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 내 갈등관리와 불교상담심리학의 과제

        박수호(Park Su Ho)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4

        현대 사회에서는 갈등의 발생가능성이 더욱 커지고 있고, 그만큼 갈등관리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갈등관리는 조직적 사회적 차원에서는 통합을 지향하지만, 개인적 차원에서는 고통의 완화와 치유를 목표로 한다. 이와 관련해 최근 들어 일고 있는 힐링 열풍 속에서 명상과 요가, 심리상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은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이와 같은 맥락 속에서 이 논문은 불교상담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검토하고, 불교상담이 조직 내부의 갈등을 관리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 논의를 통해 개인적 차원에서만 논의되는 불교상담의 한계를 극복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논의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II장은 조직 갈등을 중심으로 갈등과 갈등관리에 대한 기존 논의를 개괄적으로 정리해 소개하였다. 갈등의 순기능과 역기능, 조직 내에서 갈등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 조직 내 갈등의 유형과 그 영향, 주요 갈등관리의 방법과 특성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III장에서는 불교상담과 관련된 기존 논의의 흐름을 종합하여 상술하였다. 주요 내용은 불교상담의 등장배경과정의, 특성, 연구동향 등이다. IV장에서는 심리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검토 되기 시작한 불교상담이 여전히 심리치료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비판하고, 조직 내 갈등관리 방안으로서 불교상담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전체 내용을 요약한 후, 이 논문의 의미와 한계를 기술하였다. 이 논문에서 주장하는 것은 불교상담의 범위를 개인적 차원에 국한하지 말고, 조직적 혹은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직 내 갈등관리의 방법으로 불교상담을 활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불교상담이 단순히 갈등을 해소하는 효과만 거두는 것이 아니라 조직 자체의 역량을 강화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도 확인하였다. 또한 종교적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일반 화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적 갈등의 해소와 잠재적 갈등의 예방이라는 갈등관리의 두 차원 모두에서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In modern society there is growing potential for conflict and also growing much need for conflict management. Conflict management aims to integrate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to alleviate the pain and the healing in personal level. In recent years,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meditation and yoga,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existing discussion about the Buddhist counseling, and Buddhist counseling can play a role in managing conflict within the organization. I hope this discussion will be a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Buddhist counseling only discussed in the individual level. The order of paper as follows. Chapter 2 is an introduction to conflict around the organiz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Chapter 3 summarize definition, the appearance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Buddhist counseling, the research trends. Buddhist counseling started to discus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sychotherapy. But still not escape from areas of psychotherapy. Chapter 4 was criticized on that point and discussed potential of the Buddhist counseling as a conflict management methods within the organization. Finally, a summary of the discussions was then describes the meaning and limits of this paper. It is argued in this paper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Buddhist counseling at the individual level, that it must extend to organizational or societal level. To support this argument, this paper reviewed Buddhist counseling can play a role in managing conflict within the organiz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Buddhist counseling can be a means to resolve conflict and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organization. Also, it has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beyond the limits of religions and is confirmed that appears effective in both dimension of conflict resolution and prevention.

      • 불교상담의 학문적 정체성

        윤희조(Youn, Hee-Jo) 한국불교상담학회 2018 불교상담학연구 Vol.11 No.-

        본 논문은 불교상담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연구이다. 필자가 불교상담을 정립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논문을 서술하고 있다. 불교상담을 학문화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각종 항목을 기술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먼저 불교상담의 정의를 불교에 기반한 상담과 불교를 적용한 상담을 구분하면서, 불교에 기반한 상담을 불교상담으로 정의한다. 불교상담의 학문적 계통은 불교심리학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불교심리학의 주제인 마음을 정의하고, 마음의 운동기제로서 연기를 제시하고, 마음의 담지자로서 인간을 기능적 존재와 가능적 존재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불교심리학은 불교마음학과 불교심소학과 불교심리치료로 나눌 수 있다. 불교상담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대한 논의와 불교상담의 기제와 기법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불교상담가가 가져야할 자세와 불교상담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 불교상담이론, 불교상담의 특징, 불교상담의 패러다임과 불교상담의 모토에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 이처럼 본고는 불교상담 전반에 걸친 주제에 관한 논의를 통해서 불교상담의 학문적 정체성을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to establish the academic discipline of Buddhist counseling. I write abou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Buddhist counseling. It focuses on describing the various discipline necessary for academization of Buddhist counseling. First, the definition of Buddhist counseling is divided into Buddhism based counseling and counseling with Buddhism, while Buddhism based counseling is defined as Buddhist counseling. The academic system of Buddhist counseling can be seen based on Buddhist psychology. It defines the mind, which is the subject of Buddhist psychology, and presents law of dependent origination as a kinetic mechanism of the mind, and distinguishes humans who are bearers of mind, as functional beings and possible beings. In addition, Buddhist psychology can be divided into Buddhist mindology, Buddhist cetasikology, and Buddhist psychotherapy. It discusses the language used in Buddhist counseling and discusses the mechanisms and techniques of Buddhist counseling. It also discusses the attitude that Buddhist counselors should have and the space where Buddhist counseling takes place. It also discusses Buddhist counseling theory,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counseling, and the paradigm of Buddhist counseling and the motto of Buddhist counseling. In this way,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academic discipline of Buddhist counseling through discussions on topics throughout Buddhist counseling.

      • KCI등재

        불교상담의 과정과 기법을 중심으로 하는 불교상담방법론

        윤희조(Youn, Hee-Jo)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3 No.3

        본고는 불교상담방법론을 불교상담의 특징, 불교상담가의 자세, 불교상담의 과정, 기제, 기법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불교상담은 불교의 궁극적 목표를 지향하는 상담이고, 관점을 열어가는 상담이고, 유해한 심소를 제거하고 푸는 상담이고, 보편적인 주제를 근원적인 차원에서 다루는 상담이라는 특징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불교상담가의 자세로는 마음의 원래 모습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여야 하고, 상담자 자신과 내담자에게 역기능적으로 작용하는 번뇌를 제거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상담자와 내담자가 만나는 공간은 생멸하고 열려가는 역동적 공간으로 볼 수 있다. 불교상담의 초기과정에서는 궁극적 목표를 지향하는 가운데 현실적 목표를 잡고, 내담자의 괴로움에 대해서 보편적이고 근원적 차원에서 이해와 인식을 열어간다. 중기과정은 열림과 제거의 기제를 상호보완적으로 행하는 과정이고, 후기과정은 이러한 과정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불교상담에는 열림과 제거라는 두 가지 기제가 있다. 열림은 마음의 두 가지 경향성 가운데 일원적 경향성과 연결되고, 제거는 다원적 경향성과 연결되어 있다. 불교상담의 기법은 마음중심, 마음열기, 마음풀기의 차원에서 볼 수 있고, 구체적인 기법으로는 알아차림 기법, 반조 기법, 정견 기법, 연기 기법, 정행 기법, 정사유 기법, 정어 기법, 대치 기법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Buddhist counseling methodology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Buddhist counseling, attitude of Buddhist counselor, process, mechanism and technique of Buddhist counseling. Buddhist counseling is characterized by goal oriented, open and wide, removable, universal, and fundamental. Buddhist counseling is a counseling oriented toward the ultimate goal of Buddhism, counseling to open the knowledge and view of the client, counseling to remove unwholesome mental factors, and counseling to deal with the universal theme at a fundamental level. The attitude of Buddhist counselors should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appearance of the mind and strive to eliminate the defilement that acts dysfunctionally to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The space where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meet can be seen as a dynamic space where by the Buddhist worldview is vitalized and opened. The process of Buddhist counseling initially aims at realistic goal, orienting toward the ultimate goal, and opens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e suffering of the client in a universal and fundamental dimension. In the middle period, the process of opening and removing is complementarily continued. In the latter period, this process is maintained continuously. There are two mechanisms in Buddhist counseling: openness and removal. Openness is associated with a monistic tendency among the two tendencies of mind, and removal is connected with pluralistic tendency. The technique of Buddhist counseling can be seen centered on mind-centered technique, open technique, and unraveling technique. The mind-centered method of trying to pay attention to the mind has the awareness technique and reflection technique. The open technique that opens and broadens the viewpoints has the technique of right view and the technique of dependent origination. Unraveling techniques to dismantle obstacles and shackles include right doing techniques, right thought techniques, right language techniques, and replacement techniques.

      • KCI등재

        『법화경』 「신해품」의 장자궁자 비유를 통해 고찰한 불교 상담사의 길

        임시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6

        본 고는 법화경 「신해품」의 장자궁자의 내용이 불교 상담의 과정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고, 신해품의 비유를 불교 상담적 관점에서 해석하며 불교 상담사에게 필요한 자질에 대해 고찰하였다. 신해품의 장자궁 자 비유에서 장자는 소승의 마음을 가진 궁자의 의식 상태를 알아차리 고 궁자에 대한 자비심을 내어 대승의 마음을 가질 수 있을 때까지 존중하고 배려하는 태도를 견지한다. 궁자는 장자의 보살핌을 통해 자신을 올바로 인식하고 자신에게 본래부터 있던 불성의 유산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일련의 과정이 불교 상담에서도 일어나고 있다는 입장으로 불교 상담사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불교 상담사는 내담자의 트라우마를 바라보는 자비의 마음과 지혜로운 관점을 유지하며 보살로서의 역할을 해나가야 한다. 이를 이행하기 위해 불 교 상담사는 먼저 자기 인식을 넓히고 의식의 성장을 거쳐 대승의 마음 을 갖춰나가야 할 것이다. 이런 불교 상담사의 자기 성찰이 기본이 되고 나서 장자가 궁자를 대하듯 내담자의 아픔을 자신의 고통처럼 받아 들이고 상호의존하며 함께 성장해가는 과정을 만들어 나갈 수 있겠다. 이런 상호존중의 과정을 불교 상담사와 내담자가 더불어 이루어 가는 것이 불교 상담이 가진 특이점으로서 보여 진다. 따라서 불교에 기반으로 한 불교 상담을 진행하는 불교 상담사는 연기적 관점과 보리심을 지난 보살의 마음을 지녀야 한다. 또한 불교의 사성제를 이해하고 무상과 무아에 대한 올바른 앎을 지니며 내담자의 고통을 해결할 수 있는 불교적 치유기법을 익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토대로 활동하는 불교 상담사의 기본 자질과 마음 자세를 수련하고 실습하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구축된다면 현대인의 심리적 고통을 치유하는 방법으로서의 불교 상담이 지금 시대에 자리 잡게 될 것이다. In "The Sutra of the Lotus," the ancient government interpreted the analogy of the divine product from a Buddhist counseling perspective and considered the qualities necessary for Buddhist counselors. In the metaphor of the "Jangjagungja" of ‘Shinhaepum’, Jangja notices the state of Gungja's consciousness with the spirit of the small monk and maintains a respectful and caring attitude until he can have the spirit of the great monk with the mercy of the prince. Through the care of Jangja, Gungja changes so that he can recognize himself correctly and accept the legacy of his original disloyalty.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role of a Buddhist counselor in the position that this series of processes is taking place in Buddhist counseling, and the Buddhist counselor should play the role of a Bodhisattva by maintaining the spirit of mercy and wise view of the trauma of the physician. In order to implement this, Buddhist counselors will have to broaden their self-awareness first, grow consciousness, and build a great monk's mind. After the Buddhist counselor's self-reflection becomes the basis, we will be able to take the pain of the deceased as if it were our own pain, interdependence, and grow together. This process of mutual respect is seen as a unique feature of Buddhist counseling, which Buddhist counselors and counselors work together. Therefore, Buddhist counselors who conduct Buddhist counseling based on Buddhism should have an acting point of view and a spirit of Bodhisattva.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the Buddhist sacrament, to have the right knowledge of self-renunciation and impermanence, and to learn Buddhist healing techniques that can solve the pain of a physician. If a systematic curriculum is established to train and practice the basic qualities and mind-set of Buddhist counselors based on the results so far, Buddhist counseling as a baton to heal the psychological pain of modern people will be established in this era.

      • 불교상담에서의 믿음의 적용

        김태연(도생)(Tae-Yeon Kim)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1

        본 연구는 불교에서의 믿음을 불교상담에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데 있다. 불교 경전을 통한 믿음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어져 왔으나 불교상담과 연결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초기경전 가운데 주제별로 묶은 경전인『상윳따니까야』, 대승경전의 꽃인『대방광불화엄경』, 대승 논장의 입문서라고도 할 수 있는『대승기신론』에서의 믿음에 대하여 살펴본 뒤, 불교상담에 불교적 믿음의 적용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모든 경전에서 ‘믿음의 대상’은 불ㆍ법ㆍ승 삼보와 서원ㆍ보살행ㆍ제불공경공양ㆍ교화방편ㆍ선지식ㆍ중생ㆍ중생심ㆍ본각ㆍ일심 등이며 이는 모두 ‘불(佛)’ 하나로 귀결된다. 불교상담에서도 믿음의 대상은 상담자ㆍ내담자ㆍ상담기법ㆍ상담이론ㆍ상담경험ㆍ상담과정ㆍ고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ㆍ실천성ㆍ자기개방 등 다양하나, 모든 것을 각자 자신에게 내재된 ‘가능성’ 하나로 귀결시킬 수 있었다. 경전을 통해 본 ‘믿음’은 3악도에 떨어지지 않고 번뇌를 여의며 보리심을 발하고 마군을 항복받으며 마음에 흔들림이 없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게 한다. 믿음은 복덕과 지혜를 증장시키고 천상에 태어나게 하며 진실하고 잘 베풀며 대비심과 환희심으로써 반드시 여래지로 나아가게 하므로, 친구ㆍ동료ㆍ친지ㆍ혈육 등 지인들도 믿음을 낼 수 있도록 격려하며 이끌어 줘야한다. 불교상담에서도 자신의 ‘가능성’을 확고히 믿는 사람은 상담 과정의 모든 노력이 반드시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줄 것임을 알기에 믿고 실천한다. 실천을 통해 좋아지면 번뇌가 사라지고 지혜와 복덕이 증장하여 본래 청정한 마음을 스스로 경험하여 더욱 확고히 믿게 된다. 믿음을 바탕으로 한 불교상담으로 행복해지면 반드시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함께 행복한 믿음의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불교에서의 믿음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언택트시대의 사람들 마음 속 불신을 잠재우고 사회를 안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belief in Buddhism to Buddhist counseling. Research on faith through Buddhist scriptures has been steadily conducted, but no research has been linked to Buddhist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Buddhist belief to Buddhist counseling after examining the belief in the『Saṃyutta Nikāya』which is a scripture grouped by theme among the early scriptures,『(Buddha)avataṃsakasūtra』the flower of the Mahayana Sutra,『Mahāyāna- śraddhotpādaśāstra.』 which can be called the introduction of the Mahayana Sutr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bject of belief” in all scriptures is BuddhaㆍDharmaㆍSangha, Thriple Gem, Vows, Bodhisattva workship, offering to Buddha, means of enlightenment, good knowledge, the mind of all living beings, original enlightenment, whole heart, all of which result in one “Buddha.” In Buddhist counseling, the subject of faith is diverse, including counselors, counselors, counseling techniques, counseling theories, counseling experiences, counseling processes, and self-opening, but everything could be brought down to one “possibility” inherent in each. The “belief” seen through the Buddhist scriptures does not fall into the third evil spirit, frees from anguish, emits Bodhisattva mind, surrenders demons, and does not waver in the mind, so that it does not fear death. Belief increases blessings and wisdom, makes one born in the heavens, is give well and sincere, and surely advances to the Tathagata with a sense of metta and joy. So we should encourage and lead acquaintances such as friends, colleagues, relatives, and bloodshed so that they can build faith. Even in Buddhist counseling, those who firmly believe in their “possibilities” believe and practice that all efforts in the counseling process will surely help them get out of pain. If it gets better through practice, the anguish disappears and wisdom and virtue grow, and the original clean mind is experienced on its own and believed more firmly. If you become happy with faith-based Buddhist counseling, you must let people around you know and help them move on to a happy path of faith togeth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various studies are needed to calm distrust in the minds of people in the untact era and stabilize society by applying faith in Buddhism to various fields.

      • KCI등재

        『占察善惡業報經』에 드러난 현대 불교상담 활용방안

        김용환 ( Kim Yong-hwa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6

        본 논문은 최근 현대 사회에 일어나는 정신적 갈등을 『占察善惡業報經』(이하 『점찰경』)에 적용하여 사회·문화적 갈등의 해결점을 불교상담 활용 방안에 적절한지를 고찰하였다. 근래에 이르러 『점찰경』이 현대 사회에 불교상담 활용방안으로 현저하게 傳來되지 않았다. 예측이 어려운 환경의 변화에서도 현대 사회에서는 『점찰경』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도구인 타로·사주·관상·손금 등으로 문화적 갈등을 해결하여왔다. 한편 역사적으로 삼국유사에서는 『점찰경』이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는 민간신앙의 기복과 행복을 염원하였고, 경전적인 측면에서는 사상, 종교, 음양오행 등 내세에 대한 믿음이 큰 비중을 다루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내면적인 면에서는 불교적이며 설화적 개념과 역사서, 불교문화서 등의 견해도 암시하고 있다. 최근에 와서 불교상담에서는 다양한 수단의 기법을 활용하는 빈도는 많이 늘어나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법이 ‘상담 연속성의 공존’이라고 볼 때, 상담에 대한 ‘상담기법의 절대 필요성’이라고 볼 여지는 있는지? 그래서 불교상담이 서양 심리·상담학과 같이 차별되었던 것으로 본다면, 그야말로 불교상담은 새로운 상담의 지평을 시사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불교상담은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들어주고, 확인하고, 경전을 이해하는데 유익한 과정’이다. 즉 스스로 ‘알아차리고, 느끼고, 깨우치도록 하는 것이 불교상담의 소산’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찰경』이 현대 사회에 사회·문화적 갈등을 해결하는데 새로운 불교상담의 차별화된 활용방안이 될 것이다. This study substituted internal conflicts occurring in modern society for 『Jeomchal Sutra』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tra of Divination』) and considered if the solution for social·cultural conflicts can be applied to Buddhist counseling. 『Sutra of Divination』 has not been passed down widely as a Buddhist counseling in modern society. In the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and especially from the social·cultural perspectives, however, 『Sutra of Divination』 longed for the highs and happiness of folk beliefs, and from the perspectives of scriptures, and treated beliefs in the future existence such as thought, religion and Yin-Yang and Five-Elements occupied a large portion. Especially, it also implies opinions buddhistic and narrative concept, historical books and Buddhist culture books internally. Considering that the life of modern people is considered ‘coexistence of counseling continuity’, there is no reason to think of it as ‘absolute necessity of a special method’ for counseling. However, Buddhist counseling is not so unusual like Western psychology and counseling studies. It is truly a process of observing, listening, confirming and citing scriptures. Therefore, it refers to the process to help oneself to meditate and realize by oneself. This way, 『Sutra of Divination』 will become a part of new Buddhist counseling to solve modern·cultural conflicts in modern society.

      • KCI우수등재

        불교상담에서의 카르마개념 적용

        이충현 불교학연구회 2019 불교학연구 Vol.59 No.-

        In the last century, western scholars have tried to find out therapeutic elements in Buddhism abundant of psychological assets in order to develop their theory. With that movement, efforts to make Buddhism itself one of professional counselling programs have also been exerted. That phenomenon is natural, considering Buddhism is founded by the Buddha who helps people solve their sufferings and problems through teaching according to their ability. However, comparing with western counselling, Buddhist counselling has not properly settled down yet due to its short history and thin research groundwork as a specialized modern counselling. To make it more competitive, this study suggests ‘karma’ concept of Buddhism for counselling because it has rich psychological context unlike other Indian thoughts’ karma concept. To apply the concept into Buddhist counselling, this study discusses what Buddhist counselling is and what special points Buddhism’s karma concept has to that of other indian thoughts. Then the concept’s psychological and therapeutic effects are check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western counselling theories. Western theories share two key points to cope with suffering; one is ‘distancing’, and the other ‘dealing with the pattern.’ These two points can also be found and utilized when the karma concept related to Samsara is rightly applied in the counselling. Additionally, this provides Buddhist counselling wit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its own direction. 불교에 내재한 풍부한 심리학적 자산에 주목한 서구는 지난 한 세기동안 불교의 심리치료적 요소들을 발굴하고 연구하며 ‘불교의 심리학화’를 이끌었다. 더불어 불교를 전문적인 상담현장에서 활용하려는 불교상담 영역도 함께 열렸다. 무명의 늪에 빠진 범부들에게 근기에 맞게 법을 설하며 고통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붓다의 사상을 기초로 하는 불교는 본래부터 상담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불교상담은 서구상담에 비해 충분히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먼저 무엇이 불교상담인가를 논하며 카르마개념이 불교 고유의 색을 구현하는 상담에 적용될 수 있음에 주목한다. 불교 카르마개념은 여타 인도 사상의 카르마개념에 비해 의도, 즉 심리적인 측면이 강조된다. 이러한 카르마개념이 어떻게 상담에 적용되느냐에 따라 심리치료적일 수 있고 동시에 불교적인 상담도 가능케 한다. 카르마개념의 불교상담적용을 위한 고찰은 서구 심리치료 및 상담이론들과의 비교를 통해 진행된다. 서구의 이론들은 고통의 문제 해결을 위해 ‘거리두기’와 ‘고통의 패턴다루기’라는 핵심을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두 가지 핵심요소는 윤회와 연관된 카르마개념이 상담에 활용될 때에도 잘 다루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서구상담과 차별되는 불교상담 고유의 의미와 방향성을 제시해주기도 한다. 내담자로 하여금 이 생 자체의 관점에서 빠져나와 보다 메타적으로 삶의 내용과 조건들에 대해 거리두기를 하도록 돕는다. 또한 불교에서의 카르마개념은 훈습이라는 반복과 습관의 측면에서 다루어지기에 생의 전반에 걸쳐 반복되는 고통의 패턴을 인식하고 이런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마음에 대한 세부 분석과 자각을 통해 올바른 마음을 내도록 유도할 수 있다.

      • KCI등재

        불교수행자의 불교상담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 CQR-M을 중심으로

        손강숙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1 불교문예연구 Vol.- No.17

        본 연구는 불교수행자를 대상으로 불교상담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불교상담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둘째, 불교상담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셋째, 불교상담자의 자질은 무엇인가?, 넷째, 불교상담자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조건은 무엇인가?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K시 소재 대학에서 불교상 담을 수강하는 학인스님 28명이며, 2019년 3월부터 5월까지 서면으로 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이메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결과는 수정된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QR-M;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 fied)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불교상담의 필요성, 불교상담의 구성요 소, 불교상담자의 자질, 불교상담자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조건 등 4 개 영역에서 5개 범주와 25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불교상담의 필요성 영역에서는 불교상담의 필요성 1개 범주에서 ‘부처님 법으로 내담자의 문제해결, 부처님 법에 다다를 수 있도록 도움, 포교를 위해, 또 다른 수행이 될 수 있으므로, 신도들의 상담을 위해’의 하위범주가 도 출되었다. 둘째, 불교상담의 구성요소 영역에서는 불교상담의 목표 범주에서 ‘해탈과 열반, 탈집착’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불교상담의 자 세·태도·관점 범주에서 ‘자타불이, 무아적 관점, 자비심’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불교상담자의 자질 영역에서는 전문가적 자질 범주에서 ‘상담이론 및 기술, 불교 공부, 분석능력’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인간적인 자질 범주에서 ‘자비심, 존중, 공감능력, 경청, 자기이해’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넷째, 불교상담자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조건 영역에서는 ‘전문가적 자질에서 상담이론 및 실제에 대한 이해, 불교교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수행이 기본’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인간적 자질 범주에서는 ‘수용·존중, 공감능력, 자비심, 자기이해’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대해서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불교 상담자의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uddhist practitioners' perception of Buddhist counseling in depth.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need for Buddhist counseling? Second, what are the components of Buddhist counseling? Third, what are the qualities of Buddhist counselors? Forth, what are the conditions to be a Buddhist counselor? Data were collected from 28 students of Buddhist monks who attended Buddhist counseling in the first grade of the Joong-ang Sangha University using written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modifi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ve categories and 25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four areas. First, in one category of necessity of Buddhist counseling of the area of necessity of Buddhist counseling, there are 5 sub-categories: 'solving problems of the client by Buddha's teachings', 'helping clients to reach Buddha's teachings', 'for the mission', 'because it can be another practice', and 'for counseling'. Second, in the component of Buddhist counseling, 'liberation', 'nirvana', and 'dis-attachment' were derived from category of Buddhist counseling goal. And in the attitude and viewpoint of Buddhist counseling, 'non duality of I and the not-I', 'the view of non-self', and 'compassion' were derived. Third, in the professional qualification category of the area of the qualities of Buddhist counselors, 'counseling theory and technology', 'Buddhist study', and 'analytical ability' were derived. And 'compassion', 'respect', 'empathy', 'listening', and 'self-understanding' were derived from the human qualities category. Fourth, in the professional qualities of the conditions to be a Buddhist counselor, 'understanding of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basic understanding of Buddhist doctrine', and 'performance-based' were derived. And in the human qualities category, 'acceptance', 'respect', 'empathy', 'compassion', and 'self-understanding' were derived. The above results were discuss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ovision of basic data for counseling of Buddhist counselors.

      • KCI등재

        어원적 관점에서 보는 暝想과 相談 - Homo Meditatus and Homo Consiliatus

        윤희조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90 No.-

        There are two areas and meanings related to the etymology of meditation. Myung(暝) covers the fundamental area, sang(想) covering the higher area. Bhāvanā signifies to develop the original state of the mind. Homo Meditatus or meditating man is a characteristic and possibility that human beings inherently have. Meditation is a methodology and is associated with a certain purpose. Among meditations, Buddhist meditation shares the purpose of the Buddha's problem-solving. Buddhist meditation can be called one of the methodologies for solving the suffering. If the area of Buddhist meditation includes all areas of the fundamental, the higher, and the ordinary, it can be the area of the Noble Eightfold Path. This problem solving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ges, and it can be seen through the changes of problems in Mahayana Buddhism. A triangle model of meditation would be possible in that the area covered by meditation might be posited as the base of both ends of the fundamental and the higher, with its objective as a point on the base. Due to the dynamics of the three points, various triangular models will be possible. The area of the fundamental and the higher might be approached not only by meditation but also by counseling. Counseling is also a methodology, associated with a certain purpose. In counseling, Buddhist counseling shares the purpose of the Buddha's problemsolving. And the triangular model of meditation can be applied to counseling. The triangular model of counseling becomes possible when the fundamental and the higher, as the area of c ounseling, are posited as the base of the triangle with the goal of the counseling as one point. Due to the dynamics of the three points, various types of triangular models become possible. Unlike these common points of meditation and counseling, the specificity of counseling can be found in the etymology of counseling. This can be seen in relation to the etymology of counseling. There are two assumptions about the etymology of counseling. It can be seen that the relational field is formed from the sang(相) and the changes through the vibration can be seen through the dam(談). Homo Consiliatus or counseling man is a characteristic and possibility that human beings inherently have. 본고는 어원에 기초하여 명상과 상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모색함으로써 둘의관계를 보고자 한다. 나아가서는 불교심리학 안에서 불교명상과 불교상담의 위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명상의 어원에서 명상과 상담의 공통점을 볼 수 있고, 상담의 어원에서 명상과 상담의 차이점을 볼 수 있다. 명상의 두 영역은 명상과 상담의 공통된 특징이라고 할 수 있고, 상담의 두 전제는 상담의 고유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명상의 어원에서 명상의 두 가지 영역을 볼 수 있다. 한자어 명(暝)은 근원적인영역, 상(想)은 고원적인 영역을 의미한다. 빨리어 바와나는 마음의 원래 상태를계발하는 것을 말한다. 인간에게 근원에 대한 호기심과 고원에 대한 추구가 있다면 호모 메디타투스 즉 명상하는 인간은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는 특징이고 가능성이라고 할 수 있다. 명상은 방법론으로, 목적과 연관되어 있다. 명상 가운데 불교명상은 붓다의 문제의식에 따른 목적을 공유한다. 괴로움의 해결이라는 목적을위한 방법론 가운데 하나를 불교명상이라고 할 수 있다. 명상이 다루는 영역인근원과 고원의 양 끝점을 밑변으로 하고, 목적이 밑변 위에 존재하는 하나의 점이된다면, 명상의 삼각형 모델이 성립할 것이다. 세 점의 역동성으로 인해서 다양한삼각형 모델이 가능할 것이다. 근원과 고원의 영역은 명상뿐만 아니라 상담의 영역이기도 하다. 상담 또한 방법론으로, 목적과 연관되어 있다. 상담 가운데 불교상담은 붓다의 문제의식에 따른 목적을 공유한다. 그리고 명상의 삼각형 모델은상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담의 영역인 근원과 고원을 삼각형의 밑변으로 하고상담의 목표를 밑변 위의 하나의 점으로 보면, 상담의 삼각형 모델이 가능해진다. 세 점의 역동성으로 인해서 다양한 형태의 상담의 삼각형 모델이 가능하게 된다. 상담의 어원과 관련해서 상담의 두 가지 전제를 볼 수 있다. 상(相)으로부터연기적 장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고, 담(談)을 통해서 진동을 통한 변화를 볼수 있다. 여기서 ‘함께[相]’는 함께 생활하는 존재 즉 중생으로서 모든 생명체의특징과 연관되어 있다. 함께 모여서 이야기함으로써 진동으로 인한 변화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그러므로 호모 콘실리아투스 즉 상담하는 인간은 인간이 본래가지고 있는 특징이면서 가능성이다. 명상하는 인간과 상담하는 인간은 인간에게 내재해 있는 가능성을 계발하고, 인간에게 내재해 있는 전제에 기반하고 있다고할 수 있다.

      • KCI등재

        불교상담자의 특성에 대한 일고찰 - 불교상담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

        이영림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5 No.-

        심리상담에 대한 사회적 역할의 중요성이 확산되면서 긍정적인 상담효과와 관련 깊은 상담자의 자질 및 특성을 밝히는 새로운 모색과대안이 필요해지고 있다. 이에 상담자는 시의성을 가지고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근본적 물음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불교상담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상담자 특성에 관해 내적인 자질, 내담자와 관계에서의 자질 그리고 사회적인 자질 측면으로나누어 불교상담자의 특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먼저 상담심리학에서 상담자의 자질과 특성을 다룬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에 대안적시각으로서 불교적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견월망지(見月亡指)로서 본질에 대한 올곧은 통찰이다. 둘째, 줄탁동시(啐 啄同時)로서 AI시대 상담관계의 조건이다. 셋째, 발고여락(拔苦與樂) 으로서 삶의 의미와 공동체적 가치이다. 앞으로의 과제는 불교상담자 교육를 위한 다양한 접근의 연구와 실제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교육목적, 내용,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의의는 불교상담자의 특성을 기초로 상담자 교육프로그램이나 교육모델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불교상담학의 지평을 확장해 보는 작은 시도라고 할 수 있다. As the importance of social roles of psychological counseling is increasing, there is growing necessity for new searches and alternatives to determine the qual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unselors related to counseling effects. With this in mind, it is vital for counselors to face timeliness and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question of their identity. This writing considers characteristics of Buddhist counselors by classifying them into their internal qualification, qualific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clients and social qualification, focusing on the studies related to Buddhist counseling from the complementary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pre-existing research which dealt with qual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unselors and suggests the following Buddhist directionalities. Firstly, it is oriented to “Gyeonwolmangji” to have straightforward insight towards the essence. Secondly, it is based on “Chwetakdongsi” to form conditions of the counseling relationship in the era of AI. Thirdly, the directionality is set for “Balgoyeorak” to aim at the meaning of life and values of the community. Furthermore, this study points out the challenge for research of Buddhist counselor educ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is a converging approach to Buddhism and counseling psychology as well as an attempt to expand the horizon of Buddhist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