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자리 불일치의 선행변수 및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

        김충현(Kim Choong Hyun),이재훈(Rhee Jae hoon)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2

        최근 심각한 고용난과 함께 취업자의 일자리불일치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업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와 관련된 숙련불일치와 종업원 개인의 취업시 희망 일자리 수준과 실제 기업제공 수준간의 괴리감의 발생으로 인한 일자리-기대 불일치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측정척도를 개발하고, 이들 두 가지 불일치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연구 결과, 먼저 숙련불일치의 경우 개인의 업무경험, 자격증보유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자리-기대불일치의 경우, 직업탐색요인 중 구직기간과 구직경로가 그리고, 조직특성 중 업무강도, 임금수준, 복지후생, 고용안정성이 일자리-기대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숙련불일치와 일자리-기대불일치는 종업원의 직무만족(내·외적),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조직구성원의 일자리 불일치에 대한 지각정도를 파악하고, 일자리 불일치 해결을 위한 개인 및 기업차원의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Along with a serious unemployment crisis, employees' job mismatch has also become another problem in Korea.This study, whose major research targets are current employees after employment, is aimed at developing measures for job-expectancy mismatch caused by skill mismatch and difference between employees' expectation about job levels they're looking for and real levels of jobs provided. We also tried to find out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ose two types of mismatch.Antecedent variables include human capital, job searching,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hile consequence variables do containing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Results showed that number of certificates, job-searching duration and job-searching channels among job-seeking factors and work strength, wage level, welfare, job insecurity among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expectancy mismatch. Besides, both skill mismatch and job-expectancy mismatch have a strongly significant affec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of changing jobs.This study not only tried to grasp our perception with job mismatch, but also provided some implications of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regarding two mismatches. Final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기대불일치의 긍정적 속성과 부정적 속성이 대학생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손경애 대한경영정보학회 2015 경영과 정보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기대불일치의 긍정적 속성과 부정적 속성이 대학생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32개 대학의 학생 1,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조사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자료에서 기대불일치와 관련된 부분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시 긍정적 불일치와 부정적 불일치가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경로지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일치의 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불일치의 경우 정(+)의 영향(β=.188)을 미치는 반면, 부정적 불일치는 부(-)의 영향(β=-.326)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기대불일치이론을 지지하였다. 둘째, 불일치의 속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부정적 불일치의 경우 유의미한 반면(β=-.105), 긍정적 불일치의 경우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불일치의 부정적 속성이 긍정적 속성에 비해 만족도와 충성도에 대해 2〜7배 정도 더 강력한 힘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학생의 만족도와 충성도는 교육성과의 지표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지만 그 제고전략에 대해서는 별개의 차원에서 접근할 것을 제언하였다. 아울러 대학은 불일치의 부정적 요소의 가중적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특히 학생들이 표출하는 불만 요소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urported to test the independent impacts of positive and negative attributes of disconfirmation on satisfaction and loyal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utilized the nation-wide survey data previously collected from 1,400 students distributed across 32 universities in Korea. Using SPSS 22.0, the study adopte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calculate the causal coefficients among positive and negative attributes of confirmation,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while positive disconfirmation had a positive impact(β=.188) on satisfaction, but not on loyalty, negative disconfirmation had negative impacts on satisfaction(β=-.326) and loyalty(β=-.105).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should implement differential strategies to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negative disconfirmation had 2〜7 times greater impacts on satisfaction and loyalty than the impacts positive confirmation had. Supporting the 'asymmetric relations' of positive and negative disconfirmation, the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students' complaints.

      • KCI등재

        감정 불일치가 인지적으로 불일치한 자극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주경희(Chu, Kyoung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감정 불일치가 인지적으로 불일치한 자극에 대한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는 인지적으로 스키마 불일치한 자극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로 감정불일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두 가지 상반된 감정을 경험하는 혼합감정은 경험하는 감정들이 서로 불일치한 상태로, 본 연구에서는 혼합감정 소구를 이용하였을 때, 행복 혹은 슬픔 감정 소구 광고보다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에 대한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혼합감정소구를 이용하였을 때, 행복과 슬픔 소구보다 소비자들이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더불어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에 대한 검증 결과, 혼합감정과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 태도의 관계를 광고에 대한 창의성 지각이 매개함을 밝혔다. 본 연구는 감정 불일치(혼합감정 소구)가 인지적 불일치(비전형적 성역할을 보여주는 광고)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불일치 연구를 보다 다양한 맥락으로 확장하였다는 점과 향후 관련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마케팅 실무자의 관점에서는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를 기획할 때, 본 연구결과를 잘 활용한다면 더 좋은 광고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incongruity on the evaluation toward cognitively incongruent stimulus. Specifically, this study verifies that mixed emotional appeals in the ads highlight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re more effective for 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than single emotional appeals(happiness and sadness) in the ads. Also, this study suggests perceived creativity through encountering mixed emotions ads as a mechan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rist, this study reveals that people in the mixed emotional appeal condition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than happy and sad emotional appeals conditions. Next,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ad creativity mediated the effect of mixed emotions on ad attitude. Specifically, it showed that when participants encountered mixed emotional appeals in the ads, it led to higher perceived creativity of the ads, which resulted in higher attitude toward the 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scope of literature on incongruity considering both emotional incongruity(mixed emotions) and cognitive incongruity(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Also, this research provides useful guidelines formarketers to design the 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본 연구에서는 감정 불일치가 인지적으로 불일치한 자극에 대한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는 인지적으로 스키마 불일치한 자극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로 감정불일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두 가지 상반된 감정을 경험하는 혼합감정은 경험하는 감정들이 서로 불일치한 상태로, 본 연구에서는 혼합감정 소구를 이용하였을 때, 행복 혹은 슬픔 감정 소구 광고보다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에 대한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혼합감정소구를 이용하였을 때, 행복과 슬픔 소구보다 소비자들이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더불어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에 대한 검증 결과, 혼합감정과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 태도의 관계를 광고에 대한 창의성 지각이 매개함을 밝혔다. 본 연구는 감정 불일치(혼합감정 소구)가 인지적 불일치(비전형적 성역할을 보여주는 광고)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불일치 연구를 보다 다양한 맥락으로 확장하였다는 점과 향후 관련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마케팅 실무자의 관점에서는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를 기획할 때, 본 연구결과를 잘 활용한다면 더 좋은 광고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incongruity on the evaluation toward cognitively incongruent stimulus. Specifically, this study verifies that mixed emotional appeals in the ads highlight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re more effective for 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than single emotional appeals(happiness and sadness) in the ads. Also, this study suggests perceived creativity through encountering mixed emotions ads as a mechan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rist, this study reveals that people in the mixed emotional appeal condition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than happy and sad emotional appeals conditions. Next,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ad creativity mediated the effect of mixed emotions on ad attitude. Specifically, it showed that when participants encountered mixed emotional appeals in the ads, it led to higher perceived creativity of the ads, which resulted in higher attitude toward the 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scope of literature on incongruity considering both emotional incongruity(mixed emotions) and cognitive incongruity(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Also, this research provides useful guidelines formarketers to design the 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 KCI등재

        임신 제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의 임상적 결과

        송승은 ( Seung Eun Song ),고옥진 ( Ok Jin Ko ),조현지 ( Hyun Ji Cho ),서은성 ( Eun Sung Seo ),정경란 ( Kyung Lan Jung ),최석주 ( Suk Joo Choi ),오수영 ( Soo Young Oh ),노정래 ( Cheong Rae Roh ),김종화 ( Jong Hwa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2

        목적: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의 임신결과 및 주산기 예후를 임신 제 2 삼분기 이후 발생한 불일치 쌍태임신 및 일치 쌍태임신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875예의 쌍태임신 중 임신 제 1 삼분기에 시행한 초음파 자료가 있는 797예를 대상으로 후향성 조사를 하였다. 연구대상군은 (1) 임신 10주에서 14주 사이 쌍태아간 머리엉덩이길이가 5일 이상 차이나는 경우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 32예), (2) 임신 20주에서 28주 사이에 20 mm 이상의 태아 복부둘레 차이가 발생한 경우 또는 임신 29주 이후 25% 이상의 쌍태아간 체중차이가 발생한 경우 (임신 제 2-3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 42예), (3) 임신 전 기간에 걸쳐 불일치가 없었던 경우 (일치 쌍태임신군 723예)로 각각 분류하였다. 두 쌍태아 중 한 명 이상에서 주요 선천성기형, 태아성장지연, 자궁내 태아사망발생 유무를 주요변수로 하여 세 군의 주산기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세 군의 인구학적 특성 및 융모막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으로 임신 제 2-3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은 일치 쌍태임신군에 비해 주산기 합병증의 빈도가 높았다. 선천성기형의 발생빈도는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이 임신 제 2-3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21.9% vs. 11.9%, p<0.001) 태아성장지연의 빈도는 임신 제 2-3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이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보다 높았다 (32.3% vs. 71.8%, p<0.01). 선천성기형, 태아성장지연 및 자궁내 태아사망의 빈도는 모두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이 일치 쌍태임신군보다 높았다 (21.9% vs. 3.5%, p<0.001, 32.3% vs. 9.1%, p<0.01, 6.3% vs. 1.0%, p<0.05). 결론: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은 선천성기형, 태아성장지연, 자궁내 태아사망의 위험이 증가하며 따라서 임신 제 2 삼분기 이후 발생한 불일치 쌍태임신과 마찬가지로 고위험 임신으로 간주해야 한다. Objective: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first trimester discordant twins with second or third trimester discordant twins and concordant twins. Methods: Pregnancy outcomes of twin pregnancies delivered from October 1994 to February 2006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following three groups: 1) group 1, first trimester discordant twins defined as intertwin CRL difference ≥5 days at 10-14 weeks of gestation (n=32), 2) group 2, second or third trimester discordant twins defined as intertwin AC difference >20 mm at 20-28 weeks of gestation or intertwin fetal weight difference >25% beyond 29 weeks of gestation (n=42), 3) group 3, concordant twins with no discordancy throughout the whole gestation (n=723). Perinatal complications analyzed for were congenital anomaly, fetal growth restriction (FGR), fetal death in utero (FDIU). Results: The three group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chorionicity. Overall, the group 2 had higher perinatal complications compared to the group 3. Congenital anomaly was more common in the group 1 than the group 2 (21.9% vs. 11.9%, p<0.001). However, FGR rate was higher in the group 2 than the group 1 (32.3% vs. 71.8%, p<0.01). Congenital anomaly, FGR and FDIU were more common in the group 1 compared to the group 3 (21.9% vs. 3.5%, p<0.001, 32.3% vs. 9.1%, p<0.01, 6.3% vs. 1.0%, p<0.05, respectively). Conclusions: First trimester discordant twins have an increased risk of congenital anomaly, FGR and FDIU, and therefore, they should be regarded as a high-risk pregnancy likewise second or third trimester discordant twins.

      • KCI등재

        모바일 패션 쇼핑의 기대 불일치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효정(Kim, Hyo-Jung),나종연(Rha, Jong-Yo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6 소비문화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모바일 패션 쇼핑의 부정적 기대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인지된 위험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부정적 기대 불일치가 모바일 패션 쇼핑의 만족도와 지속 사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기대 불일치 이론을 바탕으로 모바일 쇼핑의 보안 위험, 기능적 위험, 금전적 위험, 충동구매 위험이 부정적 기대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력의 관계를 밝히고, 부정적 기대 불일치, 만족도, 그리고 지속 사용 의도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 각 영향 요인들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집단분석을 이용하여 성별 집단에 따라 각 변수들 간의 관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에서 패션 상품 구매 경험이 있으며, 부정적 기대 불일치를 경험한 384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19.0와 Amos 21.0을 활용하여 신뢰도,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패션 쇼핑의 보안 위험, 기능적 위험, 재무적 위험, 충동구매 위험 모두 부정적 기대 불일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부정적 기대 불일치가 모바일 패션 쇼핑의 만족도를 감소시키는 선행 요인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성별에 따라 부정적 기대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남성 집단의 경우 보안 위험, 기능적 위험, 금전적 위험이 부정적 기대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여성 집단에서는 금전적 위험, 충동구매 위험이 부정적 기대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성별에 따라 부정적 기대 불일치가 모바일 쇼핑의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남성 집단의 경우 부정적 기대 불일치가 지속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여성 집단에서는 부정적 기대 불일치가 지속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ect factors influencing expectancy disconfirmation on mobile shopping through its perceived risk, and understand expectancy disconfirmation’s impact on mobile shopping’s satisfaction level and continued usage intention. Using expectation-confirmation theory,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mobile shopping’s security risk, functional risk, financial risk, and impulse purchase risk on expectancy disconfirmation and conduct an in-depth verific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expectancy disconfirmation, satisfaction level, and continued usage intention. Furthermore,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each influence factor by gender, multiple group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by gender. To achieve this, 384 consumers with mobile shopping experience who experienced expectancy disconfirmation were surveyed online. Using SPSS 19.0 and Amos 21.0, trust lev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nalyz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security risk, functional risk, financial risk, and impulse purchase risk of mobile shopping can cause increase in expectancy disconfirmation. Second, expectancy disconfirmation can be the antecedent factor in lowering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Third, factors which influence expectancy disconfirmation were differed by gender. For the male group, security risk, functional risk, and financial risk influenced expectancy disconfirmation, while the female group had financial risk and impulse purchase risk impact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Fourth, influence of expectancy disconfirmation on continued usage intention in mobile shopping was differed by gender. For male group, expectancy disconfirmation had no influence on continued usage intention whereas for female group, expectancy disconfirmation influenced continued usage intention.

      • MICE 개최지 이미지-일치/불일치 패러다임에 따른 만족도 연구 : 기대불일치 이론을 중심으로

        이경민,Tami Nguyen,송유미,정남호,구철모 한국경영정보학회 2017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6

        기대 일치, 불일치 이론을 바탕으로 2015년 한국 MICE 행사에 참석한 참관객을 대상으로 참가 전의 이미지인 기대 이미지(Expected image)와 후의 이미지인 지각된 성과 이미지(Perceived performed image)를 비교하여 이미지 일치, 불일치 그룹으로 구분하여, 그룹별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기대 이미지와 지각된 성과 이미지가 일치 그룹과 불일치 그룹, 불일치 그룹 다시 긍정적 불일치와 부정적 불일치 그룹으로 구분 후, 각각의 그룹 내 참관객의 목적지에 대한 만족도, 목적지에 대한 재방문의도, 그리고 목적지에 대한 추천 의도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세가지 만족도 이론을 바탕으로 기본 요인, 재미 요인, 성과 요인으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만족도 요인이 재방문 의도와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세 그룹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재미 요인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불일치 그룹과 긍정적 불일치 그룹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일치 그룹과 긍정적 불일치 그룹간에 재미 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서로 다르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대와 성과를 비교하는 기대 일치/불일치 이론을 MICE 산업 현실에 적용하여 이미지 일치/불일치 개념으로 이론적 확장을 시도하였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 KCI등재

        4년제 대졸자의 교육-직무 불일치가 노동시장 성과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찬주(Moon, Chan Ju),한지혜(Han, Jihye),정동욱(Jeong, DongWo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졸자의 교육-직무 불일치가 노동시장 성과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의 2016년 조사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교육-직무 불일치 중, 수직적 불일치 양상에 주목하여 적정 수준, 과소교육, 과다교육의 세 집단을 각각 구분하여, 불일치 양상의 임금 효과, 직무 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통계적으로 보다 엄밀한 효과 추정을 위해 표본 선택편의(selection bias)문제를 해소하고자 일반화경향점수(Generalized propensity score)를 역확률가중치(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방식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직무 불일치는 약 35%정도였으며, 특히 과다교육 불일치의 경우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둘째, 과소교육불일치의 경우, 임금효과가 부적이었으며, 과다교육 불일치는 임금에 미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경우, 과소교육 불일치는 직무만족이 낮고 이직의도가 높았으며, 과다교육 불일치는 직무만족이 높고 이직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전공일치도가 높을수록 과다교육 불일치와 과소교육 불일치 모두에서 생산성 제고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직무 불일치 중, 과소교육 불일치의 경우 성과와 적응 측면에서 모두 부적인 효과가, 과다교육 불일치의 경우, 생산성 제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교육-직무 수준 불일치의 생산성 제고와 적응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위한 대책으로 교육-직무 수준의 수평적 일치, 즉 전공일치가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 차원에서는 노동시장에서의 수요에 반응하여, 전공 교육을 통한 학생들의 교육 수준 및 역량 제고와 진로적성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전공 일치도가 높은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배려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또한 기업 차원에서는 기업에 특화된 직무적성 교육 프로그램을 내실 있게 구성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신규 진입 인력의 생산성 증대로 이어지고, 적응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노력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education-job mismatch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o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and adapt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2016 survey data from the Graduate School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 classified education-job inconsistencies into the three groups which are appropriate levels, under-education, and over-education. Among these mismatches, this study focused on vertical inconsistency and its effects on wag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o get a more precise estimation, we tried to solve the selection bias problem by using the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by the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job mismatch was about 35%. Especially, the case of over-education mismatch has been increasing. Second, in the case of under-education mismatch, the wage effect was negative, and over-education mismatch did not have any effect on wages. Third, in the case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under-education discrepancy showed low job satisfaction and high turnover intention, and over-education discrepancy showed high job satisfaction and low turnover intention. Fourth, as the degree of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is higher, more productive effect was shown in both over- and in-education discrepancie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should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labor market, and consider the students choice of careers with a high degree of concordance. In addition, the company-level job-oriented training program should be firmly established at the corporate level.

      • KCI등재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의 圖像-尊名불일치 문제와 ‘世間’

        신은영(Shin, Eun Young) 한국사학회 2015 史學硏究 Vol.- No.117

        이 글에서는 관음의 도상을 하고 있지만 오랫동안 ‘은진미륵’으로 불려왔던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의 圖像 - 尊名간 불일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석해 보았다. 종래 관촉사 석상의 도상-존명에 대한 논의에서는 觀音혹은 彌勒인지를 둘러싸고, 한편에서는 도상에 치중하여 역사적으로 연고가 긴 ‘은진미륵’이라는 명칭을 오류로 보거나 반대로 ‘은진미륵’이라는 명칭을 살리기 위해 감산사 석조보살입상이라는 예외적 도상에 연계시켜 설명하는 방식을 취해왔다. 여기서는 관촉사 석상의 존명을 전하는 자료들이 도상적 사실의 반영이라기보다는 이 상에 대한 당대의 呼稱일 수도 있다는 점, 하나의 석불에서 도상 - 존명이 불일치하는 현상이 그렇게 희귀한 사례가 아니라는 점 등을 근거로 하여 이러한 불일치 현상의 기제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촉사 석상의 도상 - 존명 불일치가 분석할 만한 역사적 현상이라는 점을 뒷받침하기 위해 석상의 조성 주체와 의도, 양식사적 위치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관촉사 석상은 市津(오늘의 논산) 지역의 호족이 만든 지방적 양식의 석불이 아니라, 후백제 지역의 지방화라는 정치적 목적을 裨補寺塔風水라는 담론적 실천을 통해 해결하려는 의도로 조성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양식사적 측면에서는 기존의 토착ㆍ토속의 혼용을 구별하고, 고려 전기의 독자적인 양식의 성격을 토착으로 설정하여 개태사에서 시작하는 토착적인 계열의 정점에 관촉사 석상을 위치시켰다. 다음으로 관촉사 석상의 도상-존명 간 불일치 문제를 해석하기 위해 현존하는 석불들의 도상 - 존명 간 불일치 유형을 두 가지로 나누고, 이를 관촉사 석상의 불일치 문제와 관련시켜 해석하였다. 그 하나의 가능성은 본래 가지고 있는 도상과 상관없이 석불들이 모두 미륵으로 불리는 경우인데, 이러한 기제로 관촉사 石像도 ‘미륵’으로 존명이 전화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고유섭과 이능화가 말한 바 있는 ‘世間’의 개입으로 “석불들은 모두 미륵”으로 통칭되는 것이다. 다른 하나의 가능성은 감산사 석조보살입상과의 관련성에서 관촉사 석상의 불일치 문제를 파악하는 것인데, 후대에 외적 요인으로 인해 불리는 이름이 바뀐 것이 아니라, 어떤 이유에서였는지는 모르지만, 애초에 관음상을 미륵으로 부를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렇지만 관음의 도상에 미륵이라는 이름이 시초부터 각인되었다 하더라도 미술사의 대상이자 객관화된 차이의 체계로서의 도상이 무의미해지는 것은 아니다. 불교미술사에서 대상이 되는 석불의 존명과 도상 판명은 중요한 작업이다. 그렇지만 이 작업에서는 도상 - 존명의 일대일 대응이라는 규범적 판단이 정상성으로 작용하여 불일치를 비정상으로 배제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제는 이러한 불일치도 오류가 아닌 과거에 일어났던 하나의 사실로서 인정하고, 願望 - 尊格 - 圖像사이의 불일치 현상을 여유 있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할 때 그 불일치를 만들어 낸 ‘世間’의 존재가 시야에 들어올 것이다. 불일치란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과거 사람들이 자신들의 간절한 소원을 각인시킨 흔적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주어진 재료와 물려받은 빈약한 도상적 상상 속에서나마 자신의 원망을 불어넣으려 했던 과거 사람들의 노력을 우리가 알아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 여성구인ㆍ구직 특성 및 인력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

        조경욱,임지원 한국지역고용학회 2012 지역고용노동연구 Vol.4 No.1

        양적 및 질적 고용불일치 해소는 숨어있는 일자리를 찾아줄 뿐만이 아니라 미래에 필요한 일자리까지 전망해준다는 점에서 일자리 창출에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에 적합한 고용 불일치 해소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지역의 여성고용정책 수립의 근간을 마련하고 여성취업교육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구인․구직조사의 필요성은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라 북도에 소재하는 기업과 미취업 여성을 대상으로 구인․구직 실태를 조사하고 구인․구직간의 불일치가 나타나는 현상과 요인을 비교, 검토함으로서 고용불일치를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구인․구직의 불일치 요인으로는 첫째, 구인처의 경우 소규모 제조업과 단순노무직 위주의 구인으로 인하여 구직자간의 직종불일치가 컸으며 둘째, 구직자의 경우, 고학력의 40대 경력단절 여성이 주로 직업 교육을 받는 등 인력양성의 편중이 심각하였고 셋째, 구인처와 구직자를 잇는 여성취업교육기관의 기능 미흡과 구인구직자의 발굴경로에 대한 제한과 활용 등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 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으로는 업종과 직종불일치 해결방안, 정보불일치 해결방안, 숙련불일치 해 결방안 등에 대한 세부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Resolv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mployment imbalance occupies a very important part in generating employment in that not only hidden employment opportunities are identified but also future employments can be predicted. Furthermore, there is a greater need for research over hiring and job searching in that, by preparing a resolution plan for employment imbalance appropriate for the region, foundations for policies to hire females can be established and the efficiency of female employment can be improved. As such, this research subjected corporations and non-employed females in Jeonbuk region to research hiring and job searching situations, compare and review causes and factors leading to imbalance in hiring and job searching, and present policy alternatives to alleviate employment imbalance. The causes for imbalance in hiring and job searching are as follows: First, for hiring locations, they were seeking to hire primarily for small-scale manufacturing and simple repetitive tasks, leading to mismatch with job seekers. Second, for job searchers, there was significant over-qualification as females in their 40s with advanced academic degrees were mainly receiving employment training. Third,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for female employment training institutions which linked hiring businesses and job searchers, there were functional shortcomings and limited utilization of methods to identify jobs and job searchers. Detailed policy alternatives were presented in order to resolve such problems, including ways to resolve mismatch between tasks and businesses, reduce information mismatch, and lessen the lack of training.

      • KCI등재

        직무불일치의 원인 및 임금과의 관계, 불일치에 대한 대응 양상: 전문대졸 여성 신규 취업자를 중심으로

        노일경,임언 한국직업교육학회 2009 職業 敎育 硏究 Vol.28 No.2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d job mismatches among women of two year college graduates, the effect of three job mismatch types on wage and mismatch adjustment strategies by using the data from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The determinants for overeducation are found to be monthly house income, total labor hours in school, field of education, job finding route, size of work place, and employment type. For skill underutilization, monthly house income, school type, field of education, and employment type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determinants. Father's education level is important determinant for subject mismatch. The effect on wage increases in this order : skill underutilization, overeducation, and subject mismatch.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for women of two year college graduates, the access to a further education and training is quite limited. 본 논문에서는 전문대를 졸업한 여성 취업자의 직무불일치의 원인을 확인하고, 각 직무불일치가 임금 및 불일치 대응 양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의 2007년(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불일치에 가정 배경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사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입직할 경우 직무불일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공불일치, 교육과잉, 숙련과잉이 모두 임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불일치에 대한 대응으로 숙련과잉일 경우 구직활동을 할 가능성이 높으며, 교육과잉일 경우에는 영어공부를 더 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