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불교의 음식 특징 비교 - 한국ㆍ중국ㆍ일본, 3국을 중심으로

        김미숙 ( Kim Mi-su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8

        평범한 생활인의 일상을 떠나 수행자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모여사는 공간이 사찰이다. 그 특별한 공간에 담겨 있는 음식이 평범한 삶을 살아가는 재가 생활인들의 음식과 동일하지 않다는 것은 상식적일 것이다. 그러나 그 특별한 공간의 음식들은 특별한 만큼 일반인들, 소위 속인들의 이목을 끌고 일종의 선망(羨望)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최근에는 그러한 사찰음식이 현시대가 원하는 이상적인 식단이라고 각계의 찬사를 받으면서 세계적인 주목과 호평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삼국, 즉 한국, 중국, 일본의 불교 음식을 자료로삼아 비교하되, 특히 한국 사찰의 식단적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문헌적 배경을 추적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불교 음식의 첫째가는 특징으로 꼽히는 오신채 금지에 대해서, 불교 음식의 기원이라 할 인도 불교 전통으로 소급하여 고찰하였다. 율장을 비롯한 불전(佛典)에서 금지하고 있는 음식의 종류는 낮은 위도의 아열대 몬순 기후에서 생활했던 붓다 시대의 승가 구성원에 적용되었던 사안들이다. 따라서 시대적으로 보자면 무려 2,500여 년을 거슬러 올라간다. 모든 것이 급속히 변모하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로서는, 불교가 인도에서 발흥하여, 중국, 한국, 일본으로 전전(轉傳)되는 과정에서 불교의 교리는 일부 강화되기도 하고, 폐기되기도 하였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필자는 그와 동일한 맥락에서, 이 땅에 자생하지도 않고 재배하지도 않는 식물에서 추출, 가공하여 조미료로 사용하는 힝구(hingu, Asafoetida)를, 오신채의 하나로서 금지한다는 설명은 이제 더 이상 의미가 없다고 주장한다. 달리 말하면, 한국 사찰 음식의 특징으로서, `힝구를 넣지 않는다`는 조목은 폐기해야 한다. 인간의 식이(食餌) 관습은 변한다. 시간과 장소에 따라, 그리고 특별한 목적에 따라 원칙과 예외가 생겨나고, 허용되거나 금기시되기도 한다. 최근 한국의 사찰 음식을 소개하는 책 이름에 `레시피`(recipe)라는 단어가 등장하고 음식 종류에도 `김치밥 피자, 야채 짜장, 레몬 소스와 오이 샐러드, 느타리 깐풍기`가 열거되고 있다. 이것이 우리 사찰 음식의 현주소이다. 또한 일본 음식의 영향이 분명한 채수(菜水)를 기본 양념의 하나로 삼고있으며, 중국 음식, 서양 음식 가리지 않고 한국의 사찰 음식 목록에 포함시키고 있다. 그리고 한국 조계종의 기본 율장으로 삼고 있는 『사분율』에서 금지하고 있는 미식(美食)의 종류들은 현재 한국 사찰 음식에서는 현실적으로 상용하는 기본 양념이자 허용된 음식으로 자리 잡은 지 이미 오래되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에 착안한다면, 사찰 음식이라는 이름으로 풍미하고 있는 세간의 불교 음식류 또한 원형이라고 볼 만한 것이 무엇인지, 사찰 음식이라는 이름이 과연 합당한지도 재고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고 본다. Generally, the Buddhist temple is reserved for monks and nuns. The traditional Buddhist way of life, therefore has been well preserved, separated from secular affairs. Culinary culture is not exceptional and temple`s diet is different from that of ordinary people. Growing interest in health life advocates a vegetarian diet for its benefits, and Buddhist diet gains more and more popularity around the world. Especially, many experts look to Korean Buddhist food for their answer to fighting against obesity and adult disease.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cuisine in China, Korea and Japan in the context of Buddhist script. Most of Mahayana Buddhists strongly oppose to eat meat and certain type of foods on scriptural grounds. However, it is worth to address that such rule is the product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 (humid and sub-trophic weather where foods can be easily spoiled) and other circumstances in ancient India. As Buddhism gradually spread from India to China, Korea and Japan, certain provision of script was added or omitted for a variety of reasons. Hingu (asafoetida) provides a good example; Korean monks and nuns are not allowed to eat this vegetable only because it is classified as one of the Panca-Parivyaya (five forbidden vegetables ; five spices) although it is neither native nor cultivated ever in Korea. Surely, the time has come to review this kind of rules and regulations. As history tells us, the culinary culture is not unchangeable. There must be an exception to the rule and the taboo and stigma is neither universal nor permanent. Today, the term `recipe` is popular as a tile of Buddhist books in Korea. Also, the un-heard cuisines are being introduced - namely, Kimchi-rice pizza, meat-free Jajang-myeon (noodle with black soybean sauce), lemon-dressed cucumber salad and fried oyster-mushroom. Unfortunately, this is the situation we face. Moreover, these cuisines are influenced by Japanese (vegetable broth is not Korean tradition), Chinese or Western recipe. This trend is not comply with the provisions of the Four-fold Rules of Discipline (the foundation of the Vinaya Pitaka of the Jogye Order of Korea), and some of basic condiments and food items are unavoidable since they are commonly and widely used in the kitchen of temple. Under this circumstance, it is necessary to rethink “what is very Korean Buddhist cuisine” and “what defines the Buddhist cuisine”. In addition, the inappropriately named foods shall be removed from the list.

      • 불교 음식활동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지향

        공만식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1 宗學硏究 Vol.5 No.-

        불교음식이 산문을 넘어 한국 음식문화의 한 축으로 대중성을 획득하게 된 것은 조계종과 개별사찰 그리고 비구니 스님들의 그 동안의 활동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의 활동을 통해 불교음식은 일반음식과 더불어 한국 음식문화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불교음식활동에 있어 중요한 내용적 축으로 결합하여 기능해야 할 음식에 대한 불교문헌적 인식의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도 또한 사실이다. 요리 등 실물음식활동과 더불어 불교음식활동이 포괄해야 할 중요한 문화는 불교 음식명상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음식명상은 뚜렷하게 불교음식활동의 일부로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실제 활용 가능한 음식명상수행으로 음식두타행과 음식염처수행을 다루었다. 일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현재의 코로나 상황과 관련하여 음식에 초점을 맞추어 역사 속에서 한국 불교교단은 이러한 재난의 시기에 어떻게 대사회적, 불교적 책임을 다하였는가를 고려시대 자료들을 통해 살펴 보면서 현재 코로나사태에 대한 불교교단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achievement, limitation and the aim of the Buddhist Monastic Cuisine which has been performed since 1990’s. The culture of the Buddhist Monastic Cuisine has been spreaded by the Jogye Order, especially in the field of dining out sector but it does not embrace the knowledge and value which are based on Buddhist literature. Another task which should be included in the perfomance of Buddhist Monastic Cuisine is to practise the Buddhist Food Meditations such as Buddhist Food Dhuta Practice and Eating Mindfulness Meditation. Lastly, the Covid-19 pandemic demands the practical effort related to food supply by the Jogye Order to help the destitute classes as the Korye Buddhist Orders did when pandemic broke out.

      • KCI등재

        한국 불교의례에서 ‘먹임’과 ‘먹음’의 의미: 불공(佛供)·승재(僧齋)·시식(施食)의 3종 공양을 중심으로

        민순의 ( Min Sun Euy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7 종교문화비평 Vol.32 No.32

        이른바 재례(齋禮)로 통칭될 수 있는 현행 한국불교의 주요 의례들은 그 제차의 상당 부분이 먹이고 먹는 행위의 양식과 관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한국불교가 ‘먹임’과 ‘먹음’이라는 행위에 대해 갖는 의미를 주목하게 된다. 본고는 불공(佛供), 승재(僧齋), 시식 (施食)이라는 3종의 의례 절차에 주목하여, 한국불교의 의례에서 먹임/먹음과 관련된 절차의 구조와 양상, 역사적 변천과 그 의미 등을 살펴보았다. 초기불교는 신체의 손상에 이르는 과도한 절식이나 음식에 대한 탐착 모두를 거부하는 중도(中道)적 음식관을 지니고 있었다. 음식의 섭취는 적절한 건강상태를 유지하여 올바른 수행을 가능케 하는 수단이었다. 음식에 대한 이 같은 초기불교의 중도적 기능주의의 태도는 이후 불교의 전 역사를 통해 관철되었다. 당초 재가신도들이 승려들의 수행을 보필하고자 공경의 마음을 담아 음식과 생활 필수품 등을 바치던 행위인 공양(供養)은 동시에 재가자들 스스로가 공덕을 쌓는 수단으로도 인식됨으로써, 공양은 승단과 재가 사이에서 불도수행(佛道修行)과 공덕(功德)이라는 가치를 주고받으며 성립되는 이원론(dualism)적인 상호 교환적 가치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이후 대승불교의 불탑공양을 거쳐 동아시아로 전파되며 그 신앙적 의미가 깊어진 불공(佛供)의 의례는 상단(上壇)의 불보살에게 바쳐짐으로써 그들의 초월적 위신력과 가피를 구하려는 종교적 의미 또한 획득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승려들을 초청하여 음식을 제공하고 설법을 듣는 초기불교의 청식(請食) 전통은 불공의 종교적 의례화와는 별도로 존속하였으며, 고중세기 한국 사료에 남아있는 반승(飯僧)의 기록은 그 대표적인 흔적으로 보인다. 그런데 반승의 사례는 청식의 전통이 한국 등 동아시아 불교문화에서 변용되면서 국가권력과 왕권의 강화에 기여하는 정치사회적 의미를 띠게 되었음을 노정한다. 그러나 이는 동시에 수행과 깨달음이라는 목표를 지향하는 종교적 축제로서의 기능적 의미적 확장을 의미하기도 한다. 오늘날 반승은 영산재 식당작법(食堂作法)의 승재(僧齋) 양식 속에 그 흔적을 남긴 듯하다. 하단(下壇)의 영가(靈駕)에게 행해지는 시식(施食)은 한국불교의 재례가 자비와 공덕의 대상을 삼세중생으로 넓혀 우주적 차원의 구원론으로 확장되었음을 보여준다. 이 단계에 이르러 한국 불교의례에서 먹임 주체의 음식에 대한 태도는 초기불교의 ‘수행과 불이론(不二論)적으로 합치하는 공덕 추구’에서 ‘세속적 국가권력의 강화’ 태도를 거쳐 마침내 ‘공덕과 회향(回向)의 우주적 확산’이라는 국면으로 착실히 수렴되고 있다. 또 먹음주체의 입장에서는 먹음으로 표상되는 자력적 수행의 차원이 종내 타력적 구원으로 확장됨으로써, 국가-교단 간의 권력 관계를 넘어 대중적 기복 신앙으로 기층화되는 양상을 보게 된다. 재가신도와 하층민 나아가 삼세육도의 모든 중생에게 혜택과 공덕이 미치며 세속적인 측면까지 아우르는 축제 분위기에 도달한 것이다. 요컨대 한국의 불교의례는 초기불교의 기능주의적 물질적 음식관과 승단 청식의 전통을 받아들이며, 상단과 중단 그리고 하단에 이르는 3중의 의례적 구조를 완성하였고, 그 과정에서 수행과 공덕의 상호 교환적 가치로 재해석되는 이원주의적 사유체계, 초월적 존재에 대한 종교적 신앙심, 국가와 교단간의 정치사회적 권력관계, 수행과 공덕으로 성속을 아우르는 축제의 이미지, 그리고 마침내 자력과 타력을 두루하는 우주적 차원의 불교구원론이라는 다양한 의미의 지층을 중층적으로 포섭하게 되었다. The jaeryes(齋禮, upavasatha rituals), one of the main Korean Buddhist rituals of today,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acts of ‘feeding’ and ‘eating’. This treatise is focused on the triple practices of Bulgong(佛供, offering food to the Buddhas and the Bodhisattvas), Seungjae(僧齋, serving food to Buddhist monks) and Shishik(施食, offering food to others, especially ghosts), and then examines the structures, the aspects, the historical changes and the meanings of feeding/eating in those procedures. Early Buddhism held the material and functional attitude on food, and this attitude prohibited both the excessive temperance in food and the attachment to food. The intake of food was just to maintain a good health and to perform the appropriate religious self-disciplines. This tendency has been carried on throughout history. The gongyang(供養), which is offering action to monks by the lay persons out of the respects for monks’ disciplines, has been regarded as a kind of means for the lay persons to accumulate the merits, or the Buddhist charities, by doing good for others. Therefore, a dualistic and commutative value system has been established between the samgha and the laity : indulging in Buddhist self-disciplines for the monks and the charity-based merits for lay persons. The gongyang has been diversified in its forms and its various concepts has been widely disseminated to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It comes up to claim the religious meaning : the pursuit of transcendental force from the transcendental Buddhas and Bodhisattvas. In this connection, the gongyang was performed to dedicate things to the Buddhas and the Bodhisattvas at the top altar of the main hall in the temple : it is also called Bulgong(佛供). Meanwhile, the tradition of inviting Buddhist monks to dinner and listening to Buddhist sermon in return had been transformed into Banseung(飯僧, ritual for kings to feed the monks) in Shilla(新羅) Dynasty of Korean Ancient Ages and in Koryeo(高麗) Dynasty of Korean Middle Ages. Actually the mode of Banseung practices demonstrated the national power which was overwhelming the Buddhist order. It also functioned as a kind of festival which was sacred rather than secular. Festivals are usually the entertainments and the enjoyments for the commoners but this Buddhist festivals were in a way of promoting the Buddhist self-disciplines and enlightenment. Today it seems to be handed down in the form of a Buddhist ritual practices called Shikdangjakbeop(食堂作法) : it is also called Seungjae(僧齋). Finally Shishik(施食), the ritual practices of offering food to ghosts displayed at the bottom altar of the main hall of the temple, shows the popular and universal Buddhist salvation. In this step, the attitude-to-food of feeding agents in the Buddhist rituals becomes to have the overlapping meaning, from the material and functional attitude on food and the dualistic and commutative value system around religious self-disciplines and charities in Early Buddhism, to the popular and universal extension of religious salvation. Simultaneously, the way of self-disciplines includes not only one’s own exertion but also pursuit of transcendental power in a dimension of the eating agents of Buddhist rituals. It means the popularization of the faith for blessing. Now, in a sense, it seems the festival over the sacred and the secular together. In short, Korean Buddhist rituals accepted the material and functional attitde on food and the tradition of inviting Buddhist monks to dinner in early Buddhism, and completed the triple ritual-altar structures from top for the Buddhas and the Bodhisattvas to bottom for ghosts and mean creatures. And then it involved the dualistic thinking system of mutual exchangeable values around religious self-disciplines and charities, the faith in transcendental beings, the power relation between national order and Buddhist order, the image of festival over the sacred and the secular together, and finally universal salvation concept embracing the salvation from one’s own exertion and that from outside. And all of those can be explained in the contexts of feeding/eating in the Korean Buddhist ritual procedures and performances.

      • KCI등재

        한국불교 식문화의 특징과 연구 활성화 방안 - 제1차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를 토대로 -

        김현구 한국정토학회 2015 정토학연구 Vol.24 No.-

        필자는 지난 2013년 3월 26일부터 6월 21일까지 대한불교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 사찰음식팀이 기획한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를 진행하였다. 원로스님, 공양주보살, 그리고 사찰음식 연구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분들의 구술 내용에 근거하여 사찰음식 원형문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는 사찰음식의 근본적인 정체성을 찾아야한다는 필요성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를 찾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어떤 음식을 사찰음식이라고 할 수 있는지, 사찰음식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불교 내적으로 사찰음식에 대한 정의와 범주를 확인하며, 그에 부합하는 사찰 식문화의 원형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서는 반드시 사찰음식의 전통식단 및 식문화에 대한 자료 수집을 진행해야한다. 더불어 이러한 자료 수집은 서구화·현대화된 식생활 문화의 영향으로 사찰 식문화의 원형성이 약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미 사라졌거나 사라져가는 사찰음식의 전통식단 및 식문화를 보존하기 위해서라도 시급히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를 위해 먼저 문헌자료를 토대로 한국불교의 식문화의 원형성에 대해 고찰했다. 이는 사찰음식에 대한 문헌적 근거를 불교경전에서 확보하고, 동아시아 불교문화에 나타난 사찰음식의 역할, 기능, 그리고 위상을 파악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원로스님들로부터 출가 당시의 사찰 먹거리에 관한 다양한 경험을 듣고, 특색이나 지방색이 있는 음식을 만들어 드셨을 경우 전승경로와 조리법을 파악했다. 이는 인터뷰설문에 근거하여 원로스님들의 출가 당시를 기준으로 사찰음식 원형문화에 대한 특색을 정의하기 위해서였다. 필자는 이상의 조사의 과정에서 사찰음식의 원형성을 정의할 수 있었다. 특히 각 사찰마다 서로 다른 지역적 환경에 따른 특산물을 이용한 조리법은 다양했지만, 불교의 근본정신에 부합하는 음식 조리법과 식사 방식을 강조했다. 그러므로 현대에서 사찰음식이 대중에게 향유되는 방향성도 그 근본정신에 맞추어져야 한다. 사찰음식은 단순히 사찰에서 먹는 채식위주의 식단만이 아니라 불도를 이루기 위한 마음가짐과 몸가짐으로 먹는 수행인의 식사인 것이다. 많은 원로스님들의 말씀 속에는 이러한 사찰음식의 본래정신과 수행자의 자세가 충분히 담겨져 있었다. I have carried out a research under following title: interviews to senior buddhist monks and nuns for identifying traditional temple food.” It was a part of the research which was conducted by Cultural Corps of Korean Buddhism(Korea Buddhism of Jogye Order) during 26 March to 21 June 2013. The main aim of this survey was that to record traditional culture of korean temple food, based on oral statement from senior buddhist priests and monastic cooks. I have looked the origination of Korean monastic food, since fundamental identity of temple food needed to be confirmed. In order to identify temple food, history of temple food within korea Buddhist history should be traced. For this project, we tried to confirm the definition of korea temple food. Then the origins of Buddhist food culture was necessarily looked at to meet it next. For this research, data for the traditional diet and the food culture of temple had to be collected. Furthermore, from influence of westernized or modernized diet and food, traditional diet and the culture of temple food are disappearing so that collection of data regarding already gone and is going to be disappeared is urgently requir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There are two ways of study. On the one hand, we examin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Buddhist food culture on the basis of the related Buddhist literatures and learning from senior buddhist monks and nuns and temple cooks about various experiences of food culture at the time of their renunciation. On the other hand, figuring out of the transmission lineages and recipes in the case when they have a regional specialty or peculiarity. First of all, securing the literal source of temple food from the Buddhist scripture. Secondly, collecting the materials mentioned about role, function, and authority of the temple food appearing on East Asia Buddhist culture. Finally, it brings about a defini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temple food culture based on interview survey of the senior monks and nuns at the time of their renunciation. While conducting this research, I have realized the fundamental identity of Korean temple food. In particular, all monks emphasize recipes and diet that correspond to the very spirit of Buddhism. Although each temple has a wide variety of recipes because of using other indigenous ingredients. Thus, sharing temple food with public should be focused on the fundamental spirit of the temple food. Since Korean temple cuisine is not merely vegetarian dish, but also meant to achieve self enlightenment, most of senior monks and nuns told us that it is important to remain a state of mind and morality to practitioner's position. In the words of many senior monks, the original spirit of these Buddhist temples and practitioner's position is fully incorporated into.

      • KCI등재

        초기불교 음식관의 윤리성과 도덕교육적 함의

        장승희 한국환경철학회 2018 환경철학 Vol.0 No.26

        This study analyzes the ethics of the food in the viewpoints of the early Buddhism and explores its moral educational meaning. Early Buddhism linked the origins of the world to food and believed that discrimination and division, greed and thirst, lies and misdeeds were caused fundamentally by food. Food is explained by not only food that is eaten, but also three other different types of food; contact, purpose and consciousness food. In early Buddhism, the discussion of food was strictly divided between the trainee and the general public. The trainees should manage greed and thirst through temperance and control of food. There are three ethical characteristics to find here. First, the food was very important and placed at the beginning of the acting technique, and the rings of acting were kept connected with the food starting with it. This causal rule can be applied by broadening the relevance and causality of food. Second, try to temperate and control greed for food through food discipline. Third, early Buddhism’s food perspective is a rational moderate attitude. This is characterized by an understatement to accept the need for food to survive and not indulge in it. These early Buddhism’s food perspective was also applied to Mahayana Buddhism, so it could be applied according to their time and culture while maintaining Buddhism spirit. Early Buddhist food ethics have many implications for capitalist food lives today. Nevertheless, there are limitations in moral education. First, too much is being discussed at the center of a trainee. Second, there is an over-negative view of food, and third, there is a weak reflection on common karma on food. However, early in Buddhism, which values food and emphasizes strict control and control, is something to remember and apply today. 이 글은 초기불교의 음식에 대한 관점과 그 윤리적 성격을 분석하여 도덕교육적 의미를 탐구한 것이다. 초기불교는 세상의 기원을 음식과 결부시키고 있는데, 음식으로 인하여 분별과 차별, 탐욕과 갈애, 거짓말과 악행이 발생하였다고 본다. 또한 먹는 음식에 더하여 접촉·의도·의식의 네 가지 음식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음식으로 음식을 통제하는’ 독특한 윤리관을 보여준다. 초기불교 수행자들은 인간의 괴로움의 원인인 탐욕과 갈애의 근원이 음식에 있다고 보아 음식의 절제와 제어를 통한 음식수행을 무엇보다 중시하였다. 초기불교의 음식관에서 찾을 수 있는 윤리성은, 첫째, 음식을 연기의 출발로 중시한다는 것이다. 음식을 출발로 연기의 고리가 시작되어 무명(無明)으로까지 이르기 때문에 번뇌를 소멸하여 해탈하기 위한 수행에서 음식에 대한 제어가 중요한 과제로 등장한다. 둘째, 음식의 맛과 양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탐욕을 절제하는 노력을 기울여 인간다운 먹음이 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였고, 이는 오늘날 자본주의 음식생활에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 셋째, 합리적 중도주의 태도로, 생존을 위한 음식의 필요성을 수용하면서도 탐닉하거나 끌려 다니지 않는 절제된 자세를 강조였으며 이러한 음식 수용의 자세는 대승불교에 이르러 시대와 문화에 따라 불교 정신을 유지하면서 문화에 적합하게 수용하여 왔다. 그럼에도 도덕교육적 관점에서 한계를 살펴보면, 첫째로 지나치게 출가자 중심이라는 것, 둘째로 음식에 대해 지나치게 부정적이라는 점, 셋째는 음식과 관련하여 사회공동체 관점의 공업(共業) 의식이 약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음식을 중시하여 음식에 대한 엄격한 절제와 제어를 강조한 윤리적 자세는 오늘날 자본주의 음식생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겨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상 : 자기 관리법으로서 불교의 음식 윤리

        이을상 ( Eul Sang Le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2 동양문화연구 Vol.11 No.-

        불교의 음식윤리는 불교의 수행법에 따라 가장 잘 이해된다. 즉 부처님은 당시의 관습에 따라 고행의 길을 갔다. 그러나 아무리 육체를 괴롭히더라도 나는 번뇌에서 벗어나게 할 수 없었다. 이를 깨달은 부처님은 난타바라가 끓여주는 우유죽을 마시고 원기를 회복한 다음, 명상을 통해 ‘보리의 도’를 깨달았던 것이다. 이러한 깨달음의 관점에서 볼 때 먹는 것은 결코 삶의 목적이 될 수없다. 그러나 부처님이 우유를 마시고 육체적 원기를 회복한 다음 깨달음을 얻은 것에서 보듯이, 음식은 육체적 삶을 위해 필수적이다. 육체가 없으면 해탈을 이룰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스님들이 공양할 때 외는오관게도 “몸이 마르는 것을 막는 약으로 여겨 깨달음을 이루기 위하여이 음식을 받는다.”고 설파한다. 오관게는 먹는 것의 불교적 의미를 분명히 해 준다. 이렇듯 불교의 음식문화는 스님들의 구도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또한 사찰음식은 채식을 위주로 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채식은 불살생의 계(戒)와 관련이 있고, 불살생의 계란 어떤 의미에서 깨달음을 얻기 위한 자기관리를 의미한다. 이에 우리는 먼저 채식을 위주로 하는 사찰음식의 의의(2장)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불교의 식사법(3장)을, 그리고 불살생의 계와 관련한 동물윤리(4장)에 관해 차례로 고찰할 것이다. 불교의 음식윤리는 근본적으로 수행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이고,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엄격한 ‘자기관리’가 요청된다. 이러한 자기관리법의 연장선에서 음식윤리를 정립하려는 것이 이글의 목표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ethical tradition of Buddhist food culture. Frankly speaking, a characteristic of Buddhist food culture is vegetarianism. Today vegetarianism is well known as well-being style. But Buddhist tradition of food culture is different from that of well-being. This is focused on the individual health state, but the latter says a means to keep body alive and arrive at the way of training mind. So a famous Buddhist text say that “I take a food only in order to keep my body alive and to establish the Tao of Bodhsattva. As we have seen, Buddhist food culture is relevant to religious belief of Buddhist monk and the vegetarianism as a characteristic of temple food is relevant to prohibitive injunction ``not to kill`` which is meant the self-controlling method in a sense that we want to control myself and arrive at the state of nirvana. So we are going to take an examination of the meaning of temple food(2 ch.) and the characteristic of Buddhist eating manner(3 ch.) and the significations of prohibitive injunction ``not to kill`` and animal ethics which is relevant to Buddhist prohibitive injunction ``not to kill``.

      • KCI등재

        한국 사찰음식의 문화유산 가치와 전승 과제

        배영동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69

        Unlike general Korean foods,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containing Buddhist ideas are cultural heritage items which have developed along with Buddhist ritual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have considerable elements in common with general Korean foods. However, they are separated by the characteristic that they avoid meat, fish and five pungent herbs based on Buddhist principles. Balwu-Gongyang is a communal Buddhist meal service, which is a typical cultural phenomenon that well represents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Many aspects in the cultural heritage of Balwu-Gongyang are as follows: Buddhist discipline based on Buddhist principles, wisdom of ecological adaptation, inheritance of a type of simple daily Korean food, foods as medicines preventing and healing diseases, realization of Korean ‘communal values’ and ‘the value of sharing’, and eco-friendly saving and complete consumption. Next, the extension of the food range of Balwu-Gongyang leads to the cultural heritage value in seasonal foods of Korean Buddhist temples. This cultural heritage contains fixed forms of general people’s ritual foods and Korean Buddhist seasonal foods considerably. This is a heritage of food culture that reflects changes in Korean foods, and also a communal cultural heritage of general people and Korean Buddhist temples. Nevertheless, as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have not been identified completely, there are various things to do in order to pass down these temple foods properly. Traditionality of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needs to be recovered. Each temple should develop its own unique temple foods. Seasonal temple foods that are forgotten need to be restored or represent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of passing down traditional Buddhist temple foods. Buddhist temple foods in Korea should be systemized and recorded periodically after academic surveys of these foods are conducted. Distinctions between traditional temple foods and contemporary ones are necessary. How to merchandize temple foods for the public needs to be established as well. 한국의 사찰음식은 일반적인 한식과 달리 불교사상을 담고 있는 음식으로서 불교의례와 더불어 발달한 문화유산이다. 물론 사찰음식은 일반적인 한식의 요소도 상당히 갖고 있지만, 불교사상에 기초하여 육류․생선․오신채(五辛菜)를 쓰지 않는 음식이라는 특징을 보인다. 발우공양은 사찰의 식사법으로 사찰음식을 이해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화현상이다. 발우공양의 문화유산 가치를 찾아보면, 불교사상에 기초한 불교 수행론의 문화유산, 생태적 적응의 지혜를 간직한 문화유산, 간소한 일상적 한식의 유형을 전승하는 문화유산, 병을 예방하고 치유하는 음식으로서 의료문화유산, 한국인들의 ‘공동체적 가치’와 ‘나눔의 가치’를 실현하는 문화유산, 절약과 완전소비를 추구하는 생태주의 문화유산이다. 다음으로 사찰 세시음식의 문화유산 가치는, 발우공양 음식의 범주가 확장된 것이며, 민간 의례음식의 고형과 불교세시음식의 고형을 상당히 많이 간직하고 있는 문화유산, 한국 음식의 변화상을 반영한 음식문화유산으로서, 민간과 사찰의 공동체적 문화유산이다. 그런데도 사찰음식은 정체성이 모호한 부분이 있으므로 바람직한 전승을 위한 과제가 적지 않다. 사찰음식의 전통성 회복, 사찰마다 특색있는 음식 살리기, 잊힌 사찰 세시음식의 복원 또는 재현, 전통적 사찰음식의 전수체계 마련, 전국 사찰음식에 대한 학술조사 후 체계화와 주기적인 기록화, 전통적인 사찰음식과 현대적인 사찰음식의 구분, 사찰음식의 대중 상품화 방안 모색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불교의 세계화 현황과 비전 - 대한불교조계종을 중심으로 -

        고상현 ( Ko Sang-h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8

        한국불교의 세계화는 1990년대 이후 본격화되어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더욱 확산되었다. 이에 2004년 대한불교조계종에는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을 설립하여 템플스테이를 중심으로 한 사업을 진행하였다. 한국불교의 세계화는 한국불교의 이식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다른 세계의 가치와 규범, 사유 등의 차이를 인식하고 소통하고 상호교류하는 상의상관의 연기적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국내형과 국외형의 나누어 진행된 현황을 고찰하고 비전을 제시하였다. 먼저 국내형으로는 첫째로 조직과 인력이다. 조직으로 는 조계종 총무원 총무부, 사회부, 교육원, 포교원, 한국불교문화사업단 등에서 각각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종단을 넘어 범불교적인 세계화 진행을 위해(가칭)‘한국불교세계화센터’ 설립을 제시했다. 인력양성을 위해 영어전문교육기관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장학승, 외국인스님 연수 등이 진행되고 있다. 비전으로 조계종에서 외국인 스님의 지원과 교육,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지자체에서도 지역문화의 세계화를 위해 지역 사찰의 스님 교육 지원과 전문인력 배치가 필요하다. 둘째로 템플스테이, 불교 축전 등 다양한 무형문화유산의 활용과 관광상품의 개발 등 불교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세계화를 확대 강화해야 한다. 셋째로 구산스님이나 숭산스님 등 한국선수행을 통해 세계화한 것처럼, 문경 봉암사 등 수행처로서 사찰 위상을 재정립하고 알려야 하며, 넷째로 합천의 고려대장경테마파크와 같은 것을 확장한 불교테마파크의 건립, 다섯째로 전통문화 보존과 활용을 위한 지자체의 조례 제정 등 제도적 장치 마련, 여섯째, 지역민의 인식 제고를 위한 공교육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국외형으로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의 지속적 활동, 한국불교문헌의 외국어역을 위한 (가칭)‘한국불교문헌 외국어역위원회’의 구성, 그리고 해외사찰이나 조직 등 지원 강화를 들 수 있다.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started in earnest in the 1990s and spread further after the 2002 World Cup. Accordingly, in 2004,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established the Cultural Corps of Korean Buddhism and conducted a project centered on Templestay.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is not for the transplantation of Korean Buddhism, but it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ditioned genesis, recognizing and interacting with the differences in values, norms, and thoughts of other countries.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was divided into domestic and foreign types, and the current status and vision were presented. As for the domestic type, the first is the organization and manpower. Organizations such as the Jogye Order's General Affairs Office, Social Affairs Office, the Education Bureau, Dharma Propagation Office, and the Cultural Corps of Korean Buddhism are being carried out, respectively. In the future, he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the (tentative name) ‘Korea Buddhist Globalization Center’ to promote pan-Buddhist globalization beyond Order. Second, globalization should be expanded and strengthened by utiliz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such as Templestay, Buddhist festivals, and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rd, just as it was globalized through Korean practice such as Monk Gusan and Sungsan, the temple should be known as a place of practice, such as Mungyeong Bongamsa. Fourth, the establishment of a Buddhist theme park that expanded such as the Goryeo Daejanggyeong Theme Park in Hapcheon, fifth,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arrangements such as the enactment of local government ordinances for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sixth, the reinforcement of public education to raise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As for the overseas type, the continuous activities of UNESCO World Heritage listing, the formation of the (tentative name) ‘Korean Buddhist Literature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Committee’ for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of Korean Buddhist literature, and overseas temples and and strengthening support from overseas temples and organizations.

      • KCI등재

        조선후기 水陸齋文에 나타난 불교음식 연구

        이선이(李鮮?)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0 No.-

        이 논문은 지환의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의 육색장축원문에서 불교음식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수륙재를 설행하는 기간과 시설하는 단(壇)이 점차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 이유는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기 위한 현상으로 해석된다. 비록 설행하는 규모는 줄이지만, 음식을 준비하는 소임은 한국적인 용어를 사용하며 체계화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중국에서 인식하고 있는 수륙재의 의미보다는 음식을 매개체로 하는 의례라는 인식의 전환이 반영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공양물의 중요함이 강조되고, 국가조직인 육조(六曹)에서 실무를 담당하는 육색장(六色掌)의 이름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수륙재에서 준비해야 할 공양물을 만드는 직책을 육색장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특징은 1600년 이전에 성립된 것으로 판단된다. 육색장은 밥을 짓는 반두(飯頭), 밀가루·기름·꿀로 유밀과를 만드는 조과(造菓), 떡을 만드는 조병(造餠), 차를 끓이는 다각(茶角), 정과를 만드는 숙두(熟頭), 국을 끓이는 채로(菜露)이다. 육색장은 아니지만, 육색장이 원하는 것을 만들 수 있도록 재료와 도구를 준비하는 별좌(別座)도 중요한 소임이다. 육색장은 조리 방법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반두는 곡식 낱알을 찌고, 조과는 곡식 가루를 반죽하여 튀기고, 조병은 곡식 가루를 찌고, 다각은 차를 끓이고, 숙두는 근·줄기·열매를 꿀로 졸이고, 채로는 물에 끓인다. 음식으로는 밥, 유밀과, 떡, 차, 정과, 국이다. 한국식생활의 기본 요소인 밥과 국을 제외하면, 떡과 유밀과는 수륙재의 음식에서 중심이 된다. 이는 경전에서 최고의 공양물로 여기는 기름과 꿀을 이용한 유밀과가 수륙재에 전승되고 있는 증거이다. 이와 같이 육색장은 조리법을 기준으로 역할을 나누어 조직화하며, 떡과 유밀과는 불교음식으로 전승된다. 그리고 육색장의 직책 이름이 청규나 경전·주석서에 보이지 않는 것은 한국수륙재의 특징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국수륙재가 수륙재의 공양물에 좀 더 의미를 부여한다는 뜻이다. 지환의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육색장축원문에는 불교음식의 의미와 분류체계가 나타나며, 유밀과의 전승 모습을 나타낸다.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food were found in the original text of Jihwan(智還)"s 『CheonjiMyeongyangsuryukjaeieubeomeumsanbojip』 of Yugsaegjangchugwon-text.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r Suryukjae, the period of installation and the mandala of installation are gradually decreasing. The reason is interpreted as a phenomenon to reduce the economic burden. Although the economic scale of Seolhaeng is reduced, the job of preparing food is systematized using Korean terminology. This characteristic can be interpreted as shifting to the recognition of rituals using food as a medium rather than the meaning of Suryukjae recognized in China. In this process, the importance of offerings is emphasized, and the name of the Yuksaekjang(六色掌) is accepted. The job of making offerings to be prepared in Suryukjae was called Yuksaekjang. And it can be judged that it was established before 1600s. Yuksaekjang is an artificially made confection that person who cooks(飯頭), artificially made confection(造菓), rice cake maker(造餠), tea brewer(茶角), person who stews fruits in honey and sesame oil(熟頭), person who cooks soup(菜露). Although it is not Yuksaekjang, Byeoljwa(別座) prepares ingredients and tools so that Yuksaekjang can make what she wants. Yuksaekjang determines how to cook. Person who cooks is for steaming grains, artificially made confection for kneading and frying grain powder, rice cake maker for steaming grain flour, tea brewer for boiling tea, person who stews fruits in honey and sesame oil for boiling roots and fruits with honey, and person who cooks soup for boiling in water. Foods are rice, honey and oil, rice cake, tea, and stewed fruit and root vegetable. In this way, the Yuksaekjang is organized according to the cooking method. And it can be judged that it is a characteristic of Korean Suryukjae that the name of Yuksaekjang does not appear in Chinese scriptures or commentaries.

      • KCI등재

        웰빙(well-being)시대의 음식윤리 모색 __불교적으로 먹고, 윤리적으로 살기의 일상적 실천__

        허남결 ( Nam Kyol Heo ) 인도철학회 2015 印度哲學 Vol.0 No.43

        먹는 것의 역사는 인류의 발생과 함께 시작하여 지금도 쉼 없이 이어지고 있는 인간의 본능적 활동이자 사회적 행위 그 자체이다. 윤리학이 우리들의 사고 및 행동과 관련되는 실천적 물음들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기 위한 원리의 탐구라면 먹는 행위일반을 다루는 이른바 ‘음식윤리(food ethics)’의 출현은 지극히 당연한 귀결인 것처럼 보인다. 이 글은 그와 같은 인식의 연장선상에서 음식윤리의 중요성을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가운데 불교의 음식윤리문화에 대한 윤리적 이해를 도모하고 있다. 예컨대, 불교에서는 육식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육식자체의 반대가 아니라 주어진 음식의 성격과 그것을 받아먹는 수행자의 자세를 문제 삼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불교의 음식윤리문화는 이른바 중도주의적 음식윤리로 성격규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논의의 과정에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서양윤리학에서 발달한 동물권리 개념과 채식주의의 윤리적 정당화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조망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이 글에서 무엇보다도 웰빙(well-being)시대의 최대수혜자인 현대인들이 음식의 생산과 유통 및 소비의 전체 구조를 윤리적으로 성찰하고 더 나아가 그것과 관련된 종합적 가치판단을 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을 강조하고자 했다. 이 글은 음식윤리가 말 그대로 학제간연구의 전형적인 사례임을 일깨우는 한편, 오늘날 너도나도 웰빙을 추구하는 삶을 살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불교의 음식윤리전통으로부터 무엇을 배워야 할 것인가에 대한 도덕적 관심의 환기를 주문하고 있다. The history of eating is an instinctive activity and a social behavior of humans that began together with the birth of humanity and that has continued since then. If we consider the study of ethics to be a search of the principles behind behavior for providing answers to the practical questions related to our thoughts and actions, it seems that the emergence of ‘food ethics,’ which deals with the behavior of eating is an obvious consequence. As an extension from this line of thought, and taking a general look at the importance of food ethics, this essay strives for an ethical understanding of the food ethics culture of Buddhism. For instance, it is widely understood that eating meat is strictly forbidden in Buddhism, but in reality, this is no more than calling into question the character of the given food and the attitude of a trainee who takes it, rather than opposing the act of eating meat itself. Such food ethics culture of Buddhism could be defined as what is called a centrist food ethics. In the process of our discussion, we expect to obtain diverse views on the concept of animal rights that were developed in Western ethics and on the possibility of ethical justification of vegetarianism. In this essay, I wants the modern people, who are the biggest beneficiaries of this age of well-being, to explore the whole system of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food from an ethical viewpoint, and to step further and cultivate the ability to make a comprehensive value judgment on these matters. However, we are truly fortunate in that we believe that if people become aware of the fact that they can find reasonable and practical principles regarding these matters from the centrist food ethics culture of Buddhism, they will acutely understand how the teachings of the Buddha is still progressive in the present. On one hand, this essay will enlighten the readers on how food ethics is literally a classic exampl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on the other, it demands the arousal of moral interest on what could be learned from the food ethics tradition of Buddhism for most of the people who pursue well-being in the present world. However, it should be frankly acknowledged that my essay only shows various critical views related to food ethics, and is limited by its contemporary character in many aspects. Regarding this point, modifications and supplementation will be made as far as opportunity allo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