the database in internet sites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network screening, and released publications along with dissertations and single volumes. As to the research method, question sheet was used in the form of a closed-ended questionnaire to assess the perception of physical body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body based on Rohrer"s Index and self-perception. To calculate the Rohrer"s Index, anthropometric measurement was utilized about height and weight. Collected samples were analyzed with statistical program PASW 18.0. Results turned out that the self-perceived obesity was larger than the actual obesity among the college women, indicating there is difference between the real measurement and the perception. Specific body part influential to perception appeared as weight, circumference or girth, length, and width. Of those sectional categories, such parts gave much impact on self-perceived obesity as weight, chest girth and hip girth. In satisfaction of body, the obese type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in both Rohrer"s Index and self-perception, whereas the thin type group indicated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Also, satisfaction of body by the obesity had a close relation with the weight, the shape and silhouette of upper and lower part of body, and the girth of waist, arm and leg. As a result, it could be understood that more effort should be placed on developing the female clothing for obese type than that for thin type or normal type. As there appears a different perception or satisfaction in obesity, some finley classified development should also be necessary,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about human body. Based on these outcomes, clothing design and manufacture could be predicted in consideration of difference between ideal body and real body for the female consumers in their twenties.

      • KCI등재

        과체중 아동에서 신장 성장과 비만도 변화간의 관계

        손영우,이가영,전영배 대한가정의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9

        Background: Many parents of overweight children have believed that their children's weight may be lost with the increase of their height. The purpose of this 2-year prospective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uch belief is valid. Methods: A total of 190 children (113 boys and 77 girls) aged 6-11 years who were overweight (BMI > 85th percentile of age and gender-specific 1999 Korean children standard) from two elementary schools were the subjects. Their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again after 2 years. Children and their par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eating habits and physical activity, and their attitude on weight in the beginning of study. Children's weight status was evaluated using relative BMI. Results: Children's baseline relative BMI was 134.9 ± 13.8%. About 60% of the children reported weight loss attempt and 49% of their parents tried to persuade their child to lose weight. Children's BMI increased by 1.6 ± 2.1 ㎏/㎡ and their relative BMI decreased by 1.2 ± 12.1% over 2 years. While children's eating habits and physical activity, and their attitude on the child's weight were not related to the 2-year relative BMI change, the child's age, gender, baseline relative BMI, and the 2-year height change were associated with the 2-year relative BMI change (R2 = 0.15, P < 0.001). The 2-year relative BMI increased with the 2-year height increase after controlling for the three predictors (B = 0.86, SE = 0.28, P = 0.002). Conclusion: We found the 2-year height chang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2-year relative BMI change among schoolaged overweight children. Then, the belief that children's weight status may be improved with the increase of their height should be denied. 연구배경: 과체중 자녀를 둔 부모들의 상당수에서 ‘신장이 자 라면서 비만도가 개선 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 이러한 통념이 근거가 있는지 알기 위해 과체중 학동기 아동들을 대상으로 2 년간의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김해시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에서 2003년에 과체중으 로(1999년 대한소아과학회 성별 연령별 체질량지수 기준으 로 85 백분위수 이상) 파악되었고, 2년 후 체중과 신장 측정 자 료를 추적할 수 있었던 6-11세 190명의 아동(남아 113명, 여아 77명)과 부모가 연구 대상이었다. 아동들의 식사습관, 신체활 동, 체중 감량 시도 유무와 부모들의 자녀 체중에 대한 태도를 2003년에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비만도는 상대 체질량지수로 평가하였다. 다중회귀분석으로 2년간의 신장 증가량과 2년간 의 비만도 변화량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아동들의 초기 비만도는 134.9±13.8%이었다. 63%에서 체중 감량을 시도하였고, 부모의 49%에서 자녀의 체중을 감 량하려고 시도하였다. 2년간 체질량지수는 1.62.1 ㎏/㎡ 증가 하였고, 비만도는 1.2±12.1% 감소하였다. 아동 본인의 감량 시 도, 부모의 체중 관련 태도, 아동의 식사습관, 신체활동은 2년 간 비만도 변화량과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성별, 연령, 초기 비만도, 2년간 신장 변화량은 2년간 비만도 변화량의 변이를 15% 설명하였고(R2=0.15, P<0.001) 성별, 연령, 초기 비만도를 보정한 후 2년간 신장이 많이 자랄수록 2년간 비만도가 많이증가하였다(B=0.86, SE=0.28, P=0.002). 결론: 과체중 학동기 아동에서 2년간 신장 증가는 비만도 증 가와 관련이 있으므로 신장 증가로 비만도가 개선될 것이라 는 통념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적장애인의 건강체력과 비만도의 관계

        김동만 ( Dong Man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목적은 지적장애인의 비만도(BMI, 체지방량, WHR)와 건강체력 요소를 비교 분석 후, 각각의 건강체력 요소와 비만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특수학교와 장애인보호시설의 지적장애인 906명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측정된 지적장애인의 건강체력 요소(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와 비만도(BMI, WHR, 체지방률)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BMI 비만도는 남성 지적장애인의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그리고 여성 지적장애인의 근력, 근지구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WHR 비만도는 남성 및 여성 지적장애인의 근지구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지방률 비만도는 남성 지적장애인의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그리고 여성 지적장애인의 근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장애인의 비만도 측정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체지방률로 나타났다. 남성지적장애인은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이 비만도와 관계가 있으며, 여성지적장애인은 근력, 근지구력이 비만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장애인의 규칙적인 운동 및 신체활동은 건강체력을 향상시켜 장기적으로 비만도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지적장애인의 효율적인 비만 관리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근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등의 건강체력을 향상시킨 후 운동 및 신체활동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비만을 질병으로 규정하여 사전 예방과 사후 관리를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신뢰도 높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므로 건강체력을 측정 및 적용한 개인별 누적 기초 자료를 연령별, 장애등급 등으로 세분화시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obesity rate, after examining and comparing the factors of obesity rate (BMI, body fat, & WHR)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bjects are 906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in special school and day care institution. To archive this, path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cardiorespiratory,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 flexibility) and obesity rate (BMI, body fat, & WHR)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ed. BMI obesity rate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of both men and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R obesity rate has also significant effects on the muscular endurance of men and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ody fat obesity rate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muscular endurance and cardiac endurance of 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strength of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t is shown that body fat rate is the most appropriate index to measure the obesity rat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men`s case, obesity rate is related to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ac endurance. In women, obesity rate is related to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Obesity exercise program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uld start from strength reinforcement and increasingly expand their physical activity to cardiac endurance and flexibility. The regular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mproves health and will be an important role to solve obesity rate in the long term. Therefore, basically, after improving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such as muscle strength, cardiorespiratory, & flexibility, etc,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will be improved to manage obesity rate effectively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 is a need for follow-up study which has high reliability, based on systematic prevention and post management. Therefore the accumulated basic data with records of physical fitness condition for each individual should be subdivided according to age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 KCI등재

        전산화단층영상에서 콩팥 3차원 영상 계측치와 복부 비만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김지영,성열훈 한국방사선학회 2023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abdominal obesity with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 CT) measurements of kidney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kidney sizes and abdominal obesity level. The subjects were 178 healthy adults without underlying diseases who had a comprehensive health examination at the Health Medical Center of Jesus Hospital in Jeonju. Abdominal obesity was measured by CT cross-sectional image at the level of the umbilicus and divided into visceral fat area, subcutaneous fat area, visceral fat/total fat ratio. The average comparison of kidney sizes classified according to abdominal obesity were performed throug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rrelate all measurement values. The results of kidney size ANOVA analysis according to abdominal obesity were as follows. The means of kidney measurements according to visceral fat classific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kidney measurements (p<0.05). And in case of subcutaneous fat classification, the means of kidney measurements by 3D CT of the severe obesity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right kidney width (p<0.05). In case of visceral fat area/total fat area ratio, the means of kidney measurements by 3D CT of the severe obesity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kidneys width (p<0.05). Pearson correlation between kidneys measurements and CT abdominal obesity showed that visceral fat area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left kidney width measured by 3D CT (r=0.467) and subcutaneous fat area had correlation with the right kidney width measured by 3D CT (r=0.249). The visceral fat area/total fat area ratio had correlation with the left kidney width measured by 3D CT (r=0.291). 본 연구는 복부 비만도에 따라 콩팥 크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3차원 전산화단층영상(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 CT)의 콩팥 크기 계측으로 복부 비만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전주 예수병원 건강의학센터에서 종합검진을 받은 자로 기저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 178명으로 하였다. 복부 비만도는 CT의 배꼽 주변의 횡단면에서 내장지방 면적, 피하지방 면적, 비만도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복부 비만도 간에 따라 분류한 콩팥 크기의 평균 비교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및 Scheffe 사후 검정을 통해 시행하였다. 모든 계측 값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분석 하였다. 그 결과 복부 비만도에 따른 콩팥 크기 ANOVA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장 지방도 간에 따른 콩팥 계측치의 평균은 모든 콩팥 계측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피하 지방도 간에 따른 콩팥 계측치의 평균은 3D CT 우측 콩팥 너비 계측 시 중증 비만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비만도 간에 따른 콩팥 계측치의 평균은 3D CT 우측 콩팥 너비와 좌측 콩팥 너비 계측 시 중증 비만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콩팥 계측치와 CT 복부 비만도 간의 Pearson 상관분석 결과 내장지방 면적은 3D CT 좌측 콩팥 너비와 상대적으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r=0.467)를 보였으며 피하지방 면적은 3D CT 우측 콩팥 너비와 양의 상관관계(r=0.249)를 보였다. 비만도에서는 3D CT 좌측 콩팥 너비와 양의 상관관계(r=0.291)를 보였다.

      • KCI등재

        비만도와 체력이 비만 아동의 자기 효능감, 삶의 질,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안현선,정경미,전용관 한국건강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comparisons on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attributes of normal weight,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were conducted. Second, the influence of BMI and physical fitness interaction on psychological adaptation in children with obesity was explored. Participants were 245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9 and 13 years (64.5% males). Data on children considered overweight (n = 45) or obese (n = 78) were gathered from the Korean Obese Children's Physical Activity (KOCPA) projects. Normal weight children (n = 122) were recruited from two Seoul elementary schools. Psychological measurements included Weight Efficacy Life-style Questionnaire (WEL), Physical Self-efficacy Scale (PSES), Child Dietary Self-efficacy Scale (CDSS), Self-concept Inventory (SCI),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Quality of Life Intervention TM Version 4.0 Generic Core Scales (PedsQLTM4.0). BMI (kg/m2) and physical fitness (e.g., aerobic endurance, flexibility) were recorded by experts in exercise physiology.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in the high BMI group reported poorer psychological adaption and demonstrated lower physical fitness when compared to the remaining groups. Compared to normal weight children, children considered overweight and obese were found to have lower physical self-efficacy, more negative self-concept, and poorer quality of life. Further, these children also had significantly lower physical fitness levels than their normal weight counterparts. Physical fit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weight efficacy (WEL), physical self-efficacy (PSES), and quality of life (PedsQL) in children considered overweight or obese. A significant BMI-physical fitness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for self-concept (SCI) only. Children with higher BMI reported poorer self-concept regardless of fitness level whereas children with lower BMI and higher fitness reported more positive self-concep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6학년을 대상으로 첫째, 비만도에 따른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체력 수준의 차이를 밝히고, 둘째, 비만도와 체력이 과체중 이상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과체중 이상 아동은 ‘한국 비만 아동의 신체 활동과 건강(KOCPA)' 연구의 비만 캠프 프로그램에서, 대조군 아동은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표준 성장도표의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모집되었다. 심리사회적 변인으로 자아 효능감 검사(식이 자아 효능감, 체중 조절 효능감, 신체 효능감), 자아개념검사, 소아용 삶의 질 검사가 사용되었으며, 신체 계측 및 체력은 직접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비만도가 증가할수록 심리사회적 적응과 체력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체중 및 비만 아동은 정상체중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효능감 및 자아개념, 삶의 질을 보고하였다. 과체중 및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심리사회적 적응에 비만도와 체력, 두 변인의 상호작용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체력이 좋을수록 높은 체중조절 효능감, 신체 효능감, 삶의 질이 예측되었다. 또한 비만도와 체력의 상호작용 효과가 비만 아동의 자아개념 수준을 예측하였는데, 이는 비만도가 그리 높지 않은 아동들은 체력 수준의 향상이 자아개념을 유지할 것이라고 예측 가능하지만 비만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을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비만도의 감소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의 신체활동수준이 비만도 및 심폐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안재웅 ( Jae Woong Ahn ),김대연 ( Dae Yeon Kim ),한민규 ( Min Kyu Ha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신체활동의 수준에 따른 비만도와 심폐지구력과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남학생 59명, 여학생 35명, 총 94명을 무선 표집하여 신체활동수준, 신체구성 그리고 심폐지구력을 측정하였다. 신체활동수준은 한국어판 국제 신체활동설문지(IPAQ)를 이용하여 세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비만도는 BMI, WHR, %Fat을 산출하였다. 심폐지구력은 하버드스텝 테스트를 이용하여 신체효율지수(PEI)를 산출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s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각 변인별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을 산출하고,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공변량분석(ANC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때 유의수준은 .05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성별에 따른 비만도는 %Fat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5.188, p<.001)를 나타냈다. 둘째, 지적장애학생의 성별에 따른 심폐지구력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지적장애학생의 신체활동수준에 따른 비만도는 %Fat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F=4.24, p=.017)를 나타냈다. 넷째, 지적장애학생의 신체활동수준에 따른 심폐지구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F=22.701, p<.001)를 나타냈다. 다섯째, 지적장애학생의 비만도와 심폐지구력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장애인의 신체활동수준은 심폐지구력과 비만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적장애인의 심폐지구력 향상과 적정 비만도 유지를 위해서는 규칙적인 또는 일상적인 신체활동 참여를 증가시켜 체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levels on obesity degree and cardiorespiratory endurance i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accomplish such purpose, 59 male students and 35 female students in the total of 94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attending special school were randomly sampled. In regards to the physical activity level, the Korean version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was used for the classification into three groups, and the obesity degree was shown by calculating BMI, WHR and %Fat. In regards to th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Harvard Step Test was used to calculate physical efficiency index(PEI). In regards to the data processing, Windows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SD) of each variable, and ANCOVA,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during which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s α=.05 and Scheffe`s Test was conducted.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obesity degree according to the gende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t=-5.188, p<.001) only in the body fat percentage except for WHR and BMI. Second, th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ccording to the gende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s. Third, the obesity degree according to the physical activity level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F=4.24, p=.017) only in the body fat percentage except for WHR and BMI. Fourth, th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ccording to the physical activity level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F=22.701, p<.001). Fifth, the obesity level and cardiorespiratory enduranc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veale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Physical activity level in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o have a affects on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nd obesity degree so that to improve cardiorespiratory and to maintain the normal obesity degree.

      • 비만도에 관련된 대학생의 식이효능감, 식습관 및 자기효능감

        오선영,왕수경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0 自然科學 Vol.21 No.-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식이효능감, 식습관 및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한 자료는 대전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247 명을 대상자로 하였으며 , SPSS program 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상관관계,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조사 대상자의 65.3%가 정상체중, 22.1%가 과체중 또는 비만이였으며 12.7% 가 저체중이였으며 비만한 남학생 수가 비만한 여학생 수보다 많았다 . 대학생의 식이효능감, 식습관, 자기효능감과 대학생의 비만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여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식이효능감, 식습관, 자기효능감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 조사 대상자의 식이효능감, 식습관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비만도에 미치는 상대적영향력은 규칙적인 식습관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dietary self-efficacy , food habit, self-efficacy, obesity index according to gender, and the effects of dietary self-efficacy , food habit, self-efficacy on obesity index among university student.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47university student who had been life in Daejeon city. The pilot study was us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survey instrument,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frequency , percentage. Cronbach 's a, factor analysis , t-test ,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program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partially differences in dietary self-efficacy , food habit. self-efficacy , obesity index according to gender 2) for university student. Food Habit had predicted to obesity index.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비만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 및 신체활동 자기효능감

        장현숙,황인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8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nutrient intake, dietary self-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obesity index in Gyeongbuk area.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7 to June 18 in 2005. The study was performed by analyzing a questionnaire answered by 523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5th and 6th grade. The obesity index was gained by height and weight data. Nutrient intakes was evaluated by 24hr-dietary record.Statistical data analysis were complet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The result of the body measurement was that 31.7% of underweight group, 45.1% of normal group, 12.8% of overweight group, 10.3% of obese group. 13.9% of underweight group experienced weight control, and 17.5% of the subject respond they will try the weight control in the future. 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xercise frequency than female students(p<0.001). Male underweight group and female obese group show the highest exercise frequency.Daily energy intake of the subject showed 80.1% in male students and 87.5% in female students revealed under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RDA) for Korean. The intake ratio of energy nutrients was identical in male and female of underweight group and obese group, so this showed that intake style was similar in two groups. By investigating through MAR(mean adequacy ratio), underweight group of male students and both normal and overweight group of female students were lowest, while overweight group of male students and underweight group of female students were the highest.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and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by obesity index was higher in underweight group of male students and obese group in female. 본 연구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왕성한 발육이 나타나며 활동량이 많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비만도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고 그에 따라 각 집단별로 어떠한 문제를 나타내는지 정확히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경상북도 중소도시 5,6학년 52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대상 집단의 비만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 식이 자기효능감 및 신체활동 자기효능감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신체계측결과 전체 31.7%가 저체중군, 10.3%가 비만군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최근 비만, 저체중의 양극화 현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체중조절 경험 여부에서 전체아동의 31.7%가 체중조절 경험이 있었으며, 비만도에 따라 남여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특히 체중 감소가 필요 없는 저체중군의 13.9%가 체중조절을 경험하였으며, 17.5%가 체중조절을 시도할 것이라 답해 건강관리를 위한 체중조절이 아닌 잘못된 체형인식을 통한 체중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영양소 섭취상태는 비만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어, 단백질, 인, 비타민E, 비타민 B6는 높은 섭취를 보였고, 남학생의 경우 칼슘과 아연, 여학생의 경우 철분과 칼슘의 섭취량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올바른 성장과 신체발달을 위한 성별비만도별 영양소 섭취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신체활동 자기효능감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비만도에 따른 신체활동 자기효능감 분포 점수는 남학생의 경우 저체중군에서 높게 나타났고, 여학생의 경우 오히려 비만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청소년의 비만도와 건강체력의 관계

        이양구(Yang Gu Lee),오수학(Su Hak Oh)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2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특정 지역 제한과 소수의 연구 대상을 이용한 연구 설계 및 운동관련 체력요인 간의 차이 비교에만 치중하였던 연구의 제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국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청소년들의 비만도와 건강체력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6개 시·도 각 3개교 중·고등학교 총 18개교(3,047명)의 학생건강체력평가 측정 기록을 토대로 실시하였고, 청소년들의 건강체력 등급에 따른 체지방률 평가기준(NYC & ACSM) 간의 차이와 비만도와 체지방률 평가기준에 따른 건강체력 기록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건강체력에 따른 비만도 여부와 건강체력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체력 등급별 체지방률은 청소년들 모두 NYC와 ACSM 기준을 적용하였을 경우 건강체력은 아주 높은 1등급부터 보통인 3등급까지 체지방률 분포는 정상 또는 과체중에 속해 있다. 둘째, 체지방률 평가기준별 건강체력은 NYC와 ACSM 기준을 적용하였을 경우 비만도는 체지방률 평가기준에 따라 건강체력 요인별 기록 패턴의 차이가 있다. 셋째, 비만도와 건강체력 요인별 관계에서는 중학교 남학생은 심폐지구력과 근지구력에서, 고등학교 남학생은 근지구력에서 비만군의 건강체력 수준이 정상군에 비해 낮게 나타나고 있어 비만도 여부에 따라 건강체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ies to have researched the difference of factors related physical fitness of local area were proceeded, which had the limitation that these results could not represent the a popul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of whole country teenagers. For the purpose, we choose the 18 schools 3,047 students including middle school(1,993), high school(1,054) which were located in 6 city. With the students` PAPS(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record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ccording areas. We used SPSS 12.0 program for data management.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fat mass according to the level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to research the difference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the valuations(NYC & ACSM), one-way ANOVA was used and for the relation between obesity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he results were followed as below : On the %fat mass according the level of health with two valuations(NYC & ACSM), it showed that %fat mass of distribution from 1 to 3 magnitudes were belonged to normal group or overweight group, which indicated that students who were not obesity had mor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than obese group. On th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the valuations(NYC & ACSM), There was some different %fat mass patten on factors of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Test of hypothesis result about statistical significance about relation by body condition and health & fitness factor. On the relation between obesity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there was model which might indicat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with obesity in male students, but not females. However, obese group of cardiorespiratory endurance in muscular endurance in middle school, and of the muscular endurance in high school had lower health level than normal students, which showed that obesity might affect th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teenagers.

      • KCI등재

        저소득층 중학생의 비만도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차이 분석

        정성희,박수정,장현숙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저소득층 중학생을 대상으로 비만도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지역주민센터 자료를 근거로 저소득층 확정을 받은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가정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5년 7월 3일부터 2015년 7월 17일까지 2주간에 걸쳐서 조사하였으며, 조사대상 인원은 총 440명이었다. 비만도 평가는 대한 비만학회의 규정에 따라 BMI<18.5은 저체중, 18.5≤BMI≤22.9은 정상, 23.0≤BMI≤24.9은 과체중, BMI≥25.0은 비만으로 분류하였다. 스트레스 조사는 가정환경, 친구, 학업, 교사/학교 등 4가지 하위 영역별로 구분하여, 총 27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1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조사지의 신뢰도 값은 Cronbach α=.967이었다.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은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5개 영역은 교사관계적응, 교우관계적응, 학교수업적응, 학교생활적응, 학교환경적응 등 이며, 각 영역은 4문항으로 총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비만군에서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정상체중군은 스트레스 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비만군에서 학교생활 적응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정상체중군은 학교생활 적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만군에서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고, 정상체중군은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만도는 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p<0.01), 비만도와 학교생활적응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p<0.001),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p<0.01).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1), 학교생활적응은 자아존중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저소득층 학생은 비만군의 분포가 가장 높고, 비만군일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높으며, 학교생활 적응이 낮고, 자아존중감이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tress, school life adaptation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obes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low income clas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selected among students from low income class, confirmed as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and classified as lower income group, based on community service center data. As for measurement tools, BMI was calculated, which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ir obesity. For stress, the four-point Likert scale on daily stress was used, which was developed for Korean adolescents by Han (2011). For school life adaptation, the five-point Likert scale by Choi (2010)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For self-esteem, the four-point Likert scale by Lee (2013)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the students from the low income class belonged to the obese group.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low income class of the Daegu area, the obese group had lower scores in all five domains of school life adaptation (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school class, school life, school environment), while the normal weight group had higher school life adaptation.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low income class of the Daegu area, the obese group had lower self-esteem, while the normal weight group had higher self-este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