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동아시아 불교의 음식 특징 비교 - 한국ㆍ중국ㆍ일본, 3국을 중심으로
김미숙 ( Kim Mi-su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8
평범한 생활인의 일상을 떠나 수행자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모여사는 공간이 사찰이다. 그 특별한 공간에 담겨 있는 음식이 평범한 삶을 살아가는 재가 생활인들의 음식과 동일하지 않다는 것은 상식적일 것이다. 그러나 그 특별한 공간의 음식들은 특별한 만큼 일반인들, 소위 속인들의 이목을 끌고 일종의 선망(羨望)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최근에는 그러한 사찰음식이 현시대가 원하는 이상적인 식단이라고 각계의 찬사를 받으면서 세계적인 주목과 호평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삼국, 즉 한국, 중국, 일본의 불교 음식을 자료로삼아 비교하되, 특히 한국 사찰의 식단적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문헌적 배경을 추적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불교 음식의 첫째가는 특징으로 꼽히는 오신채 금지에 대해서, 불교 음식의 기원이라 할 인도 불교 전통으로 소급하여 고찰하였다. 율장을 비롯한 불전(佛典)에서 금지하고 있는 음식의 종류는 낮은 위도의 아열대 몬순 기후에서 생활했던 붓다 시대의 승가 구성원에 적용되었던 사안들이다. 따라서 시대적으로 보자면 무려 2,500여 년을 거슬러 올라간다. 모든 것이 급속히 변모하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로서는, 불교가 인도에서 발흥하여, 중국, 한국, 일본으로 전전(轉傳)되는 과정에서 불교의 교리는 일부 강화되기도 하고, 폐기되기도 하였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필자는 그와 동일한 맥락에서, 이 땅에 자생하지도 않고 재배하지도 않는 식물에서 추출, 가공하여 조미료로 사용하는 힝구(hingu, Asafoetida)를, 오신채의 하나로서 금지한다는 설명은 이제 더 이상 의미가 없다고 주장한다. 달리 말하면, 한국 사찰 음식의 특징으로서, `힝구를 넣지 않는다`는 조목은 폐기해야 한다. 인간의 식이(食餌) 관습은 변한다. 시간과 장소에 따라, 그리고 특별한 목적에 따라 원칙과 예외가 생겨나고, 허용되거나 금기시되기도 한다. 최근 한국의 사찰 음식을 소개하는 책 이름에 `레시피`(recipe)라는 단어가 등장하고 음식 종류에도 `김치밥 피자, 야채 짜장, 레몬 소스와 오이 샐러드, 느타리 깐풍기`가 열거되고 있다. 이것이 우리 사찰 음식의 현주소이다. 또한 일본 음식의 영향이 분명한 채수(菜水)를 기본 양념의 하나로 삼고있으며, 중국 음식, 서양 음식 가리지 않고 한국의 사찰 음식 목록에 포함시키고 있다. 그리고 한국 조계종의 기본 율장으로 삼고 있는 『사분율』에서 금지하고 있는 미식(美食)의 종류들은 현재 한국 사찰 음식에서는 현실적으로 상용하는 기본 양념이자 허용된 음식으로 자리 잡은 지 이미 오래되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에 착안한다면, 사찰 음식이라는 이름으로 풍미하고 있는 세간의 불교 음식류 또한 원형이라고 볼 만한 것이 무엇인지, 사찰 음식이라는 이름이 과연 합당한지도 재고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고 본다. Generally, the Buddhist temple is reserved for monks and nuns. The traditional Buddhist way of life, therefore has been well preserved, separated from secular affairs. Culinary culture is not exceptional and temple`s diet is different from that of ordinary people. Growing interest in health life advocates a vegetarian diet for its benefits, and Buddhist diet gains more and more popularity around the world. Especially, many experts look to Korean Buddhist food for their answer to fighting against obesity and adult disease.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cuisine in China, Korea and Japan in the context of Buddhist script. Most of Mahayana Buddhists strongly oppose to eat meat and certain type of foods on scriptural grounds. However, it is worth to address that such rule is the product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 (humid and sub-trophic weather where foods can be easily spoiled) and other circumstances in ancient India. As Buddhism gradually spread from India to China, Korea and Japan, certain provision of script was added or omitted for a variety of reasons. Hingu (asafoetida) provides a good example; Korean monks and nuns are not allowed to eat this vegetable only because it is classified as one of the Panca-Parivyaya (five forbidden vegetables ; five spices) although it is neither native nor cultivated ever in Korea. Surely, the time has come to review this kind of rules and regulations. As history tells us, the culinary culture is not unchangeable. There must be an exception to the rule and the taboo and stigma is neither universal nor permanent. Today, the term `recipe` is popular as a tile of Buddhist books in Korea. Also, the un-heard cuisines are being introduced - namely, Kimchi-rice pizza, meat-free Jajang-myeon (noodle with black soybean sauce), lemon-dressed cucumber salad and fried oyster-mushroom. Unfortunately, this is the situation we face. Moreover, these cuisines are influenced by Japanese (vegetable broth is not Korean tradition), Chinese or Western recipe. This trend is not comply with the provisions of the Four-fold Rules of Discipline (the foundation of the Vinaya Pitaka of the Jogye Order of Korea), and some of basic condiments and food items are unavoidable since they are commonly and widely used in the kitchen of temple. Under this circumstance, it is necessary to rethink “what is very Korean Buddhist cuisine” and “what defines the Buddhist cuisine”. In addition, the inappropriately named foods shall be removed from the list.
공만식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1 宗學硏究 Vol.5 No.-
불교음식이 산문을 넘어 한국 음식문화의 한 축으로 대중성을 획득하게 된 것은 조계종과 개별사찰 그리고 비구니 스님들의 그 동안의 활동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의 활동을 통해 불교음식은 일반음식과 더불어 한국 음식문화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불교음식활동에 있어 중요한 내용적 축으로 결합하여 기능해야 할 음식에 대한 불교문헌적 인식의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도 또한 사실이다. 요리 등 실물음식활동과 더불어 불교음식활동이 포괄해야 할 중요한 문화는 불교 음식명상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음식명상은 뚜렷하게 불교음식활동의 일부로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실제 활용 가능한 음식명상수행으로 음식두타행과 음식염처수행을 다루었다. 일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현재의 코로나 상황과 관련하여 음식에 초점을 맞추어 역사 속에서 한국 불교교단은 이러한 재난의 시기에 어떻게 대사회적, 불교적 책임을 다하였는가를 고려시대 자료들을 통해 살펴 보면서 현재 코로나사태에 대한 불교교단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achievement, limitation and the aim of the Buddhist Monastic Cuisine which has been performed since 1990’s. The culture of the Buddhist Monastic Cuisine has been spreaded by the Jogye Order, especially in the field of dining out sector but it does not embrace the knowledge and value which are based on Buddhist literature. Another task which should be included in the perfomance of Buddhist Monastic Cuisine is to practise the Buddhist Food Meditations such as Buddhist Food Dhuta Practice and Eating Mindfulness Meditation. Lastly, the Covid-19 pandemic demands the practical effort related to food supply by the Jogye Order to help the destitute classes as the Korye Buddhist Orders did when pandemic broke out.
한국불교 식문화의 특징과 연구 활성화 방안 - 제1차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를 토대로 -
김현구 한국정토학회 2015 정토학연구 Vol.24 No.-
필자는 지난 2013년 3월 26일부터 6월 21일까지 대한불교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 사찰음식팀이 기획한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를 진행하였다. 원로스님, 공양주보살, 그리고 사찰음식 연구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분들의 구술 내용에 근거하여 사찰음식 원형문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는 사찰음식의 근본적인 정체성을 찾아야한다는 필요성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를 찾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어떤 음식을 사찰음식이라고 할 수 있는지, 사찰음식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불교 내적으로 사찰음식에 대한 정의와 범주를 확인하며, 그에 부합하는 사찰 식문화의 원형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서는 반드시 사찰음식의 전통식단 및 식문화에 대한 자료 수집을 진행해야한다. 더불어 이러한 자료 수집은 서구화·현대화된 식생활 문화의 영향으로 사찰 식문화의 원형성이 약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미 사라졌거나 사라져가는 사찰음식의 전통식단 및 식문화를 보존하기 위해서라도 시급히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를 위해 먼저 문헌자료를 토대로 한국불교의 식문화의 원형성에 대해 고찰했다. 이는 사찰음식에 대한 문헌적 근거를 불교경전에서 확보하고, 동아시아 불교문화에 나타난 사찰음식의 역할, 기능, 그리고 위상을 파악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원로스님들로부터 출가 당시의 사찰 먹거리에 관한 다양한 경험을 듣고, 특색이나 지방색이 있는 음식을 만들어 드셨을 경우 전승경로와 조리법을 파악했다. 이는 인터뷰설문에 근거하여 원로스님들의 출가 당시를 기준으로 사찰음식 원형문화에 대한 특색을 정의하기 위해서였다. 필자는 이상의 조사의 과정에서 사찰음식의 원형성을 정의할 수 있었다. 특히 각 사찰마다 서로 다른 지역적 환경에 따른 특산물을 이용한 조리법은 다양했지만, 불교의 근본정신에 부합하는 음식 조리법과 식사 방식을 강조했다. 그러므로 현대에서 사찰음식이 대중에게 향유되는 방향성도 그 근본정신에 맞추어져야 한다. 사찰음식은 단순히 사찰에서 먹는 채식위주의 식단만이 아니라 불도를 이루기 위한 마음가짐과 몸가짐으로 먹는 수행인의 식사인 것이다. 많은 원로스님들의 말씀 속에는 이러한 사찰음식의 본래정신과 수행자의 자세가 충분히 담겨져 있었다. I have carried out a research under following title: interviews to senior buddhist monks and nuns for identifying traditional temple food.” It was a part of the research which was conducted by Cultural Corps of Korean Buddhism(Korea Buddhism of Jogye Order) during 26 March to 21 June 2013. The main aim of this survey was that to record traditional culture of korean temple food, based on oral statement from senior buddhist priests and monastic cooks. I have looked the origination of Korean monastic food, since fundamental identity of temple food needed to be confirmed. In order to identify temple food, history of temple food within korea Buddhist history should be traced. For this project, we tried to confirm the definition of korea temple food. Then the origins of Buddhist food culture was necessarily looked at to meet it next. For this research, data for the traditional diet and the food culture of temple had to be collected. Furthermore, from influence of westernized or modernized diet and food, traditional diet and the culture of temple food are disappearing so that collection of data regarding already gone and is going to be disappeared is urgently requir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There are two ways of study. On the one hand, we examin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Buddhist food culture on the basis of the related Buddhist literatures and learning from senior buddhist monks and nuns and temple cooks about various experiences of food culture at the time of their renunciation. On the other hand, figuring out of the transmission lineages and recipes in the case when they have a regional specialty or peculiarity. First of all, securing the literal source of temple food from the Buddhist scripture. Secondly, collecting the materials mentioned about role, function, and authority of the temple food appearing on East Asia Buddhist culture. Finally, it brings about a defini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temple food culture based on interview survey of the senior monks and nuns at the time of their renunciation. While conducting this research, I have realized the fundamental identity of Korean temple food. In particular, all monks emphasize recipes and diet that correspond to the very spirit of Buddhism. Although each temple has a wide variety of recipes because of using other indigenous ingredients. Thus, sharing temple food with public should be focused on the fundamental spirit of the temple food. Since Korean temple cuisine is not merely vegetarian dish, but also meant to achieve self enlightenment, most of senior monks and nuns told us that it is important to remain a state of mind and morality to practitioner's position. In the words of many senior monks, the original spirit of these Buddhist temples and practitioner's position is fully incorporated into.
이을상 ( Eul Sang Le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2 동양문화연구 Vol.11 No.-
불교의 음식윤리는 불교의 수행법에 따라 가장 잘 이해된다. 즉 부처님은 당시의 관습에 따라 고행의 길을 갔다. 그러나 아무리 육체를 괴롭히더라도 나는 번뇌에서 벗어나게 할 수 없었다. 이를 깨달은 부처님은 난타바라가 끓여주는 우유죽을 마시고 원기를 회복한 다음, 명상을 통해 ‘보리의 도’를 깨달았던 것이다. 이러한 깨달음의 관점에서 볼 때 먹는 것은 결코 삶의 목적이 될 수없다. 그러나 부처님이 우유를 마시고 육체적 원기를 회복한 다음 깨달음을 얻은 것에서 보듯이, 음식은 육체적 삶을 위해 필수적이다. 육체가 없으면 해탈을 이룰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스님들이 공양할 때 외는오관게도 “몸이 마르는 것을 막는 약으로 여겨 깨달음을 이루기 위하여이 음식을 받는다.”고 설파한다. 오관게는 먹는 것의 불교적 의미를 분명히 해 준다. 이렇듯 불교의 음식문화는 스님들의 구도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또한 사찰음식은 채식을 위주로 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채식은 불살생의 계(戒)와 관련이 있고, 불살생의 계란 어떤 의미에서 깨달음을 얻기 위한 자기관리를 의미한다. 이에 우리는 먼저 채식을 위주로 하는 사찰음식의 의의(2장)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불교의 식사법(3장)을, 그리고 불살생의 계와 관련한 동물윤리(4장)에 관해 차례로 고찰할 것이다. 불교의 음식윤리는 근본적으로 수행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이고,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엄격한 ‘자기관리’가 요청된다. 이러한 자기관리법의 연장선에서 음식윤리를 정립하려는 것이 이글의 목표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ethical tradition of Buddhist food culture. Frankly speaking, a characteristic of Buddhist food culture is vegetarianism. Today vegetarianism is well known as well-being style. But Buddhist tradition of food culture is different from that of well-being. This is focused on the individual health state, but the latter says a means to keep body alive and arrive at the way of training mind. So a famous Buddhist text say that “I take a food only in order to keep my body alive and to establish the Tao of Bodhsattva. As we have seen, Buddhist food culture is relevant to religious belief of Buddhist monk and the vegetarianism as a characteristic of temple food is relevant to prohibitive injunction ``not to kill`` which is meant the self-controlling method in a sense that we want to control myself and arrive at the state of nirvana. So we are going to take an examination of the meaning of temple food(2 ch.) and the characteristic of Buddhist eating manner(3 ch.) and the significations of prohibitive injunction ``not to kill`` and animal ethics which is relevant to Buddhist prohibitive injunction ``not to kill``.
장승희 한국환경철학회 2018 환경철학 Vol.0 No.26
This study analyzes the ethics of the food in the viewpoints of the early Buddhism and explores its moral educational meaning. Early Buddhism linked the origins of the world to food and believed that discrimination and division, greed and thirst, lies and misdeeds were caused fundamentally by food. Food is explained by not only food that is eaten, but also three other different types of food; contact, purpose and consciousness food. In early Buddhism, the discussion of food was strictly divided between the trainee and the general public. The trainees should manage greed and thirst through temperance and control of food. There are three ethical characteristics to find here. First, the food was very important and placed at the beginning of the acting technique, and the rings of acting were kept connected with the food starting with it. This causal rule can be applied by broadening the relevance and causality of food. Second, try to temperate and control greed for food through food discipline. Third, early Buddhism’s food perspective is a rational moderate attitude. This is characterized by an understatement to accept the need for food to survive and not indulge in it. These early Buddhism’s food perspective was also applied to Mahayana Buddhism, so it could be applied according to their time and culture while maintaining Buddhism spirit. Early Buddhist food ethics have many implications for capitalist food lives today. Nevertheless, there are limitations in moral education. First, too much is being discussed at the center of a trainee. Second, there is an over-negative view of food, and third, there is a weak reflection on common karma on food. However, early in Buddhism, which values food and emphasizes strict control and control, is something to remember and apply today. 이 글은 초기불교의 음식에 대한 관점과 그 윤리적 성격을 분석하여 도덕교육적 의미를 탐구한 것이다. 초기불교는 세상의 기원을 음식과 결부시키고 있는데, 음식으로 인하여 분별과 차별, 탐욕과 갈애, 거짓말과 악행이 발생하였다고 본다. 또한 먹는 음식에 더하여 접촉·의도·의식의 네 가지 음식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음식으로 음식을 통제하는’ 독특한 윤리관을 보여준다. 초기불교 수행자들은 인간의 괴로움의 원인인 탐욕과 갈애의 근원이 음식에 있다고 보아 음식의 절제와 제어를 통한 음식수행을 무엇보다 중시하였다. 초기불교의 음식관에서 찾을 수 있는 윤리성은, 첫째, 음식을 연기의 출발로 중시한다는 것이다. 음식을 출발로 연기의 고리가 시작되어 무명(無明)으로까지 이르기 때문에 번뇌를 소멸하여 해탈하기 위한 수행에서 음식에 대한 제어가 중요한 과제로 등장한다. 둘째, 음식의 맛과 양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탐욕을 절제하는 노력을 기울여 인간다운 먹음이 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였고, 이는 오늘날 자본주의 음식생활에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 셋째, 합리적 중도주의 태도로, 생존을 위한 음식의 필요성을 수용하면서도 탐닉하거나 끌려 다니지 않는 절제된 자세를 강조였으며 이러한 음식 수용의 자세는 대승불교에 이르러 시대와 문화에 따라 불교 정신을 유지하면서 문화에 적합하게 수용하여 왔다. 그럼에도 도덕교육적 관점에서 한계를 살펴보면, 첫째로 지나치게 출가자 중심이라는 것, 둘째로 음식에 대해 지나치게 부정적이라는 점, 셋째는 음식과 관련하여 사회공동체 관점의 공업(共業) 의식이 약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음식을 중시하여 음식에 대한 엄격한 절제와 제어를 강조한 윤리적 자세는 오늘날 자본주의 음식생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겨보아야 할 것이다.
배영동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69
Unlike general Korean foods,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containing Buddhist ideas are cultural heritage items which have developed along with Buddhist ritual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have considerable elements in common with general Korean foods. However, they are separated by the characteristic that they avoid meat, fish and five pungent herbs based on Buddhist principles. Balwu-Gongyang is a communal Buddhist meal service, which is a typical cultural phenomenon that well represents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Many aspects in the cultural heritage of Balwu-Gongyang are as follows: Buddhist discipline based on Buddhist principles, wisdom of ecological adaptation, inheritance of a type of simple daily Korean food, foods as medicines preventing and healing diseases, realization of Korean ‘communal values’ and ‘the value of sharing’, and eco-friendly saving and complete consumption. Next, the extension of the food range of Balwu-Gongyang leads to the cultural heritage value in seasonal foods of Korean Buddhist temples. This cultural heritage contains fixed forms of general people’s ritual foods and Korean Buddhist seasonal foods considerably. This is a heritage of food culture that reflects changes in Korean foods, and also a communal cultural heritage of general people and Korean Buddhist temples. Nevertheless, as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have not been identified completely, there are various things to do in order to pass down these temple foods properly. Traditionality of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needs to be recovered. Each temple should develop its own unique temple foods. Seasonal temple foods that are forgotten need to be restored or represent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of passing down traditional Buddhist temple foods. Buddhist temple foods in Korea should be systemized and recorded periodically after academic surveys of these foods are conducted. Distinctions between traditional temple foods and contemporary ones are necessary. How to merchandize temple foods for the public needs to be established as well. 한국의 사찰음식은 일반적인 한식과 달리 불교사상을 담고 있는 음식으로서 불교의례와 더불어 발달한 문화유산이다. 물론 사찰음식은 일반적인 한식의 요소도 상당히 갖고 있지만, 불교사상에 기초하여 육류․생선․오신채(五辛菜)를 쓰지 않는 음식이라는 특징을 보인다. 발우공양은 사찰의 식사법으로 사찰음식을 이해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화현상이다. 발우공양의 문화유산 가치를 찾아보면, 불교사상에 기초한 불교 수행론의 문화유산, 생태적 적응의 지혜를 간직한 문화유산, 간소한 일상적 한식의 유형을 전승하는 문화유산, 병을 예방하고 치유하는 음식으로서 의료문화유산, 한국인들의 ‘공동체적 가치’와 ‘나눔의 가치’를 실현하는 문화유산, 절약과 완전소비를 추구하는 생태주의 문화유산이다. 다음으로 사찰 세시음식의 문화유산 가치는, 발우공양 음식의 범주가 확장된 것이며, 민간 의례음식의 고형과 불교세시음식의 고형을 상당히 많이 간직하고 있는 문화유산, 한국 음식의 변화상을 반영한 음식문화유산으로서, 민간과 사찰의 공동체적 문화유산이다. 그런데도 사찰음식은 정체성이 모호한 부분이 있으므로 바람직한 전승을 위한 과제가 적지 않다. 사찰음식의 전통성 회복, 사찰마다 특색있는 음식 살리기, 잊힌 사찰 세시음식의 복원 또는 재현, 전통적 사찰음식의 전수체계 마련, 전국 사찰음식에 대한 학술조사 후 체계화와 주기적인 기록화, 전통적인 사찰음식과 현대적인 사찰음식의 구분, 사찰음식의 대중 상품화 방안 모색 등이 필요하다.
웰빙(well-being)시대의 음식윤리 모색 __불교적으로 먹고, 윤리적으로 살기의 일상적 실천__
허남결 ( Nam Kyol Heo ) 인도철학회 2015 印度哲學 Vol.0 No.43
먹는 것의 역사는 인류의 발생과 함께 시작하여 지금도 쉼 없이 이어지고 있는 인간의 본능적 활동이자 사회적 행위 그 자체이다. 윤리학이 우리들의 사고 및 행동과 관련되는 실천적 물음들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기 위한 원리의 탐구라면 먹는 행위일반을 다루는 이른바 ‘음식윤리(food ethics)’의 출현은 지극히 당연한 귀결인 것처럼 보인다. 이 글은 그와 같은 인식의 연장선상에서 음식윤리의 중요성을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가운데 불교의 음식윤리문화에 대한 윤리적 이해를 도모하고 있다. 예컨대, 불교에서는 육식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육식자체의 반대가 아니라 주어진 음식의 성격과 그것을 받아먹는 수행자의 자세를 문제 삼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불교의 음식윤리문화는 이른바 중도주의적 음식윤리로 성격규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논의의 과정에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서양윤리학에서 발달한 동물권리 개념과 채식주의의 윤리적 정당화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조망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이 글에서 무엇보다도 웰빙(well-being)시대의 최대수혜자인 현대인들이 음식의 생산과 유통 및 소비의 전체 구조를 윤리적으로 성찰하고 더 나아가 그것과 관련된 종합적 가치판단을 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을 강조하고자 했다. 이 글은 음식윤리가 말 그대로 학제간연구의 전형적인 사례임을 일깨우는 한편, 오늘날 너도나도 웰빙을 추구하는 삶을 살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불교의 음식윤리전통으로부터 무엇을 배워야 할 것인가에 대한 도덕적 관심의 환기를 주문하고 있다. The history of eating is an instinctive activity and a social behavior of humans that began together with the birth of humanity and that has continued since then. If we consider the study of ethics to be a search of the principles behind behavior for providing answers to the practical questions related to our thoughts and actions, it seems that the emergence of ‘food ethics,’ which deals with the behavior of eating is an obvious consequence. As an extension from this line of thought, and taking a general look at the importance of food ethics, this essay strives for an ethical understanding of the food ethics culture of Buddhism. For instance, it is widely understood that eating meat is strictly forbidden in Buddhism, but in reality, this is no more than calling into question the character of the given food and the attitude of a trainee who takes it, rather than opposing the act of eating meat itself. Such food ethics culture of Buddhism could be defined as what is called a centrist food ethics. In the process of our discussion, we expect to obtain diverse views on the concept of animal rights that were developed in Western ethics and on the possibility of ethical justification of vegetarianism. In this essay, I wants the modern people, who are the biggest beneficiaries of this age of well-being, to explore the whole system of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food from an ethical viewpoint, and to step further and cultivate the ability to make a comprehensive value judgment on these matters. However, we are truly fortunate in that we believe that if people become aware of the fact that they can find reasonable and practical principles regarding these matters from the centrist food ethics culture of Buddhism, they will acutely understand how the teachings of the Buddha is still progressive in the present. On one hand, this essay will enlighten the readers on how food ethics is literally a classic exampl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on the other, it demands the arousal of moral interest on what could be learned from the food ethics tradition of Buddhism for most of the people who pursue well-being in the present world. However, it should be frankly acknowledged that my essay only shows various critical views related to food ethics, and is limited by its contemporary character in many aspects. Regarding this point, modifications and supplementation will be made as far as opportunity allows.
이선이(李鮮?)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0 No.-
이 논문은 지환의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의 육색장축원문에서 불교음식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수륙재를 설행하는 기간과 시설하는 단(壇)이 점차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 이유는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기 위한 현상으로 해석된다. 비록 설행하는 규모는 줄이지만, 음식을 준비하는 소임은 한국적인 용어를 사용하며 체계화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중국에서 인식하고 있는 수륙재의 의미보다는 음식을 매개체로 하는 의례라는 인식의 전환이 반영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공양물의 중요함이 강조되고, 국가조직인 육조(六曹)에서 실무를 담당하는 육색장(六色掌)의 이름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수륙재에서 준비해야 할 공양물을 만드는 직책을 육색장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특징은 1600년 이전에 성립된 것으로 판단된다. 육색장은 밥을 짓는 반두(飯頭), 밀가루·기름·꿀로 유밀과를 만드는 조과(造菓), 떡을 만드는 조병(造餠), 차를 끓이는 다각(茶角), 정과를 만드는 숙두(熟頭), 국을 끓이는 채로(菜露)이다. 육색장은 아니지만, 육색장이 원하는 것을 만들 수 있도록 재료와 도구를 준비하는 별좌(別座)도 중요한 소임이다. 육색장은 조리 방법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반두는 곡식 낱알을 찌고, 조과는 곡식 가루를 반죽하여 튀기고, 조병은 곡식 가루를 찌고, 다각은 차를 끓이고, 숙두는 근·줄기·열매를 꿀로 졸이고, 채로는 물에 끓인다. 음식으로는 밥, 유밀과, 떡, 차, 정과, 국이다. 한국식생활의 기본 요소인 밥과 국을 제외하면, 떡과 유밀과는 수륙재의 음식에서 중심이 된다. 이는 경전에서 최고의 공양물로 여기는 기름과 꿀을 이용한 유밀과가 수륙재에 전승되고 있는 증거이다. 이와 같이 육색장은 조리법을 기준으로 역할을 나누어 조직화하며, 떡과 유밀과는 불교음식으로 전승된다. 그리고 육색장의 직책 이름이 청규나 경전·주석서에 보이지 않는 것은 한국수륙재의 특징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국수륙재가 수륙재의 공양물에 좀 더 의미를 부여한다는 뜻이다. 지환의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육색장축원문에는 불교음식의 의미와 분류체계가 나타나며, 유밀과의 전승 모습을 나타낸다.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food were found in the original text of Jihwan(智還)"s 『CheonjiMyeongyangsuryukjaeieubeomeumsanbojip』 of Yugsaegjangchugwon-text.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r Suryukjae, the period of installation and the mandala of installation are gradually decreasing. The reason is interpreted as a phenomenon to reduce the economic burden. Although the economic scale of Seolhaeng is reduced, the job of preparing food is systematized using Korean terminology. This characteristic can be interpreted as shifting to the recognition of rituals using food as a medium rather than the meaning of Suryukjae recognized in China. In this process, the importance of offerings is emphasized, and the name of the Yuksaekjang(六色掌) is accepted. The job of making offerings to be prepared in Suryukjae was called Yuksaekjang. And it can be judged that it was established before 1600s. Yuksaekjang is an artificially made confection that person who cooks(飯頭), artificially made confection(造菓), rice cake maker(造餠), tea brewer(茶角), person who stews fruits in honey and sesame oil(熟頭), person who cooks soup(菜露). Although it is not Yuksaekjang, Byeoljwa(別座) prepares ingredients and tools so that Yuksaekjang can make what she wants. Yuksaekjang determines how to cook. Person who cooks is for steaming grains, artificially made confection for kneading and frying grain powder, rice cake maker for steaming grain flour, tea brewer for boiling tea, person who stews fruits in honey and sesame oil for boiling roots and fruits with honey, and person who cooks soup for boiling in water. Foods are rice, honey and oil, rice cake, tea, and stewed fruit and root vegetable. In this way, the Yuksaekjang is organized according to the cooking method. And it can be judged that it is a characteristic of Korean Suryukjae that the name of Yuksaekjang does not appear in Chinese scriptures or commentaries.
이은영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5 불교학보 Vol.- No.107
본 논문은 불교와 한의학의 식치(⻝治) 전통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과현대적 의의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불교는 율장과 『선원청규』, 한의학은『동의보감』, 『식료찬요』, 『승정원일기』 등을 살펴본다. 불교는 음식을 탐닉의 대상이 아니라 생명 보존과 건강 유지의 수단으로여긴다. 고대 인도 불교 승원에서의 식사는 기본적으로 시주받은 음식을 오전 중에만 먹는 것이었지만, 병이 났을 때는 예외적으로 특정 음식물을 약으로 섭취할 수 있게 했다. 반면, 동아시아에서는 백장회해가 선원을 설립한 후 직접 농사를 지어 식단을 자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었다. 불살생과 수양을 위해 육식과 음주를 엄격히 금했으며, 채식 위주의 건강에 유익한 식단 구성으로 심신의 건강을 관리했다. 한의학에서는 음식을 약과 동일시하거나, 약을 쓰기 전에 음식으로 치료하는 것을 중시하는 식치의 전통이 있다. 식치는 질병 치료뿐만 아니라 양생의 면에서 건강에 유익하다. 조선 왕실에서는 왕의 질병 치료와 원기 회복을 위한 보양식이나 치료식을 활용했으며, 특히 다양한 죽식을 발전시켰다. 『식료찬요』 등 식치 의서는 민간에서 쉽게 참고하여 질병을 치료하고건강을 관리하는 역할을 했다. 불교와 한의학의 식치 음식은 전통적으로 한식을 구성해온 것으로서 유사한 음식 등 상호 영향이 짐작되는 것들이 있다. 상호 영향 관계, 사찰음식의 한의학적 분석 등이 이루어진다면 각각의 식치 전통을 더욱 잘 파악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 한국인의 건강 관리에도 도움이 되는 식치 음식을 발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불교와 한의학의 식치에는 절제와 보살핌의 이중적 의미가 있는 ‘아낌’의 철학이 담겨 있다. 균형 있으면서도 소박하며 과식하거나 낭비하지 않음에는 절제로서의 아낌이, 음식으로 자신과 타자의 건강을 관리함에는 보살핌으로서의 아낌이 나타난다. 아낌의 철학까지 동반될 때 심신을 모두 치유하는 진정한 식치가 실현될 수 있다.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the traditions of food therapy (⻝治) in Buddhism and Korean medicine,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modern significance. The study examines Buddhist texts such as the Vinayapiṭaka and Chanyuan qinggui (禪苑淸規), and Korean medical texts including Donguibogam (東醫寶鑑), Sikryochanyo (⻝療纂要), and Seungjeongwonilgi (承政院日記). Buddhism regards food not as an object of indulgence, but as a means of preserving life and maintaining health. In ancient Indian Buddhist monasteries, meals were limited to donated food consumed only before noon, but when ill, monks were allowed to consume specific foods as medicine. In contrast, after Baizhang Huaihai (百丈懷海) established Seonwon (禪苑) in East Asia, monks could develop their own dietary regimens through farming. They strictly prohibit meat and alcohol consumption for non-killing precepts and spiritual cultivation, manag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rough beneficial vegetarian diets. Korean medicine has a tradition of food therapy that either equates food with medicine or emphasizes food treatment before the use of medicine. Food therapy is beneficial not only for treating diseases but also for nourishing life (養生). The Joseon Royal Court utilized therapeutic and nourishing foods to treat the king's illnesses and restore vitality, particularly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porridge. Medical texts on food therapy, such as Sikryochanyo, serve as accessible references for treating illnesses and managing health among common people. The therapeutic foods of Buddhism and Korean medicine have traditionally constituted Korean cuisine and there are similarities that suggest a mutual influence. Studying their interrelationships and analyzing temple food from a Korean medical perspective could not only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each therapeutic tradition but also lead to the discovery of therapeutic foods beneficial for modern Korean health management. Furthermore, both Buddhist and Korean medical food therapy are based on the philosophy of “akim”, which has dual meanings of restraint and care. Balanced yet simple diets without overeating or waste reflect akim as restraint, while managing one's own and others' health through food reflects akim as care. True food therapy that heals both the body and mind can only be realized when accompanied by the philosophy of akim.
한수진,신성현 한국불교학회 2018 韓國佛敎學 Vol.88 No.-
This research examined the food consumed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in the early Buddhist saṃgha throughout the Vinaya-piṭaka in comparison with the traditional Indian medicine Ayurveda. As a result, the Siyak (時藥) as the daily food of practitioners and the Bisiyak (非時藥), including fermented fruit beverages or sweet drinks, were identified as a form of body support and a medicine to prevent disease. The Buddhist monks took ghee, butter, curd, yoghurt, honey, sugarcane as a meal, but also ate them to treat diseases. The fermented grain beverages of Sovīraka (蘇提羅漿) and Surojang (⾸盧 漿) were used as medicines. Śākyamuni was treated with eating a gruel cooked with three spicy vegetables to cure the affliction of wind. In addition, Lotus was one of important medicines. The early Buddhist medical treatment was established as the Nikāya Buddhist medicin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and cultural differences of them. The monks were cured by Śākyamuni as well as by a doctor. As taking garlic or animal fat should be followed by proper regulations even in the case of eating them as a medicine, the monks’ deportment and a correct method of practice were also considered a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treatment method of the diseases. In the future, in comparing the Buddhist medicine with the modern medicine and nutrition,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and expand this study more. 본 논문은 율장에 나타난 질병의 치료를 위해 섭취한 약이 되는 음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이 목적이다. 아울러 초기불교의학의 대강을 보고자 아유르베다와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 수행자의 병을 치료하고자 다수의 약이 되는 음식이 복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수행자의 일상식이라고 할 수 있는 시약(時藥)과 과일발효음료 또는 당분음료로서 간식의 형태인 비시약(非時藥)은 수행자에게는 몸을 지탱하는 양식이자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약이었다. 기(ghee)·버터·커드(curds)·다히(dahi)·꿀·사탕수수 등은 수행자에게는 탐착을 일으킬 수 있어 섭취가 제한된 음식이기도 하지만 병을 치료하는 약이기도 하였다. 소제라장과 수로장 등의 곡물발효음료 형태의 약도 있었다. 붓다와 사리불은 풍병을 앓고 있었는데, 붓다의 풍병은 삼신죽이라고 하는 약죽으로 치료하였다. 불교를 상징하는 연(蓮)은 약으로도 사용되었다. 또한 안거 후에는 가을병이라는 풍토병이 수행자들에게 많이 발생하였다. 초기불교의학과 아유르베다는 고대인도의학의 영향을 받았으나, 초기불교의학은 독창적인 치료법을 정립하고 있었다. 아울러 각 부파들 사이에서도 병의 치료방법과 약에서 차이점을 보였다. 따라서 초기불교의학은 부파불교의학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수행자의 치료는 의사뿐만 아니라 붓다도 의학적 지식을 갖고 수행자들을 치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마늘이나 동물의 비계 등을 복용해야 할 경우에는 복용방법에 규제가 따르기도 하였는데, 수행자로서의 위의와 올바른 수행법은 병의 치료방법 결정에도 고려할 대상이었다. 후속 연구로 초기불교의학을 현대의 의학과 영양학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고찰해 봄으로서 불교의학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데 밑거름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