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면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일본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안주영(Ahn, Joo-Young),신지현(Shin, Ji-Hyun)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비대면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일본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다문화 관련 복지센터의 회원인 일본 결혼이주여성 24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을 무선 배치하였다. 연구기간은 2021년 10월 1일부터 11월 12일까지 실험집단에 한해서 주 2회, 매회기마다 60분씩 총 12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삶의 의미 척도와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맨-휘트니 U 검증(Mann-Whitney U test)과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비대면집단미술치료가 실험집단의 삶의 의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비대면집단미술치료가 실험집단의 심리적 안녕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셋째, 비대면집단미술치료의 변화 과정에서는 중년이 된 자신의 모습을 인정하고 과거의 긍정적인 자원과 함께 삶의 의미를 통합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변화를 보였다. 연구결과는 비대면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일본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how an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affects the meaning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Japanese middle-aged married migrant women. The participants were 24 Japanese middle-aged married migrant women who were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located in S city.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2 members in each.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the 60-minute online therapy sessions twice per week for a total of 12 sessions from October 1, 2021, to November 12, 2021. The Meaning of Life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were used as measuring tools. I analyzed the data under the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 an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on the meaning of life. Second, this program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respect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rticipants. Third, in the process of each program, experimental group members acknowledge themselves as middle-aged women and showed the change in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integrating the meaning of life in the past and present.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an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can improve the meaning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Japanese middle-aged married migrant women. Based on the resul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성인 여성의 섹슈얼리티 인식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젠더감수성과 자아존중감 변화

        박성혜 한국예술치료학회 2025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섹슈얼리티 인식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젠더감수성,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S 대학교 여대생과 대학원생 총 8명이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주 2회 8회기(16시간) 섹슈얼리티 인식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섹슈얼리 티 인식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성지도 그리기, 성역할 고정관념, 성 이미지 콜라주, 바디스캔, 관계에서의 그림자와 페르소나 미술작업 등을 진행하였고 매 회기 도입-주 미술활동-나누기 시간으로 구조화하 였다. 연구참여자의 젠더감수성,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회기 관찰 기록지, 미술작품 등을 질적 분석하였고 관련 척도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자화상과 나무 그림검사와 PDI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인 여성의 섹슈얼리티 인식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젠더감수성과 자아존중감에서 변화 가 있었으며 참여자 모두 이 프로그램 참여 이후 섹슈얼리티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섹슈얼리티 인식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성인 여성의 젠더감수성 과 자아존중감의 긍정적인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성인 여성의 섹슈얼리티 인식 기회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집단미술치료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nline group art therapy focused on sexuality awareness for adult women, specifically exploring changes in their gender sensitivity and self-esteem.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eight femal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from S University. They took part in an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cused on sexuality awareness, which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eight sessions (16 hours). The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xuality awareness included drawing a sexual map, exploring gender role stereotypes, creating sexual image collages, body scanning artwork, and art exercises addressing shadows and personas in relationships. Each session followed a structured format: introduction, main art activity, and sharing time.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ession observation records and participants' artworks to examine changes in participants' gender sensitivity and self-esteem. Additionally, pre- and post-program scores on relevant scales were compared, and self-portraits, tree drawings, and the PDI(Post Drawing Inquiry) cont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changes in gender sensitivity and self-esteem among adult women through the online group art therapy focused on sexuality awareness. All participants report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overall sexual awarenes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refore, this study highlights the positive changes in gender sensitivity and self-esteem among adult women through the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cused on sexuality awareness. It also confirms the applicability of group art therapy in providing opportunities to enhance sexuality awareness in adult women, making it a valuable approach.

      • KCI등재

        감정표현불능 성향 부모의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강민수,한유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4 예술심리치료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감정표현불능 성향 부모의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3세 이상 만 5세 이하의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7명을 선별하여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7명으로 계획하였다. 실험집단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주 2회, 1회 9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어떤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감정표현불능증 척도, 포커싱적 태도 척도, 부모-자녀 관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은 감정표현불능 수준을 개선하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은 감각 느낌을 알아차리고 정서적 통찰로 이어질 수 있는 포커싱적 태도를 유지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관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정표현불능 성향 부모의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 과정의 변화를 보기 위해 내용 분석한 결과 감정표현에긍정적인 변화가 있었고, 정서적 통찰 수준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online group therapy program based on focusing-oriented art play for emotional insight of parents with alexithymic traits, especially conducted for mo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evaluated the program's effectiveness. While the program proceeded, 17 mothers with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three and five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sisted of 10 and seven people, respectively. The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10 participants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y received the treatment twice a week, 90 minutes each time and a total of 10 sessions. In contrast, th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In this research, the Alexithymia Scale and Focusing Manner Scale,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Children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is program, this study were obtained. Firstly, the result of the program indicated a significant effect on decreasing alexithymia levels. Secondly, the program was also essential in recognizing the sense of feeling and maintaining a frame of mind that can lead to emotional insight. In addition, the program for emotional insight significantly impacted parent-child interactions. Lastly, there were excellent improvements in enhancing emotional insight levels after the therapy program.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의 대면·비대면 혼합 노인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변혜진,김서현,양모란 한국예술치료학회 202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감염병 대유행 시대에 진행된 노인 대면·비대면 혼합 집단미술치료 과정의 경험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참여자는 복지관 홍보를 통해 모집된 65세 이상 노인 7명이다. 참여자들은 2021년 4월 16일부터 8월 16일까지 주 1회씩 총 17회기에 걸쳐 진행된 대면·비대면 혼합 집단미술치료를 경험하였다. 자료 수집은 집단미술치료 진행자의 일지, 관찰자의 행동 관찰, 결과물 이미지, 축어록, 참여자의 발표 내용 및 사후 1회 60분간 진행된 1:1 심층 면담 자료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한 참여자의 집단미술치료 경험 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세상과 통하는 문이 닫힘(고립기), 새로운 연결에 대한 기대감(의 지의 발현기), 낯선 경험 앞에서의 막막함(혼란기), 익숙한 반복이 주는 안도감(안도기), 세상과 통하는 문을 열고 나아감(도약기)’의 5단계로 구분되었다. 참여자들에게 있어 코로나19 시대 대면·비대면 혼합 집단미술치료 경험 은 새로운 사회적 소통의 기회이자 다양한 방식을 통해 자신의 인생을 돌아봄으로써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조화롭 게 받아들이게 되는 과정이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접근을 통해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노인 미술치료 방법의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a mixed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group art therapy program during COVID-19. The participants were seven older adults aged 65 and older who were recruited outreach at a local welfare center. They participated 17 sessions of mixed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group art therapy, once a week, from April 16 to August 16, 2021.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aily records by the therapist, observations of participant behavior by an observer, images of the results, presentations by the participants, and one 60-minute in-depth one-on-one interview after sessions. Analyzed by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pariticipants’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was divided into five stages over time: colsure from the door to the world (phase of isolation), expectation of new connections (phase of will revelation), hopelessness in the face of unfamiliar experiences(phase of confusion), the relief from familiar repetition(phase of relief), and opening the door to the world (phase of a leap). In the era of COVID-19, mixed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group art therapy provided participants with new opportunities for social interaction and enabled them to accept and understand their lives in different ways through a process of positive and harmonious self-refle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stablished basic data for a new art therapy, which has the potential to be applied in the field through various approaches.

      • KCI등재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대학생의 자기표현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안상희,양지민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5 안전문화연구 Vol.- No.38

        본 연구는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대학생의 자기표현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A시에 위치한 B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교부적응 대학생 3명으로, 2024년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총 12회기 동안 주 1~2회, 90분씩 비대면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기표현척도, 대인관계척도, 나무그림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으며, 각 회기별 주요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는 학교부적응 대학생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는 학교부적응 대학생의 대인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질적분석에서 학교부적응 대학생은 미술활동을 통해 자신의 부정적 정서를 탐색하고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전 그림검사에서는 줄기의 옹이와 스트로크, 작고 빈약한 나무의 표현이 불안과 대인관계 소통의 어려움 등 부정적 자기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후 그림검사에서는 나무와 수관의 크기가 커지고 옹이가 줄어들며 좋은 열매로 표현되어 불안과 부정적 감정이 완화되었고, 신뢰감 있는 대인관계를 경험함으로써 내적 회복이 이루어졌으며 자기상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대학생의 자기표현과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조기 개입 중재프로그램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rtual group art therapy on self-ex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development in college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ree college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enrolled at B University located in City A.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30, 2024, a total of 12 sessions of virtual group art therapy programs were conducted, held 1–2 times per week for 90 minutes each. The research tools included the self-expression sca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and tree drawing test, which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for comparative analysis. In addition, major changes in each session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virtual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of college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Secondly, virtual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college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Thirdly, in the qualitative analysis, college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explored their negative emotions and expressed them visually through art activities, showing how they understood and regulated their emotions. In the pre-drawing test, negative self-image, such as anxiety and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as expressed through the knots and strokes on the tree trunk, as well as the small and sparse tree. However, in the post-drawing test, the size of the tree and canopy increased, the knots decreased, and instead, good fruits were depicted, indicating that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were alleviated, and a trus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shown. This also demonstrated that internal recovery had taken place and that the self-image had positively changed. The above results show that virtual group art therapy could be used as an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llege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It also had 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college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Thirdly, the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college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explored their negative emotions through art activities and also they visually expressed them, demonstrating an ability to understand and regulate their emo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virtual group art therapy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n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llege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 KCI등재후보

        온라인 기반 인간중심 미술치료 집단상담이 부모와 함께 참여한 학교 부적응 중학생의 자존감, 내적 통제성에 미치는 효과

        김혜영(Kim, Hye-Young)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1 부부가족상담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미술치료 집단상담이 학교 부적응 중학생의 자존감, 내적 통제성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에 재학중인 학교 부적응 중학1-2년생 46가족(통제집단 23가족, 실험집단 23가족)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은 서울시 00구 00가족 상담센터에서 공개모집을 통해 모집되었으며, 독립변수로 실험 처치(집단상담)를, 종속 변수로 자존감 및 내적 통제성을 설정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부모와 함께 참여한 중학생들에게 실시하였다. 모집된 참여자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만 주 2회, 회기당 100분씩 총 15 회기의 집단상담을 줌(zoom) 활용 비대면으로 실시하였고 종속표본 t 검증을 통해 통제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점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집단상담에 참여한 학교 부적응 중학생의 자존감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 집단상담에 참여한 학교 부적응 중학생의 내적통제성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미술치료 집단상담을 통해 부적응 청소년과 부모 간 어렵게 시도한 대화와 미술 활동으로 서로의 감추었던 밑 마음을 알아차림으로써 인지적인 추론 또는 감정 상태에 있어서 자신감을 준 결과이며, 자신이 스스로 운명을 지배하여 자신에게 일어난 상황들에 대하여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한다는 긍정적인 변화로 해석할 수 있으며 지속적 활용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group counseling using art therapy affects self-esteem and internal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school life maladjustment issues. In this study, group counseling utilizing art therapy was provided to 46 families (23 families in a control group and 23 families in an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and the famil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ncreased self-esteem. Second, the level of their internal control was increased. Lastly, it was discussed that group counseling using art therapy provided confidence in cognitive reasoning or emotional states by recognizing each other s hidden underlying mind through having difficult conversations and art activities between maladaptive adolescents and parents.

      • KCI등재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사진을 활용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혼합연구 -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왕붕,김현미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사진을 활용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에서 집단미술치료가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SPSS 26.0 프로그램으로 검증하고 추후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그들이 경험한 것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에 있는 2개 대학, 부산, 공주, 대구, 전주 각각에 있는 1개 대학에 재학 중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24명 중 두 집단으로 구성된 실험집단 A, B에서 회기에 온전히 참석한 8명을 임의추출하고 그들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이후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전, 사후검사에서 점수 차이가 많은 3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에 따른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사진을 활용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는 주 2회, 회기 당 90분씩 총 8회로 2023년 6월 30일부터 7월 26일까지 약 한 달간 연구자가 아닌 미술치료사가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실험집단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측정도구 사후검사의 전체 점수와 하위요인인 지각된 차별감, 향수병, 지각된 적대감, 두려움, 문화적 충격, 죄책감, 기타 모두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나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둘째, 개방 코딩 분석 과정을 통해 ‘회기에 점진적으로 적응해 나아감’,‘사진의 장점을 활용하여 쉽게 표현하는 자유를 누림’,‘사진을 통해 잊었거나 놓쳤던 것들이 되살아나며 새로운 의미가 됨’,‘집단미술치료 회기에서 연결감과 위로를 얻음’,‘나를 새롭게 보고 미래를 꿈꾸는 힘을 얻게 됨’으로 5개의 상위 범주, 12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COVID-19 상황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최아린(Arin Choi),이매화(Li Mei-hua),한경아(Han Kyeong-a)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enhancing the resilience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comprising a total of eight 90-minute sessions, was developed based on a systematic program development model, along with surveys and experts consultations, to enhance the resilienc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verified by testing the program with an experimental group(N=5) and a control group(N=5), which together included 10 Chines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Korea, from April 28th to June 16th, 2020. The states of each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compared and quantitatively analyzed. The Wilcoxon test, a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was used to compare the stat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ithin each group. The results showed noticeabl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s in their resilience(p=.009), in which self-control abilities(p=.009), interpersonal skills(p=.008) and positivity(p=.008), were included. Notably these results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enhancing the resilienc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상황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체계적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요구 조사와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총 8회기, 회기당 90분으로 구성되었다.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2020년 4월 28일부터 6월 16일까지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재한 중국인 유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N=5)과 통제집단(N=5)을 운영하여 검증하였다. 이후 프로그램 처치 사전-사후 시점에 따른 비교를 통해 양적 분석하였으며, 활동 보고서 및 개인별 면담자료를 통해 양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였다. 비모수 통계 방법인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의 차이를 그룹 간에 비교한 결과, 회복탄력성 전체(p=.009), 하위 자기조절능력(p=.009), 대인관계능력(p=.008), 긍정성(p=.008) 모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COVID-19 상황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제시했으며, 향후 비대면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자기조절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이미영,한경아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6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group art therapy for the prevention of cyberbullying on the empathy and self-regu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a non-face-to-fac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cyberbullying was design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empathy and self-regulation as 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the pre- and post-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verified in the pre- and post-change of empathy and self-regul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he comparison of post-scores of empathy and self-regul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a non-face-to-face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prevent cyberbullying has an effect on enhancing empathy and self-regulation.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a non-face-to-face group art therapy program at the class level was confirmed.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본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및 실시 기간은 2020년 5월 1일부터 11월 3일까지이고, 총 4회기에 걸쳐 인천광역시 소재 B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약 6개월간 진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독립변인으로, 공감능력과 자기조절력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실험연구를 설계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를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실험집단의 공감능력과 자기조절력의 사전·사후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공감능력과 자기조절력 사후 점수 비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공감능력과 자기조절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 학급 단위의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 KCI등재

        비대면(화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양윤정,정대겸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3 다문화와 평화 Vol.17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non-face-to-face (video) group art therapy programs affect the acculturative stress of Vietnamese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nine Vietnam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B University located in A city, Gyeonggi province. A total of eight sessions, 9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was conducted. In order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acculturative stress test was conducted in advance and afterwards to compare the cha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n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s conducted non-face-to-face (video) are effective in reducing acculturative stress of Vietnamese students. In other words, the acculturative stress score of Vietnamese students has decreased. Second, in the process of collective art therapy program sessions, positive changes were also shown in the impressions through the works regarding acculturative stress. The above findings demonstrate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s conducted in non-face-to-face (video) were effective in reducing acculturative stress of Vietnam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비대면(화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베트남 유학생 18명이며, 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으로 무선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 회기당 90분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Program 27.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그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화상)으로 실시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별 진행과정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작품을 통한 소감문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비대면(화상)으로 실시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입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