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강현실 기반 언어중재가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동사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윤지,권순복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1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은 명사를 산출하는 것 보다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사를 표현하는 것에 더 어려움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다감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기반 언어중재가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동사 어휘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성인 실어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언어치료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의 동사 습득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매 회기 동사 이름대기 점수를 분석하여 정반응률을 파악하였고, 자발화 수준에서 어휘다양도가 향상 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표준화된 검사 도구인 파라다이스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 개정판(PK-WAB-R)과 보스턴 이름대기 검사(K-BNT)를 실시하여 대상자들의 향상된 동사 이름대기 능력이 다른 언어영역에도 일반화 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브로카 실어증 환자 3명을 대상으로 단일대상 연구 방법 중 중다기초선 설계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중재 효과를 심도 있게 평가하기 위해 3명의 소수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파라다이스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 개정판(PK-WAB-R)을 실시하여 심도와 중등도 실어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선정하였고, 뇌졸중 발병 후 자발적인 회복 기간이 지났다고 판단되는 발병 후 6개월이 지난 만성기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는 동사 68개 어휘 중에서 대상자들에게 고빈도로 사용된다고 판단한 어휘 26개를 선정하여 검사어휘로 선정하였다. 언어치료 중재는 총 24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초선 단계 3회기, 증강현실 언어치료 중재단계 20회기, 유지단계 1회기로 구성되었고 중재는 일대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증강현실 기반 언어중재가 나타낸 결과는 동사 이름대기 점수의 향상, 자발화 상황에서 어휘다양도와 품사별 어휘 산출 빈도의 향상, 중재 전과 후의 언어지수와 실어증 지수의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브로카 실어증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증강현실 기반 언어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해 보았고, 증강현실 기반 언어중재가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동사 어휘 개념 획득과 운동피질 영역에 영향을 미쳐 언어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 실어증 환자의 언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베르니케실어증과 브로카실어증 환자들의 명사와 동사 인출 비교

        현정문(Jung Moon Hyun),김향희(Hyang Hee Kim),신지철(Ji Chul Shin),서상규(Sang Gyu Se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3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ascertain whether verb or noun deficits are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type of aphasia and whether they are related with a specific brain lesion sit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naming performance obtained by both Broca's and Wernicke's aphasic groups on verbs was low- er than that on nouns. However, only Broca's aphasics were significantly more impaired on verb than noun namings. In addition, Wernicke's noun naming was significantly poorer than Broca's noun naming. (2) All of the patients with severe noun deficits had lesions in the left middle-inferior temporal lobules, but patients with verb deficits did not reveal common lesions. The results were contrary to the common belief in that verb deficits were not a unique feature for Broca's aphasia. It is noteworthy that all of the patients with noun deficits had lesions essentially involving the left middle-inferior temporal lobule, indicat- ing neuroanatomical correlates of noun processing. 본 연구는 그림이름대기 과제를 사용하여 베르니케실어증과 브로카실어증 환자에게 명사와 동사의 인출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명사와 동사의 인출 차이가 병소부위에 따라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 가를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환자군간 비교에서 베르니케실어증 환자군은 브로카실어증 환자군에 비해 명사의 정반응수가 유의하게 적었다. 그리고 환자군 내 비교에서 브로카실어증 환자군은 동사의 정반응 수가 명사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또한 명사의 손상을 보이는 환자군은 중·하부 측두엽의 손상과 밀접한 관계를 보인 반면, 동사손상 환자군은 병소부위와 뚜렷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브로카실어증 환자가 동사의 손상을 보이는 반면, 베르니케실어증 환자는 명사와 동사 모두에서 인출장애를 보였으므로, 두 환자군에 대한 명사와 동사의 이중해리(double dissociation)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명사손상이 뚜렷하게 관찰되는 환자들에게서 특정한 병소부위와의 관련성이 있을 수 있음이 나타났다.

      • KCI등재

        의미 단서가 중등도 브로카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에 미치는 영향

        배진애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2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if differences in naming abilities existed when presenting K-BNT semantic cues and ontological semantic cues to moderately impaired Broca aphasics. Methods :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1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moderate impaired Broca's aphasia by P·K-WAB-R. The experimental tools used by Jung (2016) were appl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ontological semantic cues on the naming. Results : First, compared with three conditions, namely before presenting semantic cues, and after presenting K-BNT and ontological semantic cues, the naming ability was shown to be high when semantic cues were presented. Second, after examining whether the K-BNT semantic cues or the ontological semantic cues have more influence on naming, the ontological semantic cues were more effective in naming in patients with moderate Broca's aphasia. Third, the mean of each stage of the ontological semantic cue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umber of corrective responses between the three stag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 Although the study's population is small and difficult to generalize, we could see that semantic cues are an effective way to facilitate word retrieval in naming in aphasic patients. However, in the case of hierarchical semantic cues, such as ontology, it can improve naming ability, and the presentation of semantic cues is considered a good approach for naming intervention in aphasic patients. 목적: 이 연구에서는 중등도의 브로카실어증 환자에게 K-BNT 의미 단서와 온톨로지 의미 단서를제시하였을 때 이름대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에 참여한대상자는 파라다이스ㆍ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에 의해 중등도의 브로카실어증으로 진단된 15명을대상으로 Jung(2016)이 온톨로지 의미 단서가 경도의 명칭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에 미치는 영향을살펴보기 위하여 사용한 실험도구를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의미 단서를 제시하기 전과 K-BNT 의미단서와 온톨로지 의미 단서를 제시한 후 이름대기 수행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 단서를 제시하였을 때이름대기 수행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등도의 브로카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시 K-BNT 의미 단서와 온톨로지 의미 단서 중 어떤 단서가 이름대기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온톨로지 의미 단서가 중등도의 브로카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에 더 효과적이었다. 셋째, 세 단계로이루어진 온톨로지 의미 단서간의 정반응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의미 단서단계에 따른 평균을 비교한 결과, 모든 단계간의 의미 단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어의 의미 자질을 고려하여 위계적으로 구성된 의미 단서가 이름대기 수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단서로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 이번 연구의 모집단이 너무 작아 일반화시키기에 무리가있지만, 의미 단서가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시 단어 인출을 촉진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있었다. 온톨로지 의미 단서처럼 위계적으로 구성된 의미 단서일 때 이름대기 수행력을 더 향상시킬 수있으며, 의미 단서 제시는 임상에서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중재 시 사용할 수 있는 좋은 기법이라고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브로카실어증 환자들의 동사이해결함의 범주특정적 특색

        윤정미(Jungmi Yoon),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브로카실어증 환자들의 동사이해 결함에 의미의 범주특정적 특색이 나타나는가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사를 동작성과 비동작성의 두 범주로 분류하여 브로카실어증 환자들의 동사이해능력의 두 범주 간 차이를 비교하였고, 비동작성동사로 분류된 동사들을 인지, 감정, 지각 동사의 하위범주로 나누어 그 중 인지동사와 감정동사 간의 이해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연구대상자들의 오반응유형을 분류하여 오류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20명(남자 16명, 여자 4명)으로 모두 K-WAB에 의해 브로카실어증 환자로 진단된 사람들이며, 실험에 사용된 동사의 이해과제는 어휘-그림 짝짓기로서 4개의 그림들 중 제시된 하나의 그림을 선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브로카실어증 환자들의 동사이해능력에서 동작성동사와 비동작성동사의 두 범주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비동작성동사의 하위범주인 인지동사와 감정동사의 이해능력에는 범주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오반응 시 나타난 오류유형은 의미관련어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음소관련어가 많이 나타났고, 가장 적게 나타난 오류유형은 무관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브로카실어증 환자들의 동사이해능력에서 동작성과 비동작성의 범주 간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것은 뇌손상에 의하여 어휘범주의 이해에 선택적 결함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할 수 있다. Many of recent neuropsychological literatures have dealt with specific semantic word categories in aphasia. Moreover, a considerable number of the research works have demonstrated that words can be selectively impaired after a brain da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Korean Broca’s aphasic patients are selectively impaired in verb comprehension. Twenty Broca’s aphasic patients(14 male, 6 femal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 test was devised to assess participants’ comprehension of single verb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point to the picture depicting the spoken stimulus word. Three distractors were incorporated for each of the target words: semantically related distractor, phonologically related distractor, and the distractor which was unrelated to the target word. The verbs used in the comprehension task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action and non-action. All test verbs were selected from the list of words with high frequencies of occurrence in Korean. Action and non-action verbs were also matched in terms of frequencies of occurrence. The non-action verbs were classified into 3 subcategories, cognitive, perceptive, and emotional.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Some participants had more comprehension impairment in action verbs than non-action verbs and vice versa.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s’ comprehension abilities of cognitive and emotional verbs in the subcategory of non-action verbs. (3) The most frequent error type was the semantic errors which was followed by the phonological errors and the errors of unrelated words in that order.

      • KCI등재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의문문 이해

        박정은,최예린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1 재활복지 Vol.15 No.2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ary cues they relied on to understand interrogative sentences when the group with Broca's aphasia and the normal group understood interrogative sentences requiring postposition cues which were grammatical information and interrogative cues which were semantic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s of interrogative sentences. For this study Auditory comprehension task was used for understand in wh-questions. the result of study is First, the difference in understand in of th group with Broca's aphasi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cue conditions, but the normal group used more postposition cues than interrogative cues. Second, The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had a greater performance in subjective questions than objective questions. in conclusion is The group with Broca's ahpasia had difficulties in using grammatical cues and semantic cues of interrogative sentence, but they can use postposition cues restrictively when they understand wh-questions. 브로카 실어증군과 정상군이 문법적 정보인 조사단서와 의미적 정보인 의문사단서의 처리가 요구되어지는 의문문을 이해할 때 어떠한 단서에 의존하여 의문문을 이해하는지 알아보고 의문문의 종류에 따라 이해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의문문을 듣고 이해하여 그림 내 대상을 가리키는 청각적 이해 과제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로카 실어증군은 단서조건에 따라 의문문 이해 능력의 차이가 없었으나 정상군은 의문사 단서에 비해 조사단서를 더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브로카 실어증군은 정상 성인군과 비교하여 의문문의 종류별 이해능력이 현저히 부족하지만 정상 성인과 마찬가지로 목적격 질문에 비해 주격 질문에 대한 수행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볼때 브로카 실어증군은 의문문의 문법적 단서와 의미적 단서를 활용하는 데 결함이 있으나 의문문을 이해할 때 제한적으로 조사단서를 활용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실어증 환자들을 위한 MIT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박신혜,박영혜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통해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MIT 중재의 효과성을 보고한 개별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증거기반 근거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총 6개의 국내・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표현 언어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MIT 중재를 실시한 연구 중에서 선정기준과 일치하는 총 5편의 문헌을 수집하였고, 중재에 따른 언어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언어 하위 영역의 효과 크기를 각각 살펴보았다. MIT 중재는 비유창성실어증 환자의 전반적인 언어능력 및 이름말하기, 따라 말하기, 청각적 이해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MIT 중재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언어능력 및 언어의 각 하위 영역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결과를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MIT가 비유창성 실어증환자의 언어재활에 도구적 중재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MIT 중재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결과를 모아 임상적 가치를 제고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Through meta-analysis, we tried to build evidence-based evidence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individual studies that reported the effectiveness of MIT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non-fluency aphasia. A total of six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five domestic and foreign databases using MIT intervention for expressive language aphasia. The effect sizes of the sub - regions of language was estimated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e language test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The MIT interven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language ability, repetition, and auditory comprehen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MIT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overall language ability and language sub - domains of nonfluent aphasic patients through integrative verification of MIT intervention. According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T can be a useful tool intervention strategy for language rehabilitation of nonfluent aphasic patients with difficulties in expressive language to establish a basis for enhancing clinical value and evidence.

      • 노래부르기 과업이 브로카 실어증자의 읽기와 조음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혜연,권도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再活科學硏究 Vol.30 No.1

        이 연구는 가사보며 노래부르기 과업으로 브로카 실어증자의 읽기와 조음능력을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3명의 브로카 실어증 대상자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사전-사후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노래부르기 과업은 3단계로 구성되어있다. 노래는 대상자에게 있어 익숙한 노래 5곡을 선정하였다. 1단계는 제공된 MP3파일로 노래를 들으며 따라부르기를 한다. 2단계는 문자단서로 제공된 노래가사를 한 음절씩 짚으며 따라 부르기를 하고, 3단계에서는 음을 점진적으로 제거하며 가사 읽기를 시도한다. 이에 치료실외에서도 하루에 3회씩 연습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그 결과 노래부르기 과업은 읽기, 조음능력 뿐만 아니라 따라말하기, 이름대기 등 전반적인 언어능력에 있어 향상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singing while reading the lyrics had on the reading and articulation skills of people with Broca’s aphasia. The study consisted of three subjects with Broca’s aphasia and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pre-to-post analysis. Thirdl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task of singing, linguistic abilities, such as reading, intonation, word-repeating and naming skills were all improved. The five songs that were chosen were songs that the participants were familiar with. The first stag involved participants singing along to the songs that were given to them as an MP3 file. The second stage involved participants looking at the hard copy of the lyrics and then breaking up each syllable while singing out loud and the third stage involved gradually omitting the tone from the songs and getting participants to only read the lyrics out loud. Participants were advised to repeat these three steps three times a day outside of the treatment 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n improvement in the reading skills following singing tasks. Secondly, through implementing the task of singing there was an articulation in the clarity of intonation. Thirdl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task of singing, improvements in reading, the ability to intonate, repeating words and naming skills were evident; as well as an overall improvement to the linguistic ability of the people.

      • 브로카 실어증자의 동사 의미적 이해 특성

        송기범(Song Ki-Bum),손은남(Sohn Eun-Nam) 한국재활과학회 2007 難聽과 言語障碍 Vol.30 No.1

          This study was to examine semantic characteristics in inability of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in their understanding of verbs, by categorizing verbs from a semantic perspective. Verbs implying physical movements were classified as dynamic verbs and compared with stative verbs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understanding of dynamic and stative verbs.<B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R>  Firstly,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understanding of dynamic and stative verbs; they were found to better understand dynamic verbs than stative ones.<BR>  Secondly,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position in their understanding of verbs positioned before or after uninflected words.<BR>  Thirdly, In the analysis of the ratio of 3 types of errors such as semantically-associated words, phonemically-associated words, and non-associated words, most errors were found in semantically-associated words; in place of target words, participating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choose semantically-associated words with target ones.

      • KCI등재

        멜로디 억양 치료에서 실어증 환자의 조음 명료도에 대한 호흡 훈련 효과: 초기 실험

        김선식,홍금나,최민주,Kim, Seon Sik,Hong, Geum Na,Choi, Min Joo 한국음향학회 2016 韓國音響學會誌 Vol.35 No.4

        본 논문에서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에 대한 멜로디 억양 치료(Melodic Intonation Therapy, MIT)에서 호흡훈련이 조음 명료도를 개선하는지를 평가했다. 실험군은 MIT에 선행하는 2단계 호흡 훈련을 받도록 했다. 중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피실험자의 폐쇄음의 폐쇄 길이(VOT), 단어 전체의 발화 길이(TD), 음성 강도 및 호기량을 중재 전과 후에 측정하여 비교 했다. 실험 결과 폐쇄음의 폐쇄 길이 및 단어 전체의 발화 길이는 양순음/p/, 치조음/t/, 연구개음/k/에서 증가했으나(p < 0.05) 파찰음/c/와 마찰음/s/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반면 대조군에서는 폐쇄음의 폐쇄 길이 및 단어 전체의 발화 길이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조음 명료도에 영향을 주는 호기량과 음성 강도는 실험군에서 증가했으나(p < 0.01)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MIT에서 호흡 훈련은 환자의 조음 명료도를 개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if breathing training in melodic intonation therapy (MIT) ameliorated the articulation intelligibility of Broca's aphasics or not. The experimental group did breathing training (2 stages) that preceded the MIT.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MIT intervention, the VOT (Voice Onset Time), the TD (Total Delay), the voice sound intensity and the expiratory volume of the subjects, closely associated with articulation intelligibilit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t was shown that,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MIT intervention, the VOT and TD were increased on bilabial/p/, alveolar consonant /t/, and soft palatal /k/(p < 0.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affricate /c/ and fricative /s/(p > 0.05). In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VOT and TD were observed on all articulation points(p > 0.05). The voice sound intensity which influences the verbal articulation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p < 0.05), whereas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breathing training in the MIT was found to result in improving the articulation intelligibility of Broca's aphasiacs.

      • KCI등재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과제간 명사와 동사의 산출 비교

        김수련(Soo Ryon Kim),박창일(Chang Il Park),김덕용(Deok Yong Kim),황민아(Min 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이름대기 과제와 이야기 산출 과제를 실시하여 명사와 동사의 산출을 두 과제 사이에서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브로카 실어증 환자가 명사와 동사 중 어느 품사를 산출하는데 더 어려움이 있는지, 이러한 경향이 두 과제에서 비슷하게 유지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브로카 실어증 환자는 두 과제 모두에서 명사보다 동사를 산출하는데 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동사 산출의 어려움은 이름대기 과제에서보다 이야기 산출 과제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정상 성인도 두 과제 모두에서 명사를 동사보다 잘 산출하였으나, 과제에 따른 명사와 동사의 산출 경향에 큰 차이가 없었다. 둘째, 브로카 실어증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 성인도 이름대기 과제에서보다 이야기 산출 과제에서 더 많은 오류를 보였다. 실어증 환자가 두 과제에서 보인 오류 유형의 종류는 비슷하였으나, 각 오류 유형의 비율은 과제간에 차이가 있었다. 실어증 환자가 가장 많이 산출한 오류는 두 과제 모두에서 무반응 오류였다. 그러나 이야기 산출 과제에 비하여 이름대기 과제는 반응의 강제성이 더 크므로 무반응 오류가 상대적으로 적었고 다양한 종류의 오류를 관찰할 수 있었다. 정상 성인은 두 과제 모두에서 목표 단어와 의미적으로 관련된 오류를 가장 많이 보였다.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동사 산출의 어려움은 정상 성인에게서도 보여지는 정상적인 언어처리기제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이야기 산출 과제는 이름대기 과제에 비해 동사의 구문적, 문법형태론적 접근을 더 요구하므로 실문법적 특성을 가지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는 이야기 산출 과제에서 동사를 산출하는데 더 어려움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duction of nouns and verbs in Korean-speaking adults with Broca’s aphasia. Ten adults with Broca’s aphasia and 10 normal adults participated in a picture-naming task and in a narrative task where the target nouns and verbs were identical across the tasks. Although the aphasic adults produced more errors than the normal adults, both groups produced nouns more accurately than verbs in the two tasks. However, the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nouns and verbs were greater in the aphasic adults than in the normal adults. Within the aphasic adults, the gap between noun-verb production was greater in the naming task than in the narrative task. Normal adults did not show such task difference in their production of nouns and verbs. The analysis of error types revealed that ‘no response’ was the most prevalent type of error for the aphasic adults, compared to ‘associated’ for the normal adults. The aphasic adults tended to make more ‘no responses’ in the narrative task than in the naming task. The results implied that Korean-speaking adults with Broca’s aphasia showed more deficits in verb production relative to noun production, which is in agreement with the findings of Broca’s aphasia in other languages. However, such dissociation appeared to be affected by task type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noun-verb dissociation and the importance of error analysi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